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786B1 -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 Google Patents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786B1
KR100982786B1 KR1020100006202A KR20100006202A KR100982786B1 KR 100982786 B1 KR100982786 B1 KR 100982786B1 KR 1020100006202 A KR1020100006202 A KR 1020100006202A KR 20100006202 A KR20100006202 A KR 20100006202A KR 100982786 B1 KR100982786 B1 KR 1009827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output
unit
input
w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구
Original Assignee
(주)드림파워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파워텍 filed Critical (주)드림파워텍
Priority to KR102010000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7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7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1/00Automatic systems in which deviations of an electric quantity from one or more predetermined values are detected at the output of the system and fed back to a device within the system to restore the detected quantity to its predetermined value or values, i.e. retroactive systems
    • G05F1/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1/1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 G05F1/14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actually regulated by the final control device is ac using tap transformers or tap changing inductors as final contro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용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공급범위 안의 전압을 항상 수용가가 최고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수용가의 전기기기에 정전압을 제공할 수 있고,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슬라이닥스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배전반용 자동전원절환장치에 있어서, 각 상별로 공급되는 인입전원에 대응하여 주권선과 여자권선을 가진 복수의 주변압기부; 상기 각 상별로 공급되는 인입전원과 중성선 사이에 구비되는 비례전압권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슬라이닥스; 상기 주변압기부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검출부; 상기 주변압기부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출력검출부; 상기 입력검출부 및 상기 출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제어부; 상기 인입전원의 이상 상황 발생시 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주변압기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차단부; 및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비상자동절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단자를 상기 출력단자로 직접 절체시키는 비상자동절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입력검출부 및 상기 출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을 위한 접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정/역결선접점제어부; 상기 접점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여자권선의 결선 접점을 정역변환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슬라이닥스 내 비례전압권선의 일측에 구비된 탭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 비율을 조정하는 스테핑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HIGH EFFICIENCY AUTOMATIC VOLTAGE REGULATOR FOR POWER DISTRIBUTER}
본 발명은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용가의 인입 변압기의 저압측 2차에 해당되는 수전 선로의 전압강하에 대응하여 능동적으로 전압 강하를 보상하며, 고효율/고품질의 정전압을 후단의 부하에 공급하기 위한 수변전 설비에 큐비클 및 외함 형태로 설치 운용되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는 2차측(저압측 또는 부하측) 전압을 규정된 정격전압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용전원의 공급력이 일정하지 않고, 변압기의 설치 장소마다 수전전압(1차전압)이 일정하지도 않으며, 부하전류의 크기 및 역률에 따라 변압기 자체의 내부 전압강하도 계속 달라지므로, 변압기 2차측 출력전압 또한 변동된다.
이러한 상용 공급전압의 지역적 차이와 배선 사이의 전압강하에 의하여 수용가는 불규칙적으로 상용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과전압, 저전압, 불평형 전압을 유발하고, 이는 수용가 전기기기의 과열/오동작, 조명기구의 흑화 현상, 전력 소비의 과다, 전기기기의 수명 단축 현상을 일으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종래 기술은 변동되는 2차전압을 정격전압에 가깝게 조정할 수 있도록 변압기에 탭을 설치해 놓고 있다. 탭은 주로 변압기 1차권선에 설치되는데, 그 이유는 변압기의 수전전압(1차전압)이 정격전압 이상의 과전압이 될 경우에도 철심이 과포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1차(고압)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적은 만큼 탭 및 탭 인출리드 등의 단면적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부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슬라이닥스 회로도로서, 변압기 탭 절환에 의한 2차전압 조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변압기 전압과 권수와의 관계는 1차전압(V1)/1차권선수(N1) = 2차전압(V2)/2차권선수(N2)로서, 2차전압 = (현재의 탭전압 / 변경할 탭전압) * 측정된 2차전압으로, 1, 2차 권선의 1권회당 전압(volts/turn)은 항상 일정하다.
