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941B1 -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 Google Patents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941B1
KR100979941B1 KR1020100031984A KR20100031984A KR100979941B1 KR 100979941 B1 KR100979941 B1 KR 100979941B1 KR 1020100031984 A KR1020100031984 A KR 1020100031984A KR 20100031984 A KR20100031984 A KR 20100031984A KR 100979941 B1 KR100979941 B1 KR 1009799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hair
support plate
motor
sl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1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준모
Original Assignee
성준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준모 filed Critical 성준모
Priority to KR1020100031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9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9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9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6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of legless type, e.g. with seat directly resting on the floor; Hassocks; Pouff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3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12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 A47C31/126Means, e.g. measuring means for adapting chairs, beds or mattresses to the shape or weight of person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5/00Chairs of special materials
    • A47C5/04Metal chairs, e.g. tubula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A47C7/462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adjustable by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44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가 개시된다. 박스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뒷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탱하는 받침판과, 몸체 내에 수용되며, 받침판에 연결되어 착석한 사용자에 의한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센서와, 몸체의 뒷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의 등받이와, 등받이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래크(rack)와, 몸체 내에 수용되며, 등받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과, 몸체 내에 수용되며, 등받이가 몸체에 부착되도록 등받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전자석과, 하중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상응하여 등받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하중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값에 상응하여 등받이의 몸체에 대한 부착 정도가 조절되도록 전자석으로부터 생성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는, 의자의 등받이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고, 하중 센서에 의해 등받이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체중 등의 신체 조건에 따라 등받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착석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Chair with improved sense of seating}
본 발명은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등받이의 지지력을 조절함으로써 착석감을 향상시킨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의자는 사람이 앉기 위한 가구의 하나로서, 받침대, 등받이, 받침다리, 팔걸이 등으로 이루어진다. 의자를 사용하는 생활권에서는 각 시대의 생활양식 및 생활의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기능 및 형태를 갖는 다양한 의자가 고안되어 왔다.
종래의 의자는 형태 및 구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개의 의자를 연결하여 침대나 소파 등 다른 용도로 사용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의자 자체가 독립된 하나의 가구로서 배치되기 때문에, 수납함이나 인테리어 소품 등 다른 기능을 가지는 가구로 전용(轉用)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나아가, 종래의 의자는 원목, 파티클 보드, 합판, 합성피혁, 가죽, 천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재료의 남용은 환경 파괴나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상태(체중 등)에 따라 등받이가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착석감을 향상시킨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그 뒷면으로 개방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뒷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탱하는 받침판과, 몸체 내에 수용되며, 받침판에 연결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센서와, 가이드 돌기와 정합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몸체의 뒷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고,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몸체의 뒷판을 이루어 수납공간이 차폐되도록 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의 등받이와, 등받이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래크(rack)와, 몸체 내에 수용되며, 등받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과, 몸체 내에 수용되며, 자력을 생성하여 등받이가 몸체에 부착되도록 등받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전자석과, 하중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상응하여 등받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하중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값에 상응하여 등받이의 몸체에 대한 부착 정도가 조절되도록 전자석으로부터 생성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가 제공된다.
등받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에 결합되어, 등받이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수납공간을 차폐하도록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차폐막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는, 받침판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에는 등받이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받침판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는 등받이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받침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에 비례하여 전자석으로부터 생성되는 자력이 증감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잇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의자의 등받이를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고, 하중 센서에 의해 등받이의 슬라이딩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의자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체중 등의 신체 조건에 따라 등받이가 자동으로 조절되어 착석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작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작동 방식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수납공간(3), 차폐막(5), 몸체(10), 가이드 돌기(13), 받침판(14), 등받이(16), 래크(17), 가이드 홈(19), 하중 센서(22), 모터(26), 피니언(27), 전자석(28), 컨트롤러(30)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의자의 등받이를 몸체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착석한 사람의 신체조건, 예를 들면 체중에 맞게 의자의 등받이가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착석감 및 인간지향성(Humane Orientation)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의자를 사용하다보면 등받이가 필요할 때도 있지만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기 때문에, 마치 슬라이드식 핸드폰처럼 등받이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몸체(10), 다리, 등받이(16)를 기본 구조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몸체(10)는 의자의 기본 골격을 이루는 구조체로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정육면체나 직육면체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몸체(10)를 박스 형태로 구현할 경우 몸체(10) 내의 빈 공간은 수납공간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수납용 가구의 역할을 할 수 있어 하나의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기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의 뒷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등받이(16)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등받이(16)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몸체(10)의 뒷면이 노출됨에 따라 몸체(10) 내의 수납공간(3) 또한 몸체(10)의 뒷면쪽으로 개방될 수 있다.
