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887B1 -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887B1
KR100979887B1 KR1020080015136A KR20080015136A KR100979887B1 KR 100979887 B1 KR100979887 B1 KR 100979887B1 KR 1020080015136 A KR1020080015136 A KR 1020080015136A KR 20080015136 A KR20080015136 A KR 20080015136A KR 100979887 B1 KR100979887 B1 KR 100979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 cucumber
hyperlipidemia
extract
cholestero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955A (ko
Inventor
이기세
김광우
김옥선
조순영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1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887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6Echinodermata, e.g. starfish, sea cucumbers or sea urch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삼 (Stichpus japonicus)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해삼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은 고지혈증 동물모델의 혈중 지질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항고지혈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조성물은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해삼, 고지혈증, 콜레스테롤, 트리톤 WR-1339, 폴록사머-407

Description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 composition comprising the powdered form or extract of sea cucumber (Stichpus japonicus) as an active ingredient showing anti-hyperlipidemia activity}
본 발명은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중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문헌 1] 강진경, 생활습관병의 개념, 대한의사협회지, 3월호. pp188-190, 2004
[문헌 2]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건강보험 심사통계지표, 2003
[문헌 3]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pp49-58, 2005
[문헌 4] 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 pp473-484, 1994
[문헌 5] Ham IH et al., Kor . J. Herbology, 20, pp45-52, 2005
[문헌 6] Lee HH et al., Korean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문헌 7] Choi JY et al., J. Kor . Pharm . Sci ., 18, pp240-241, 1988
[문헌 8] Kim KK et al., J. Kor . Pharm . Sci ., 28, pp15-23, 1998
[문헌 9] 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문헌 10] Stellato C. et al., Br . J. Anaesth ., 67, pp751-758, 1991
[문헌 11] Wout G. M. et al., J. Paren . Sci . & Technol ., 46, pp192-200, 1992
[문헌 12] 홍성윤, 한국해양척추동물도감, pp442-452, 2006
[문헌 13] E. Tanikawa, Bull . Fac . Fish . Hokkaido Univ . 5, pp338, 1953
[문헌 14] T. Motohiro,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 26, pp1171, 1960
[문헌 15] P.A. Mourao et al.,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 166, pp639, 1987
[문헌 16] R.P. Viera et al., Biochemistry . 32, pp2254, 1992
[문헌 17]芦己勝朗. 水産食品成分の機能性について.月刊 Food Chemical. 1989-2, pp52-56, 1989
[문헌 18] AOAC. Offic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69-74, 1995
[문헌 19] 日本厚生省. 食品衛生指針-I. 日本厚生省出版. 東京. 30, 1960
[문헌 20] W. Richmond, Clin . Chem ., 22, pp1579, 1976
[문헌 21] M.W. Mc Gowan et al., Clin . Chem . 29, pp538, 1983
[문헌 22] H. Kusama et al., Folia pharmacol . japon 92, pp175-180, 1988
현대인은 산업의 발달로 풍요롭고 편리한 삶을 영위하게 되었다. 그로 인해 높은 수준의 의술이 평균수명의 연장을 이끌어 냈지만, 한 편에서는 생활습관병이라는 새로운 질병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생활습관병이란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성인병을 2003년 이후로 개칭하여 불리고 있는 질병인데, 고혈압, 알레르기, 비만, 당뇨, 간경변, 심장질환, 암등이 모두 여기에 속한다. 생활습관병이란 개념을 도입하게 된 이유는, 이들 질병이 식습관, 생활양식 및 환경적요인 등을 개선함으로서 치료가 가능한 질병이기 때문이다 (강진경, 생활습관병의 개념, 대한의사협회지, 3월호, pp188-190, 2004).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서 조사한 생활습관병 관련 자료를 보면 2000년 대비 의료기관이용 환자수 증가는 골다공증 (89.3%), 고콜레스테롤 (80.9%), 고혈압 (53.9%), 당뇨병 (45.5%), 심장병 (29.0%)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료건수의 연평균 증가률은 고콜레스테롤이 21.8%로 가장 높았고 당뇨는 3.4%로 나타났다 (건강보험 심사평가원, 건강보험 심사통계지표, 2003; 보건복지부, 국민건강영양조사, pp49-58, 2005). 이에,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고지혈증 관련 질병과 당뇨 관련 질병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고지혈증 (hyperlipidemia)은 혈액 속의 지질성분이 보통 이상으로 증가된 상태를 말한다. 혈청지질의 주요 성분을 콜레스테롤, 중성지질, 인지질 및 유리지방산 등의 지용성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지질 물질 중 어느 것이 주로 증가 하느냐에 따라 고콜레스테롤혈증 (hypercholesterinemia), 고중성지질혈증 (hypertriglyceridemia) 등으로 불리운다. 혈청 내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증가가 고지혈증의 가장 일반적인 원인으로 취급되고 있는데 과다한 지방질의 축적으로 혈액순환장애 및 미세순환부전을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죽상동맥경화증, 허혈성 심질환, 뇌경색, 고혈압, 비만, 당뇨병 등을 초래할 수 있다 (Schoen FJ et al., Robbins pathologic basis of disease, 5th ed., pp473-484, 1994).
