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945B1 - Bulb holder - Google Patents

Bulb hol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945B1
KR100982945B1 KR1020090013097A KR20090013097A KR100982945B1 KR 100982945 B1 KR100982945 B1 KR 100982945B1 KR 1020090013097 A KR1020090013097 A KR 1020090013097A KR 20090013097 A KR20090013097 A KR 20090013097A KR 100982945 B1 KR100982945 B1 KR 100982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housing
terminal
sliding socket
ax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0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93934A (en
Inventor
최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945B1/en
Publication of KR20100093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93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94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를 장착하는 벌브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벌브를 장착하는 벌브홀더로써;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10)과; 상기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되고, 외측면에는 탄성 자유단을 가지는 랜스(22)를 구비하며, 상기 벌브를 전면에 장착 가능한 슬라이딩소켓(20)을 포함한다. 하우징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위치결정공(16,18)이 형성되고, 상기 랜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24)가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소켓이 축방향에서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단자(13)와, 상기 슬라이딩소켓의 내부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장착되는 벌브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26)는, 슬라이딩소켓의 이동범위 내에서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lb holder for mounting the bulb.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lb holder for mounting a bulb; A housing 10 whose front surface is opened; It is received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through the opened front surface, the outer surface is provided with a lance 22 having an elastic free end, and includes a sliding socket 20 that can be mounted to the front of the bulb.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16 and 18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and the sliding protrusion 24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ance is fastened to any one of the positioning holes. The position in this axial direction can be determined. In addition, the housing terminal 13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the terminal 26 installed inside the sliding socket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tacting a bulb having one end mounted therein are a moving range of the sliding socket. Elastically in contact.

벌브, 벌브홀더, 슬라이동소켓 Bulb, Bulb Holder, Sliding Socket

Description

벌브 홀더{Bulb holder}Bulb holder {Bulb holder}

본 발명은 벌브 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브(bulb)가 장착되는 내부 부품을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벌브 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lb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lb holder configured to be adjustable in the axial direction by slidable the internal parts to which the bulb is mounted.

일반적으로 벌브 홀더는 벌브를 전방의 열린 부분을 통하여 장착하고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소정의 광을 얻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인 벌브 홀더는 벌브를 장착하게 되면 축 방향의 길이가 정해져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주변 환경에 따라서 광원에서의 초점 거리를 맞춰야 하거나, 다른 축 방향 길이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규격이 다른 홀더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In general, the bulb holder can be said to obtain a predetermined light by mounting the bulb through the front open portion and supplying power. In general, the bulb holder has a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bulb is mounted. Therefore, if the focal length at the light source is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if different axial lengths are required, holders of different sizes must be us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축 방향으로 길이를 가변시켜 조절 가능한 벌브 홀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disadvantages, the mai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djustable bulb holder by varying the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벌브를 장착하는 벌브홀더로써;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과;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ulb holder for mounting a bulb; 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상기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되고, 외측면에는 탄성 자유단을 가지는 랜스를 구비하며, 상기 벌브를 전면에 장착 가능한 슬라이딩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위치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랜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가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소켓이 축방향에서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실질적으로 상기 슬라이딩소켓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 내에서 이동 가능하고 여러 위치에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A sliding socket received inside the housing through the opened front surface, the outer surface having a lance having an elastic free end, and including a sliding socket to mount the bulb on the front surface; The hous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the positioning projec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ance is fastened to any one of the positioning hole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liding socket in the axial direction It is a technical feature to become. This configuration substantially means that the sliding socket can be moved within a certain distance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and can remain fixed in various positions.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단자와, 상기 슬라이딩소켓의 내부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장착되는 벌브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들은 슬라이딩소켓의 이동범위 내에서 탄성적으로 접촉한다. And a housing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and a terminal installed inside the sliding socket, the termin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nd electrically contacting a bulb mounted at one end thereof, wherein the terminals are within a moving range of the sliding socket. Elastically in contact.

그리고 실시예에 의하면, 하우징 단자의 선단부에는 돌출된 엠보싱이 형성되어, 상기 엠보싱이 슬라이딩소켓의 단자와 접촉한다.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protruding embossing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housing terminal, the embossing is in contact with the terminal of the sliding socket.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딩 소켓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벌브의 위치를 복수 개소 중에서 원하는 위치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여러 가지 용도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sliding socket is mov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xial direction inside the housing. Therefo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a bulb to a desired position from a plurality of places, and can be conveniently used for various uses.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벌브 홀더의 조립 상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벌브 홀더는,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소켓(20)을 포함한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ssembled state of a bulb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bulb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 that forms an overall appearance, and a sliding socket 20 slidable inwardly of the housing 10.

