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281B1 -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281B1
KR100983281B1 KR1020080047456A KR20080047456A KR100983281B1 KR 100983281 B1 KR100983281 B1 KR 100983281B1 KR 1020080047456 A KR1020080047456 A KR 1020080047456A KR 20080047456 A KR20080047456 A KR 20080047456A KR 100983281 B1 KR100983281 B1 KR 10098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sh
tray
container
wat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4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21514A (en
Inventor
김수청
신종민
윤덕현
소재현
김철환
정원영
이훈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7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281B1/en
Publication of KR20090121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51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2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0Refrigerator units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sh separat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containing a container that contains the slush; Drive means mounted to one side of the tray to rotate the tray to be inclined; And a receiving container for selectively dividing any one of slush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y.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슬러시를 보관할 때 물과 슬러시를 분리할 수 있어, 슬러시를 보관하거나 사용자에게 슬러시를 제공할 때 편리하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ater and slush can be separated when storing the slush, which is convenient when storing the slush or providing the slush to the user.

슬러시 분리장치, 슬러시, 냉장고, 트레이 Slush Separator, Slush, Refrigerator, Tray

Description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러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물을 제거한 후에 슬러시만을 분리해낼 수 있는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lush separating apparatus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lush separating apparatus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eparate only the slush after removing water that may be generated from the slush.

슬러시(Slush)를 제조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이 중에서 물의 과냉각 상태를 이용해서 슬러시를 제조해서 사용자에게 슬러시를 공급할 수 있는 방법도 사용되고 있다.There are many ways to make a slush. Among them,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lush using the supercooled state of water and supplying the slush to a user is also used.

과냉각이란 물과 같은 액체가 고체로의 상 전이온도 이하에서도 상의 전이가 일어나지 않고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자연 상태에서, 과냉된 물방울(supercooling water drop)을 그 예로 들 수 있으며, 기존의 냉장고에서도 우연히 물 또는 음료수가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Subcooling means that a liquid such as water maintains a liquid state without phase transition even below a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to a solid. In the natural state, for example, the supercooling water drop (supercooling water drop) is an example, even in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the water or the drink may not be frozen by chance to the supercooled state.

한편 이러한 과냉각의 원리를 냉장고에 적용한 것으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S59-151834에 개시된 냉동법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1-086967호에 개시된 냉동방법 및 냉장고를 들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the principle of subcooling is applied to a refrigerator, there are mentioned the freezing method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S59-151834 and the freezing method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1-086967 and a refrigerator.

이러한 과냉각을 통해서 생산된 슬러시는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슬러시의 일부가 녹지 않도록 하는 것이 어렵다. 즉, 슬러시의 보관온도가 적정온도를 벗어나게 되면, 슬러시의 일부가 녹으면서 물이 생성되게 된다.Slush produced through such supercooling is difficult to keep the temperature constant so that some of the slush does not melt. That is, when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slush is out of the proper temperature, water is generated while part of the slush is melted.

이 경우, 사용자가 슬러시만을 공급받기를 원하는 경우에도 사용자에게 슬러시와 물이 함께 공급되어 사용자의 기호를 제대로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In this case, even when the user wants to receive only the slush,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lush and water are supplied to the user so as not to satisfy the user's preference.

또한, 슬러시로부터 생성된 물이 슬러시를 공급하는 장치에 묻으면서 슬러시를 공급하는 장치의 이송기나 회전칼날 등에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얼음에 의해서 슬러시를 공급하는 장치가 마모되거나 작동불안상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ice may be generated in the feeder or the rotary blade of the device for supplying the slush while the water generated from the slush is buried in the device for supplying the slus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vice for supplying the slush may wear or operate in an unstable state by the ice generated in this way.

이외에도, 슬러시에 포함된 물에 의해서 물 근처에 위치하는 슬러시 중 일부가 물에 의해 녹으면서 물의 량이 점점 늘어나게 되어 슬러시의 고체상태가 유지되게 하면서 슬러시를 보관하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store the slush while maintaining the solid state of the slush as some of the slush located near the water b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lush is dissolved by the water and gradually increase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물이 제거된 슬러시를 공급할 수 있는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ush separat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that can supply the slush from which the water is removed.

또한, 본 발명은 슬러시로부터 생성되는 물을 제거할 수 있어서, 슬러시의 상태를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nage to be able to remove the water generated from the slush, so that the state of the slush can be maintained smoothl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y comprising a container containing a slush; Drive means mounted to one side of the tray to rotate the tray to be inclined; And a receiving container for selectively dividing any one of slush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y.

