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06B1 -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 Google Patents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06B1
KR100979506B1 KR1020080026748A KR20080026748A KR100979506B1 KR 100979506 B1 KR100979506 B1 KR 100979506B1 KR 1020080026748 A KR1020080026748 A KR 1020080026748A KR 20080026748 A KR20080026748 A KR 20080026748A KR 100979506 B1 KR100979506 B1 KR 100979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itution
information
subject
database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6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557A (ko
Inventor
김종원
김규곤
이의주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동의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동의학원
Priority to KR1020080026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50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5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5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54Diagnosis based on concepts of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7Measuring of profi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1079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using optical or photograph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Abstract

본 발명은 피사체의 영상을 3D로 획득하여 디지탈 정보로 전송시키는 카메라와; 설문 내용을 전산입력시키는 설문 정보 입력기와; 사상체질 판단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카메라와 설문 정보 입력기의 전송 정보를 분석하고 연산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 처리하여 피사체의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 병증약리를 판단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여 간편하고 정확하며 일관되게 피험자의 사상체질을 진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진단하고 처방하거나 체질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을 지도할 수 있으며, 측정값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피험자의 불편함을 제거하며 정확하고 객관적인 체질 진단이 가능한 사상체질 자동진단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사상체질,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 병증약리

Description

사상체질 자동진단기{Diagnosis device of Sasang constitution}
본 발명은 피사체의 영상을 3D로 획득하여 디지탈 정보로 전송시키는 카메라와; 설문 내용을 전산입력시키는 설문 정보 입력기와; 사상체질 판단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카메라와 설문 정보 입력기의 전송 정보를 분석하고 연산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 처리하여 피사체의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 병증약리를 판단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상체질의 진단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상체질(태양인, 소양인, 태음인 및 소음인)을 간편하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진단하고 처방하거나 체질에 따른 건강관리 방법을 지도할 수 있도록 한 사상체질 진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신체적 분류를 이르는 체질은 유전적, 후천적으로 형성되며, 그 공능, 형태 및 심리적으로 표현되는 비교적 안정된 개체의 특성을 말하는 것으로서, 동서고금을 통하여 체질에 관한 견해는 다양하게 전개되어 왔는데, 의학사상 이제마의 사상체질의학은 가장 성공적인 체질론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제마(李濟馬;1937-1900)의 사상의학(四象醫學)은 "사상구조론"을 바탕으로 태양인(太陽人), 소양인(少陽人), 태음인(太陰人), 소음인(少陰人)의 네 가지 체질을 설정하고 각 체질에 대한 생리, 병리, 진단, 변증, 치료와 약물에 이르기까지 서로 연계를 갖고서 임상에 응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우수한 이론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각 체질에 따라 처방하는 약제를 달리하거나 하여, 환자를 치료할 때 정확한 체질 판단 하에서 약이 처방되면 병을 빨리 낫게 하고 환자가 기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체질 판단이 부정확하여 그릇된 처방이 적용되면 병을 낫게 하지도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환자의 병세를 악화시킬 수도 있다.
이제마가 제시한 체질 진단의 요점은 체형기상 (體形氣像), 용모사기 (容貌詞氣), 성질재간 (性質材幹), 병증약리 (病證藥理)의 4가지이다 (전국 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사상의학, 집문당, 129-131쪽, 1997). 이제마는 이러한 특성들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다양한 체질을 진단하였다.
