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726B1 -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 Google Patents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726B1
KR100980726B1 KR1020100071961A KR20100071961A KR100980726B1 KR 100980726 B1 KR100980726 B1 KR 100980726B1 KR 1020100071961 A KR1020100071961 A KR 1020100071961A KR 20100071961 A KR20100071961 A KR 20100071961A KR 100980726 B1 KR100980726 B1 KR 100980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efrigerant gas
transfer
delivery
heat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오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헤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Abstract

압축기에서 공급된 고온의 냉매가스 또는 팽창밸브에서 공급된 저온의 냉매가스를 대기와 열 교환시키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는, 냉매가스가 사행으로 교차되어 유동하면서 대기와 열 교환하는 사행관이 각각 단을 형성하여 다단식으로 마련되는 열 교환부;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받은 고온의 냉매가스를 상기 사행관들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달관의 각 일단부는 상기 사행관들의 각 일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달관의 각 타단부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1 전달부; 상기 제1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냉매가스가 상기 사행관을 따라 유동한 이후에 배출되도록, 상기 사행관들의 각 타측단과 연결되는 배출부;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를 상기 사행관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달관의 각 일단부는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사행관들의 각 타측단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달관의 각 타단부는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OUTDOOR UNIT FOR BIDIRECTIONAL CIRCLE HEAT PUMP}
본 발명은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효율이 좋은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에 관한 것이다.
히트 펌프(heat pump)는 액체가 기화할 때 기화열을 흡수하고 역으로 기체가 응축되어 액화할 때는 열을 방출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냉/난방하는 장치로서, 냉매가스를 압축-응축-팽창-증발의 사이클로 순환시키면서 원하는 공간을 냉/난방한다.
이러한 히트 펌프에 대하여 종래에는 냉매가스를 단일방향으로 순환시켜 냉방 또는 난방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 들어서는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냉매가스를 양방향으로 순환하여 필요에 따라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얻을 수 있는 히트 펌프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하지만, 냉매가스를 양방향으로 순환시키는 경우, 실내기와 실외기는 증발기와 응축기의 기능을 모두 구현하여야 하므로, 종래보다 더욱 복잡하게 구성되고 그 효율도 많이 떨어지게 된다. 특히, 실외기의 경우에 효율이 떨어지면, 히트 펌프를 이용하여 난방할 때 증발기 역할을 하는 실외기의 열 교환부가 쉽게 결로되고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를 간단하게 하면서도 효율이 좋은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압축기에서 공급된 고온의 냉매가스 또는 팽창밸브에서 공급된 저온의 냉매가스를 대기와 열 교환시키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에 있어서, 냉매가스가 사행으로 교차되어 유동하면서 대기와 열 교환하는 사행관이 각각 단을 형성하여 다단식으로 마련되는 열 교환부;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받은 고온의 냉매가스를 상기 사행관들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달관의 각 일단부는 상기 사행관들의 각 일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달관의 각 타단부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1 전달부; 상기 제1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냉매가스가 상기 사행관을 따라 유동한 이후에 배출되도록, 상기 사행관들의 각 타측단과 연결되는 배출부;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를 상기 사행관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달관의 각 일단부는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사행관들의 각 타측단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달관의 각 타단부는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 연결된 제1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배출부에 연결된 제2 밸브는 개방되어, 상기 제1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냉매가스가 상기 열 교환부에서 열 교환을 한 이후에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 연결된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배출부에 연결된 제2 밸브는 폐쇄되어, 상기 제2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저온의 냉매가스는 상기 열 교환부에서 열 교환을 한 이후에 상기 제1 전달부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일단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전달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냉매가스 중 일부가 상기 홀을 통과하면서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전달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냉매가스가 다시 상기 제2 전달부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홀은, 상기 제2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내측면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보다 외측면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이 더 크도록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2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 체크 밸브가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상기 배출부로 유동하는 냉매가스가 상기 제2 전달부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는 응축기로 사용시 이용되는 제1 전달부를 증발기로 사용시에 열 교환한 냉매가스의 배출로로 사용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는 항상 상측에서 하측으로 냉매가스를 유동시킴으로써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는, 제2 전달부에 마련된 홀을 통과하는 냉매가스에 의해 형성되는 에어커튼 및 팽창밸브와 제2 전달부 사이에 마련된 체크 밸브를 통해, 냉매가스의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그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의 제2 전달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팽창밸브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가 열 교환부의 사행관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의 제2 전달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압축기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가 배출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가 증발기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 냉매가스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가 응축기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 냉매가스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구성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는, 열 교환부(100)와, 제1 전달부(200)와, 배출부(300) 및 제2 전달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열 교환부(100)는 냉매가스가 사행으로(meandering) 교차되어 유동하면서 대기와 열 교환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열 교환부(100)는 사행으로 교차하는 사행관을 이용하여 형성되는데, 하나의 사행관을 교차 회수를 늘림으로써 다단식(multi-stage)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열 교환의 속도를 높이기 위하여, 하나의 사행관으로 형성된 하나의 단을 복수개 구비하여 다단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때, 다단은 냉매가스의 유동이 용이하도록 진행방향을 향해 하측으로 기울어져 있을 수 있다.