또한,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contain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y, it is possible to include a first container for receiving the slush and the second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그리고, 상기 제2수용용기는 복수 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거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filter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물론,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접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슬러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Of course, the filtering member may contact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and prevent the slush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when the tray is rotated.

한편,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최대 회전각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member may be installed inclined at the same angle as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tray.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riving means rotates the tray in both directions, and the maximum rotation angle is different according to each direction.

특히, 상기 구동수단은,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상으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하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drive means, the maximum rotation angle when discharging the slush is 90 degrees or more, the maximum rotation angle when discharging wat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ng the tray to 90 degrees or less.

본 발명은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tray containing a container that contains the slush; Drive means mounted to one side of the tray to rotate the tray to be inclined; And a receiving container for selectively dividing any one of the slush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y.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accommodation contain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y, and may include a first container for receiving slush and a second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하되,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를 수 있다.The drive means rotates the tray in both directions, the maximum rotation angle may be different in each direction.

또한, 상기 구동수단은,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상으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90도 이하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drive means, the maximum rotation angle when discharging the slush is 90 degrees or more,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tray to 90 degrees or less when discharging water.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게 물이 포함되지 않은 슬러시를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upply a slush that does not contain water to the user.

또한, 물이 제거된 슬러시를 제공할 수 있어서 슬러시에 포함된 물에 의해서 슬러시가 녹아 물로 변화되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 슬러시를 슬러시의 상태로 오래동안 보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lush from which the water has been removed, thereby extending the time for the slush to be converted into water by the water contained in the slush, so that the slush can be stored for a long time in the slush state.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specifically realize the above object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1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0)는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이 상/하로 구획된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장실(130)과 냉동실(120)이 상/하로 구획된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에서도 적용가능하다.The refrigera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p mount type in which the freezing compartment 12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0 are divided up and down,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0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120 are divided up and down. Also applicable to the Bottom Freezer-Type.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120)과 냉장실(130)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를 중심으로 설명한다.However,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reezer compartment 120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0 will be described based on side-by-side type refrigerators, which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상기 냉장고는 좌측에 냉동실(120)이 우측에 냉장실(130)이 형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냉동실(120)에서는 영하의 온도를 유지하고, 냉장실(130)에서는 냉동실(1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식품을 보관한다.The refrigerator has a freezing compartment 120 on the left side and a refrigerating chamber 130 on the right side. In general, the freezing chamber 120 maintains a temperature below freezing, an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130 stores the food while maintaining a relatively higher temperature than the freezing chamber 120.

상기 냉장고(100)는 본체에 의해서 냉장고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수용되는 기계장치를 외부로부터 밀폐시키며 보호한다.The refrigerator 100 forms an exterior of the refrigerator by a main body, and seals and protects a mechanical device accommodated therein from the outside.

상기 냉장고(100)는 일반적으로 본체의 하부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 수용된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하게 된다.The refrigerator 100 generally maintains the freshness of foods that ar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by using a refrigerant cycle device accommodated in a machine room (not show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ain body.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미도시)를 이용해 저온으로 떨어진 냉기는 냉동실(120)에 공급된다. 냉기는 냉동실(120)을 영하의 상태로 유지시킨다. Cold air that has fallen to low temperatures is supplied to the freezing chamber 120 by using an evaporator (not shown) which phase-converts a liquid refrigerant into a gas phase to exchange heat with the outside. The cold air keeps the freezing chamber 120 in the freezing state.

또한, 상기 냉장고(100)에는 냉동실(12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냉동실도어(122) 및 냉장실(130)을 개폐할 수 있도록 냉장실도어(132)가 구비된다. 상기 냉동실도어(122) 및 상기 냉장실도어(132)는 상기 냉장고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the refrigerator 100 includes a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132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122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30 to open and close the freezer compartment 120. The freezer compartment door 122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door 132 are rotat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한편, 상기 냉동실도어(122)에는 사용자가 상기 냉장고(100)에 의해서 생성한 슬러시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슬러시공급장치(124)가 마련된다. 물론, 상기 슬러시공급장치(124)는 상기 냉동실(120)내에 구비되고, 사용자가 슬러시를 공급받을 수 있는 노즐만을 상기 냉동실도어(122)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freezing chamber door 122 is provided with a slush supply device 124 so that the user can receive the slush generated by the refrigerator 100. Of course, the slush supply device 124 is provided in the freezing chamber 120,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only a nozzle in which the user can receive the slush in the freezing chamber door 122.

