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730B1 -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730B1
KR100982730B1 KR1020100051434A KR20100051434A KR100982730B1 KR 100982730 B1 KR100982730 B1 KR 100982730B1 KR 1020100051434 A KR1020100051434 A KR 1020100051434A KR 20100051434 A KR20100051434 A KR 20100051434A KR 100982730 B1 KR100982730 B1 KR 100982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frame
hoc
communication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장훈
Original Assignee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탈레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6Gatewa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06Hybrid resource partitioning, e.g. channel borrow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은 IS(Infra Structure)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기지국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동작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동작 모드가 IS 네트워크로만 운용하는 것이면 IS 네트워크로의 동작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상기 IS 네트워크 전용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상기 동작 모드가 혼용 모드로 결정되면 혼용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 정보를 알려주는 지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링크성능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IS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함은 물론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interconnecting IS(Infra Structure) network and Ad-hoc network using variable frame structure and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과 그 통신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IS(Infra Structure) 네트워크와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적응적으로 결합하여 주파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상황에 맞게 변경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IS 네트워크는 유선 기반의 기지국 또는 AP가 무선 단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로 기지국에 의해서 단말들에서 필요한 자원 할당 및 전체 망의 운영이 결정된다. 반면, Ad-hoc 네트워크는 고정된 네트워크 기반 없이 무선 단말들이 임시적으로 망을 구성한다. 개개의 무선 단말은 호스트이면서 다른 무선 단말들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 기지국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적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네트워크간의 연결을 위해서는 게이트웨이를 필요로 하며, 비대칭적인 데이터 특성을 요구하는 시스템의 경우, 유연한 자원할당이 어려워 주파수 자원의 낭비 및 Ad-hoc 구간의 hop 수 증가에 다른 전송지연, 전송용량의 감소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링크성능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IS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함은 물론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하는 방법 및 시스템으로서, 동일 주파수 대역에서 IS(Infra Structure) 네트워크와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적응적으로 결합하여 주파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프레임 구조를 상황에 맞게 변경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IS(Infra Structure)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기지국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동작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동작 모드가 IS 네트워크로만 운용하는 것이면 IS 네트워크로의 동작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상기 IS 네트워크 전용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상기 동작 모드가 혼용 모드로 결정되면 혼용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 정보를 알려주는 지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은 IS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기지국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운용 모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용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용모드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용모드별로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하여 할당되는 상향 링크의 영역을 가변하고, 상기 프리앰블을 부가하여 상기 혼용모드별로 특징적인 프레임구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 정보를 알려주는 지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은 IS(Infra Structure)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S 네트워크만으로 운용되는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들간의 통신을 위한 제1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구성부; 상기 동작 모드가 혼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을 변형한 제2프레임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제2프레임구성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다중화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다중화부;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다중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분리하는 역다중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체 시스템의 링크성능을 효율적으로 보장하면서 IS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함은 물론 애드혹(Ad-hoc)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애드혹 네트워크 통신을 지원하여 단말간 중계를 통한 음영지역 해소는 물론 통달거리 확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에도 IS 네트워크 및 애드혹 네트워크 기능을 탑재하여 IS 네트워크의 트래픽이 폭주할 경우 애드혹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동일한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므로 공용화된 RF(Radio Frequency) 모듈을 이용하여 시스템 구성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및 프레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및 프레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라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은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및 프레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적용되는 네트워크 및 프레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동일 주파수 대역내에서 시분할 방식을 사용하여 IS(Infra Structure)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동하여 운용되는 공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프레임 구조를 상황에 따라 변경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IEEE 802.16e의 TDD 방식을 사용하는 인프라 네트워크와 TDMA 방식을 사용하는 애드혹 네트워크를 시간상에서 분할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네트워크를 기지국과 단말들을 포함하여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기지국(410,430)은 그 기지국이 단말들과 어떠한 네트워크 구조로 동작하는지 결정할 필요가 있다. 기지국은 최초 운용시 인프라 네트워크만을 지원하는 IS 네트워크 전용모드로 동작하며 N개의 단말이 접속하여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하이브리드 모드(혼용모드)로 전환하여 운용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과 단말은 최초 운용시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시간상에서 분할하여 독립적인 망을 형성하여 운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기지국은 IS 네트워크만으로 동작하는 경우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로 운용할지의 여부를 결정한다.이 결정은 기지국의 관리자에 의하여, 혹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정해진 운용모드를 인식할 수 있는 프리앰블을 생성한다. 이 프리앰블은 도 4의 프레임들(420,440)에서 다운링크 영역(423,443)에 실리게 된다(S110단계).