동맥경화의 원인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혈장 지질, 특히 혈장콜레스테롤 (cholesterol) 및 중성지질의 상승이 가장 중요한 위험 인자의 하나로 알려져있다.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생성되며, 지단백 (lipoprotein)이라는 작고 둥근 입자형태로 혈액 중에 존재하게 되는데, 이 지단백이 콜레스테롤을 우리 몸 곳곳으로 운반한다. 지단백에는 저밀도지단백 (low density lipoprotein, LDL) 및 고밀도지단백 (high density lipoprotein, HDL) 두 종류가 있으며, 고밀도지단백은 다른 조직에서 간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기 때문에 고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 등에서 콜레스테롤이 제거되며, 반면 저밀도지단백은 간에서 주로 생성되어 인체의 다른 조직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므로 저밀도지단백이 많으면 혈관에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여서 동맥경화가 촉진되며, 혈중 콜레스테롤의 약 70%는 나쁜 콜레스테롤인 저밀도지단백으로 존재한다.
실제적으로 콜레스테롤은 인체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필수적인 구성 성분이며, 세포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영양소이고, 부신피질 호르몬, 남성 호 르몬, 여성 호르몬 등 여러 가지 호르몬의 재료가 되는 성분이며, 담즙을 만드는 재료가 된다. 또한 콜레스테롤은 생체막의 구성성분인 동시에 호르몬 합성의 출발물질로 쏘이는 등 인체에 반드시 필요한 영양소이다. 그러나 콜레스테롤 과다 섭취시 혈관 내에 축적되어 심장계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는 저콜레스테롤 식이요법 외에는 예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콜레스테롤 저하제 등의 약품 복용이 효과는 있으나, 콜레스테롤 합성효소의 작용억제에 따른 간 기능 장애와 같은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이유로 인하여 사용이 극히 제한적이다.
인체 내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로는 키토산 (chitosan), 피토스테롤 (phytosterol), 이노시톨 (inositol), 펙틴 (pectin) 등이 있으나, 피토스테롤을 제외한 경우 그 효과나 대사 기작이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식물성 스테롤인 피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과의 구조적 유사성으로 인하여, 인체에 해로운 저밀도 지단백-콜레스테롤과의 경쟁을 통하여 인체 내 콜레스테롤 흡수 대사를 저해하는 작용 기작이 이미 밝혀져 있고, 식품첨가물로서 미국식품의약국 (FDA)의 승인이 되어 있다.
혈장 콜레스테롤 상승의 또 하나의 큰 원인으로서, 근래 달걀, 버터, 육류 등을 대량으로 섭취하는 식생활에 의한 지방의 과잉 섭취를 들 수 있으며, 이것은 젊은 연령층에서도 현저히 나타나고 있다. 식사성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통상 위독한 고콜레스테롤혈증에는 이르지 않으나, 젊은 연령기부터 혈관에 서서히 콜레스테롤이 축적하여 성인에 이르러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것이 문제이며, 고중성지질혈증 (hypertriglyceridemia)과 더불어, 심근경색이나 뇌경색을 초래할 위험성 이 있다.