한편, 상기 슬러시공급장치(124)는 사용자가 레버를 밀면서 컵 등의 용기를 인입시키면 컵 등에 슬러시를 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slush supply device 124 may be able to put the slush in the cup and the like when the user draws in a container such as a cup while pushing the lever.

또한, 상기 냉동실도어(122)의 내부에는 슬러시분리장치(126)가 매립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은 물이 포함된 슬러시에서 슬 러시와 물을 선택적으로 분리하는 장치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lush separator 126 may be embedded in the freezer compartment 122. At this time, the slush separator 126 is a device for selectively separating the slush and water in the slush containing wat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다시 말해서, 사용자가 슬러시공급장치(124)를 가동하면 슬러시분리장치(126)로부터 슬러시와 물이 분리될 수 있고, 물이 분리된 슬러시를 사용자에게 공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user operates the slush supply device 124, the slush and the water may be separated from the slush separator 126, and the slush from which the water is separated may be supplied to the user.

그리고,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는 일반적으로 슬러시공급장치(124)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으로부터 공급되는 슬러시가 상기 슬러시공급장치(124)로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slush separating device 126 is generally installed on the top of the slush supply device 124, so that the slush supplied from the slush separating device 126 is smoothly transferred to the slush supply device 124. It is possible.

이하 도 2내지 도 6을 참조해서 상술한 슬러시분리장치(126)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lush separator 126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S. 2 to 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how the supercooling is perform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면, 먼저 전극(2) 사이에 과냉각의 대상이 되는 액체(4)를 둔다. 다음으로, 냉기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교류 전원(6)을 이용하여 액체(4)에 전기장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액체(4)는 그 상 전이온도 이하(예: 1기압하의 물의 경우에 0℃)에서 얼지 않고, 과냉각 상태를 유지한다. 산소와 수소로 구성된 물이 어는 것이 방해되는 이유는 전기장과 같은 외부 에너지가 공급됨으로써, 물의 수소 결합이 방해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rst, a liquid 4 to be subjected to subcooling is placed between the electrodes 2. Next, in the state where cold air is supplied, the electric field is applied to the liquid 4 using the AC power supply 6. As a result, the liquid 4 does not freeze below its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for example, 0 ° C. in the case of water under 1 atm) and maintains a supercooled state. It is known that the freezing of water composed of oxygen and hydrogen is prevented because external energy such as an electric field is supplied, thereby preventing hydrogen bonding of water.

이렇게 생성된 과냉각된 액체에 상 변환기(8)를 통해 외력을 가하면, 예를 들어, 전기적 충격기(igniter)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힘을 가하면, 이 힘에 의해 과 냉각된 액체에 가해지고 있는 에너지 또는 가해진 에너지(이는 조건에 따라 에너지가 일정 시간 동안 가해진 후에 중단되어도 과냉각 상태가 유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에 의해 유지되던 과냉각 상태가 교란되어 동결핵이 형성되고, 과냉각된 액체가 급속히 고체상으로 전환되면서 슬러시가 형성된다. 이때, 과냉각된 액체의 온도는 과냉각된 상태의 온도에서 상 전이온도로 바뀌게 된다.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upercooled liquid thus produced through the phase converter 8, for example, an electric force is applied using an igniter, and the energy applied to the supercooled liquid by this force or The supercooled state maintained by the applied energy (which means that depending on the condition may be maintained after the energy is appli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can be disturbed, forming a freeze nucleus, and the supercooled liquid rapidly forms a solid phase. A slush is formed as it transitions. At this time, the temperature of the supercooled liquid is changed from the temperature of the supercooled state to the phase transition temperature.

물론 과냉각을 유지하기 위해서 전기장을 이용하는 방법 이외에 자기장을 이용하는 방법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생성된 슬러시를 물과 분리하는 장치를 위주로 이하 설명한다.Of course, in order to maintain supercooling, various methods, such as a method using a magnetic field,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produced by this method from water will be described below.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분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슬러시 분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슬러시 분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상 생략한다.3 is a block diagram of a slush separa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of the slush separator of FIG. 3. 3 and 4 illustrate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slush separator, and a description of the specific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is as follows.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분리장치(126)는 슬러시가 수용되는 용기(10)를 포함하는 트레이(20), 상기 트레이(20)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 및 상기 트레이(20)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40,50)를 포함한다.The slush separating apparatus 126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y 20 including a container 10 in which slush is accommodated, a driving means 30 for rotating the tray 20 to be inclined, and rotation of the tray 20. It includes a receiving container (40, 50) for selectively dividing any one of the slush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in accordance with the direction.