만약 IS 네트워크로만 동작하는 경우라면 IS 네트워크 전용이라는 약속된 코드가 담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도 4의 제1프레임(420)의 프레임 구조를 유지하고 (S120단계), 그렇지 않으면 혼용모드라는 약속된 코드가 담긴 프리앰블을 포함하는제2프레임(440)구조로 변경하도록 한다.(S130단계). 이러한 프리앰블은 일반적으로 프레임의 다운링크부분에 실리므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점을 도 4를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의 첫번째 네트워크(410)는 기지국(411)에 다수의 단말(413)이 연결되어 IS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첫번째 네트워크(410)로 동작하는 것을 청구항에서는 IS 네트워크 전용 모드로 표현하였다. 두번째 네트워크(430)는 기지국(431)과 IS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단말들, 그리고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단말들(433,435)을 보여주고 있다. 이 두번째 네트워크에서 기지국(431)은 IS 네트워크뿐만 아니라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말들과도 통신이 가능하다. 두번쩨 네트워크를 청구항에서는 혼용모드로 표현하였다. 단말(435)가 기지국(431)이 관할하는 영역을 이탈하는 경우에도 통신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관할내에 있는 단말(433)과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이 단말(433)이 마치 중계국처럼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 두가지 경우에, 제한된 주파수 대역에서 모든 단말, 즉 IS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는 단말들뿐만 아니라 기지국의 관할을 벗어난 단말(예를들면 참조번호 435인 단말)들과 통신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주파수 대역이 무한대라면 별 문제가 없을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그러하지 않기 때문에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첫번째 네트워크(410)의 경우에는 제1프레임(420)의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프레임을 적용하는 경우를 인프라 모드(IS 네트워크 전용 모드와 동의어임)로 칭하였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프레임들의 x축은 시간이고 y축은 주파수이다. 제1프레임, 즉 인프라모드에 적용되는 프레임은 다운링크(DL;Down Link,423)와 업링크(UL:Up Link, 425)로 이루어진다. 다운링크에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등이 실리게 되나 여기에서는 특별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인프라모드에서 동작하던 네트워크에서 단말이 관할 구역을 이탈하는 경우, 그 단말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애드혹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따라서 IS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동되는 네트워크가 성립하며, 이를 하이브리드 모드(혼용모드와 동의어임)라 칭하도록 한다. 본원발명에 따라 이 하이브리드 모드에 대하여 제2프레임(440), 즉 하이브리드 모드로 도시된 프레임 구조로 변경하게 된다. 이 역시 다운링크(DL;Down Link,443)와 업링크(UL:Up Link, 445), 애드혹 영역(447)로 이루어진다. 애드혹 영역(447)은 업링크 영역에 필요한 만큼 할당하게 된다. 애드혹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단말들의 수와 데이터 전달의 양등 여러가지 요소에 의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할당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운링크에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제어 데이터등이 실리게 되나 여기에서는 특별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410,430)은 인프라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TDMA 슬롯의 할당 정보 등의 통신 설정을 알려 주는 지시자를 단말들로 전송한다(S140단계). 기지국은 모드 전환 시점에 맞추어 인프라 네트워크의 상향링크의 일부를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해 별도로 할당하여 애드혹 네트워킹이 가능한 프레임 구조, 즉 참조번호 440의 프레임 구조로 변경 운용한다.
단말들은 이렇게 시분할로 구분된 프레임 구조(420,440)에 따라 동시에 이종 망에 대한 통신을 할 수 있다. 프레임 전환 시점 및 지시자를 전송하는 방법으로는 기지국에서 주기적으로 시스템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일정 시간의 전환 타이머를 주기적으로 갱신할 수 있다. 기지국과의 인프라 네트워크 링크가 단절된 단말은 상기 전환 타이머의 만료시점에 애드혹 네트워크로의 접속을 시도할 수 있으며, 기지국과 인프라 네트워크로 연결된 단말은 기지국이 송신해주는 지시자나 동일한 타이머를 이용하여 하이브리드 모드로 전환하여 운용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드 전환은 일정 시간 간격 혹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단말들의 수를 포함하는 망 자원의 변경에 기초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지국과 단말간 트래픽의 양과 단말-단말들간의 트래픽의 양을 모니터링 하여 단말의 요청이나 기지국의 필요에 의해서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한 프레임 구간을 가변하여 링크 성능을 최적화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애드혹 네트워크만으로 접속 중인 단말(예를 들면, 참조번호 435인 단말)이 역으로 인프라 네트워크로 재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인프라 모드로의 복원 즉 프레임구조를 다시 제1프레임(410)으로 전환하여 주파수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서, 인프라 모드와 하이브리드 모드간의 전환이 아닌, 복수의 하이브리드모드간의 전환을 설명한다. 본원발명에 의한 프레임 구조를 적용하면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해 할당하는 영역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하이브리드 모드의 운용이 가능하다. 위에서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먼저, 위에서의 설명과 같이, 기지국은 IS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상태에서, 운용 모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용모드, 즉 하이브리드 모드로 결정하게 된다(S210단계). 하이브리드 모드의 결정은 기지국의 관리자에 의하여, 혹은 정해진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정해진 혼용모드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프리앰블을 생성하게 되는데(S220단계), 이 프리앰블은 도 5의 프레임들(510,520)에서 다운링크 영역(513,523)에 실리게 된다.