실험적 고지혈증의 병태 모델은 크게 외인성 모델과 내일성 모델로 나누어진다. 외인성 고지혈증 병태 모델로는 고콜레스테롤식이 부하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모델, 즉 비타민 D, 콜레스테롤, 올리브유, 옥수수유 등의 투여에 의한 고지혈증 모델이 있고, 내인성 고지혈증 모델로는 과당 (fructose) 투여 및 트리톤 WR-1339 (Triton WR-1339) 투여에 의한 모델 등이 있다 (Ham IH et al., Kor . J. Herbology, 20, pp45-52, 2005). 그 중 폴록사머-407 (Poloxamer-407)은 마취제의 유화제 (Lee HH et al., Korean J. Anesthesiol, 40, pp515-521, 2001), 난용성 약물 용해제 (Choi JY et al., J. Kor . Pharm . Sci ., 18, pp240-241, 1988), 피부연고제 (Kim KK et al., J. Kor . Pharm . Sci ., 28, pp15-23, 1998) 등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인체 내 투여 시 지질이 증가하며 특히 중성지질이 증가됨으로써 고지혈증을 유발한다. 폴록사머 주입 후 최소 24시간 동안 지방세포 (adipocyte)에서 유리지방산이 생성되며 (Nash VJ et al., Pharmacotherapy, 16, pp10-15, 1996), 지단백 분해효소 (lipoprotein lipase, LPL)의 작용을 방해하는 중성지질의 분해속도를 감소시키고 (Stellato C. et al., Br . J. Anaesth ., 67, pp751-758, 1991),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이 증가되는데 이는 간에서의 3-히드록시-3-메틸글루타릴 보조효소 A (HMG-CoA; 3-hydroxy-3-methylglutaryl CoA)의 활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이다 (Wout G. M. et al., J. Paren . Sci . Technol ., 46, pp192-200, 1992).
트리톤 WR-1339 (Triton WR-1339)는 비특이적 리파제 (non-specific lipase) 저해제로서, 고지혈증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중성지방, 에스테르 결합 콜레스테 롤, 인지질, 지방산 등의 혈청 농도 증가와 생체 내 실험 (in vivo) 및 시험관 내 실험 (in vitro)에서의 라이소소말 콜레스테롤 에스테라제 (lysosomal cholesterol esterase)의 활성감소가 보고되었다.
식용 해삼은 한중일 3국에 널리 분포하며, 극피동물문 (Phylum Echinodermata), 해삼강 (Class Holothuroidea), 순수목 (Order Aspidochirotida), 돌기해삼과 (Family Stichopodidae)의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 Selenka ) 등이 있다 (홍성윤, 한국해양척추동물도감, pp442-452, 2006). 해삼에 대한 연구는 영양학적 연구 외에도, 분석화학적 연구가 진행된 바 있는데, Tanikawa가 화학적 구성성분이 사후경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한 바 있고, Motohiro가 당단백질을 분리하였다는 보고가 있었다. 또한 다당류 및 당유도체 등을 분리했다는 보고도 있다 (E. Tanikawa, Bull . Fac . Fish . Hokkaido Univ . 5, pp338, 1953; T. Motohiro, Bulletin of the Japanese Society of Scientific Fisheries . 26, pp1171, 1960; P.A. Mourao et al., European Journal of Biochemistry . 166, pp639, 1987; R.P. Viera et al., Biochemistry . 32, pp2254, 1992).