여기서, 1차권선의 권수(N1)를 증감함에 따라, 2차전압(V2)은 반비례하여 변한다는 것이, 탭절환에 의한 2차전압 조정의 원리이다.
변압기 탭은 높은 전압 탭에서는 그에 비례하여 권선의 권수(권회수 number of turns)가 많고, 낮은 전압 탭에서는 그만큼 권수가 적다. 따라서, 2차전압(V2)이 정격전압보다 높아진 경우, 1차권선의 탭을 높은 전압 탭으로 절환하면 1차권선의 권수(N1)가 많아지므로 1권회당 전압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2차전압(V2) 또한 감소하게 된다.
반대로, 2차전압(V2)이 정격전압보다 낮아진 경우, 1차권선의 탭을 낮은 전압 탭으로 절환하면 1차권선의 권수(N1)가 적어지므로 1권회당 전압이 증가, 2차전압(V2)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부의 정전압을 출력하는 슬라이닥스는, 입력/출력 PT를 통하여 전압 제어만을 수행하고, 부하단의 이상 상황 및 자체 내부의 문제시 자동으로 전원을 차단하고 직결로 전원을 공급하는 By-pass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범용적인 적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정전압을 유지시키기 위하여 주변압기의 여자권선에 비례전압을 인가하는 슬라이닥스는 승압비례전압권선과 강압비례전압권선으로 이루어져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스테핑모터를 작동하여 승압비례전압권선에 의한 비례전압을 주변압기의 여자권선에 인가하여 출력전압을 상승시키며,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높으면 스테핑모터를 작동하여 강입비례전압권선에 의한 비례전압을 주변압기의 여자권선에 인가하여 출력전압을 강하시켜 정전압을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닥스는 승압비례전압권선과 강압비례전압권선을 가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부피가 크기 때문에 협소한 공간에 설치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고, 발생하는 전력손실도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10-2007-29548호(발명의명칭:전압가변기를이용한전력절감기용자동전압조정기)는일반및산업용전원에인가되는과전압,저전압,불평형전압을전압가변기의비례전압권선을PCB가스테핑모터를이용하여비례전압을각상의주변압기비례전압권선에인가하여각상의출력전압을평형시키고기기의효율을극대화하여정격전압및수용가최적의설정값에따른목표치를전기기기에공급하는기술을개시하고있다. 한국공개특허10-2007-73546호(발명의명칭:자동전압조정기능을가진절전시스템)는전원입력단에연결되어있는배전차단기;상기배전차단기와부하출력단사이에연결된주코일과,상기주코일의출력측에병렬연결되어있고이에병렬로연결된다수의탭컨택터에의해턴비가조절되는여자코일을포함하는것으로,부하출력전압을일정하게유지하는자동전압조정기;상기배전차단기와부하출력단사이에연결되어있으며,입력전원을그대로부하로바이패스시키는전자접촉기;상기자동전압조정기및전자접촉기를포함하여시스템을전체적으로제어하는제어보드를포함하여무정전절환Tap방식으로도입된자동전압조정기를구비하여부하에일정한크기의전압을안정적이고지속적으로공급하는절전시스템을개시하고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상용전원으로부터 인가되는 공급범위 안의 전압을 항상 수용가가 최고의 효율을 얻을 수 있도록 수용가의 전기기기에 정전압을 제공할 수 있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전반 내에 설치되는 슬라이닥스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는,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배전반용 자동전원절환장치에 있어서, 각 상별로 공급되는 인입전원에 대응하여 주권선과 여자권선을 가진 복수의 주변압기부; 상기 각 상별로 공급되는 인입전원과 중성선 사이에 구비되는 비례전압권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슬라이닥스; 상기 주변압기부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검출부; 상기 주변압기부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출력검출부; 상기 입력검출부 및 상기 출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제어부; 상기 인입전원의 이상 상황 발생시 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주변압기부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차단부; 및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비상자동절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단자를 상기 출력단자로 직접 절체시키는 비상자동절환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입력검출부 및 상기 출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을 위한 접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정/역결선접점제어부; 상기 접점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여자권선의 결선 접점을 정역변환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슬라이닥스 내 비례전압권선의 일측에 구비된 탭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 비율을 조정하는 스테핑모터를 포함한다.