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914B1 - 밸브세트 - Google Patents

밸브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914B1
KR100983914B1 KR1020090112224A KR20090112224A KR100983914B1 KR 100983914 B1 KR100983914 B1 KR 100983914B1 KR 1020090112224 A KR1020090112224 A KR 1020090112224A KR 20090112224 A KR20090112224 A KR 20090112224A KR 100983914 B1 KR100983914 B1 KR 10098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let
cylinder
passage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2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홍
Original Assignee
김계홍
(주)협신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홍, (주)협신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계홍
Priority to KR1020090112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1/0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 F16K11/1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 F16K11/20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 F16K11/24Multiple-way valves, e.g. mixing valves; Pipe fittings incorporating such valves with two or more closure members not moving as a unit operated by separate actuating members with an electromagnetically-operated valve, e.g. for washing mach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63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multiple 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9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03Multiple-way valves
    • F16K31/0624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2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the fluid acting on a pis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6Rectilinearly-movable arm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는, 일측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유출되는 제1,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유출구로 유로가 분기되는 밸브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바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유출구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밸브실에 설치되는 스플세트, 상기 바디의 상기 유입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핑부, 및 상기 스플세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플세트는, 상기 밸브실의 중간에 위치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개폐(open or close)하는 제1밸브, 및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개(close or open)하는 제2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새로운 구조의 3-way 밸브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을 단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로드를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각각 바디에 형성된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에 장착하고, 상기 제1,2실린더로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서 상기 로드를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 또는 상기 제2실린더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에 장착된 상기 제1,2밸브의 위치를 초기화할 수 있다. 아울러,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제1실린더로 인가되는 컨트롤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 하여,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Figure R1020090112224
분수대, 3-WAY, VALVE, 쓰리웨이, 밸브, 솔레노이드밸브

Description

밸브세트{VALVE SET}
본 발명은 밸브세트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연못이나 레저용 강에 설치되는 분수대의 노즐을 통해 분출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분수대용 밸브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못이나 레저용 강에는 분수대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분수대는 최근 환경과 예술의 조화를 조성하여 관람객에 즐거움과 안락함을 주기 위해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분출되고 분수높이나 형태를 다양하게 한 기술이 선보이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분수대는 수중펌프에 의해 가압펌핑되는 고압수가 노즐을 통해 분출될 때 노즐의 배치형태, 수량, 수압 등에 의해 구현되고, 음악리듬을 갖는 분수대는 분사수의 분사시간 간격을 리듬에 맞게 제어함으로써 구현된다.
위와 같이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물의 양, 세기 등은 수중펌프 혹은 이 수중펌프와 노즐사이에 설치되는 밸브세트를 구동제어하므로써 제어 동작되며, 이중 밸브세트는 통상 전기적으로 원격제어 가능하면서 방수처리가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못이나 레저용 강에는 여러 형태 모양의 분수를 즐기게 되는데 이는 상기 분수장치의 내부에 부착되는 수중펌프가 회전하여 압력이 발생되고 그 압력에 의해 물을 여러 형태의 노즐로 공급하며 일정한 모양의 물기둥이 형성되면서 분수의 모양을 즐기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일반 수중펌프는 계속 회전되면서 압력을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분수노즐에서 물이 분출되는데 이러한 상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면 수중펌프에는 과부하가 발생되지 않으나 분수의 모양을 다양하게 하거나 아니면 분수장치에 시간차를 입력하고 또한 음악리듬에 따라 분수가 작동되도록 된 분수장치에서는 분사되는 물이 지속적으로 필요치 않고 순간적으로 분사되고 정지하여야 하는 기능이 있고 이를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자밸브(솔레노이드밸브 밸브)가 배관라인 안에 설치되고 수중펌프가 계속적으로 작동함으로 가능 하였다.
따라서 수중펌프에서 발생된 일정량의 수압은 노즐장치를 통과후 일정한 분수형태가 이루어진 후 다음 형태로 가기까지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수중펌프는 정지되지 않고 계속 회전하여 노즐장치 내에 수압을 유지시킨다.