상기 하우징(10)은 전체적인 외형을 형성하는 것이고, 후단부에는 하우징(10)이 다른 구조물에 장착되기 위한 장착부(1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후방 부분에는, 하우징(10)이 다른 구조물에 장착될 때 다른 구조물의 일부분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플랜지부(14)이 형성되어 있다. The housing 10 is to form the overall appearance, the rear end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2 for mounting the housing 10 to another structure. In the rear portion of the housing 10, a flange portion 14 is formed which is supported in contact with a portion of the other structure when the housing 10 is mounted to the other structure.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은 전방이 개구되어 있어서, 슬라이딩소켓(20)이 축 방향을 따라 삽입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은 상기 하우징(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의 전방에는 벌브(30)가 장착된다. And the front of the housing 10 is open, the sliding socket 20 is insert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sliding socket 20 is configured to be slidable in the axial direction while being inser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housing 10. And the bulb 30 is mounted to the front of the sliding socket 20.

다음에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내부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Next, the internal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4.

상기 하우징(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이 열린 상태로 중강 부분이 비어 있는 원통상의 형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단자(1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13)의 후단부에는 전선과 연결되기 위한 클램핑부분(13b)이 형성되어 있고, 전단부에는 접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엠보싱(13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일측면에는 축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위치결정공(16,18)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공(16,18)은 두 개로 도시되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0 has a cylindrical shape in which the middle steel part is empty with the front open. In addition, a terminal 13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10. The rear end of the terminal 13 is formed with a clamping portion 13b for connecting with an electric wire, and the front end is formed with an embossing 13a for smooth contact. In addition, positioning holes 16 and 18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0.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the positioning holes 16 and 18 are shown in two.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열린 전방 부분을 통하여 삽입되는 슬라이딩소켓(20)은 상기 하우징(10)의 비어 있는 중공부분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은 하우징(10) 내부에서 축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동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위치결정공(16,18)에 대응하는 위치의 슬라이딩소켓(20)에는 랜스(2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랜스(22)는 슬라이딩소켓(20)과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랜스(22)는 별도로 형성되어, 슬라이딩소켓(20)에 조립되는 것에 의하여 일체화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And the sliding socket 2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front portion of the housing 10 is mounted as an empty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10. The sliding socket 20 is movab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axial direction within the housing 10. A lance 22 is formed in the sliding socket 20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ing holes 16 and 18 of the housing. The lance 22 is preferably molded integrally with the sliding socket 20. Of course, the lance 22 is formed separately, it will be possible to be integrated by being assembled to the sliding socket 20.

그리고 상기 랜스(22)는 일단부가 상기 슬라이딩소켓(20)에 연결된 상태에서 타측은 슬라이딩소켓(20)의 외주면과 일정한 간격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연장된 자유단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랜스(22)의 외측면에는 위치결정돌기(2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결정돌기(24)는 상기 위치결정공(16,18)의 어느 하나와 결 합하여, 슬라이딩소켓(20)의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lance 22 has a free end extending rearward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ding socket 20 whi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liding socket 20. And the positioning projection 24 is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lance 22. The positioning protrusions 24 are combined with any one of the positioning holes 16 and 18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liding socket 20.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의 전방에는 벌브(30)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의 내측부분, 즉 내주연에는 축 방향을 따라 단자(2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단자(26)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단자(13)과 전기적 접촉을 위한 것이다. 다음에는 상기 벌브(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단자의 연결구조 및 슬라이딩소켓(20)의 슬라이딩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The bulb 30 is seated in front of the sliding socket 20. And the inner side of the sliding socket 20, that is, the inner circumferential terminal 26 is provided along the axial direction. The terminal 26 is for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13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0. Next,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terminal for supplying power to the bulb 30 and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sliding socket 20 will be described.

