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417B1 -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417B1
KR100982417B1 KR1020080060766A KR20080060766A KR100982417B1 KR 100982417 B1 KR100982417 B1 KR 100982417B1 KR 1020080060766 A KR1020080060766 A KR 1020080060766A KR 20080060766 A KR20080060766 A KR 20080060766A KR 100982417 B1 KR100982417 B1 KR 10098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case
coupled
im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031A (ko
Inventor
이원준
Original Assignee
이원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준 filed Critical 이원준
Priority to KR1020080060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4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06F1/1649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being independently orientable, e.g. for presenting information to a second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는 화상이 형성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기판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1제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심봉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케이스; 화상이 형성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판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2제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와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제1케이스에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중심봉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 케이스, 화상

Description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Display board uni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공간에서 복수의 화상을 복수의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볼 수 있어 목적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고, 간소화 구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디스플레이 패널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는 PDP,LCD 기판과, 상기 기판을 보호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PDP 기판이나 LCD 기판에는 하나의 화상만이 디스플레이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모여 있는 장소에서 하나의 화상만이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서로 다른 화상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의 욕구를 일원화시킬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은 단점 때문에,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판을 한 장소에 따로따로 설치하여 둠으로써, 사람들의 선택의 폭을 넓혀 줄 수 있는 대안이 제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대안은 협소한 장소에 많은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가 설치됨으로 인하여 사람들의 또 다른 불편함을 낳게 되고, 그 설치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여러 사람들이 선택적으로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하고, 협소한 공간에서도 복수의 화상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를 별개로 설치하고 제작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비용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상이 형성되는 제1기판;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기판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1제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심봉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케이스; 화상이 형성되는 제2기판; 및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판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2제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와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제1케이스에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중심봉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상기 중심봉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각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중심봉에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있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탄성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케이스는, 상기 제1기판의 네 가장자리 중 하나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스는, 상기 제2기판의 네 가장자리 중 하나의 가장자리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판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장자리와 상기 제2기판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장자리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가 서로 최대로 접근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기판와 제2기판이 그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쳐 놓은 크기의 기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는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에 각기 다른 두 개의 화상이 형성되게 하거나,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을 합쳐 놓은 크기의 기판에 하나의 화상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기판과 제2기판의 마주하는 가장자리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각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투명한 재질의 완충소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기판을 원하는 각도로 조정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복수의 기판에 복수의 화상을 따로따로 형성하거나 하나의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 채용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선택적으로 원하는 영상을 볼 수 있게 하고, 하나의 유니트로 복수의 화상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공간활용의 효율 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 크기에 따라 스크린 크기를 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유니트로 복수의 화상을 볼 수 있게 함으로써 신혼부부나 가족의 경우에도 각자의 취향에 따라 화상을 선택할 수 있고 복수의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를 별개로 설치하고 제작하는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설치비용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의 사시도이고, 도 2,3 및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는 제1기판(1)과 제1케이스(2)와 제2기판(3)과 제2케이스(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기판(1)은 PDP 패널이나 LCD 패널과 같이 상기 제1케이스(2)에 내장되어 있는 제1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제1케이스(2)는 상기 제1기판(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케이스(2)는 상기 제1기판(1)의 네 가장자리를 모두 보호할 수 있도록 그 제1기판(1)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2)가, 상기 제1기판(1)의 네 가장자리 중 하나의 가장자리(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판(1)에 결합된다.
상기 제1케이스(2)는 상기 제1기판(1)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1제어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1케이스(2)에 내장되어 있는 각종 회로부품 간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기판(1)에 화상이 형성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케이스(2)는 제1결합부(22)를 통해 중심봉(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중심봉(A)은 하단면이 지면에 지지될 수 있는 평평한 면을 가지고, 상기 제1케이스(2)의 제1결합부(22)가 결합되는 부분이 원형 외주면을 가진다. 이러한 외주면에 상기 제1결합부(2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2)는 상기 중심봉(A)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기판(3)은 상기 제1기판(1)과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제2케이스(4)에 내장되어 있는 제2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화상이 형성되는 부재이다.
상기 제2케이스(4)는 상기 제1케이스(2)와 동일한 재질 및 구조를 가지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제2케이스(4)의 제2결합부(32)는 상기 제1케이스(2)의 제1결합부(22)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중심봉(A)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제1결합부(22)와 제2결합부(32)는 각각 상기 중심봉(A)의 봉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절반하여 그 중심봉(A)에 결합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는, 상기 제1기판(1)이 상기 제1케이스(2)와 함께 일정각도 상기 중심봉(A)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제2기판(3)이 상기 제2케이스(4)와 함께 일정각도 상기 중심봉(A)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하나의 중심봉(A)에 두 개의 기판(1)(3)을 설치하여 두고 서로 다른 화상이 형성된 상기 기판들(1)(3)을 통해 상대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은 각각 외부로 노출된 가장자리(11)(31)가 서로 마주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가 서로 최대로 접근되어 있는 경우(사잇각이 0도인 경우)에,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기판(1)와 제2기판(3)은 그 제1기판(1)과 제2기판(3)을 합쳐 놓은 크기의 기판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가 각각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에 별개의 화상을 형성하게 할 수 있게 하고 또한 상기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가 필요에 따라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을 합쳐 놓은 크기의 기판에 하나의 화상만을 형성하게 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가짐으로써, 사용자는 두 개의 화상을 각각 제1기판(1)과 제2기판(3)을 통해 볼 수 있거나 하나의 화상을 큰 기판을 통해 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를 구현하기 위한 구성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의 상기 중심봉(A)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각 케이스에 형성된 삽입홈(미도시)과 상기 중심봉(A)에 형성된 탄성볼(5)을 구비한다. 상기 삽입홈은 상기 탄성볼(5)을 수용할 수 있는 반구형의 홈 형상을 가지며, 상기 탄성볼(5)은 상기 중심봉(A)에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탄 성볼(5)은 상기 중심봉(A)에 내장되어 있는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 측으로 탄성가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상기 회전각도 조절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를 원하는 각도만큼 회전시켜 놓으면 상기 탄성볼(5)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가 흔들림 없이 상기 중심봉(A)에 견고히 위치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본 실시예가 사용자의 편의성을 더욱 증대시키는 장점을 갖도록 한다.
한편, 도시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의 마주하는 가장자리(11)(31)에 완충소재가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소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소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가장자리(11)(31) 간의 마찰을 방지하여 상기 제1기판(1)와 제2기판(3)의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투명한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하나의 화상이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을 합쳐 놓은 큰 기판을 통해 외부로 보여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게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의 사시도.
도 2,3 및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일부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제1기판 11:가장자리
2:제1케이스 22:제1결합부
3:제2기판 31:가장자리
32:제2결합부 4:제2케이스
5:탄성볼 A:중심봉