이 경우, 등받이(16)는 몸체(10)의 뒷면에 대하여 커버 역할, 즉 몸체(10)에 대한 뒷판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등받이(16)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몸체(10)의 뒷면이 가려지고 등받이(16)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몸체(10)의 뒷면이 노출될 수 있다. 등받이(16)에 의해 몸체(10)의 뒷면이 커버됨에 따라 몸체(10) 내의 수납공간(3) 또한 등받이(16)의 슬라이딩에 따라 외부로 개방되거나 차폐될 수 있다.
이처럼, 등받이(16)가 몸체(10)의 뒷면 및 수납공간(3)에 대한 커버 역할을 할 경우, 등받이(16)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더라도 수납공간(3)은 여전히 차폐된 상태가 되도록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16)에는 차폐막(5)이 결합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등받이(16)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등받이(16)에 차폐막(5)을 결합함으로써, 등받이(16)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몸체(10)의 뒷면이 노출되더라도 차폐막(5)이 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차폐막(5)이 없었더라면 외부로 개방될) 수납공간(3)이 여전히 차폐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몸체(10)의 뒷면에는 판상(板狀)의 등받이(16)가 결합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16)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몸체(1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되는 몸체(10)의 뒷판에 해당하는 부분 전체(또는 일부)가 등받이(16)로서, 전체적으로(또는 부분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는, 몸체(10)의 뒤쪽으로 등받이(16)가 수납, 인출될 수 있는 홈을 파고, 등받이(16)가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몸체(10) 내에 수납되어 있다가, 등받이(16)가 위쪽으로 이동할 경우에는 몸체(10)에 파여진 홈을 통해 등받이(16)가 인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등받이(16)가 몸체(10) 내에 수납된 상태일 때 등받이(16)의 상면과 몸체(10)의 상면이 같은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등받이(16)가 수납된 상태일 때에는 외견상 박스 형태의 몸체(10)만이 보이도록 함으로써, 의자의 디자인적인 미감을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등받이(16)의 슬라이딩 작동을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 및/또는 등받이(16)에는 다양한 슬라이딩 기구(機構)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10)의 뒷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기(13)을 형성하고, 등받이(16)에는 가이드 돌기(13)에 정합되는 가이드 홈(19)을 형성하여 등받이(16)가 몸체(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돌기(13)(또는 가이드 홈(19))의 양단부에는 단턱을 형성하여 등받이(16)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한계점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등받이(16)가 하방으로 슬라이딩할 경우에는 어느 한쪽의 단턱에 가이드 홈(19)(또는 가이드 돌기(13))가 걸려 등받이(16)가 더 이상 아래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고, 등받이(16)가 상방으로 슬라이딩할 경우에는 다른 한쪽의 단턱에 가이드 홈(19)(또는 가이드 돌기(13))가 걸려 등받이(16)가 더 이상 위쪽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속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등받이(16)의 양단부에 가이드 홈(19)이 형성된 경우, 가이드 홈(19)에 일정 간격으로 요(凹)홈(미도시)을 형성하고, 가이드 돌기(13)에는 스프링 등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 스토퍼(stopper, 미도시)를 설치함으로써, 등받이(16)가 몸체(10)에 대해 연속적으로 슬라이딩되지 않고, 요홈이 형성된 간격에 따라 단속적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몸체(10)와 등받이(16)의 결합 부위에 스토퍼 기구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등받이(16)를 일정 높이만큼 상방향(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5cm 간격으로 요홈을 형성할 경우, 등받이(16)를 30cm만큼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등받이(16)를 스토퍼에 의해 구속되는 6단계만큼 위쪽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