상기 벌브(30)가 전방의 개구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이 하우징(10)의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랜스(22)도 같이 하우징(10)의 비어 있는 중간부분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랜스(22)의 위치결정돌기(24)가 외측에 있는 위치결정공(18)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면, 상기 슬아이딩소켓(20)은 위치가 정해지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The sliding socket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while the bulb 30 is mounted in the front opening. When the sliding socket 2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 the lance 22 also enters into the empty middle portion of the housing 10. And when the positioning projection 24 of the lance 22 is elastically coupled to the positioning hole 18 on the outside, the sliding slide 20 is positioned and can maintain the state.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의 단자(26)의 외측 단부가 상기 벌브(30)의 외측 전기 접촉부분에 접촉하여 통전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의 단자(26)의 외측단부는, 내측으로 일정하게 벤딩되어 있어서, 상입되는 벌브(30)의 외측면에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is state is shown in FIG. 2, in this state, the outer end of the terminal 26 of the sliding socket 20 is in a state capable of energizing by contacting the outer electrical contact portion of the bulb 30. Here, the outer end of the terminal 26 of the sliding socket 20 is bent inwardly constant, so that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elastical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bulb 30 to be inserted.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0)의 단자(13)는, 슬라이딩소켓(20)의 단자(26)과 접촉하여 통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결합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의 단자(26)는, 하우 징(10)의 단자(13) 보다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의 단자(13)의 단부에 형성된 엠보싱(13a)는 외측으로 돌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의 단자(26)의 내측면과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terminal 13 of the housing 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 26 of the sliding socket 20 and becomes energizable. In this embodiment, as can be seen in Figure 4, the terminal 26 of the sliding socket 20 in the engaged state is located outside the terminal 13 of the housing 10. Since the embossing 13a formed at the end of the terminal 13 of the housing is protruded to the outside, the embossing 13a can always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terminal 26 of the sliding socket 20.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가 생략되어 있지만, 상기 하우징의 단자(13) 및 슬라이딩소켓의 단자(26)은, 실제로는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어, 상기 벌브(30)의 양측면과 접촉함으로써 통전상태가 되어 온 가능하다. In addition, although illustration is abbreviate | omitted in the figure, the terminal 13 of the said housing and the terminal 26 of a sliding socket are actually formed in a pair in the part which opposes, respectively, and it is energized by contacting both sides of the bulb 30. It may be in a state.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결정공(18)은 전방이 개구된 형태로 성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랜스(22)의 위치결정돌기(24)가 처음으로 걸리게 되는 제1위치결정공(18)의 후단벽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슬라이딩소켓(20)이 고정되면서 제1위치가 결정된다. 그러나 상기 제1위치결정공(18)을 제2위치결정공(16)과 동일하게 전방이 막힌 구멍형태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the embodiment shown in the figure, the first positioning hole 18 is molded in the form of an opening in the front. In this embodiment, the sliding socket 20 is fixed by directly contacting the rear end wall of the first positioning hole 18 where the positioning protrusion 24 of the lance 22 is first caught. The location is determined.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rst positioning hole 18 in the form of a hole in which the front is blocked in the same way as the second positioning hole 16.

이상에서와 같은 상태가 도 2에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슬라이딩소켓(20)의 위치가 제1위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소켓(20)의 제1위치는 실질적으로 벌브(20)가 장착된 벌브홀더가 가장 긴 상태를 가지게 된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벌브(30)는 축 방향으로 가장 앞에 위치하는 상태인 것이다. The state as described above is shown in FIG. 2, and the position of the sliding socket 2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osition. In the first position of the sliding socket 20, the bulb holder on which the bulb 20 is mounted substantially has the longest state. That is, in this state, the bulb 30 is in a state that is located at the foremost in the axial direction.

그리고 이와 같은 도 2의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을 후방으로 밀어넣음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변환이 가능하다. 즉 벌브(30)를 구비한 벌브홀더(20)의 전체적인 길이가 가장 짧아지는 상태라고도 할 수 있고, 상기 벌브(30)가 후방으로 후퇴한 상태라고도 할 수 있는 도 3에 도시한 상태로 변환 가 능한 것이다. And in this state of Figure 2, by sliding the sliding socket 20 to the rear it is possible to change to the state as shown in FIG. That is, the overall length of the bulb holder 20 having the bulb 30 may be said to be the shortest, and the bulb 30 may be referred to as a state in which the bulb 30 is retracted backward. It is possible.

이를 위해서 조작자는, 상기 랜스(22)의 선단 자유단부를 눌러서 상기 위치결정돌기(24)와 제1위치결정공(18)의 걸림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을 축 방향의 후방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상기 랜스(22)는 내측으로 탄성 변형된 상태로 슬라이딩소켓(20)과 같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간다. 그리고 상기 랜스(22)의 위치결정돌기(24)가 후방에 위치하는 제2위치결정공(16)에 도달하면 탄성 변형하면서 걸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이 후방으로 후퇴한 상태인 제2위치에 도착한 것이다. To this end, the operator presses the free end of the lance 22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between the positioning protrusion 24 and the first positioning hole 18 and moves the sliding socket 20 to the rear in the axial direction. Push in. Then, the lance 22 is pushed to the rear like the sliding socket 20 in an elastically deformed state inward. When the positioning protrusion 24 of the lance 22 reaches the second positioning hole 16 positioned at the rear side, it is caught while elastically deforming. In this case, the sliding socket 20 has arrived at the second position in the retracted state.