상기 용기(10)에는 도 2에서 설명된 방식에 의해서 생성된 슬러시가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슬러시는 상기 용기(10) 내에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슬러시가 다른 곳에서 생성된 후에 상기 용기(10)에 담겨져서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ainer 10 may store slush generated by the manner described in FIG. 2. In this case, the slush may be generated in the container 10.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slush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after it has been produced elsewhere.

또한, 상기 용기(10)에는 슬러시가 보관되지만, 슬러시도 물이 얼은 형태이므로 슬러시 중 일부가 녹으면 물로 변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에는 물이 담겨져서 보관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the slush is stored in the container 10, the slush also turns into water because some of the slush melts because the water is frozen. Therefore, the container 10 may be stored in water.

상기 용기(10)는 상면만 개방이 된 형태로, 일반적으로 컵 등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용기(1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 등이 상기 용기(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도록 개구부(12)가 형성된다.The container 10 is open to the upper surface only, it is possible to have a general shape, such as a cup. That is, the opening 12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ainer 10 so that the slush or the like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can be separated from the container 10.

상기 용기(10)는 상기 트레이(20)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0)가 다양한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용기(10)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물론, 상기 용기(10)와 상기 트레이(20)는 일체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ntainer 10 is mounted to the tray 20. Therefore, when the tray 20 is rotated in various directions, the container 10 is also rotated in the same direction. Of course, the container 10 and the tray 20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상기 트레이(20)는 직사각형의 평판의 형태를 가지고, 상기 트레이(20)의 면상에 형성된 개구부에 상기 용기(10)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용기(1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하나의 트레이(20)에 복수 개의 용기(10)가 일렬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트레이(20)에 복수 개의 용기(10)가 장착되어 함께 회전되면 하나의 용기(10)가 장착되는 것보다 슬러시 등을 분리할 때 보다 많은 양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 있다.The tray 20 i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flat plate, and the container 10 may be mounted in an opening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y 20. Of course, the container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it is possible to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in one tray 20 in a row. When a plurality of containers 10 are mounted and rotated together in one tray 20, a larger amount may be processed at a time when separating slush or the like than when one container 10 is mounted.

물론, 상기 트레이(20)의 양측은 상기 트레이(20)가 양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양측이 고정된 축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는 상기 축을 중심으로 상기 트레이(20)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회전된다.Of course, both sides of the tray 20 may have a shaft fixed to both sides so that the tray 20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The tray 20 is rotated so that the tray 20 can be tilted about the axis.

한편, 상기 트레이(20)의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2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0)이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수단(30)은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트레이(20)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one side of the tray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means 30 for rotating the tray 20 in both directions. For example, the driving means 30 may be a motor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In this case, the driving means 30 may rotate the tray 20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이때, 상기 트레이(20)에 장착된 복수 개의 용기(10)도 상기 구동수단(30)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mounted on the tray 20 are also rotated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drive means (30).

그리고, 상기 슬러시분리장치(126)는 슬러시와 물을 나누어서 수용할 수 있는 수용용기(40,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용용기(40,50)는 상기 트레이(20)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수용용기(40,50)는 상기 트레이(20)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50)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lush separation device 126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container (40, 50) that can be accommodated by dividing the slush and water. In this case, the accommodation containers 40 and 50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ray 20 and include a first container 40 to accommodate the slush.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containers (40, 5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20, and includes a second container (50) for receiving water.

이와는 달리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물이 수용되고,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슬러시가 수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수용용기(10)는 상기 트레이(20)에 복수 개의 용기(10)가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복수 개의 용기(10) 내에 수용되어 있는 슬러시 및 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water may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40, and slush may be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tainer 50. When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are mounted on the tray 20, the accommodation container 10 has a shape that is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slush and water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can be accommodated. It is desirable to have.