이때, 열 교환부(100)에서 유동하는 유체의 유동 방향은 실외기가 증발기로 작용할 때와 응축기로 작용할 때 서로 반대이며, 유체의 유동 방향은 도 4 및 도 5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할 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전달부(200)는 압축기(30)에서 공급받은 고온의 냉매가스를 열 교환부(10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1 전달부(200)는 냉매가스를 열 교환부(100)의 사행관들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1 전달부(200)의 일단부(210)는 사행관의 일측단(110)과 연결되고, 제1 전달부(200)의 타단부(220)는 압축기(3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1 전달부(200)의 일단부(210)와 사행관의 일측단(110)이 연결되는 방식은 동일한 직경을 갖는 파이프들을 상호 연결하는 어떠한 방법이어도 무관하다.
또한, 압축기(30)와 연결되는 부분은 다수의 전달관이 모두 압축기(30)와 연결되어도 무방하나, 공간의 효율적 사용을 위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합되어 하나의 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달부(200)를 구성하는 다수의 전달관이 통합된 하나의 관에는 토출부(도면부호 미부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토출부는, 실외기가 증발기로서 사용되는 경우 제2 전달부(400)에서 전달되어 열 교환한 냉매 가스가 모여서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밸브(도면부호 미부여)가 마련될 수 있으며,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에 구비된 4방 밸브(8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300)는 제1 전달부(200)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냉매가스가 열 교환부(100)의 사행관들을 유동하면서 열 교환을 한 이후, 즉 응축기로서의 역할을 한 이후에 열 교환된 냉매가스를 배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배출부(300)는 사행관을 지난 냉매가스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사행관의 타측단(120)에 연결될 것이며, 사행관로부터 전달받은 냉매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에 구비된 4방 밸브(80)과 연결될 것이다.
한편, 제2 전달부(400)는 팽창밸브(40)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를 열 교환부(100)로 전달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제2 전달부(400)도 제1 전달부(200)와 유사하게 냉매가스를 열 교환부(100)의 사행관들로 전달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된다. 이때, 제2 전달부(400)의 일단부(410)는 배출부(300)를 관통하여 사행관의 타측단(120) 내부에 삽입되고, 제2 전달부(400)의 타단부(420)는 팽창밸브(40)와 연결된다.
여기서, 제2 전달부(400)의 일단부(410)가 사행관의 타측단(120)의 내부에 삽입되기 위하여 제2 전달부(400)의 직경은 사행관의 직경보다 작아야 한다.