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릴레이부의 역결선 접점(2-1a, 2-2a)은 오프됨과 동시에 정결선 접점(1-1a, 1-2a)이 온되면서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스타트 점이 상기 슬라이닥스(123) 내 비례전압권선의 출력선과 연결되고,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피니쉬 점이 중성선(N)에 연결되며, 상기 스테핑 모터(4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에 승압 비례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릴레이부(460)의 정결선 접점(1-1a, 1-2a)이 오프됨과 동시에 역결선 접점(2-1a, 2-2a)이 온되면서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피니쉬 점이 상기 슬라이닥스(123) 내 비례전압권선의 출력선과 연결되고,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스타트 점이 중성선(N)에 연결되며, 상기 스테핑 모터(4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에 강압 비례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닥스(123) 내 비례전압권선의 전압이 0V인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부(460)의 정결선 접점(1-1a, 1-2a)과 역결선 접점(2-1a, 2-2a)을 동시에 온 시키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정결선 접점(1-1a, 1-2a) 혹은 상기 역결선 접점(2-1a, 2-2a)을 오프시켜 상기 릴레이부(460)의 정결선과 역결선 간의 절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큐비클 및 외함 형태로 자가수전설비를 갖춘 변전실 및 전기실에 쉽고 간단하게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 구성이 간단하며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설계 반영시 저압반에 입/출력 연결이 쉽도록 상/하부, 좌/우측에 인출구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작 및 디스플레이가 쉽고 간편하도록 터치스크린형 조작부로 구성되며, 랜 접속을 통하여 PC, Web으로 조작 및 디스플레이 됨으로써 실시간으로 전력 상황을 감시 및 조작하여 최적의 전력 환경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배전반용 이외에 가정용, 공장용, 관공서용, 군부대용 등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형태 및 기능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전 선로의 출력전압을 항시 정전압 상태로 유지시켜 수용가의 전기기기에 대하여 최적의 전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 과전압 및 불평형 전압에서 나타나는 전력의 과잉 사용, 과열에 따른 전기기기의 소손 그리고 저전압시 나타나는 조도의 저하 등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감 및 전기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전압전원장치부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 전체 회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 외형 및 내부 구성 정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 외형 및 내부 구성 측면도,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 주요부의 구체 회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의 전체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100)는 큐비클형 외함(110); 주변압기부(121)와 슬라이닥스(123)로 구성된 자동전압조정부(120); 입력검출부(170) 및 출력검출부(175)의 전기적 신호를 수신받는 구동제어부(131) 및 표시/조작부(133)로 구성된 출력전압제어부(130); 입력단자(160)를 통하여 인입되는 전원의 단락 및 이상 상황 발생시 전로를 차단하는 차단부(140); 과부하/과전류/온도이상/이상 상황 발생시 입력단자(160)를 출력단자(165)로 직접 절체시키는 비상자동절환부(150)를 포함한다.
주변압기부(121)는 주권선과 여자권선을 가지며, 슬라이닥스(123)는 주변압기부(130)의 여자권선(463)에 연결되어 비례전압을 가변하는 스테핑 모터(450)를 취부하면서 비례전압권선으로 이루어진다.
입력검출부(170)는 입력측 PT와 CT로 구성되며, 출력검출부(175)는 출력측 PT와 CT로 구성된다. 또한, 표시/조작부(133)는 외부 신호를 송/수신하는 프로토콜을 통하여 PC 또는 웹상에서 조작이 가능하며,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표시 기능을 가지는 터치스크린 타입으로 구성된다.