이에 따라 노즐로 전달되는 수압을 용이하게 컨트롤하는 제어밸브세트가 계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수중펌프로부터 전달된 수압을 분수대용 노즐로 단속적으로 공급하는 밸브세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밸브세트는, 일측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유출되는 제1,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유출구로 유로가 분기되는 밸브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바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유출구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밸브실에 설치되는 스플세트, 상기 바디의 상기 유입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핑부, 및 상기 스플세트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스플세트는, 상기 밸브실의 중간에 위치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개폐(open or close)하는 제1밸브, 및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개(close or open)하는 제2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실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바디 안에 형성된 제1실린더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바디 안에 형성된 제2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실린더로 각각 컨트롤수압이 공급되며, 그 수압이 상기 제1,2밸브를 밀어내는 힘으로 상기 스플세트가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디 안에 형성된 제1실린더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실린더 내부를 움직여서 상기 스플세트를 밀거나 당기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을 움직이도록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실린더로 형성된 컨트롤유로를 개폐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린더의 직경은 상기 제2실린더의 직경보다 커서,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로 동일한 컨트롤수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제2밸브측으로 움직여서,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코일,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서 앞뒤로 움직이는 플런저, 및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실린더로 통하는 컨트롤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런저의 단부에 장착되는 밸브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피스톤의 반대측에 장착되어 상기 스플세트를 상기 제1밸브에서 상기 제2밸브의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일이 오프되어 상기 제1실린더로 컨틀로수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스플세트를 밀어내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2실린더로 공급되는 컨트롤수압에 의해서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는 폐쇄한다.
상기 코일이 온되어 상기 제1실린더로 컨틀로수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스플세트를 밀어내어,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한다.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실린더로 형성된 컨트롤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상기 컨트롤유로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된 돌기에 밀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에 의하면, 새로운 구조의 3-way 밸브를 이용하여 물의 흐름을 단속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로드를 중심으로 양단에 각각 설치된 제1밸브와 제2밸브를 각각 바디에 형성된 제1실린더 및 제2실린더에 장착하고, 상기 제1,2실린더로 공급되는 수압에 의해서 상기 로드를 그 길이방향으로 움직이는 구조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유로를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제1실린더 또는 상기 제2실린더의 직경을 다르게 하여, 솔레노이드밸브가 오프된 상태에서,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에 장착된 상기 제1,2밸브의 위치를 초기화할 수 있다.
아울러, 솔레노이드밸브는 상기 제1실린더로 인가되는 컨트롤유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상기 제1밸브와 상기 제2밸브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 및 이 를 이용한 설치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수장치와 이에 구비되는 밸브세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분수장치는 워터펌프(100), 밸브세트(110), 솔레노이드밸브(120), 바이패스라인(150), 및 메인라인(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인라인(130)의 상단부에는 분수를 위한 워터가 분사되는 분사노즐(140)이 부착 또는 형성되며, 상기 워터펌프(100)에서 보내진 설정된 압력의 물은 상기 밸브세트(110)를 거쳐 상기 분사노즐(140)로 선택적으로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밸브세트(110)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00)가 하부 중간에 형성되고, 물이 유출되는 제1유출구(205)와 제2유출구(210)가 상부 좌우에 형성되며, 상기 제1유출구(205)는 상기 바이패스라인(150)과 연결되고, 상기 제2유출구(210)는 상기 메인라인(130)에 연결된다.
상기 워터펌프(100)에서 보내진 물은 상기 밸브세트(110)를 거쳐 상기 메인라인(130)과 상기 바이패스라인(150)으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에 의해서 상기 밸브세트(110)안에 구비된 상기 스플세트(215)가 좌우로 움직이면서 상기 유입구(200)로 공급된 물은 상기 제1유출구(205)와 상기 제2유출구(210)로 선택적으로 공급된다.
즉,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오프/온 작동상태에 따라서 상기 스플세트(215)가 우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유입구(200)에서 상기 제1유출구(205)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스플세트(215)가 좌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유입구(200)에서 상기 제2유출구(210)로 물이 공급된다.