이러한 상태에서도, 상기 하우징(10)의 단자(13)는 슬라이딩소켓(20)의 단자(26)와 전기적으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음은 당연하다. 즉 상기 슬라이딩소켓(20)이 후방으로 밀려 들어가도, 축 방향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슬라이딩소켓의 단자(26)는 하우징의 단자(13)과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인 것이다. Even in this state, it is obvious that the terminal 13 of the housing 10 remains in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26 of the sliding socket 20. That is, even if the sliding socket 20 is pushed backward, the terminal 26 of the sliding socke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is in a state of maintaining electrical contact with the terminal 13 of the housing.

이상의 실시예에서 상기 위치결정공(16,18)은 축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두 개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위치결정공은 실제로는 세 개 이상의 복수 개로 성형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고, 이렇게 되면 위치결정돌기(24)가 그 중 어느 하나에 걸림으로써 복수 개의 위치 결정이 가능하게 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ing holes 16 and 18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axial direction. However, the positioning ho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be formed into a plurality of three or more in practic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positioning projections 24 will be able to make a plurality of positioning by engaging in any one of them. Can b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슬라이딩소켓을 통하여 벌브홀더에 결합된 벌브의 위치를 복수 개소에서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 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can be seen that the basic technical gis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bulb coupled to the bulb holder through the sliding socket in a plurality of places.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다. Within the scope of the basic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other modification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lb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의 부분 절개 사시도.2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bulb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에서 슬라이딩소켓이 내측으로 들어간 상태의 부분 절개 사시도.Figure 3 is a partial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liding socket in the bulb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의 단면 예시도. Figure 4 is an exemplary cross-sectional view of the bulb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3)

벌브를 장착하는 벌브홀더로써;As a bulb holder for mounting the bulb;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과;A housing having a front surface opened; 상기 개구된 전면을 통하여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되고, 외측면에는 탄성 자유단을 가지는 랜스를 구비하며, 상기 벌브를 전면에 장착 가능한 슬라이딩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고;A sliding socket received inside the housing through the opened front surface, the outer surface having a lance having an elastic free end, and including a sliding socket to mount the bulb on the front surface; 상기 하우징에는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복수 개의 위치결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랜스의 외측면에 형성된 위치결정돌기가 어느 하나의 위치결정공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소켓이 축방향에서의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The hous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arranged at intervals in the axial direction, the positioning projection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ance is fastened to any one of the positioning holes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the sliding socket in the axial direction Bulb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th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하우징 단자(13)와, 상기 슬라이딩소켓의 내부에 설치되고 축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며 일단부가 장착되는 벌브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단자(26)을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13)와 단자(26)는 슬라이딩소켓의 이동범위 내에서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2. A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ousing terminal (13) installed in the housing and a terminal (26) provided in the sliding socket and in electrical contact with a bulb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axial direction and mount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terminal 13 and the terminal 26 are elastically contacted within the moving range of the sliding socket.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13)의 선단부에는 돌출된 엠보싱이 형성되어, 상기 엠보싱이 단자(26)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3. A bulb holder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protruding emboss is formed at the tip of said terminal (13), said embossing making contact with the terminal (26).
KR1020090013097A 2009-02-17 2009-02-17 Bulb holder KR1009829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97A KR100982945B1 (en) 2009-02-17 2009-02-17 Bulb hol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097A KR100982945B1 (en) 2009-02-17 2009-02-17 Bulb hol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34A KR20100093934A (en) 2010-08-26
KR100982945B1 true KR100982945B1 (en) 2010-09-17

Family

ID=42758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097A KR100982945B1 (en) 2009-02-17 2009-02-17 Bulb hold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9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9401A (en) 2005-03-21 2006-10-05 Young Hwan Kim Lighting fix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9401A (en) 2005-03-21 2006-10-05 Young Hwan Kim Lighting fix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934A (en) 2010-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49033B2 (en) connector
US20100127542A1 (en) Wiring structure for head rest
CN107154545B (en) Round terminal with low profile cap
JP2014063630A (en) Connector
US7568956B1 (en) Led illuminator
CN110198505B (en) Wireless earphone
EP0944135B1 (en) Terminal structure of connector
KR100982945B1 (en) Bulb holder
WO2013114868A1 (en) Bulb socket and lighting device
JP2010061971A (en) Circuit board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ion device
CN110994298A (en) Coaxial switch
US20070212949A1 (en) Plug and counterplug for an electrical contact
JP2013143288A (en) Lighting fixture
JP2003263917A (en) Luminaire
KR200412155Y1 (en) a position lamp for wireless type
KR102094394B1 (en) Bulb holder
KR101810129B1 (en) Bulb holder
JP2006156132A (en) Lamp socket
US10128600B2 (en) Connection terminal and connector
JP5356151B2 (en) lighting equipment
JP2006294638A (en) Luminaire
JP2006344490A (en) Coaxial connector
JP2006278118A (en) Connecting device
KR200439561Y1 (en) A connector
JP5783467B2 (en)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