KR100984153B1 -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153B1
KR100984153B1 KR1020090080018A KR20090080018A KR100984153B1 KR 100984153 B1 KR100984153 B1 KR 100984153B1 KR 1020090080018 A KR1020090080018 A KR 1020090080018A KR 20090080018 A KR20090080018 A KR 20090080018A KR 100984153 B1 KR100984153 B1 KR 100984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ubber
rice
pulp
hanji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지훈
Original Assignee
서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훈 filed Critical 서지훈
Priority to KR1020090080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01Waste products, e.g. sludge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20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 D21H17/21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of natural origin; Derivatives thereof
    • D21H17/24Polysaccharides
    • D21H17/28Starch

Landscapes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방용 세제의 사용을 줄이며, 식기에 묻어 있는 기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자연 분해되는 성분인 닥펄프, 쌀뜨물, 밀가루, 잿물, 볏짚, 볏짚재, 수세미 섬유질 등을 첨가하여 한지 수세미를 제조함으로써 조직력과 세정력이 높으며 첨가물이 자연분해되며, 인체에 무해한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한지, 쌀뜨물, 밀가루, 잿물, 볏짚, 수세미 섬유질

Description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DETERGENT CONTAINING KOREAN PAPER CCRUB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REREOF}
본 발명은 기존의 주방용 세제의 사용을 줄이며, 세정력이 높아 식기에 묻어 있는 기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닥펄프를 쌀뜨물에 푸는 단계와, 상기 쌀뜨물에 닥펄프를 혼합한 혼합물에 밀가루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밀가루를 혼합한 닥 펄프를 초지기에서 초지하는 단계와, 상기 초지한 한지를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한 한지를 일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로 구성하여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식기에 기름이 묻어 있는 경우, 주방용 타월이나 화장지 등으로 기름기를 제거한 후, 이를 다시 수세미에 주방용 세제를 묻혀 세척함으로써 기름이 묻어 있는 식기를 세척한다.
하지만, 기름기가 많이 묻어 있는 식기일 경우 이를 세척하기 위하여 주방용 세제를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기존의 주방용 세제는 자연분해가 쉽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수질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또한, 주방용 세제로 인한 피부질환도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방용 세제로 식기를 세척한 후 깨끗한 물로 수차례를 헹궈내어도 주방용 세제가 식기에 남아있을 수 있으며, 주방용 세제가 식기에 남아 있을 경우 음식물을 통해 체내에 흡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방용 세제로 식기를 세척한 후 이를 깨끗한 물로 수차례 헹궈내야 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물을 사용하게 되어 수질 오염 및 식수남용을 하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하지만, 돌이나 도자기 등으로 이루어진 식기를 주방용 세제를 사용하여 세척할 경우 식기가 주방용 세제를 흡수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주방용 세제를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주방용 티슈나 화장지로 수차례 동안 기름기를 닦은 후, 고온의 물로 기름기가 제거될 때까지 세척하거나, 이도 여의치 않으면 밀가루 또는 쌀뜨물에 식기를 수차례 동안 세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로 인한 물을 낭비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주방용 수세미는 대게 젖은 상태로 보관되어 식중독 등을 야기하는 대장균이나 세균 등에 노출되어 이를 수시로 고온의 물 등으로 소독한 후 건조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주방용 세제의 사용을 줄이며, 식기에 묻어 있는 기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한지 수세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은 쌀을 세척한 후 생기는 쌀뜨물에 닥펄프를 혼합하여 닥펄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밀가루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식물을 태운 재를 물에 혼합한 잿물, 볏짚을 태워서 생긴 볏짚재, 분쇄한 볏짚, 또는 수세미의 즙을 짜낸 후 분쇄한 수세미 섬유질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을 초지기에서 초지하여 건조한 후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닥펄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닥펄프가 쌀뜨물에 분산되도록 닥풀 또는 팜유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베이스 오일과, 가성가리 수용액과, 설탕 수용액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제조한 비누베이스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하여 제조한 보조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황금, 삼백초, 감초, 녹차, 어성초, 당귀, 인진쑥, 백지, 송진, 오트밀, 보리, 창포, 가시오가피, 구기자 또는 황국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한지 수세미에 관한 것으로, 한지의 다공질의 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쌀뜨물과 밀가루가 세척하는 역할을 하여 식기에 묻어 있는 기름기를 흡착하여 분해함으로써 기름기를 제거하여 주방용 세제의 사용 및 기름기의 배출량을 줄여 친환경적인 한지 수세미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지와 쌀뜨물 및 밀가루가 자연분해되어 생활하수에 의한 수질 오염을 줄일 수 있으며, 상기 밀가루 외에도 자연분해하며 식기의 기름기를 흡착하여 분해하는 볏짚, 잿물, 보조제, 수세미 섬유질 등을 첨가함으로써 세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의 보습과 피부결 개선 및 피부 진정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한방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주부습진 또는 아토피 피부염 등에 자극을 주지 않고 이를 완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방용 세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한지 수세미 내에서 밀가루와 쌀뜨물, 잿물 등의 친환경적인 물질이 계속 나와 기름이 묻어 있는 식기를 효과적으로 세척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물을 낭비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개략적인 제조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는 쌀을 세척한 후 생기는 쌀뜨물에 닥펄프를 혼합하여 닥펄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밀가루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잿물, 볏짚재, 분쇄한 볏짚, 수세미 섬유질 등의 첨가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을 초지기에서 초지하는 단계, 상기 초지한 한지를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한 한지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제조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한지 수세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닥펄프를 준비하여 점성을 갖도록 쌀을 세척한 후 생기는 쌀뜨물에 혼합하고 고루 풀어준다.