상기 밸브세트(110)의 구조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밸브세트(110)는 분수장치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유체의 흐름을 컨트롤하고 전환하는 모든 장치에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수장치에 구비되는 밸브세트의 전체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세트(110)는 커버(230), 오링(305), 스플가이드(217), 스플세트(215), 바디(225), 피스톤(224), 피스톤바디(220), 플런저(252), 밸브시트(254), 가이드(300), 코일(250), 및 잠금너트(2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가운데 상기 바디(225)가 배치되고, 그 우측에 상기 피스톤바디(22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가 장착되고, 상기 바디(225)의 좌측에 상기 커버(230)가 장착된다. 상기 바디(225), 상기 피스톤바디(220), 및 상기 커버(230)는 서로 일체로 형성 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바디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바디(225)에는 하부에 상기 워터펌프(100)와 연결된 상기 유입구(200)가 형성되고, 그 상부에 상기 바이패스라인(150)과 상기 메인라인(130)과 각각 연결되는 상기 제1유출구(205)와 상기 제2유출구(210)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00)에서 상기 제1유출구(205)와 상기 제2유출구(210)로 나누어지는 부분에는 밸브 실(227)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실(227)에는 가로로 상기 스플세트(215)가 배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스플세트(215)는 상기 제1유출구(205)에서 상기 제2유출구(210)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스플세트(215)는 가운데 로드(215b), 이의 양단부에 형성된 제1밸브(215a)와 제2밸브(215c)로 구성된다.
상기 피스톤바디(220)의 내부에는 제1실린더(222)가 형성되고, 상기 제1실린더(222) 안에 상기 피스톤(224)이 배치된다. 상기 스플가이드(217)가 상기 제1실린더(222)와 대응하여 상기 바디(225)의 상기 밸브실(227)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1밸브(215a)의 외주면은 상기 스플가이드(217)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아울러, 상기 스플가이드(217)가 상기 제2실린더(223)와 대응하여 상기 바디(225)의 상기 밸브실(227)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밸브(215c)의 외주면은 상기 스플가이드(217)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스플가이드(217)와 상기 제1밸브(215a) 및 상기 제2밸브(215c) 사이에는 실링구조로써 상기 오링(305)이 개재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상기 코일(250) 중간에는 상기 가이드(300)가 삽입되고, 사기 가이드(300) 내부로 상기 플런저(252)가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300)는 상기 코일(250)에 상기 잠금너트(256)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플런저(252)의 단부에는 고무와 같은 유연한 재질의 상기 밸브시트(254)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1밸브(215a)의 일측 외주면에 오링이 장착되어 상기 제1실린더(222)의 수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밸브(215c)의 일측 외주면에도 오링이 장착되어 상기 제2실린더(223)의 수압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가운데 상기 바디(225)가 배치되고, 그 우측에 상기 피스톤바디(220)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가 장착되고, 그 좌측에 상기 커버(230)가 장착되며, 상기 바디(225)와 상기 피스톤바디(220)에는 상기 유입구(200)에서 상기 제1실린더(222)로 컨트롤압력을 전달하는 제1컨트롤유로(240a), 제2컨트롤유로(240b), 및 제3컨트롤유로(240c)가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일측은 상기 피스톤바디(220)의 일측에 나사구조로 삽입되며,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에서 피스톤바디(220)에 삽입되는 부분은 서로 실링구조를 갖고 있어서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와 상기 제3컨트롤유로(240c)의 수압이 누출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플런저(252)의 단부에 상기 밸브시트(254)가 배치되고, 상기 밸브시트(254)는 상기 플런저(252)의 단부면 가운데에 삽입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의 단부 외측 둘레에 형성된 돌기(315)에 밀착되어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를 차단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컨트롤유로(240a)는 상기 바디(225)에 형성되고,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는 상기 피스톤바디(220)에 형성되며, 상기 제3컨트롤유로(240c)도 상기 피스톤바디(220)에 형성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의 오프상태(또는 온 상태)에서, 상기 밸브시 트(254)가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에서 상기 제3컨트롤유로(240c)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한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플런저(252)가 그 전방에 위치하여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를 폐쇄하고, 상기 플런저(252)가 후방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의 통로가 개방된다.
아울러, 상기 바디(225)와 상기 커버(230)에는 상기 유입구(200)에서 상기 제2실린더(223)로 통하는 제4컨트롤유로(240d)가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200)의 압력은 항상 제2실린더(223)로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제2실린더(223)에는 상기 스플세트(215)를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 측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310)가 장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가 오프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가 오프되어 상기 유입구(200)에서 상기 제1유출구(205)로 수압이 전달되는 상태를 보여준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가 오프된 상태에서는, 상기 밸브시트(254)가 상기 제1실린더(222)로 공급되는 유로 즉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를 차단하여 상기 제1실린더(222)로는 수압이 공급되지 않으며, 상기 제4컨트롤유로(240d)를 통해서 상기 제2실린더(223)로 유압이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린더(223)에 피스톤 구조로 장착된 상기 제2밸브(215c)가 상기 제2실린더(223)에 형성된 수압에 의해서 상기 스플세트(215)가 우측으로 움직 인다.