수산물의 기능성은 한약재와 마찬가지로 단독성분이 아닌 복합성분으로써 작용가능성이 매우 높다 (芦己勝朗. 水産食品成分の機能性について.月刊 Food Chemical. 1989-2, pp52-56, 1989). 그런 복합성분계에 의해서 기능성이 발현될 것이라는 가정이 설사 맞지 않다 하여도, 실제 수산물 중의 기능성 식품 소재의 분리공정을 보면 잘 알려져 있는 기능성 소재를 제거해 버리는 잘못을 행하고 있다. 예를 들어, 건강기능식품소재로 잘 알려져 있는 키틴 기능성 소재의 경우, 홍게의 껍 질로부터 최종 키틴질 성분만을 얻어내기 위해 먼저 강한 HCl 전처리를 통해 골다공증예방효과가 있는 CaCO3 등 무기질을 제거하고, 더욱이 이어서 강한 NaOH 처리를 행하여 항산화능을 가진 아스타크산틴 (astaxanthin)과 대표적인 기능성 영양성분인 수산 단백질을 제거해 버린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우선 복합 성분계로서 항고지혈증 효능을 약에 가깝게 해주는 소재를 수산물에서 찾아보고자 해삼을 선택하여, 특정한 기능성 성분을 분리하지 않은 그 자체로서 기능 활성을 발현해주는지를 검토해 이들 자료를 비교할 수 있도록 같은 조건에서 기능성 검증을 위한 동물실험을 통하여 항고지혈증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해삼은 극피동물문 (Phylum Echinodermata), 해삼강 (Class Holothuroidea), 순수목 (Order Aspidochirotida) 또는 돌기해삼과 (Family Stichopodidae)의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 Selenka)에 속하는 한국, 일본 등에 서식하는 해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정의되는 추출물은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해삼 건조분말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해삼을 절단하여, 체액 및 내장을 포함하여 -100℃ 내지 0℃, 바람직하게는 -50℃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게는 12시간 동안 급냉하는 제 1단계; 감압동결 시키는 제 2단계의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해삼 건조분말을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될 수 있다. 해삼을 절단하여, 체액 및 내장을 포함하여 동결 건조시키는 제 1단계; 이를 정제수를 포함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된 용매, 바람직하게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에서 10분 내지 1시간, 바람직하게는 30분 동안 추출하는 제 2단계; 이를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시키는 제 3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을 통해 본 발명의 해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방법으로 얻어진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해삼을 0.1 내지 50 중량%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해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화합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 (sucrose) 또는 락토오스 (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 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witepsol), 마크로골 (macrogol),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삼 사용량은 환자의 나이, 성별, 체중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1 내지 100 mg/kg을 일일 1회 내지 수회 투여할 수 있다. 또한 그 투여량은 투여경로, 질병의 정도, 성별, 체중, 나이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조성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이를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각종 식품류, 분말, 과립, 정제, 캡슐, 시럽제,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고지혈증의 예방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100 ml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ml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 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 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은 천연 과일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 지만 본 발명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은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해삼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은 고지혈증 동물모델의 혈중 지질함량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항고지혈증 효과를 나타내므로, 상기 조성물은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료의 제조
1-1. 시료 준비
해삼 (Stichpus japonicus)은 강원도 주문진 근해에서 채집한 자연산으로, 2006년 12월 5에 주문진 수산시장에서 총 245마리를 구입하였다. 해삼의 평균 무게는 47.1±22.0 g, 평균 직경은 40.3±6.4 mm이며, 평균 길이는 126.3±9.5 mm로 나 타났으며, 하기 실험의 시료 (이하 “SC-1”이라 명명함)로 사용하였다.
1-2. 해삼 에탄올 가용 추출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해삼 250 g을 100 mm 간격으로 절단하여, 절단 과정 중에 흘러나온 체액 및 내장을 포함한 시료를 진공동결 건조시켜 70% 에탄올 1 L를 가하여 25℃에서 30분 동안 3회 추출한 다음, 진공농축기로 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해삼 에탄올 가용 추출물 7.8 g (이하 "SC-2"라 명명함)을 수득하였다.
1-3. 해삼 건조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해삼 250 g을 10 mm 간격으로 절단하여, 절단 과정 중에 흘러나온 체액 및 내장을 포함한 시료를 트레이 (tray)에 평평하게 얇게 깔리도록 하였다. 이때 트레이 내에 있는 시료의 중간 두께쯤에, 온도센서를 꽂은 채 -50℃에서 12시간 동안 급속동결기 (한국 일신사, DFS520) 내에 방치하여 완전히 동결시킨 뒤, 감압동결건조기 (한국 일신사, PVIFD30A)에 넣었다. 갑압동결 건조기의 원리는 트레이를 서서히 가열할 때, 시료는 거의 진공 상태에 있기 때문에, 수분이 고체에서 기체로 상이 변하게 된다. 이때 이 수증기를 다시 냉각시켜서 포집함으로서 시료의 수분은 점점 줄어들게 만드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감압동결건조기의 조건은 진공은, 5 mili torr까지 가능하며, 온도는 30℃까지 올릴 수 있다. 시료가 급격한 온도 상승에 의해 버블링 (끓어서 트레이 밖으로 넘치는 현상)을 막기 위해, 시료를 가열하는 온도는 0℃에서부터 서서히 올렸으며, 약 42시간 후 시료 및 트레이의 온도가 30℃가 되면 건조를 중단하여 해삼의 건조분말 (이하 “SC-3”라 명명함)을 수득하였다 (수율 5.3%).