또한, 전술한 것처럼 슬라이딩 기구에 스토퍼를 더 설치하면, 등받이(16)가 자중으로 인하여 아래쪽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것처럼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등받이(16)를 슬라이딩시킬 경우에도, 소정 높이만큼 슬라이딩된 등받이(16)가 스토퍼에 의해 구속되므로 등받이(16)의 자중을 부담하기 위한 모터(26)의 구동력을 보다 적게 하거나, 모터(26)를 정지시키더라도 등받이(16)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16)는 몸체(10)의 뒷면(및 수납공간(3))에 대하여 커버 역할을 하여, 등받이(16)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몸체(10)의 뒷면(및 수납공간(3))이 차폐되고 등받이(16)가 상방으로 슬라이딩되면 몸체(10)의 뒷면(및 수납공간(3))이 노출되도록 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16)는 사람이 수동으로 움직일 수도 있으나, 모터(26)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자동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몸체(10) 내에 모터(26)를 설치하고, 후술하는 컨트롤러(30)로부터 신호를 받아 모터(26)가 작동되도록 하여, 모터(26)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등받이(16)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모터(26)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등받이(16)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모터(26)의 구동축에는 피니언(pinion)(27) 기어를 결합하고, 등받이(16)의 전면에는 피니언(27)과 치합하는 래크(rack)(17)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모터(26)의 회전에 따라 등받이(16)가 상하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래크(17)를 등받이(16)의 일측(또는 양측)으로 배치함으로써, 등받이(16)의 중앙 부분에 착석자의 등을 받칠 수 있는 쿠션 등의 탄성 재질을 부착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몸체(10) 내, 특히 등받이(16)와 면하는 위치에 전자석(2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전자석(28)은 공급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소정 크기의 자력을 생성하는데, 등받이(16)의 전체 또는 일부를 금속 재질과 같은 자성체로 제작할 경우, 전자석(28)으로부터 생성되는 자력에 의해 등받이(16)는 전자석(28)의 방향으로 끌어 당겨지는 인력(引力)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등받이(16)가 몸체(10)에 부착되는 힘의 세기가 달라지게 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석(28)은 등받이(16)가 몸체(10)에 부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등받이(16)의 일부(도 1의 'S' 참조)를 금속 재질로 제작하고, 이에 상응하여 몸체(10) 내에 전자석(28)을 배치함으로써, 등받이(16)가 몸체(10) 쪽으로 끌어 당겨져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석(28)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전자석(28)에 의해 생성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로써 후술하는 것처럼 착석자의 체중에 따라 등받이(16)에 가해지는 하중을 버틸 수 있도록, 등받이(16)가 몸체(10)에 부착되는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부응하여 등받이(16)의 지지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위해 몸체(10) 내에는 착석자의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센서(22)가 설치될 수 있다.