상기 스플세트(215)가 우측으로 움직이면, 상기 제2밸브(215c)가 상기 밸브실(227)에서 상기 제2유출구(210)로 통하는 유로를 차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가 온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실린더(222) 내부에 장착된 상기 피스톤(224)은 제1직경(d1)을 갖고, 상기 제2실린더(223)에 장착된 상기 제2밸브(215c)는 제2직경(d2)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2실린더(222, 223)로 동일한 압력이 형성된다면, 상기 제1피스톤(224)이 좌측으로 움직이려는 힘은 상기 제2밸브(215c)가 우측으로 움직이려는 힘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솔레노이드밸브(120)에 의해서 상기 제2컨트롤유로(240b)가 개방되어 상기 제1실린더(222)로 수압이 공급되면, 상기 스플세트(215)는 좌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상기 밸브실(227)에서 상기 제2유출구(210)로 통하는 통로는 상기 제2밸브(215c)에 의해서 폐쇄되고, 상기 밸브실(227)에서 상기 제1유출구(205)로 통하는 통로는 상기 제1밸브(215a)에 의해서 개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직경(d1)과 상기 제2직경(d2)의 크기는 설계사양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밸브시트(254), 상기 제1밸브(215a), 및 상기 제2밸브(215c)의 각 외측면과 물이 흐르는 통로의 내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밀봉구조를 갖기 위해서 설정된 범위의 유연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지, 고무, 플라스틱, 테프론, 및 연한금속 또는 이들의 복합성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밸브(215a) 및 상기 제2밸브(215c)는 상기 유입구(200)에서 상기 제1,2유출구(205, 210)로 물의 흐름을 전환하는 동시에, 컨트롤수압에 의해서 왕복해서 움직일 수 있도록 피스톤구조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수장치와 이에 구비되는 밸브세트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수장치에 구비되는 밸브세트의 전체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가 오프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세트가 온 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워터펌프
110: 밸브세트
120: 솔레노이드밸브
130: 메인라인
140: 분수노즐
150: 바이패스라인
200: 유입구
205: 제1유출구
210: 제2유출구
215: 스플세트
215a, 215b, 215c: 제1밸브, 로드, 제2밸브
217: 스플가이드
220: 피스톤바디
222: 제1실린더
223: 제2실린더
224: 피스톤
225: 바디
227: 밸브실
230: 커버
240a, 240b, 240c, 240d: 제1,2,3,4컨트롤유로
250: 코일
252: 플런저
254: 밸브시트
256: 너트
300: 가이드
305: 오링
310: 탄성부재
315: 돌기

Claims (9)

  1. 일측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유체가 유출되는 제1,2유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유출구로 유로가 분기되는 밸브실이 내부에 형성되는 바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유출구로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바디의 상기 밸브실에 설치되며, 상기 밸브실의 중간에 위치하는 로드, 상기 로드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개폐(open or close)하는 제1밸브, 및 상기 로드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드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밸브실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개(close or open)하는 제2밸브를 포함하는 스플세트;
    상기 바디의 상기 유입구로 유체를 공급하는 펌핑부; 및
    상기 스플세트를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되,
    상기 밸브실을 가운데 두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바디 안에 형성된 제1실린더에 장착되고, 상기 제2밸브는 상기 바디 안에 형성된 제2실린더에 장착되며,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2실린더로 각각 컨트롤수압이 공급되며, 그 수압이 상기 제1,2밸브를 밀어내는 힘으로 상기 스플세트가 그 길이 방향으로 움직이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바디 안에 형성된 제1실린더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구에서 공급된 유체의 압력에 의해서 상기 제1실린더 내부를 움직여서 상기 스플세트를 밀거나 당기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을 움직이도록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실린더로 형성된 컨트롤유로를 개폐하며, 코일, 상기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서 앞뒤로 움직이는 플런저, 및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실린더로 통하는 컨트롤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플런저의 단부에 장착되는 밸브시트로 이루어진 솔레노이드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실린더로 형성된 컨트롤유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밸브시트는 상기 바디의 외측면의 상기 컨트롤유로의 둘레를 따라서 돌출된 돌기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세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실린더의 직경은 상기 제2실린더의 직경보다 커서,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실린더와 상기 제2실린더로 동일한 컨트롤수압이 공급되면,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제2밸브측으로 움직여서, 상기 제2밸브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로를 개방하고, 상기 제1밸브는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세트.