참조예 1. 실험동물 및 실험식이의 준비
실험동물은 효창사이언스로부터 분양받아 동물사의 일정한 조건 (온도: 20±2℃, 습도: 40~60%, 명암: 12시간 light/dark cycle)하에서 2주가량 충분하게 적응시켜 사육한 체중 20±5 g의 ICR계 (Institute of Cancer Research, USA) 생쥐를 사용하였고, 실험 시간 전 24시간 동안 물만 주고 절식하였다. 이때 효소 활성의 일중 변동을 고려하여 실험동물을 일정시간 (오전 10:00~12:00) 내에서 처치하였다.
실험동물은 한 군당 9마리씩 3군으로 나뉘어, 일반 사료를 섭취한 대조군, 고지혈증 유발 투여한 음성 대조군 및 SC-3 투여 시험군으로 분류되었다. 상기 실시예 1-3에서 수득한 SC-3를 10% tween80에 현탁시켜 실험동물에 kg당 100, 200 mg을 경구용 존대를 사용하여 하루에 한번 씩 2주 및 4주간 섭취시켰다.
실험예 1. 일반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 1에서 수득한 해삼의 일반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AOAC법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AOAC. Offic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69-74, 1995).
구체적으로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지방은 속실렛 (Soxthlet)법, 회분은 건식회화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조단백질은 세미마이크로 킬달 (Semimicro Kjedahl) 법으로 질소를 정량한 후 질소계수 (6.25)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실험결과, 표 1 및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SC-1은 93.4%가 수분으로써 대부분이고, 조단백질 및 조회분이 전체 조성의 큰 몫을 차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SC-3은 확연하게 고형물 중의 일반성분 함량이 무기질 및 단백질이 대부분을 차지하는 반면에, 조지방 함량은 매우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분 SC-1의 총비율(%)
수분 93.4±0.1
조단백질 2.6±1.4
조지방 0.1±0.03
조회분 3.4±0.1
다당 0.5±0.01
성분 SC-3의 총비율(%)
조단백질 38.8±21.5
조지방 1.7±0.5
조회분 52.0±1.7
다당 7.6±0.2
실험예 2. 휘발성 염기질소 (VBN) 함량 측정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SC-1의 휘발성 염기질소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 콘웨이 유니트 (Conway unit)를 사용하는 미량 확산법을 하기와 같이 실험을 수행하였다 (日本厚生省. 食品衛生指針-I. 日本厚生省出版. 東京. 30, 1960).
휘발성 염기질소의 분석비커에 SC-1 2 g을 취해 증류수 16 ml를 가해 유리봉으로 잘 저어주었다. 단백질 침전을 위해 20% TCA용액 2 mL를 넣고 잘 마쇄한 다음 10분간 방치하여 원심분리하여 상징액을 취한후 시료용액으로 하였다. 콘웨이 유니트의 내실에 붕산흡수제 1 mL, 외실에 시료용액 1 mL를 넣을 다음 뚜껑을 2/3정도 덮고 다시 외실에 포화탄산칼륨 용액을 1 mL 넣은 후 재빨리 콘웨이 유니트 뚜껑을 밀어서 덮었다. 내실과 외실액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클립을 끼워 천천히 유니트를 회전시키면서 외실액 즉, 포화탄산칼륨과 시료용액을 혼합하였다. 그 후 37℃에서 80분간 방치한 후 0.01 N HCl용액으로 적정하였다. 액의 색조가 녹색에서 무색을 거쳐 미홍색으로 변할 때까지 적정한다. 공시험 (Black test)은 상기 조건의 방법에 시료 대신에 20% TCA용액을 외실에 가하였다. 이 때 사용한 0.01 N HCl용액 1 mL는 0.14 mg의 휘발성 염기질소에 해당한다. 휘발성 염기질소의 함량은 하기의 수학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휘발성염기질소 ( mg %) = 0.14×(A-B)×20×f×100/S
S : 시료채취량
A : 시료의 적정량 ( mL )
B : Blank 의 적정량 ( mL )
f : 0.01 N HCl 용액의 factor
VBN (Volatile basic nitrogen) 즉, 휘발성 염기질소란 어패류 등의 신선도를 측정하기 위한 자료로서 특히, 수산물의 초기부패의 기준으로 이용하는데, 이는 수산물별로 다소의 차이가 있다. 냉동시킨 어류의 경우는 30 mg%이고 상어나 홍어는 50 mg%, 명태와 대구류는 20 mg%, 패류와 갑각류는 20 mg%, 그 외 기타수산물은 30 mg%이다.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1-1에서 수득한 SC-1의 VBN 값은 7.7 mg% 수준으로서, 모두 초기부패 기준에 크게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아 매우 신선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폴록사머-407 (Poloxamer-407)로 유발된 고지혈증 동물 실험
Wout 등의 방법에 따라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SC-3의 마지막 투여일에 폴록사머-407 (poloxamer-407) (300 mg/kg)을 빙냉 (ice bath) 상에서 생리식염수에 용해하여 복강 내에 투여하고 24시간 후에 치사하였다 (Wout et al., J. Paren. Sci. & Technol. 46, pp192-200, 1992).