다만, 제2 전달부(400)의 직경 및 사행관의 직경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제2 전달부(400)의 일단부(410)에서 사행관으로 전달되는 냉매가스의 양과 유동 속도는 충분히 고려되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반대로, 제2 전달부(400)의 직경은 전술한 바와 같이 냉매가스가 사행관을 지나 배출부(300)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아야한다는 점도 고려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제2 전달부(400)의 일단부(410)가 배출부(300)를 관통하여 사행관의 타측단(12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조를 통하여, 냉매가스의 효율적으로 양방향 순환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제2 전달부(400)의 타단부(420), 즉 제2 전달부(400)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는 체크 밸브(7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가 응축기로 사용되는 경우, 열교환부(100)에서 배출부(300)로 유동하는 냉매가스가 제2 전달부(400)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2 전달부(400)의 일단부(410), 즉 제2 전달부(400)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일단부에는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가 증발기로 사용되는 경우, 제2 전달부(400)에서 열교환부(100)로 유동하는 냉매가스가 다시 제2 전달부(400)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홀(412)은 제2 전달부(400)에서 열교환부(100)로 유동하는 냉매가스 중 일부가 통과되면서 에어커튼을 형성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 및 구조를 갖더라도 무방하다.
그러나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홀(412)은 제2 전달부(400)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내측면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보다 외측면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이 더 크도록 경사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412)이 테이퍼(taper)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더욱 넓은 면적으로 에어 커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1 전달부(200)의 타단부(220) 및 제2 전달부(400)의 타단부(420)에는 유분리기(oil separator, 90)가 연결되어, 열 교환부(100)로 냉매가스가 공급되기 전에 냉매가스에서 오일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유분리기(90)는 압축기(30)의 작동시 필요한 오일이 냉매가스와 함께 섞어서 배출되면 압축기(30) 내부의 오일 양이 적어지고 필터드라이어(미도시)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열 교환부(100)를 지나기 전에 냉매와 오일을 분리해 오일을 다시 압축기(30)로 보내는 장치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증발기 및 응축기로서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도 1에서의 제2 전달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팽창밸브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가 열 교환부의 사행관으로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의 제2 전달부를 확대 도시한 것으로, 압축기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가 배출부로 전달되는 과정을 도시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가 증발기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 냉매가스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가 응축기로 사용되는 경우에 있어, 냉매가스의 유동 경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가 증발기로 사용되는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난방을 위하여, 기체 상을 갖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액체 상을 갖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로 상변화를 하면서 실내기(60)에서는 열을 방출한다.
이후, 액체 상을 갖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팽창밸브(40)를 지나면서 액체 상을 갖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10)의 하우징(11) 내로 들어온다.
이때, 공급배관(20)에서는 액체 상을 갖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압축기(30) 또는 제1 전달부(200)를 향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냉매가스를 제어한다. 즉, 냉매가스는 도 5에 도시된 ①번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한다. 한편, 유분리기(90)에서 냉매가스의 오일 성분을 제거한다.
이후, 팽창밸브(40)를 지난 액체 상을 갖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는 제2 전달부(400)를 통해 열 교환부(100)의 사행관으로 전달된다. 이때, 제2 전달부(400)를 통해 전달되는 냉매가스가 사행관과 연결된 배출부(300)로 방출되면 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추가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의 일 실시예에서는, 사행관의 타측단(120) 내부에 삽입되는 제2 전달부(400)의 일단부(410) 외측면에 홀(412)을 형성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록 액체 상이지만 70% 이상인 기체를 포함하는 소수의 냉매가스가 홀(412)을 통과하면서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제2 전달부(400)에서 열교환부(100)로 유동하는 다수의 냉매가스 중 일부가 배출부(300)로 방출되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일부의 냉매가스 또는 에어커튼으로 막지 못하고 배출부(300)로 방출된 냉매가스는, 펌프와 같은 별도의 장치(미도시)를 추가적으로 장착하여 열교환부(1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배출부(300)에 연결된, 더욱 구체적으로 배출부(300)와 4방 밸브(80) 사이에 마련된, 제2 밸브(330)를 폐쇄함으로써, 에어커튼을 형성하는 일부의 냉매가스 또는 에어커튼으로 막지 못하고 배출부(300)로 방출된 냉매가스가 배출부(300)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전달부(400)를 통해 전달된 냉매가스는 열 교환부(100)에서 열 교환을 한 이후에 제1 전달부(20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냉매가스와 열 교환을 하는 매개물은 팬(12)에 의해 하우징(11)으로 유입되는 공기이다.