또한, 상기 용기(10) 내에는 물보다는 슬러시의 양이 많을 것이므로 슬러시가 담기는 상기 제1수용용기(40)는 물이 담기는 상기 제2수용용기(50) 보다 깊이가 깊은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slush is greater in the container 10 than water, the first container 40 containing the slush may be deeper than the second container 50 containing the water.

특히, 상기 제2수용용기(50)는 복수 개의 개구부(62)가 형성된 거름부재(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재(60)는 망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용기(10)로부터 물과 슬러시가 배출될 때, 물만을 거르고, 슬러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물과 슬러시를 분리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In particular, the second container 50 may further include a filtering member 60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62. The filtering member 60 performs a function such as a net, and when water and slush are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only the water is filtered out, and the slush is prevented from being discharged. That is, the filtering member 60 performs a function of separating the water and the slush.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제2수용용기(50)의 상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거름부재(60)는 복수 개의 구멍(6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멍(62)의 크기는 물은 통과할 수 있되 슬러시는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tering member 60 may be fix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second container 50. The filtering member 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holes 62.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hole 62 may pass through the water, but the size of the slush may not pass.

한편, 상기 거름부재(60)도 상기 수용용기와 마찬가지로 상기 용기(10)가 복수 개인 경우에는 길이방향으로 긴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복수 개의 용기(10)로부터 한꺼번에 물을 걸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filtering member 60 also has a long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re is a plurality of the container 10, like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i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ater can be filtered out from the plurality of containers 10 at once.

또한,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제2수용용기(5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거름부재(60)로부터 낙하되는 물은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수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ltering member 60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50, the water falling from the filtering member 60 is preferably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tainer (50).

상기 수용용기(40,50)는 금속 재질이나 플라스틱 재질을 갖는 것도 가능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상기 수용용기(40,50)는 바닥 및 측면은 폐쇄되어 있고, 상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The accommodation containers 40 and 50 may have a metal material or a plastic materia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containers 40 and 50 may have a bottom and side surfaces thereof closed and an upper surface thereof open.

물론, 상기 제1수용용기(40)에는 수용된 슬러시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상기 제2수용용기(50)에는 수용된 물의 배출이 원활하도록 드레인홀(미도시)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드레인홀을 개방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수용용기(40,50)에 보관된 물이나 슬러시를 상기 수용용기(40,5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Of course, a drain hole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first container 40 so as to smoothly discharge the slush contained therein, and the second container 50 may smoothly discharge the received water. In this case, water or slush stored in the accommodation containers 40 and 50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s 40 and 50 depending on whether the drain hole is opened.

도 5는 도 3에서 물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5는 설명의 편의상 불필요한 구성은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다. 5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water is separated from FIG. 3. FIG. 5 is a diagram illustrating unnecessary configuratio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이하 도 5을 참조해서 설명한다.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5 is as follows.

도 5는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나아가, 도 5는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의 회전 중에 최대회전각(a1)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5 shows that the tray 2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30. 5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ray 20 is rotated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during rotation in one direction.

즉,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으로 최대회전각(a1)으로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거름부재(60)와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2)가 접한다. 이때, 상기 거름부재(60)의 개구부(62)를 통해서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는 배출되지 못하고, 물만이 배출되어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수용된다.That is, when the tray 20 is rotated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in one direction, the filtering member 60 and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contact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lush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through the opening 62 of the filtering member 60 is not discharged, only water is discharged and received in the second container 50.

특히, 상기 거름부재(60)는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거름부재(60)가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보다 작은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면 상기 트레이(20)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없어서 슬러시로부터 물을 분리하는 효율이 떨어진다.In particular, the filtering member 60 is preferab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of the tray 20. When the filter member 60 is installed with an inclination of an angle smaller than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of the tray 20, the tray 20 cannot be rotated smoothly, so that the efficiency of separating water from the slush is inferior.

또한, 상기 거름부재(60)가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보다 큰 각도의 기울기를 가지고 설치되면,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가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될 수 있어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담길 수 있다. 즉,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물 뿐만아니라 슬러시도 함께 수용되어, 물과 슬러시를 분리한다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In addition, when the filtering member 60 is installed with an inclination of an angle greater than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of the tray 20, the slush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may be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It may be contained in the second container (50). That is, not only water but also slush are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tainer 50, and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separates water and slush cannot be achieved.