3-1. 혈중 지질함량의 측정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SC-3의 투입이 끝난 실험동물을 CO2 가스로 가볍게 마취시키고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채취한 혈액을 30분간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3-2. 총 콜레스테롤 (Total chlesterol) 함량의 측정
Richmond 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킷트 (AM 202-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즉, 빙냉 상에서 효소시약 (cholesterol esterase 20.5 U/ℓ, cholesterol oxidase 10.7 U/ℓ, sodium hydroxide 1.81 g/ℓ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13.6 g/ℓ, phenol 1.88 g/ℓ 함유)에 용해한 후 시료 20 ㎕ 에 조제한 효소시액 3.0 ㎖을 첨가한 후 37℃에서 5분간 배양하여 시약 블랭크 (blank)를 대조로 파장 5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W. Richmond, Clin. Chem., 22, pp1579, 1976).
3-3. 중성지질 (Triglyceride) 함량의 측정
McGowan 등의 방법에 준하여 조제된 킷트 (AM 157S-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즉, 빙냉 상에서 효소시약 (lipoprotein lipase 10800 U, glycerol kinase 5.4 U, peroxidase 135000 U, L-α-glycero phosphooxidase 160 U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 [N,N-bis (2-hydroxyethyl)-2-aminomethane sulfonic acid 0.427 g/㎗ 함유]에 용해한 후 시료 20 ㎕에 조제한 효소시액 3.0 ㎖을 첨가한 후 37℃ 에서 10분간 배양하여 시약 블랭크 (blank)를 대조로 파장 5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M.W. Mc Gowan et al., Clin. Chem. 29, pp538, 1983).
3-4. 통계처리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PC-STAT 프로그램으로써 각 실험군 간의 차이를 보는 던칸 다른 범위 시험법 (Duncant's multiple range test)를 적용하여 유의차 검정을 시도하였다. 이 PC-STAT 프로그램으로는 유의차검정처리구가 최소 2개에서 최대 50개까지 가능하며, 실험수치는 150개까지 입력처리가 가능하다. 즉, 여러 샘플들의 최대 150개 실험치를 한몫에 입력하여 2군 이상 50군까지 서로서로 2구간 비교 통계처리를 동시에 하여 상호간의 유의성을 비교 판단해 내는 것이다.
실험결과,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록사머-407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음성 대조군의 4주간 경구 투여시킨 후 그들의 혈중 지질의 함량과 콜레스테롤 함량 변화를 표 3에 나타내었다. 4주간 폴록사머-407로 처리된 음성 대조군의 중성지질이 1319.3 mg/dl에 비해 SC-3 200 mg/kg을 투여하였을 때, 1121.6 mg/dl로 15%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음성 대조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839.7 mg/dl에 비해 SC-3 200 mg/kg을 투여하였을 때, 795.2로 4.3%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군 투여량
(mg/kg)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mg/dl)
2 W 4W 2W 4W
대조군 96.3±13.2b 97.3±12.8b 86.3±19.2b 88.7±15.6c
음성 대조군
(Poloxamer-407)
1327.5±300.4a 1319.3±280.1a 849.2±93.4a 839.7±67.3a
SC-3 100 1342.4±201.8a 1296.4±211.7a 840.4±90.2a 805.2±39.9a
200 1298.6±210.7a 1121.6±190.3a 820.1±87.2a 795.2±37.2a
같은 문자 표지된 값들은 서로간 유의적 차이 없음 (p<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실험예 4. 트리톤 WR-1339(Triton WR-1339)로 유발된 고지혈증 동물 실험
Kusama 등의 방법에 준하여 트리톤 WR-1339 (Triton WR-1339) 투여 16시간 전부터 절식시킨 후 트리톤 WR-1339 200 ㎎/㎏를 꼬리 정맥에 주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후 18시간 후에 CO2 가스로 마취하여 채혈하였다 (H. Kusama et al., Folia pharmacol. japon 92, pp175-180, 1988).