통상적으로 닥펄프를 물에 푼 후 닥풀이나 팜유를 혼합하는데, 이는 닥펄프가 고르게 분산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닥펄프가 덩어리가 지지 않으며, 한지를 뜰 때 발 위에서 물이 흐르는 속도를 조정하여 지질을 고르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닥펄프를 쌀뜨물에 풀어주는데, 이는 쌀뜨물은 생활하수로 버려지지만 자연분해되며, 쌀뜨물에 포함되어 있는 분말 성분이 기름기를 분해할 수 있기 때문이며, 자연분해되어 친환경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름기를 흡착하여 분해하는 밀가루와 쌀뜨물이 상호작용을 하여 식기에 묻어 있는 기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주방용 세제의 사용을 줄일 수 있으며 자연분해가 되는 친환경적인 주방용 세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2~3차례만으로도 밀가루가 충분히 씻겨나가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물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어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상기 닥펄프에 혼합되는 밀가루는 쌀뜨물에 혼합한 닥펄프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3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이상 또는 이하일 경우에는 닥펄프가 고르게 분산되지 않아 지질이 고르지 못하며, 밀가루의 분말로 인하여 싱크대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며, 한지 수세미가 너무 딱딱하여 사용하는데 불편하다.
상기 밀가루를 대신하여 고구마 또는 감자의 전분 가루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은 밀가루의 첨가량과 동일한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한지 수세미의 세정력을 좀 더 높일 수 있도록 쌀뜨물에 닥펄프가 혼합된 혼합물에 밀가루를 첨가하는 단계에 있어서 잿물, 볏짚재, 수세미 섬유질, 보조제, 한방 첨가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겠다.
먼저, 상기 잿물은 식물을 태운 재를 물에 담아 그 웃물을 떠 사용하는 것으로, 과거에 양잿물이 도입되기 이전까지는 예로부터 주방용 세제와 표백제 대신 사용하였다.
이러한 잿물의 성질은 염기성을 이루고 있어 동물성 단백질을 녹일 수 있어 식기의 세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겠다.
볏짚은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조직력 강화와 식기의 세정력을 높일 수 있어, 사용할 때엔 잘게 분쇄하여 첨가한다.
볏짚재는 볏짚을 태운 재를 말하는 것으로, 밀가루 등의 분해를 더욱 빠르게 하며, 정수작용과 보존작용과 동시에 한지 수세미의 조직력을 강화하여 식기를 세척함에 있어서 한지 수세미가 찢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수세미 섬유질은 식기 등을 세척하는 수세미가 아니라 식물의 수세미를 말하는 것으로, 수세미 농장에서 수세미의 즙을 짜고 난 수세미 섬유질은 버려지게 되는데 이러한 수세미 섬유질을 재활용하여 첨가함으로써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조직력을 강화하며, 수세미의 섬유질이 식기의 세정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상기 수세미 섬유질의 첨가함에 있어서, 즙을 짜낸 수세미 섬유질을 수거하여 이를 분쇄기에서 잘게 분쇄한 후 닥 펄프 혼합물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공지의 주방용 세제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보조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하는 보조제는 통상적으로 동백, 달맞이꽃 종자유, 코코넛 오일, 올리브 오일, 호호바 오일 등의 베이스 오일에 글리세린이나 비타민 E와 정제수 등을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제조되는 보조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증류수를 데워 설탕을 첨가하여 녹인 설탕 수용액을 용기에 담아 밀봉하여 준비한다.