나아가,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은 90도(degree)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이 90도보다 크다면 상기 트레이(20)가 90도를 넘어서 회전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트레이(20)로부터 슬러시와 물이 함께 배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된 슬러시는 상기 거름부재(60)에 거치되고, 다시 상기 용기(10)로 유입되는 것이 불가능하다. 즉, 이미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된 슬러시는 다시 상기 용기(10)로 다시 수용되는 것이 어렵기 때문이다. Furthermore,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of the tray 20 is preferably smaller than 90 degrees. Because, when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of the tray 20 is greater than 90 degrees, slush and water may be discharged together from the tray 20 in a section in which the tray 20 rotates beyond 90 degrees. At this time, the slush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is mounted on the filtering member 60, it is impossible to flow back into the container 10. That is, because the slush already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is difficult to be accommodated back into the container 10 again.

이는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1)이 90도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트레이(20)에 수용된 슬러시 중 일부가 상기 거름부재(60)의 상면에 놓이게 되며, 그 슬러시 중 일부는 다시 거름부재(60)에 얹혀지기 때문이다.When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of the tray 20 exceeds 90 degrees, some of the slush accommodated in the tray 20 i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ing member 60, and some of the slush is filtered again. This is because it is placed on the member 60.

따라서, 상기 거름부재(60)에 슬러시가 얹혀지지 않을 정도로 상기 트레이(20)는 최대회전각(a1)을 가지고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y 20 rotates with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such that the slush is not placed on the filtering member 60.

도 6은 도 3에서 슬러시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이다. 도 6은 설명의 편의상 불필요한 구성은 생략한 상태로 도시한다. FIG. 6 is a schematic side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slush in FIG. 3. FIG. 6 is a diagram in which a configuration unnecessary for convenience is omitted.

이하 도 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A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FIG. 6 is as follows.

도 6은 상기 구동수단(30)에 의해서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이다. 도 6에서 상기 트레이(20)의 회전방향은 도 5에서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도 6에서 상기 트레이(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면, 도 6에서 상기 트레이(2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나아가, 도 6은 상기 트레이(20)가 일방향의 회전 중에 최대회전각(a2)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6 shows the tray 20 rotated in one direction by the driving means 30. In FIG. 6, if the tray 20 is rotated clockwise in FIG. 6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at in FIG. 5, the tray 20 is counterclockwise in FIG. 6. Is rotated.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tray 20 is rotated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a2 during one direction of rotation.

상기 제1수용용기(40)는 상기 제2수용용기(50)와 달리 거름부재(60)를 포함 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2)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가 상기 제1수용용기(40)로 배출된다.The first container 40 does not include a filtering member 60, unlike the second container 50. Therefore, when the tray 20 is rotated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a2, the slush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 is discharged to the first container 40.

특히, 상기 트레이(20)는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를 배출할 때에 최대회전각(a2)은 9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를 모두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쏟아내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particular, when the tray 20 discharges the slush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the maximum rotation angle a2 is preferably 90 degrees or more. This is to pour all the slush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to the first container (40).

만약, 상기 트레이(20)의 최대회전각(a2)이 90도 이하인 경우에는 상기 용기(10)에 담겨진 슬러시가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이다.If the maximum rotation angle a2 of the tray 20 is 90 degrees or less, the slush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is difficult to be discharged to the first container 40.

이때,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의 배출량을 조절하기 위해서 상기 트레이(20)의 회전각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otation angle of the tray 20 to adjus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slush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

도 5 및 도 6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트레이(20)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되, 그 최대회전각(a1,a2)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용용기에 따라서 물과 슬러시를 분리해서 수용하되, 본 발명은 물보다는 슬러시를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As can be seen in Figures 5 and 6, the drive means 30 to rotate the tray 20 in both directions,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a2) is preferably different in each direction. This is because the water and slush separately accommodated according to the containe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cus on supplying the slush to the user rather than water.

상기에서 설명한 슬러시 분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The above-described slush separator and the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operate as follows.

우선 상기 용기(10)에 슬러시가 수용된다. 또한, 상기 용기(10)에 슬러시 중 일부가 물로 상변환될 수 있다. 또한, 원래 상기 용기(10)에 보관되어 있던 물 중 일부가 슬러시로 변환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용기(10) 내에는 물이 일부 존재할 수 있다.First, the slush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10. In addition, some of the slush in the container 10 may be converted to water. In addition, when some of the water originally stored in the container 10 is not converted to slush, some water may exist in the container 10.