4-1. 혈중 지질함량의 측정
상기 실시예 1-2에서 수득한 SC-3의 투입이 끝난 실험동물을 CO2로 가볍게 마취시키고 복부 대동맥으로부터 혈액을 채취하여 채취한 혈액을 30분간 방치한 후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 분리하여 혈청을 분리하고 지질함량을 측정하였다.
4-2. 총 콜레스테롤 (Total chlesterol) 함량의 측정
Richmond 등의 효소법에 의하여 조제된 킷트 (AM 202-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즉, 빙냉 상에서 효소시약 (cholesterol esterase 20.5 U/ℓ, cholesterol oxidase 10.7 U/ℓ, sodium hydroxide 1.81 g/ℓ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 (potassium phosphate monobasic 13.6 g/ℓ, phenol 1.88 g/ℓ 함유)에 용해한 후 시료 20 ㎕에 조제한 효소시액 3.0 ㎖을 첨가한 후 37℃에서 5분간 배양하여 시약 블랭크 (blank)를 대조로 파장 5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W. Richmond, Clin . Chem ., 22, pp1579, 1976).
4-3. 중성지질 (Triglyceride) 함량의 측정
McGowan 등의 방법에 준하여 조제된 킷트 (AM 157S-K, Asan)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즉, 빙냉 상에서 효소시약 (lipoprotein lipase 10800 U, glycerol kinase 5.4 U, peroxidase 135000 U, L-α-glycero phosphooxidase 160 U 함유)을 효소시약 용해액 [N,N-bis (2-hydroxyethyl)-2-aminomethane sulfonic acid 0.427 g/㎗ 함유]에 용해한 후 시료 20 ㎕에 조제한 효소시액 3.0 ㎖을 첨가한 후 37℃ 에서 10분간 배양하여 시약 블랭크 (blank)를 대조로 파장 55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표준 검량선에 준해 혈중 함량은 ㎎/㎗로 표시하였다 (M.W. Mc Gowan et al., Clin. Chem. 29, pp538, 1983).
4-4. 통계처리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는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균치±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PC-STAT 프로그램으로써 각 실험군 간의 차이를 보는 던칸 다른 범위 시험법 (Duncant's multiple range test)를 적용하여 유의차 검정을 시도하였다. 이 PC-STAT 프로그램으로는 유의차 검정 처리구가 최소 2개에서 최대 50개까지 가능하며, 실험수치는 150개까지 입력처리가 가능하다. 즉, 여러 샘플들의 최대 150개 실험치를 한몫에 입력하여 2군 이상 50군까지 서로서로 2구간 비교 통계처리를 동시에 하여 상호간의 유의성을 비교 판단해 내는 것이다.