이때 상기 증류수와 설탕의 혼합 비율은 8:1의 비율로 하여 첨가하는데, 상기 설탕은 비누 거품을 단단하게 하면서 보다 안정한 비누화를 위해 첨가되는 것으로 상기의 혼합 비율을 지키지 않을 경우 비누화 되는데 있어서 비누 거품이 단단하지 않으며 안정한 비누화를 얻지 못하기 때문에 상기의 혼합 비율을 지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가성가리와 증류수를 1:1의 비율로 혼합하여 증류수에 가성가리를 용해하여 가성가리 수용액을 만드는데, 반드시 가성가리를 증류수에 천천히 투입하여 용해한다.
가성가리를 증류수에 투입하여 용해하는 데 발열이 일어나는데, 만약 증류수를 가성가리에 부을 경우 폭발이 일어나 자칫 화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가성가리 수용액을 혼합함에 있어서 긴 팔의 옷을 입고 장갑을 착용한 후 가성가리 수용액을 혼합하도록 하여 가성가리 수용액이 몸에 튀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용해한다.
또한, 75~80℃로 가열한 베이스 오일에 가성가리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데, 상기 베이스 오일과 가성가리 수용액의 혼합물이 걸쭉하고 끈기가 있는 상태를 이룰 때까지 혼합한다.
상기 베이스 오일은 피부 진정 및 피부결 보습 등에 효과가 있는 코코넛 오일과 올리브 오일을 4: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상기 용기에 밀봉한 설탕 수용액을 75~80℃로 가열한 후, 베이스 오일과 가성가리 수용액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혼합한 비누베이스를 24시간 동안 숙성한다.
상기 숙성한 비누베이스를 중불에서 중탕하는데 30분 간격으로 중탕기의 뚜껑을 열어 비누베이스를 혼합하면서 투명한 상태가 될 때까지 비누베이스의 혼합과정을 반복하면서 2~3시간 동안 중탕한다.
상기 중탕한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50~70 중량부를 첨가하여 희석함으로써 보조제를 제조한다.
이때, 보조제에 향과 보습을 위하여 에센셜 오일 또는 비타민 E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보조제를 첨가함으로써 한지 수세미의 세정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삭제
또한, 한방에 사용되는 재료 중 피부 진정과 피부결 개선 및 보습 또는 세정작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홍삼, 황금, 삼백초, 감초, 녹차, 어성초, 당귀, 인진쑥, 백지, 송진, 오트밀, 보리, 창포, 가시오가피, 구기자, 황국, 맥반석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할 수 있다.
홍삼의 주요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즉, 사포닌은 주름과 피부 탄력을 개선하며, 여드름과 피부질환의 치유, 피부 보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황금은 해열과 피부의 진정, 소염에 효과가 있으며, 특히 보습효과가 뛰어나 건성 또는 아토피 피부에 효과적이며, 삼백초 또한 뛰어난 보습효과로 피부의 수준 대사를 활성화하며 건성 또는 아토피 피부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감초는 유효성분인 글리시틴이 피부를 진정하는 효과가 있으며, 세포 재생, 해독, 소염,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며, 녹차는 다량의 비타민과 카테킨, 토코페롤, 타닌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탄력 강화, 진정, 미백, 살균, 보습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어성초는 항염, 항균 작용이 뛰어나며 주부 습진 및 아토피 피부에도 효과가 있으며, 당귀는 잔주름 예방, 피부결 개선, 진정, 재생작용을 하여 아토피로 인하여 손상된 피부를 재생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인진쑥은 알레르기성 피부에 효과가 있으며, 백지는 피부 소양증 즉 피부 가려움증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 소염 작용을 하여 피부 가려움이 심한 아토피 피부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송진은 대체적으로 분말을 사용하는데 피부를 재생하며 통증을 완화하고 강력한 살균작용을 하며 특히 송진의 정유 성분이 피부 자극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오트밀은 피부에 영양을 주며 세정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재생 및 보습효과가 뛰어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보리는 무자극으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진정작용을 하는 효과가 있으며, 창포는 종기, 비듬 등의 피부병에 효과가 있으며, 가시오가피는 세포 재생에 효과가 있으며, 구기자는 진정작용을 하며, 황국은 보습유지 및 해독, 피부 탄력개선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맥반석은 강한 흡착 작용으로 세정효과가 뛰어나며 피부 질환에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미네랄이 풍부하여 피부 탄력 개선 및 노화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피부 진정 및 보습, 피부 재생 및 피부결 개선 및 세정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재료들 