  5. 삭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반대측에 장착되어 상기 스플세트를 상기 제1밸브에서 상기 제2밸브의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밸브세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오프되어 상기 제1실린더로 컨틀로수압이 공급되지 않으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스플세트를 밀어내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제2실린더로 공급되는 컨트롤수압에 의해서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는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세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온되어 상기 제1실린더로 컨틀로수압이 공급되면, 상기 피스톤이 상기 스플세트를 밀어내어, 상기 제1밸브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1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2밸브가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제2유출구로 통하는 통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세트.
  9. 삭제
KR1020090112224A 2009-11-19 2009-11-19 밸브세트 KR10098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24A KR100983914B1 (ko) 2009-11-19 2009-11-19 밸브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2224A KR100983914B1 (ko) 2009-11-19 2009-11-19 밸브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3914B1 true KR100983914B1 (ko) 2010-09-28

Family

ID=43010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2224A KR100983914B1 (ko) 2009-11-19 2009-11-19 밸브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9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1218A (zh) * 2017-03-29 2017-06-23 杭州摇头龙科技有限公司 出水量比例调节装置
RU185452U1 (ru) * 2017-11-28 2018-12-0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рматуростроительный кластер КРЫМИННТАРМ" Клапан трехходовой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772A (en) * 1979-02-23 1982-05-0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alve device for controlling flow of fluid
JPH10132104A (ja) * 1996-10-28 1998-05-22 Smc Corp パイロット式3ポート切換弁
JP2002276832A (ja) * 2001-03-14 2002-09-25 Showa Denko Kk 優先回路付切替弁、ならびに優先回路付切替弁を用いた制御装置およびシャッター開閉装置
KR20070026952A (ko) * 2005-08-29 2007-03-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분수대용 솔레노이드 밸브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7772A (en) * 1979-02-23 1982-05-04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Valve device for controlling flow of fluid
JPH10132104A (ja) * 1996-10-28 1998-05-22 Smc Corp パイロット式3ポート切換弁
JP2002276832A (ja) * 2001-03-14 2002-09-25 Showa Denko Kk 優先回路付切替弁、ならびに優先回路付切替弁を用いた制御装置およびシャッター開閉装置
KR20070026952A (ko) * 2005-08-29 2007-03-09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분수대용 솔레노이드 밸브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81218A (zh) * 2017-03-29 2017-06-23 杭州摇头龙科技有限公司 出水量比例调节装置
CN106881218B (zh) * 2017-03-29 2022-08-12 杭州摇头龙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出水量比例调节装置的总成
RU185452U1 (ru) * 2017-11-28 2018-12-05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рматуростроительный кластер КРЫМИННТАРМ" Клапан трехходовой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0664B1 (en) Fluid amplifier with media isolation control valve
US7341445B2 (en) Molten molding material dispenser
US10272449B2 (en) Pulse-width-modulated electromagnetic valve for controlling fluid flow direction and shower head incorporating same
KR100983914B1 (ko) 밸브세트
US4435127A (en) Apparatus with latching effect for limiting pressure in liquid feeding systems
CA2582308A1 (en) Injection molding three-way shut off valve and method
KR101585401B1 (ko) 물 높이 조절이 자유로운 분수장치
DK1616997T3 (da) Hydraulisk styreindretning
DE60301037D1 (de) Magnetventil
KR100787036B1 (ko) 분수용 3방향 밸브장치
KR100859850B1 (ko) 분수용 압력조절 장치
GB2425119B (en) Improved fuel filling apparatus
RU2015138981A (ru) Магнитореологический привод прямого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характеристиками потока верхнего контура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системы золотника
JP4716177B2 (ja) 吐水装置
EP3877681B1 (en) Water diverter apparatus and method
KR200417108Y1 (ko) 분무기용 전원의 자동 제어 장치
JP3880280B2 (ja) パイロット可変圧力制御弁
KR200192373Y1 (ko) 분수용 공압밸브장치
EA200900532A1 (ru) Клапан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уровня жидкости
RU2183296C1 (ru) Запорн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7406132B2 (ja) 吐出装置、移動部材及び流通制御方法
KR100686482B1 (ko) 분수 시스템용 밸브장치
KR100741008B1 (ko) 분수대용 솔레노이드 밸브
US20100126611A1 (en) Three-position diverter valve
WO2001055583A3 (de) Einspritzdü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