하중 센서(22)는 가해지는 하중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서로서, 로드셀, 압전소자, 압력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의자에 착석하는 사람의 체중을 보다 정확히 감지할 수 있도록, 사람의 체중 범위(예를 들면, 수십 kg 범위)에서의 센싱 감도가 우수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의자 몸체(10)의 상면에는 받침판(14), 즉 착석하는 사람의 엉덩이 부분을 지탱하는 지지판이 결합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하중 센서(22)는 착석자의 체중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받침판(14)에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에 사람이 앉게 되면 착석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받침판(14)이 가압되며, 받침판(14)에 연결되어 설치된 하중 센서(22)는 착석자의 체중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몸체(10) 내에는 착석자의 신체조건에 따라 등받이(16)의 높낮이 및/또는 지지력을 조절하는 제어부, 즉 컨트롤러(controller)(30)가 설치될 수 있다. 컨트롤러(30)는 하중 센서(22)로부터 신호를 받아 등받이(16)의 높낮이 및/또는 지지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평소에는 등받이(16)가 내려가 있다가 의자에 사람이 앉으면 등받이(16)가 올라오는 기능, 및 사람의 체중을 지탱하기 위해 등받이(16)의 지지력, 즉 등받이(16)가 몸체(10)에 부착되는 힘의 세기가 조절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첫째, 하중 센서(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모터(26)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판(14)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하중 센서(22)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면, 10kgf 이상)에 상응하는 신호가 생성,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30)는 등받이(16)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모터(26)를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받침판(14)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 하중 센서(22)로부터 미리 설정된 기준치(예를 들면, 10kgf 미만)에 상응하는 신호가 생성,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30)는 등받이(16)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모터(26)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는 하중 센서(2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모터(26)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착석자의 착석 유무에 따라 등받이(16)가 자동으로 상향 또는 하향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둘째, 하중 센서(22)에 의해 측정된 하중값에 상응하여 전자석(28)으로부터 생성되는 자력의 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받침판(14)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 하중 센서(22)로부터 사용자의 체중값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가 생성, 전송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컨트롤러(30)는 등받이(16)가 착석자의 체중을 지탱하도록 전자석(28)에 제공되는 전류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체중이 무거운 사람이 의자에 앉으면 자력의 세기를 증가시키고, 체중이 가벼운 사람이 의자에 앉으면 자력의 세기를 감소시킴으로써, 착석자의 중량에 비례하여 등받이(16)가 착석자를 지탱하는 힘을 조절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30)는 하중 센서(22)로부터 측정된 착석자의 체중에 따라 전자석(28)의 자력을 제어함으로써, 착석자의 체중에 따라 등받이(16)가 자동으로 균일한 힘으로 착석자를 지탱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석자의 체중에 상관없이 같은 정도의 변형량(예를 들면, 5cm)이 생기면서 착석자를 지탱하도록 등받이(16)의 몸체(10)에 대한 부착력을 조절함으로써, 이른바 '듀오백' 의자의 등받이(16)와 같이 착석감을 향상시키고 착석 자세를 교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의 몸체(10)는 사탕무가 주원료인 PLA(polylactic acid) 기반의 생분해 플라스틱을 주재료로 하여 제작될 수 있으며, 몸체(10) 상면에 결합되는 받침판(14)은 초산을 사용하지 않은 친환경 실리콘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처럼, 친환경 재료를 사용하여 의자를 제작함으로써 상품에 친환경적인 이미지를 줄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를 생산, 판매하는 기업의 이미지 제고에도 이바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 따른 의자는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종래의 의자와는 차별성을 가지도록 하였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기존 의자의 조잡함을 없애고 보다 심플하고 단순한 디자인으로 의자를 제작함으로써 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의자 3 : 수납공간
5 : 차폐막 10 : 몸체
13 : 가이드 돌기 14 : 받침판
16 : 등받이 17 : 래크
19 : 가이드 홈 22 : 하중 센서
26 : 모터 27 : 피니언
28 : 전자석 30 : 컨트롤러

Claims (4)

  1. 그 뒷면으로 개방되는 수납공간을 포함하는 박스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뒷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와;
    상기 몸체의 상면에 결합되며, 착석한 사용자의 엉덩이 부분을 지탱하는 받침판과;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받침판에 연결되어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상기 받침판에 가해지는 하중을 감지하는 하중 센서와;
    상기 가이드 돌기와 정합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여 상기 몸체의 뒷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이 노출되도록 하고,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몸체의 뒷판을 이루어 상기 수납공간이 차폐되도록 하며, 금속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판상의 등받이와;