기지국은 상기 혼용모드별로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하여 할당되는 상향 링크(515,525)의 영역(517,527)을 가변하고, 상기 프리앰블을 부가하여 상기 혼용모드별로 특징적인 프레임구조를 생성하여 송신하게 된다. 물론 단말들도 이러한 프레임에 맞추어 송수신을 수행한다. 프레임구조를 생성함에 있어서, 일정 시간 간격 혹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단말들의 수를 포함하는 망 자원의 변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S230단계).
또한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기지국은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 정보를 알려주는 지시자를 송신한다(S240단계). 하이브리드 모드로 운용 중인 시스템에서 신규 접속을 요청하는 단말은 모드별로 정해진 패턴을 가지는, 위에서 설명한 프리앰블을 인지하여 현재 운용중인 모드를 식별하고 인증을 거쳐 가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시 예는 두 가지 모드만으로 구분하여 설명한 것으로 단말의 분포 및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애드혹 프레임 구간을 가지는 여러 모드로 확장이 가능하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1프레임구성부(310)는 IS 네트워크만으로 운용되는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들간의 통신을 위한 제1프레임(420)을 구성하되, IS 네트워크 전용이라는 약속된 코드가 담긴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제2프레임구성부(320)는 네트워크의 동작 모드가 혼용 모드(하이브리드 모드)인 경우에 제1프레임의 구조에서 상향 링크의 일부를 상기 애드혹 모드를 위하여 할당함으로써 상기 제1프레임을 변형한 제2프레임(440, 510, 520)을 구성하여 출력하되, IS 네트워크 전용이라는 약속된 코드가 담긴 프리앰블을 포함한다. 이때, 제1프레임구성부와 제2프레임구성부는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을 알려주는 지시자를 포함시켜 각각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구성한다.
프리앰블 설정부(350)는 운용중인 동작 모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용모드, 예를 들면 도 5에서와 같이 하이브리드I과 하이브리드II인 경우에, 혼용모드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2프레임에 부가되는 프리앰블을 생성하여 상기 제2프레임구성부(320)로 출력한다. 이 프리앰블은 제2프레임(510,520)의 다운링크 영역(513,523)에 실리게 된다.
다중화부(340)는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다중화하여 혹은 하이브리드모드로만 운용될때는 복수의 제2프레임을 시간축에서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역다중화부(350)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우로서,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다중화된 데이터 혹은 제2프레임만으로 다중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분리하여 필요한 부분만 추출한다.
도 3을 참조한 시스템은, 기지국과 단말에 공통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동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기본적인 하드웨어적인 구성, 예를 들면 RF송수신단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단말의 경우, 그 단말이 애드혹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중계국의 역할을 수행한다면 역다중화부(350)는 제2프레임에서 애드혹 영역(447517,527)만 추출하여 활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방법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Claims (10)

  1. IS(Infra Structure)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기지국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동작 모드를 결정하고 동작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IS 네트워크로만 운용하는 것이면 IS 네트워크로의 동작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를 상기 IS 네트워크 전용 모드로 유지하는 단계;
    상기 동작 모드가 혼용 모드로 결정되면 혼용모드를 지시하는 프리앰블을 포함하는 프레임 구조로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 정보를 알려주는 지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는
    일정 시간 간격 혹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단말들의 수를 포함하는 망 자원의 변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구조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IS 네트워크 전용 모드를 위한 프레임 구조에서 상향 링크의 일부를 상기 애드혹 모드를 위하여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IS 네트워크를 벗어난 단말은 상기 전환 시점에 애드혹 네트워크로 접속할 수 있으며, 상기 IS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은 혼용모드로도 접속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5. IS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기지국이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운용 모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용모드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혼용모드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프리앰블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혼용모드별로 애드혹 네트워크를 위하여 할당되는 상향 링크의 영역을 가변하고, 상기 프리앰블을 부가하여 상기 혼용모드별로 특징적인 프레임구조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 정보를 알려주는 지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구조를 생성하는 단계는
    일정 시간 간격 혹은 상기 통신 네트워크에 가입되는 단말들의 수를 포함하는 망 자원의 변경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에 진입하는 단말들은
    상기 프리앰블을 판독하여 운용 모드를 식별하고 그에 맞추어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8. IS(Infra Structure)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IS 네트워크만으로 운용되는 경우에 기지국과 단말들간의 통신을 위한 제1프레임을 구성하는 제1프레임구성부;
    상기 동작 모드가 혼용 모드인 경우 상기 제1프레임을 변형한 제2프레임을 구성하여 출력하는 제2프레임구성부;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다중화하여 상기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다중화부; 및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로서, 상기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이 다중화된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분리하는 역다중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구성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구조에서 상향 링크의 일부를 상기 애드혹 모드를 위하여 할당하고,