출력전압제어부(130)는 정상시에는 자동전압전원장치(100)가 자동전압조정 기능을 수행토록 하며, 인입되는 전압의 단락 혹은 이상 상황 발생시 차단부(140)의 동작으로 전로를 차단하고, 과부하/과전류/온도이상 상황의 발생시에는 절체 기능을 가지는 비상자동절환부(150)를 동작시킨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100)의 외함 및 내부 구성 정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100)의 외함 및 내부 구성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100)는, 상/하부측 인입/인출구로 앞/뒤면으로 개폐가능한 도어를 가지는 큐비클형 외함(110)을 포함한다. 그리고, 구동제어부(131)는 모든 전력상황을 연산하여 설정값과 비교하여 소정의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CPU(410), 입력측 PT와 CT로 구성되는 입력검출부(170)를 통해 입력 전력상황(각 상의 전압/전류/역률/순시전력/전력량)을 감지하는 입력전력칩(420), 출력측 PT와 CT로 구성되는 출력검출부(175)를 통해 출력 전력상황(각 상의 전압/전류/역률/순시전력/전력량계) 감지하는 출력전력칩(430), CPU의 제어신호에 따라 정/역 결선접점을 제어하는 정/역결선점접제어부(440), 정/역결선접점제어부(440)에 제어되어 결선의 접점을 변경하는 릴레이부(460), 및 탭(461)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의 비율을 조정하는 스테핑모터(450)를 포함한다. 한편, 구동제어부(131)는 내부 지지대에 고정되어 외부 충격에 견디도록 브라켓을 씌워서 체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터치 스크린형 표시/조작부(133)는 외부 표시창에 보일 수 있도록 사람의 눈 높이에 맞쳐서 브라켓 형식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단부(140) 1차측에 병렬로 모선을 자동절환부(150)의 비상 단자에 전선 및 부스를 연결하여 정상시에는 정상단자-부하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며 비상시에는 비상단자-부하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구성하여 부피를 최소화하고 보수가 용이하도록 차단부(140) 하부에 자동절환부(150)를 전선 및 부스바로 단자와 단자로 연결하고, 내부 중앙에 지지대를 고정하여 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변압기부(121)와 슬라이닥스(123)로 이루어진 자동전압조정부(120)는 보수 및 감시가 편리하도록 슬라이닥스(123)를 앞측에, 인입되는 차단부(140) 2차측과 자동절환부(150)의 정상단자에 접속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뒤측에 고정하고, 슬라이닥스(123)는 각 상별로 상측으로부터 R상 슬라이닥스(123-1), S상 슬라이닥스(123-22), T상 슬라이닥스(123-3)로 이루어져 스테핑 모터가 충분한 공간을 두고 작동하도록 적재되며. 주변압기부(121)는 상측에 취부되어 있는 차단부(140)와 자동절환부(150)의 상 순서와 동일하도록 뒷면에서 바라볼 때 왼쪽으로부터 T상 주변압기부(121-1), S상 주변압기부(121-2), R상 주변압기부(121-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 주요부의 구체 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는 비례전압권선을 갖는 슬라이닥스(123), 출력전압을 승압 또는 강압시키기 위한 정/역결선접점제어부(440), 정/역결선접점제어부(440)에 제어되어 결선의 접점을 변경하는 릴레이부(460), 탭(461)의 위치를 변경하여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의 비율을 조정하는 스테핑모터(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는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릴레이부(460)의 역결선 접점(2-1a, 2-2a)은 오프됨과 동시에 정결선 접점(1-1a, 1-2a)이 온되면서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start점이 슬라이닥스(123) 비례전압권선의 출력선과 연결되고,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finish점이 중성선(N)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테핑 모터(450)의 구동에 따라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에 승압 비례전압을 인가하여 출력전압을 높여 설정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동전압전원장치는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높으면 릴레이부(460)의 정결선 접점(1-1a, 1-2a)이 오프됨과 동시에 역결선 접점(2-1a, 2-2a)이 온되면서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finish점이 슬라이닥스(123) 비례전압권선의 출력선과 연결되고,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start점이 중성선(N)에 연결된다. 그리고, 스테핑 모터(450)의 구동에 따라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에 강압 비례전압을 인가하여 출력전압을 낮춰 설정 전압으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때, 정결선과 역결선 간의 절환은 서지 및 돌입 전류를 최소화하도록 제어된다. 즉, 슬라이닥스(123)의 출력선, 즉, 비례전압권선의 전압이 0V인 상태에서 정결선 접점(1-1a, 1-2a)과 역결선 접점(2-1a, 2-2a)을 동시에 온 시키고, 소정의 시간차(300ms 내지 2sec)를 두고, 정결선 접점(1-1a, 1-2a) 혹은 역결선 접점(2-1a, 2-2a)을 오프시켜 절환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릴레이부(460)의 정결선 릴레이와 역결선 릴레이는 독립적인 릴레이를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의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용전원을 수용가에 전달하는 배전반에 사용 가능하다.