    상기 등받이의 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래크(rack)와;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며, 상기 등받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며, 상기 래크에 치합되는 피니언(pinion)과;
    상기 몸체 내에 수용되며, 자력을 생성하여 상기 등받이가 상기 몸체에 부착되도록 상기 등받이에 자력을 인가하는 전자석과;
    상기 하중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등받이가 상하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고, 상기 하중 센서에 의해 측정된 하중값에 상응하여 상기 등받이의 상기 몸체에 대한 부착 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생성되는 자력의 세기를 조절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등받이에 결합되어, 상기 등받이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수납공간을 차폐하도록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차폐막을 더 포함하는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받침판에 사용자가 착석한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상기 받침판에 사용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등받이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받침판에 착석한 사용자의 체중에 비례하여 상기 전자석으로부터 생성되는 자력이 증감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KR1020100031984A 2010-04-07 2010-04-07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KR1009799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84A KR100979941B1 (ko) 2010-04-07 2010-04-07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1984A KR100979941B1 (ko) 2010-04-07 2010-04-07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9941B1 true KR100979941B1 (ko) 2010-09-06

Family

ID=43009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1984A KR100979941B1 (ko) 2010-04-07 2010-04-07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9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72A (ko) * 2021-03-24 2022-10-04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퍼스널 모빌리티
WO2023039623A1 (de) * 2021-09-16 2023-03-23 Sanlas Hold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passung der kontur eines rückenelements an die haltung einer pers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856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체중 감응식 가동 시트백이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19980061156U (ko) * 1997-03-21 1998-11-05 임경춘 헤드레스트 상승장치 `
JPH11332929A (ja) 1998-05-22 1999-12-07 Toshiba Tec Corp 座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60122717A (ko) * 2005-05-26 2006-11-30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2856A (ko) * 1996-12-30 1998-10-07 김영귀 체중 감응식 가동 시트백이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19980061156U (ko) * 1997-03-21 1998-11-05 임경춘 헤드레스트 상승장치 `
JPH11332929A (ja) 1998-05-22 1999-12-07 Toshiba Tec Corp 座椅子式マッサージ機
KR20060122717A (ko) * 2005-05-26 2006-11-30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2972A (ko) * 2021-03-24 2022-10-04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퍼스널 모빌리티
KR102483477B1 (ko) * 2021-03-24 2022-12-29 울산과학기술원 가변형 퍼스널 모빌리티
WO2023039623A1 (de) * 2021-09-16 2023-03-23 Sanlas Holding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anpassung der kontur eines rückenelements an die haltung einer pers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97175C2 (ru) Сидень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RU2699966C1 (ru) Режим спального места переднего сиденья и его функции
US10368646B2 (en) Chair back with adjustable lumbar support
CN107772880B (zh) 用户定制地设定按摩椅初始位置的方法及应用其的按摩椅
US20100295354A1 (en) Chair adapted to adjust according to person's sitting-posture vertebral curve (i)
US11612251B2 (en) Control panel for furniture and home entertainment system
JP2012514559A (ja) 航空機乗客シート位置制御装置
EP3434148A1 (en) Electrically adjustable furniture unit and method for assembling an electrically adjustable furniture unit
KR100979940B1 (ko) 등받이 높이조절 기능을 구비한 의자 및 이를 이용한 의자 결합체
CN108725265A (zh) 控制车辆座椅总成的方法
KR20130002526U (ko) 사무용리클라이너
CN105902050A (zh) 一种沙发自动调节装置
KR100979941B1 (ko) 착석감이 향상된 의자
JP5054153B2 (ja) マッサージ機
KR200465611Y1 (ko) 의자용 시트의 슬라이딩구조
JP6352763B2 (ja) 着席状態を確認しうる椅子
JP2013244886A (ja) 車両用シート
US20190031050A1 (en) Lift unit for a vehicle seat
KR200390797Y1 (ko) 의자가 일체로 구비된 컴퓨터용 책상
JP5081275B2 (ja) マッサージ機
JP7274165B2 (ja) 着座姿勢判定装置、椅子、着座姿勢判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088969A (ko) 앉은 자세 균형 훈련용 의자 시스템
EP3556251B1 (en) Interactive seat
CN210169484U (zh) 一种具有手机控制功能的智能沙发
KR102423238B1 (ko) 착탈식 신체 후위 지지부재가 구비된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