트리톤 WR-1339로 고지혈증을 유발시킨 음성 대조군의 4주간 식이 후 발생한 혈중 지질함량변화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군의 혈중 중성지질은 800.1 mg/dl로 대조군에 비해 8배 이상 증가하였으나, SC-3 200 mg/kg 4주간 경구 투여한 시험군은 724.2 mg/dl로서 9.5% 감소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콜레스테롤의 경우 SC-3 200 mg/kg을 4주간 경구 투여한 시험군은 음성 대조군 190.3 mg/dl에 비하여 158.3 mg/dl으로 17%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군 투여량
(mg/kg)
중성지질 콜레스테롤
(mg/dl)
2 W 4W 2W 4W
대조군 96.2±15.2b 98.3±18.7d 81.6±10.5b 79.3±9.78d
음성 대조군
(WR-1339)
793.2±67.4a 800.1±55.6a 184.9±27.6a 190.3±16.2a
SC-3 100 785.6±49.9a 764.2±43.2ab 184.6±24.8a 169.9±14.8ab
200 765.8±51.1a 724.2±38.9ab 180.7±27.2a 158.3±16.2bc
같은 문자 표지된 값들은 서로간 유의적 차이 없음 (p<0.05, Duncan's multiple range test)
본 발명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조제
SC-3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조제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SC-2 10 mg
옥수수 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SC-3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SC-2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 (2 ml)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SC-3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정량
통상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 ml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기능식품의 제조
SC-2 1000 mg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mg
비타민 B1 0.13 mg
비타민 B2 0.15 mg
비타민 B6 0.5 mg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mg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mg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mg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mg
산화아연 0.82 mg
탄산마그네슘 25.3 mg
제1인산칼륨 15 mg
제2인산칼슘 55 mg
구연산칼륨 90 mg
탄산칼슘 100 mg
염화마그네슘 24.8 mg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기능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기능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SC-3 1000 mg
구연산 1000 mg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전체 900 ml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L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6)

  1. 한국산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 Selenka)을 절단하여, 체액 및 내장을 포함하여 -100 내지 0℃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동안 급냉하는 제 1단계; 이를 감압 동결시키는 제 2단계의 제조방법을 통해 수득된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한국산 돌기해삼 (Stichopus japonicus Selenka)을 절단하여, 체액 및 내장을 포함하여 -100 내지 0℃에서 6시간 내지 24시간동안 급냉하는 제 1단계; 이를 감압 동결시키는 제 2단계의 제조방법을 통해 수득된 건조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의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KR1020080015136A 2008-02-20 2008-02-20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9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36A KR100979887B1 (ko) 2008-02-20 2008-02-20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5136A KR100979887B1 (ko) 2008-02-20 2008-02-20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955A KR20090089955A (ko) 2009-08-25
KR100979887B1 true KR100979887B1 (ko) 2010-09-02

Family

ID=41207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5136A KR100979887B1 (ko) 2008-02-20 2008-02-20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208B1 (ko) * 2020-12-10 2023-04-06 사단법인 분자설계연구소 해삼 생식선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해삼 난소 추출물로부터 유래된 화합물, 및 이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601A (ja) * 1986-03-12 1988-01-18 Seikagaku Kogyo Co Ltd コンドロイチン硫酸誘導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0601A (ja) * 1986-03-12 1988-01-18 Seikagaku Kogyo Co Ltd コンドロイチン硫酸誘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955A (ko) 200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3163B1 (ko) 오징어젓 분말, 오징어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9889B1 (ko) 우렁쉥이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01971B1 (ko) 감귤과피 추출물 또는 나리루틴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간기능 저해 억제용 조성물 및 감귤과피로부터 나리루틴을 추출하는 방법
KR100979888B1 (ko) 우렁쉥이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9887B1 (ko)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24685B1 (ko) 새우젓 분말, 새우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6543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84059B1 (ko) 항산화 및 항동맥경화 활성을 갖는 다시마 분말 또는알긴산이 제거된 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189865B1 (ko) 명란젓 또는 명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16960A (ko) 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74433B1 (ko) 해삼의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373493B1 (ko) 톳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82046B1 (ko) 오징어젓 또는 오징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elep et al. Influence of honey addition on the bioaccessibility of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ies of different coffee types
KR20130127088A (ko) 택사 추출물을 함유하는 고지혈증 또는 동맥경화증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24730B1 (ko) 창란젓 분말, 창란젓 극성용매 가용 추출물 및 극성용매 불용성 추출 잔여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203752B1 (ko) 홍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981014B1 (ko) 아가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 또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951904B1 (ko) 솔잎착즙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zarah et al. Inclusion of Citrullus colocynthis Seed Extract into Diets Induced a Hypolipidemic Effect and Improved Layer Performance. Agriculture 2021, 11, 808
KR101027586B1 (ko) 명란젓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137931A (ko) 항비만 및 항혈전 효과를 갖는 오징어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048271B1 (ko) 연어 분획 건조 분말 또는 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00056140A (ko) 오징어 분획 건조분말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동맥경화증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20001151A (ko) 알칼리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및 동맥경화성 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