110 : 외함 120 : 자동전압조정부
121 주변압기부 123: 슬라이닥스
130: 출력전압제어부 131: 구동제어부
133: 표시/조작부 140: 차단부
150: 비상자동절환부 160: 입력 단자
165: 출력 단자 170: 입력검출부
175: 출력검출부

Claims (5)

  1. 입력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는 배전반용 자동전원절환장치에 있어서,
    각 상별로 공급되는 인입전원에 대응하여 주권선과 여자권선을 가진 복수의 주변압기부;
    상기 각 상별로 공급되는 인입전원과 중성선 사이에 구비되는 비례전압권선을 포함하는 복수의 슬라이닥스;
    상기 주변압기부의 입력측에 연결되어 입력전압 및 입력전류를 검출하는 입력검출부;
    상기 주변압기부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출력전압 및 출력전류를 검출하는 출력검출부;
    상기 입력검출부 및 상기 출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을 제어하는 출력전압제어부;
    상기 인입전원의 이상 상황 발생시 전로를 차단하도록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주변압기부의 입력측에 연결되는 차단부; 및
    상기 입력단자와 상기 출력단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비상자동절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입력단자를 상기 출력단자로 직접 절체시키는 비상자동절환부를 포함하며,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입력검출부 및 상기 출력검출부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을 위한 접점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정/역결선접점제어부;
    상기 접점제어신호에 제어되어 상기 여자권선의 결선 접점을 정역변환하는 릴레이부; 및
    상기 슬라이닥스 내 비례전압권선의 일측에 구비된 탭의 위치를 변경하여 상기 출력전압의 승압 또는 강압 비율을 조정하는 스테핑모터
    를 포함하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낮으면 상기 릴레이부의 역결선 접점(2-1a, 2-2a)은 오프됨과 동시에 정결선 접점(1-1a, 1-2a)이 온되면서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스타트 점이 상기 슬라이닥스(123) 내 비례전압권선의 출력선과 연결되고,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피니쉬 점이 중성선(N)에 연결되며, 상기 스테핑 모터(4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에 승압 비례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입력전압이 설정 전압보다 높으면 상기 릴레이부(460)의 정결선 접점(1-1a, 1-2a)이 오프됨과 동시에 역결선 접점(2-1a, 2-2a)이 온되면서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피니쉬 점이 상기 슬라이닥스(123) 내 비례전압권선의 출력선과 연결되고,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 스타트 점이 중성선(N)에 연결되며, 상기 스테핑 모터(4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주변압기부(121)의 여자권선(463)에 강압 비례전압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전압제어부는,
    상기 슬라이닥스(123) 내 비례전압권선의 전압이 0V인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부(460)의 정결선 접점(1-1a, 1-2a)과 역결선 접점(2-1a, 2-2a)을 동시에 온 시키고,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정결선 접점(1-1a, 1-2a) 혹은 상기 역결선 접점(2-1a, 2-2a)을 오프시켜 상기 릴레이부(460)의 정결선과 역결선 간의 절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KR1020100006202A 2010-01-22 2010-01-22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KR1009827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202A KR100982786B1 (ko) 2010-01-22 2010-01-22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6202A KR100982786B1 (ko) 2010-01-22 2010-01-22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786B1 true KR100982786B1 (ko) 2010-09-16