중 하나 이상 선택하여 첨가함으로써 피부에도 효과가 있는 한지 수세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의 첨가물을 하나 이상을 첨가할 때 분말 또는 액상형의 추출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첨가되는 양을 동일한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쌀뜨물에 닥 펄프가 혼합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하나 이상 선택하여 첨가되는 잿물, 볏짚, 볏짚재, 수세미 섬유질, 보조제, 한방 첨가물은 각각 1~3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쌀뜨물과 밀가루에 잿물, 볏짚, 볏짚재, 수세미 섬유질, 보조제, 한방 첨가물이 한지 수세미에 첨가되어 있어, 상기의 첨가물들이 주방용 세제의 세척 기능을 보조함으로써 식기를 세척할 때 한지 수세미에서 계속해서 쌀 뜨물과 밀가루, 잿물 등이 나와 식기의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물들은 대부분 자연분해되는 것으로 수질 오염을 발생시키지 않으며, 한지 수세미로 세정한 식기를 2~3차례의 헹굼만으로도 식기가 깨끗이 세척함으로써 식기에 첨가물이 잔류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주방용 세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쌀뜨물에 닥펄프가 혼합된 혼합물에 밀가루와 잿물, 볏짚 재, 수세미 섬유질, 보조제, 한방 첨가물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한 후에 초지기에서 초지하는데, 이때 초지하는 한지의 두께는 기존의 주방용 종이 타월의 두께보다 약 1.2~3배로 뜨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두께가 얇으면 식기를 닦는 도중 한지 수세미가 찢어져 수세미의 역할을 할 수 없기 때문이다.
상기 초지기에서 한지를 초지한 후 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소정의 길이와 폭을 갖도록 절단한다.
상기 절단한 한지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절취선을 형성하여 롤 형태로 말아 필요한 만큼의 양을 절취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절단한 한지를 낱장으로 접어 연속적으로 적층한 후 비닐파우치나 종이상자에 넣어 한 장씩 뽑아 쓸 수 있는 파우치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지 수세미는 상기와 같은 건식이 아닌 습식의 형태로도 제조할 수 있는데, 롤 형태 또는 뽑아 쓰는 파우치형태로 형성한 후 적절한 용기에 담아 정제수에 밀가루의 산화를 방지하는 보존제를 혼합하여 포장하기 직전에 용기에 충진하여 습식 형태의 한지 수세미를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존제는 천연물질인 계피나무 추출물이나 육계나무 추출물 등을 사용할 경우 친환경적인 한지 수세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한지 수세미의 사용이 다 마치면 이를 폐기 또는 매립할 경우 다이옥신 등의 환경 유해물질이 나오지 않고 자연분해되는 친환경적인 요소를 갖춘 한자 수세미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제조공정을 실시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겠다.
실시예 1. 잿물과 볏짚 재가 첨가된 한지 수세미의 제조
쌀뜨물에 닥 펄프를 고루 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5~30 중량부와 잿물 1~30 중량부, 볏짚 재 1~30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루 혼합한 후 이를 초지기에서 초지한 한지로 건조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건식의 한지 수세미를 제조한다.
도 2는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지 수세미의 SEM을 통하여 입자표면을 분석한 입자표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EDAX(원소분석기)를 통한 원소분석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 구조를 이루고 있는 닥 펄프 사이에 밀가루의 전분성분과 잿물 및 볏짚 재가 메워져 있어 식기의 세척 과정 중 밀가루와 잿물이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식기의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닥 펄프와 볏짚 재의 길이가 길고 실타래처럼 엉켜있어 식기의 세정력을 높이며, 식기의 세척 도중 한지 수세미가 물에 의해 풀어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삭제
실시예 2. 수세미 섬유질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보조제가 첨가된 한지 수세미의 제조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보조제를 제조한다.
끓고 있는 증류수 160g에 설탕 20g을 용해한 후 이를 식힌 후 용기에 담아 밀봉하여 준비한다.
증류수 63g에 가성가리 63g을 천천히 투입하여 녹여 가성가리 수용액을 준비하고, 코코넛 오일 200g과 올리브 오일 50g을 혼합한 베이스 오일을 75℃로 가열한 후 가성가리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하는데, 상기 베이스오일과 가성가리 수용액의 혼합물이 걸쭉하고 끈기가 있는 상태를 이룰 때까지 혼합한다.