상기 용기(10)에 보관된 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구동수단(30)은 상기 트레이(20)를 상기 제2수용용기(50)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1)만큼 회전되면 상기 용기(10)의 개구부(12)는 상기 거름부재(60)와 접촉한다. 그러면,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되는 물이 상기 거름부재(60)의 개구부(62)를 통과한 후에 상기 제2수용용기(50)에 수용된다.In order to remove the water stored in the container 10, the driving means 30 rotates the tray 2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container 50 is located. When the tray 20 is rotated by the maximum rotation angle a1, the opening 12 of the container 10 contacts the filtering member 60. Then,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is received in the second container 50 after passing through the opening 62 of the filtering member (60).

이때, 만일 상기 용기(10) 내에 슬러시 중 일부가 상기 용기(10)로부터 배출될 수 있으나, 상기 거름부재(60)의 개구부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거름부재(60)에 의해서 막혀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거름부재(60)는 90도보다 작은 각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상기 용기(10)의 외부로 슬러시가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거름부재(60)에 의해서 밀폐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At this time, if some of the slush in the container 10 may be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10, it does not pass through the opening of the filtering member 60, it is blocked by the filtering member (60). Then, since the filtering member 60 is inclined at an angle smaller than 90 degrees, slush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10, and the filtering member 60 may be sealed by the filtering member 60.

따라서, 상기 제2수용용기(50)에는 슬러시가 아닌 물만이 수용되고, 상기 용기(10)에는 슬러시만이 보관된다.Therefore, only water, not slush,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container 50, and only slush is stored in the container 10.

이어서, 상기 트레이(20)를 상기 제1수용용기(40)가 위치한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트레이(20)와 동일한 각도로 상기 용기(10)가 함께 회전된다.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2)만큼 회전된다. 이때, 상기 최대회전각(a2)은 90도보다 큰 각도이므로 상기 트레이(20)가 최대회전각(a2)으로 회전되면 상기 용기(10)에 수용된 슬러시는 상기 제1수용용기(40)로 배출된다.Subsequently, the tray 2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container 40 is located. At this time, the container 10 is rotated together at the same angle as the tray 20. The tray 20 is rotated by the maximum rotation angle a2. In this case, the maximum rotation angle (a2) is greater than 90 degrees, so that when the tray 20 is rotated 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a2), the slush contained in the container 10 is discharged to the first container (40). do.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러시분리장치(126)가 냉장고(100)에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제1수용용기(40)에 수용된 슬러시는 별도의 관이나 슬러시 이동수단(미도시)에 의해서 상기 슬러시 공급장치(124)로 이송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lush separator 126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or 100, as shown in Figure 1, the slush accommodated in the first container 40 by a separate tube or slush moving means (not shown) The slush feeder 124 is transferred.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슬러시 공급장치(124)에 구비된 레버나 스위치를 이 용해서 조작을 하면 사용자에게 슬러시 공급장치(124)로부터 슬러시를 공급하게 된다.Then, when a user operates by using a lever or a switch provided in the slush supply device 124, the slush is supplied to the user from the slush supply device 124.

물론, 이 경우에 물을 슬러시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따른다.Of course, in this case, the method of separating water from the slush follows the same method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s can be seen in the appended claim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도면.1 is a view showing a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과냉각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2 is a view conceptually showing a supercool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시 분리장치를 간략히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briefly showing a slush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서 슬러시 분리장치의 측면도.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lush separator in Figure 3;

도 5는 도 3에서 물을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Figure 5 is a side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water in FIG.

도 6은 도 3에서 슬러시를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 개략도.Figure 6 is a side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of separating the slush in Figure 3;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Description of Signs for Main Parts of Drawings>

2: 전극 4: 액체2: electrode 4: liquid

6: 교류 전원 8: 상 변환기6: AC power 8: phase converter

10: 용기 20: 트레이10: container 20: tray

30: 구동수단 40: 제1수용용기30: drive means 40: first container

50: 제2수용용기 60: 거름부재50: second container 60: filter member

100: 냉장고 120: 냉장실100: refrigerator 120: refrigerator compartment

130: 냉동실 124: 슬러시 공급장치130: freezer 124: slush feeder

126: 슬러시 분리장치126: slush separator

Claims (11)