이렇게 열 교환을 한 냉매가스는 기체 상을 갖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되며, 이러한 냉매가스는 제1 전달부(200)를 거쳐 압축기(30)로 전달된다.
이때, 제1 전달부(200)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타단부, 즉 제1 전달부(200)의 타단부(210)에 연결된 제1 밸브(230)는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가 응축기로 사용되는 경우와 달리 개방될 것이다.
그리고, 제1 전달부(200)를 거쳐 압축기(30)로 전달된 냉매가스는 압축기(30)에 연결된 4방 밸브(80)에 의해 실내기(60)를 향해 유동하게 되어, 실내를 난방하게 되며, 이러한 냉매가스의 유동은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동안 반복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가 응축기로 사용되는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다.
냉방을 위하여, 액체 상을 갖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가 기체 상을 갖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로 상변화를 하면서 실내기(60)에서는 열을 흡수(냉방)한다.
이후, 기체 상을 갖는 저온·저압의 냉매가스는 압축기(30)를 지나면서 기체 상을 갖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되고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10)의 하우징(11) 내로 들어온다.
이때, 공급배관(20)에서는 기체 상을 갖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팽창밸브(40)를 향하여 유동하지 않도록 냉매가스를 제어한다. 즉, 냉매가스는 도 6에서 ②번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한다. 한편, 유분리기(90)에서는 냉매가스의 오일 성분을 제거한다.
이후, 압축기(30)를 지난 고온·고압의 냉매가스는 제1 전달부(200)를 통해 열 교환부(100)의 사행관으로 전달된다. 이때, 제1 전달부(200)를 통해 전달되는 냉매가스가 제2 전달부(400)로 방출되어서는 안 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크 밸브(70)가 마련되다.
체크 밸브(70)는 역류방지밸브의 일종으로,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배관(20) 내부에 마련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팽창밸브(40)와 그 위치를 바꿀 수도 있다. 이러한 체크 밸브(70)를 통해 제1 전달부(200)에서 전달되는 냉매가스는 제2 전달부(400)로 방출되지 않으며, 더욱 효율적으로 냉매가스를 양방향 순환시킬 수 있다.
한편, 냉매가스는 압축기(30)에서 제1 전달부(200)로 유동하는 과정에 있어서, 전량이 열 교환부(100)로 유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1 전달부(200)에 토출부가 형성된 경우에는 토출부로도 유동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토출부에는 제1 밸브(2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전달부(200)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 연결된 제1 밸브(230)를 폐쇄함으로써, 제1 전달부(200)에서 열교환부(100)로 유동하는 냉매가스 중 일부가 열교환 없이 4방 밸브(80)로 바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전달부(200)를 통해 전달된 냉매가스는 열 교환부(100)에서 열 교환을 한 이후에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냉매가스와 열 교환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팬(12)에 의해 하우징(11)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전술한 제2 밸브(330)는 열교환을 한 냉매가스가 배출부(300)를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렇게 열 교환을 한 냉매가스는 액체 상을 갖는 고온·고압의 냉매가스가 되며, 이러한 냉매가스는 제2 전달부(400)를 거쳐 팽창밸브(40)로 전달된다. 이때, 제2 전달부(400)를 거쳐 팽창밸브(40)로 전달된 냉매가스는, 팽창밸브(40)에 연결된 4방 밸브(80)에 의해 실내기(60)를 향해 유동하게 되어, 실내를 냉방하게 되며, 이러한 냉매가스의 유동은 사용자가 선택한 시간동안 반복될 것이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실외기 20 : 공급배관
30 : 압축기 40 : 팽창밸브
50 : 리시버 탱크 60 : 실내기
70 : 체크 밸브 80 : 4방 밸브
90 : 유분리기
100 : 열 교환부 110 : 사행관의 일측단
120 : 사행관의 타측단 200 : 제1 전달부
210 : 제1 전달부의 일단부 220 : 제1 전달부의 타단부
230 : 제1 밸브 300 : 배출부
330 : 제2 밸브 400 : 제2 전달부
410 : 제2 전달부의 일단부 412 : 홀
420 : 제2 전달부의 타단부

Claims (6)

  1. 압축기에서 공급된 고온의 냉매가스 또는 팽창밸브에서 공급된 저온의 냉매가스를 대기와 열 교환시키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에 있어서,
    냉매가스가 사행으로 교차되어 유동하면서 대기와 열 교환하는 사행관이 각각 단을 형성하여 다단식으로 마련되는 열 교환부;
    상기 압축기에서 공급받은 고온의 냉매가스를 상기 사행관들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달관의 각 일단부는 상기 사행관들의 각 일측단과 연결되고, 상기 전달관의 각 타단부는 압축기와 연결되는 제1 전달부;