상기 준비한 설탕 수용액을 75℃로 가열한 후, 베이스 오일과 가성가리 수용액의 혼합물에 첨가하여 혼합한 비누베이스를 24시간 동안 숙성한다.
상기 숙성한 비누베이스를 중불에서 중탕하는데 30분 간격으로 중탕기의 뚜껑을 열어 비누베이스를 혼합하면서 투명한 상태가 될 때까지 비누베이스의 혼합과정을 반복하면서 2시간 동안 중탕한다.
상기 중탕한 비누베이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증류수 50~70 중량부를 첨가하여 희석함으로써 보조제를 제조한다.
쌀뜨물에 닥펄프를 고루 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5~30 중량부와 분쇄한 수세미 섬유질 1~30 중량부, 보조제 1~30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루 혼합한 후 이를 초지기에서 초지한 한지로 건조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건식의 한지 수세미를 제조한다.
도 4는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지 수세미의 SEM을 통하여 입자표면을 분석한 입자표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는 EDAX(원소분석기)를 통한 원소분석그래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 구조를 이루고 있는 닥 펄프 사이에 밀가루의 전분성분 및 보조제가 메워져 있어 식기의 세척 과정 중 밀가루와 보조제가 지속적으로 배출되어 식기의 세정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닥 펄프와 수세미 섬유질의 길이가 매우 길고 실타래처럼 엉켜있어 조직력과 세정력을 높일 수 있으며, 식기의 세척 도중 한지 수세미가 물에 의해 풀어 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삭제
실시예 3. 수세미 섬유질과 주방용 세제가 첨가된 한지 수세미의 제조
쌀뜨물에 닥 펄프를 고루 푼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밀가루 5~30 중량부와 분쇄한 수세미 섬유질 1~30 중량부, 공지의 주방용 세제 1~30 중량부를 첨가하여 고루 혼합한 후 이를 초지기에서 초지한 한지로 건조하여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여 건식의 한지 수세미를 제조한다.
실험 1. 한지 수세미의 안전성 실험
식기를 주방용 세제와 실시예 1의 한지 수세미 및 실시예 2의 한지 수세미로 각각 세척한 후 식기 표면을 스크래처로 긁어 증류수에 헹군 다음 대장균 배지 위에서 한쪽 방향으로 증류수를 쏘아준 후 37℃의 인큐베이터 안에서 42시간 동안 배양하는 시험을 하였으며 이에 대한 실험 결과를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하였다.
도 6은 주방용 세제의 실험결과 사진이며, 도 7은 실시에 1의 실험결과 사진이며, 도 8은 실시예 2의 실험결과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한지 수세미로 세척한 식기에는 유기물이 남아있지 않아 세균이 증식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세제 찌꺼기가 식기 표면에 남지 않아 안정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 2. 수질 오염도 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라 제조된 한지 수세미와 일반 가정 내에서 사용하는 주방용 세제의 수질 오염도를 통상적으로 실시하는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변법 및 과망간산칼률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이에 따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측정
항목
측정
단위
측정분석 결과
측정분석방법
주방용 세제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DO mg/L 8.7 7.8 9.2 9.4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변법
COD mg/L 58.5 29.9 40.1 25.4 과망간산칼률법
BOD mg/L 484.0 35.8 77.1 104.8 윙클러-아지드화나트륨변법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DO는 실시예 1보다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며 COD 및 BOD는 주방용 세제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결과가 낮게 측정되어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가 친환경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3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에는 공지의 주방용 세제가 첨가됨에도 불구하고 그 결과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와의 결과와 많은 차이가 나지 않으며, 특히 주방용 세제와의 결과차이가 눈에 띄게 차이가 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한지 수세미는 사용하기가 간편하며, 한지 수세미에 첨가되는 밀가루와 잿물, 보조제 등이 자연분해되는 것으로 식기의 세정력이 높으며 친환경적인 한지 수세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 수세미에 피부에 효과가 있는 한방 첨가물을 첨가함으로써 주부습진이나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사용자들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한지 수세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로서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치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되는 한지 수세미의 개략적인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한지 수세미의 입자표면을 분석한 입자표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한지 수세미의 원소분석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한지 수세미의 입자표면을 분석한 입자표면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한지 수세미의 원소분석그래프