슬러시와 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A tray comprising a container for containing slush and water; 상기 트레이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Driving means mounted to one end of the tray to rotate the tray to be inclined; And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And a receiving container for selectively dividing any one of the slush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tra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The contain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y, the first container for receiving the slush and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The slush separating apparatu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comprising a second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제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2수용용기는 복수 개의 개구부가 형성된 거름부재를 더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The second container is a slush separator further comprising a filtering member having a plurality of opening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가 회전되면 상기 용기의 개구부와 접해서 상기 용기의 개구부로부터 슬러시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And the filter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when the tray is rotated to prevent slush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opening of the container.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거름부재는 상기 트레이의 최대 회전각과 동일한 각도로 기울어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The slush separating apparatu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ing member is installed at an angle equal to the maximum rotation angle of the tray.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시키고,The driving means rotates the tray in both directions,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Slush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is different in each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구동수단은,The driving means includes: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직각 또는 둔각의 범위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예각 또는 직각의 범위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시 분리장치.The maximum rotation angle when discharging the slush is in the range of right angle or obtuse angle, the maximum rotation angle when discharging water is rotated the tray in the range of acute angle or right angle. 슬러시와 물이 수용되는 용기를 포함하는 트레이;A tray comprising a container for containing slush and water; 상기 트레이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트레이가 기울어지도록 회전시키는 구동수단; 및Driving means mounted to one end of the tray to rotate the tray to be inclined; And 상기 트레이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용기로부터 배출되는 슬러시와 물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나누어서 수용하는 수용용기;를 포함하는 슬러시 분리장치를 구비한 냉장고.And a receiving container for selectively dividing any one of the slush and water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according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tray.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수용용기는 상기 트레이의 일측에 구비되고, 슬러시를 수용하는 제1수용용기 및The container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tray, the first container for receiving the slush and 상기 트레이의 타측에 구비되고, 물을 수용하는 제2수용용기를 포함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tray, the refrigerator including a second container for receiving water. 제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트레이를 양방향으로 회전하되,The driving means rotates the tray in both directions, 그 최대 회전각이 각 방향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ximum rotation angle is different in each direction. 제10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구동수단은,The driving means includes: 슬러시를 배출할 때의 최대 회전각은 직각 또는 둔각의 범위로, 물을 배출할 때 최대 회전각은 예각 또는 직각의 범위로 상기 트레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And a maximum rotational angle when discharging slush is in a range of right angles or an obtuse angle, and a maximum rotational angle when discharging water rotates the tray in a range of acute angles or right angles.
KR1020080047456A 2008-05-22 2008-05-22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KR1009832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456A KR100983281B1 (en) 2008-05-22 2008-05-22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456A KR100983281B1 (en) 2008-05-22 2008-05-22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14A KR20090121514A (en) 2009-11-26
KR100983281B1 true KR100983281B1 (en) 2010-09-24

Family

ID=41604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456A KR100983281B1 (en) 2008-05-22 2008-05-22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281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546A (en) 2004-01-15 2005-07-28 Niigata Tlo:Kk Freeze concentration system
US20080098765A1 (en) 2006-10-27 2008-05-01 The Helman Group, Ltd. Device for making slush drin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1546A (en) 2004-01-15 2005-07-28 Niigata Tlo:Kk Freeze concentration system
US20080098765A1 (en) 2006-10-27 2008-05-01 The Helman Group, Ltd. Device for making slush drin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514A (en)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18323B2 (en) Ice-making device
US5375432A (en) Icemaker in refrigerator compartment of refrigerator freezer
EP20963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EP2263055B1 (en) Water funnel and ice maker fo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101529173B (en) Refrigerator with ice maker
KR101601653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0934185B1 (en) Ice making device
US20080134710A1 (en) Refrigerator having improved ice-making unit configuration
CN107449213A (en) Refrigerator
KR101320767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the same
EP2876388B1 (en) Ice bin and method of crushing ice using the same
US20140123687A1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er with flexible ice mold and method for harvesting ice
KR100983281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lush and Refrigerater including the same
KR20080061469A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ice
KR19990066209A (en) Refrigerator
US8151597B2 (en) Refrigerator
EP2097695B1 (en) Refrigerator
KR100640860B1 (en) Refrigerator making transparent ice
KR100781269B1 (en) Device for ice discharging
JP6992394B2 (en) Ice maker, ice dispenser and refrigerator
KR100525416B1 (en) Icebank with rotary housing
KR20190124834A (en) Refrigerator having ice making drum
KR20010055667A (en) Apparatus and method of preventing an ice to be tangled for a refrigerator
JP2019095122A (en) Ice-maker and refrigerator
KR102662710B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