    상기 제1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냉매가스가 상기 사행관을 따라 유동한 이후에 배출되도록, 상기 사행관들의 각 타측단과 연결되는 배출부; 및
    상기 팽창밸브에서 공급받은 저온의 냉매가스를 상기 사행관으로 전달하는 다수의 전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전달관의 각 일단부는 상기 배출부를 관통하여 상기 사행관들의 각 타측단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전달관의 각 타단부는 팽창밸브와 연결되는 제2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 연결된 제1 밸브는 폐쇄되고, 상기 배출부에 연결된 제2 밸브는 개방되어,
    상기 제1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고온의 냉매가스가 상기 열 교환부에서 열 교환을 한 이후에 상기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 연결된 제1 밸브는 개방되고, 상기 배출부에 연결된 제2 밸브는 폐쇄되어,
    상기 제2 전달부로부터 전달된 저온의 냉매가스는 상기 열 교환부에서 열 교환을 한 이후에 상기 제1 전달부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일단부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전달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냉매가스 중 일부가 상기 홀을 통과하면서 에어커튼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전달부에서 상기 열교환부로 유동하는 냉매가스가 다시 상기 제2 전달부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은,
    상기 제2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내측면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보다 외측면에 인접한 부분의 직경이 더 크도록 경사져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달부를 구성하는 전달관의 각 타단부에 체크 밸브가 마련되어,
    상기 열교환부에서 상기 배출부로 유동하는 냉매가스가 상기 제2 전달부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KR1020100071961A 2010-04-08 2010-07-26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KR100980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388 2010-04-08
KR20100032388 2010-04-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726B1 true KR100980726B1 (ko) 2010-09-07

Family

ID=4300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961A KR100980726B1 (ko) 2010-04-08 2010-07-26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72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893A (ja) 2000-12-18 2002-07-05 Denso Corp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79276A (ja) 2002-03-19 2003-10-02 Toyo Radiator Co Ltd 熱交換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8893A (ja) 2000-12-18 2002-07-05 Denso Corp 熱交換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3279276A (ja) 2002-03-19 2003-10-02 Toyo Radiator Co Ltd 熱交換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20651A1 (ja) 空気調和装置
CN107860151B (zh) 热泵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EP2489965A1 (en) Air-conditioning hot-water supply system
CN105283718A (zh) 空调装置
CN103292523A (zh) 一种带有回热器的冷热双制空调系统
CN107655233A (zh) 空调器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CN207214503U (zh) 空调器系统及具有其的空调器
CN106288564A (zh) 空调系统
CN106288476A (zh) 一种双温升的复叠式热泵
CN101660849B (zh) 空调系统
KR100761285B1 (ko) 공기조화기
JP2010078164A (ja) 冷凍空調装置
EP2771627B1 (en) Regenerative air-conditioning apparatus
WO2017192612A1 (en) Air conditioning and heat pump tower with energy efficient arrangement
CA3028624C (en) Central air conditioning and heat pump system with energy efficient arrangement
JP2010078165A (ja) 冷凍空調装置
KR100980726B1 (ko) 양방향 순환 히트 펌프용 실외기
KR102136878B1 (ko) 공기 조화기
CN106123387B (zh) 一种蒸发前置气液分离装置的微通道热泵回路
CN108007010B (zh) 一种热泵系统
CN206905361U (zh) 一种风冷冷凝器
CN105987542A (zh) 换热机组
CN106949670B (zh) 制冷系统及控制方法
CN205580039U (zh) 换热机组
JP7390761B2 (ja) 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用いた冷暖房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