    상기 제1프레임구성부와 제2프레임구성부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내에서 운용중인 단말들에게 애드혹 모드로의 전환 시점과 슬롯 할당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설정을 알려주는 지시자를 포함시켜 각각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IS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가 연계된 통신 네트워크에서 운용중인 동작 모드가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용모드인 경우에 상기 혼용모드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서 상기 제2프레임에 부가되는 프리앰블을 생성하여 상기 제2프레임구성부로 출력하는 프리앰블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100051434A 2010-05-31 2010-05-31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0982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34A KR100982730B1 (ko) 2010-05-31 2010-05-31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434A KR100982730B1 (ko) 2010-05-31 2010-05-31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730B1 true KR100982730B1 (ko) 2010-09-16

Family

ID=43010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434A KR100982730B1 (ko) 2010-05-31 2010-05-31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7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1339A1 (zh) * 2012-03-09 2013-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干扰消除的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5778A1 (en) 2002-12-26 2004-07-01 Newsoft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ransmission efficiency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403488B2 (en) * 2004-02-17 2008-07-2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tories, Inc. Scheduling packet flows in multi-rat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20090066462A (ko) * 2007-12-20 200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90090830A (ko) * 2008-02-22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애드 훅 네트워크와 인프라네트워크를 연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과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25778A1 (en) 2002-12-26 2004-07-01 Newsoft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transmission efficiency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US7403488B2 (en) * 2004-02-17 2008-07-22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tories, Inc. Scheduling packet flows in multi-rate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KR20090066462A (ko) * 2007-12-20 2009-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단말 간 데이터 전송 장치 및 방법
KR20090090830A (ko) * 2008-02-22 2009-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허가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애드 훅 네트워크와 인프라네트워크를 연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과 이를 위한 무선단말과 통신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1339A1 (zh) * 2012-03-09 2013-09-1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干扰消除的方法及装置
US9584194B2 (en) 2012-03-09 2017-02-28 Zt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ancelling interfere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9688B2 (en) Apparatus and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11800599B2 (en) Method for discovering and selecting relay user equipment in communication system
JP4702283B2 (ja)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tdd動作用の方法、基地局及び移動局
EP3562180B1 (en) Machine type communication virtual shared mobile apparatus and method
KR102405717B1 (ko) 무선 네트워크의 두 노드 사이에서 구성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307523B2 (ja) 通信デバイス及び方法
EP2846490B1 (en) Method and mobile station for bandwidth request
JP6346198B2 (ja) Ueケイパビリティに基づいて仮想キャリアの外の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ためのモバイル通信基地局及び方法
CN110572838A (zh) 通信方法、终端设备和网络侧设备
EP2521408A1 (en) Duplex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KR20070031173A (ko) 다중홉 릴레이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링크를 지원하기위한 장치 및 방법
CN111436145A (zh) 资源配置的方法和装置
US11638166B2 (en) Route discovery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KR20120032532A (ko) Geran(gsm edg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모바일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중 하나를 공유 또는 공동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기지국
CN115348564A (zh) 直连链路资源配置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CN111436031A (zh) V2x的通信方法及装置、存储介质和电子装置
WO2012077938A2 (ko)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자원 할당 방법 및 장치
US20230156670A1 (en) Partial sensing method and device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24413B2 (en) Direct communications in wireless networks
KR20190034094A (ko) 릴레이 노드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CN115039443B (zh) 一种通信方法及通信装置
CN110583078A (zh) 无线电接入技术间频谱共享
KR10107648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기지국 및 송신 방법
CN113766575A (zh) 通信方法及通信设备
KR100982730B1 (ko) 가변 프레임 구조를 이용하여 인프라 네트워크와 애드혹 네트워크를 연동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