Family

ID=4301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202A KR100982786B1 (ko) 2010-01-22 2010-01-22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7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91B1 (ko) * 2013-09-12 2014-05-02 (주)골든칩스 Led 조명용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860Y1 (ko) * 2001-06-14 2001-10-31 조동환 전력절감 자동전압 조정장치
KR200356564Y1 (ko) 2004-04-19 2004-07-15 주식회사 창덕 이엔씨 자동전압조절 기능이 구비된 트로이덜 3상 전력 절감기
KR200412847Y1 (ko) * 2006-01-20 2006-03-30 김병상 자동전압조정 기능을 가진 절전 시스템
KR20070029548A (ko) * 2006-06-14 2007-03-14 (주)드림파워텍 전압가변기를 이용한 전력절감기용 자동전압조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6860Y1 (ko) * 2001-06-14 2001-10-31 조동환 전력절감 자동전압 조정장치
KR200356564Y1 (ko) 2004-04-19 2004-07-15 주식회사 창덕 이엔씨 자동전압조절 기능이 구비된 트로이덜 3상 전력 절감기
KR200412847Y1 (ko) * 2006-01-20 2006-03-30 김병상 자동전압조정 기능을 가진 절전 시스템
KR20070029548A (ko) * 2006-06-14 2007-03-14 (주)드림파워텍 전압가변기를 이용한 전력절감기용 자동전압조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91B1 (ko) * 2013-09-12 2014-05-02 (주)골든칩스 Led 조명용 전력 절감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48075B1 (en) Apparatus for protecting direct current branch circuit
JP5755191B2 (ja) パワーコンディショナシステム
CA2927718C (en) Dc power signal generation for electro-chemical reactor
KR20100111645A (ko) 과부하 보호기능을 구비한 영상고조파 저감장치 및 그 방법
GB2477554A (en) Lighting control system using first and second transformers
KR100982786B1 (ko) 배전반용 고효율 자동전압전원장치
GB2520336A (en) Voltage regulation
EP2244353A2 (en) Energy saving device
KR101029157B1 (ko) 자동 전압 조절 장치
EP3841648A1 (en) Capacitive unit for local power factor correction and system comprising multiple capacitive units
KR102609402B1 (ko) 산업용 전력절감장치
MX2008011975A (es) Centro de carga de control de voltaje, circuito transformador de control de voltaje modular y metodo de elaboracion y uso.
KR101059525B1 (ko) 스마트 전압 안정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분배전반
WO2013089448A1 (ko) 자동 전압 조절 장치
WO2011092475A1 (en) Voltage control apparatus
KR101313011B1 (ko) 에너지 절약형 고·저압 배전반 운전제어방법
KR200389751Y1 (ko) 무정전 바이패스 리니어 교류 전력제어장치
GB2509856A (en) Voltage control apparatus having selectively reduced voltage
JP2003333750A (ja) 配電設備の節電制御装置
JP2015050881A (ja) 力率自動調整装置
KR102467245B1 (ko) 전력절감장치
KR20060118930A (ko) 위상비교제어를 이용한 리니어 교류 전력제어장치
KR20220018638A (ko) 빅데이타를 활용한 인공지능형 자동 전압 조절장치
JP3100040U (ja) 交流三相回路用の省電力装置
KR20090012462A (ko) 고압수용가용 수전변압기의 무정전 교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