도 6은 주방용 세제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 따라 제조된 한지 수세미의 안전성 실험에 대한 결과 사진

Claims (6)

  1. 쌀을 세척한 후 생기는 쌀뜨물에 닥펄프를 혼합하여 닥펄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밀가루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식물을 태운 재를 물에 혼합한 잿물, 볏짚을 태워서 생긴 볏짚재, 분쇄한 볏짚, 또는 수세미의 즙을 짜낸 후 분쇄한 수세미 섬유질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닥펄프 혼합물을 초지기에서 초지하여 건조한 후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닥펄프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닥펄프가 쌀뜨물에 분산되도록 닥풀 또는 팜유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베이스 오일과, 가성가리 수용액과, 설탕 수용액을 혼합한 후 가열하여 제조한 비누베이스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희석한 보조제를 첨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닥펄프 혼합물에 황금, 삼백초, 감초, 녹차, 어성초, 당귀, 인진쑥, 백지, 송진, 오트밀, 보리, 창포, 가시오가피, 구기자 또는 황국 중 하나 이상을 선택하여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6. 삭제
KR1020090080018A 2009-08-27 2009-08-27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KR100984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18A KR100984153B1 (ko) 2009-08-27 2009-08-27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018A KR100984153B1 (ko) 2009-08-27 2009-08-27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153B1 true KR100984153B1 (ko) 2010-10-01

Family

ID=43134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018A KR100984153B1 (ko) 2009-08-27 2009-08-27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4859A (zh) * 2017-12-29 2018-05-01 安徽常春纸业有限公司 一种宣纸自动化生产系统
KR20230049194A (ko) 2021-10-05 2023-04-13 김경민 습윤지력을 높이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세제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제를 포함하는 종이수세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793A (ko) * 2001-01-12 2002-07-19 장남용 워시아웃 기법을 이용한 표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소재
KR20040053622A (ko) * 2002-12-17 2004-06-24 고운맘 쑥 종이 제조방법
KR20040091915A (ko) * 2003-04-23 2004-11-03 한경주 한방 휴지 제조방법
KR20050087969A (ko) * 2004-02-28 2005-09-01 박성화 항균성 한지 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0793A (ko) * 2001-01-12 2002-07-19 장남용 워시아웃 기법을 이용한 표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소재
KR20040053622A (ko) * 2002-12-17 2004-06-24 고운맘 쑥 종이 제조방법
KR20040091915A (ko) * 2003-04-23 2004-11-03 한경주 한방 휴지 제조방법
KR20050087969A (ko) * 2004-02-28 2005-09-01 박성화 항균성 한지 수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4859A (zh) * 2017-12-29 2018-05-01 安徽常春纸业有限公司 一种宣纸自动化生产系统
KR20230049194A (ko) 2021-10-05 2023-04-13 김경민 습윤지력을 높이고 자연분해가 가능한 세제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세제를 포함하는 종이수세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78379B (zh) 一种强效去油去污的天然洗涤制品及其制备方法
CN104629924B (zh) 一种纯天然去污杀菌清洁粉
CN1952095A (zh) 纯天然洗洁露
KR102225070B1 (ko) 무환자나무 열매추출물을 이용한 세탁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CN104212647A (zh) 纯天然茶籽清洁剂的制备方法
CN106047509A (zh) 一种洗衣粉及其制备方法
CN103583515A (zh) 用于湿纸巾的新型消毒杀菌液及消毒杀菌棉湿巾的制备方法
KR101274792B1 (ko) 해조류 유래 섬유를 포함하는 유분 제거용 기름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0066A (zh) 香皂护肤洗手纸巾
CN105542974A (zh) 一种护肤洗衣粉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6244345A (zh) 竹炭低泡洗衣液
KR100984153B1 (ko) 한지 수세미의 제조방법
CN103937629B (zh) 婴幼儿专用洗衣皂
CN105754751A (zh) 一种纯天然中草药植物抑菌节水洗涤剂及其制备方法
CN107964455A (zh) 环保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2994278A (zh) 一种蜂胶香皂及其制作方法
CN106967544A (zh) 天然可食用易降解的安全环保餐具清洗用品及其制作方法
CN105296213A (zh) 一种隐形眼镜清洗液
CN112662492B (zh) 艾草除菌香皂
CN110373274A (zh) 一种抑菌除螨婴幼儿专用无水纳米洗衣液
CN106244344A (zh) 竹炭低泡洗衣液制备方法
CN103820250A (zh) 皂角灵芝护肤皂及其制作方法
KR101270717B1 (ko) 전기석이 포함되어 있는 한지 팩의 제조 방법
KR102487709B1 (ko) 바디 워시 원액
CN1052715A (zh) 女士保健浴纸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