Claims (5)

  1. 화상이 형성되는 제1기판(1);
    상기 제1기판(1)에 결합되고, 상기 제1기판(1)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1제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중심봉(A)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케이스(2);
    화상이 형성되는 제2기판(3); 및
    상기 제2기판(3)에 결합되고, 상기 제2기판(3)에 화상이 형성될 수 있게 하는 제2제어부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2)와 마주하는 단부가 상기 제1케이스(2)에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중심봉(A)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케이스(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케이스(2)는, 상기 제1기판(1)의 네 가장자리 중 하나의 가장자리(1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기판(1)에 결합되고,
    상기 제2케이스(4)는, 상기 제2기판(3)의 네 가장자리 중 하나의 가장자리(3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제2기판(3)에 결합되며,
    상기 제1기판(1)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장자리(11)와 상기 제2기판(3)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장자리(31)는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가 서로 최대로 접근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1기판(1)와 제2기판(3)이 그 제1기판(1)과 제2기판(3)을 합쳐 놓은 크기의 기판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제어부와 제2제어부는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에 각기 다른 두 개의 화상이 형성되게 하거나,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을 합쳐 놓은 크기의 기판에 하나의 화상이 형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의 상기 중심봉(A)에 대한 회전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회전각도 조절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각도 조절수단은,
    상기 각 케이스(2)(4)에 형성된 삽입홈; 및
    상기 중심봉(A)에 상기 제1케이스(2)와 제2케이스(4)의 회전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있고,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방향 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탄성볼(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기판(1)과 제2기판(3)의 마주하는 가장자리들(11)(3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각각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투명한 재질의 완충소재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5. 삭제
KR1020080060766A 2008-06-26 2008-06-26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KR10098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66A KR100982417B1 (ko) 2008-06-26 2008-06-26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66A KR100982417B1 (ko) 2008-06-26 2008-06-26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31A KR20100001031A (ko) 2010-01-06
KR100982417B1 true KR100982417B1 (ko) 2010-09-15

Family

ID=41811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766A KR100982417B1 (ko) 2008-06-26 2008-06-26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4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43361A (zh) * 2018-01-02 2018-07-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声音采集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301A (ko) * 1997-09-11 1999-04-06 윤종용 전자렌지의 회전장치
KR19990027781U (ko) * 1997-12-24 1999-07-15 손욱 멀티 디스플레이 모니터
KR2005012286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5301A (ko) * 1997-09-11 1999-04-06 윤종용 전자렌지의 회전장치
KR19990027781U (ko) * 1997-12-24 1999-07-15 손욱 멀티 디스플레이 모니터
KR20050122869A (ko) * 2004-06-25 2005-12-2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디스플레이 장치의 좌우 회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31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03935B1 (en) Portable device
US20120194977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2056721B1 (ko) 접이식 컴퓨팅 장치 및 디스플레이부를 세우는 방법
RU2517354C2 (ru) Дисплей
JP6853311B2 (ja) フォルダブルディスプレイ
CN101676592B (zh) 旋转结构
CN108845621B (zh) 电子设备及信息处理方法
US8066233B2 (en) Swive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6077060B2 (ja) スタンド機構、および電子機器
CN104851363A (zh)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US20190295594A1 (en)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JP2008292693A (ja) 表示装置
EP3379131B1 (en) Convertible stand of display apparatus
CN105551384A (zh) 曲面显示器以及包括该曲面显示器的可移动电子设备
US8264838B2 (en) Supporting structure and display device
KR100982417B1 (ko) 디스플레이 기판 유니트
CN209046940U (zh) 壳体结构及可挠式显示器
JP6530949B2 (ja) 医療用モニター、電子機器、及び映像表示ユニット
CN110632985B (zh) 计算机机箱
TW202223857A (zh) 可撓顯示裝置
US20050253037A1 (en) Display apparatus
US9270923B2 (en) Television receiver and electronic device
KR2023008889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070284323A1 (en) Flat panel display for accommodating portable computer
JP2009063641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