상기 태양인은 성정이 급박하고 괴팍하며 무심해 보이는 분, 이마가 넓고 어깨가 넓으며 하체가 약한 분, 눈에서 광체가 나고 인상이 지성적인 분, 주관이 뚜렷하고 능력 밖의 큰일을 잘 저지르는 분, 미지의 세계에 대한 탐구욕이 강한 분에서 나타나며 한국인 중 태양인은 10%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소양인은 성격이 조급하고 경쾌하며 명랑한 분, 요란하고 덜렁거 리고 참을성이 없는 분, 화끈하고 기분파이고 동작이 재빠른 분, 결정이 쉽고 즉시 행동으로 옮기는 분, 상체와 어깨가 발달하고 하체가 약한 분, 신장과 방광 기능이 약한 분에서 나타나며 한국인 중 소양인은 25%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태음인은 성격이 신중하고 조심성이 많은 분, 행동이 무게 있고 느긋하며 느린 분, 장딴지와 엉덩이가 뚱뚱한 분, 장이나 기관지가 약한 분, 인내심이 강하고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밀어붙이는 추진력이 있는 분 그리고 욕심이 많고 뚝심과 배짱이 좋은 분에서 나타나며 한국인 중 태음인은 45%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소음인은 성격이 온순하고 얌전하며 내성적인 분, 여성적이고 세심하고 매사에 꼼꼼한 분, 마음이 편협하여 오해를 잘하고 질투심이 강한 분, 정이 많고 마음에 맞는 사람에게는 헌신적이나 섭섭하면 잘 토라지고 꽁하는 분, 위가 약하여 소화가 잘 안 되고 자주 체하는 분, 상체가 약하고 엉덩이와 하체가 뚱뚱한 분에서 나타나며 한국인 중 소음인은 20% 내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이제마가 제시한 체질의 판단기준을 환자에게 적용하기 위하여 먼저, 환자의 체질을 정확히 진단하여 분류하는 것이 선행되어야한다. 하지만, 실제 환자를 진단하는 과정에서 의사의 주관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며, 상기 사상체질을 진단하는 방법 또한 매우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간단한 예로써, 대상의 체형으로 진단하거나, 성격이나 인상으로 진단, 병적증세로 진단, 약을 복용한 후 반응으로 알아보는 방법으로 진단, 침 치료의 반응으로 진단하는 등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보다 객관적인 체질 진단을 위하여 구체적인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연구를 간단히 살펴보면, 첫째, 형태학적 객관화 연구로 이에는 척도법, 두부촉진법, 두면부의 형태학적 특징의 정량화 등이 있으며, 둘째, QSCC(사상체질분류검사지)Ⅰ,Ⅱ 설문지를 이용한 심성의 객관화 연구, 셋째, 적외선 체열촬영진단기, EAV, 회수식 맥진기, 양도락, 홍채진단기, 유전자분석 등 진단기기를 이용한 객관화 연구와, 넷째, 체질 병증의 객관화 연구 등이 있다.
상기 형태학적 객관화 연구에서의 척도법은 일반적으로, 피험자의 신체적 형태, 특히, 특정부위별간의 신체 거리(체간, 둘레)를 측정한 후, 각 측정된 거리의 비를 복수로 구한 결과값을 미리 구해진 통계치에 비교하여 피험자의 체질을 구별하는 방법으로 행하여진다.
상기 척도법의 경우, 피험자를 눕힌 자세 또는 선 자세로 하여 체간 거리나 둘레를 수평자나 줄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나 이는 상기 피험자가 취하여 할 자세에 따라 측정값의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상기 피험자가 측정자(의사 등)와의 신체적인 접촉에 의한 불쾌감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이, 체질 진단의 객관성 및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었지만, 체질이 어느 한 가지 단편적 요소에 의해 결정될 정도로 단순하지는 않으므로, 현재까지는 체질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사상의학회에서 공인하고 있는 유일한 객관적 판단기준으로 QSCC Ⅱ 설문지가 있었으나, 피검자의 고의성, 이해 미숙 등의 이유로 다소 신뢰도에 문제가 있으며, 청소년이나 외국인의 체질 분류 방법으로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어, 현재 새로 운 사상체질진단 프로그램을 개발 모색 중에 있어,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이 높은 체질 진단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간편하고 정확하게 피험자의 사상체질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진단하고 처방하거나 체질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을 지도할 수 있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험자가 누운 자세가 아니라 직립한 상태에서 무접촉으로 피험자의 신체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의 오차를 줄일 수 있어 정확하고 객관적인 체질 진단이 가능한 사상체질 자동진단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피사체의 영상을 3D로 획득하여 디지탈 정보로 전송시키는 카메라와; 설문 내용을 전산입력시키는 설문 정보 입력기와; 사상체질 판단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카메라와 설문 정보 입력기의 전송 정보를 분석하고 연산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 처리하여 피사체의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 병증약리를 판단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는 피사체의 얼굴에 대한 정보와 몸체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획득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에 대한 정보로 피사체의 용모사기를 판단하고, 상기 몸체에 대한 정보로 체형기상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로 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입체 모델링시키고, 입체화된 모델링에서 용모 사기의 안면 표준점을 자동 포인팅시켜 계측변수를 획득한 후, 이를 체질 판단함수에 대입시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용모 사기의 체질을 진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의 몸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입체 모델링시키고, 입체화된 모델링에서 체질기상의 체형 표준점을 자동 포인팅시켜 계측변수를 획득한 후, 이를 체질 판단함수에 대입시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체질기상의 체질을 진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여 간편하고 정확하며 일관되게 피험자의 사상체질을 진단할 수 있으며, 환자의 사상체질별로 구분하여 진단하고 처방하거나 체질에 따른 건강관리방법을 지도할 수 있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험자가 직립한 상태에서 무접촉으로 피험자의 신체를 측정함으로써, 측정값의 오차를 줄일 수 있고, 피험자의 불편함을 제거하며 정확하고 객관적인 체질 진단이 가능한 사상체질 자동진단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하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의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용모사기 판단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체형기상 판단 실시 예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상체질 자동진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카메라(10)와 설문 정보 입력기(20)와 데이터 베이스(300)와 제어부(30)와 디 스플레이(40)와 메모리(310)와 서버(5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카메라(10)는 피사체의 영상을 3D로 획득하여 디지탈 정보로 전송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카메라(10)는 입체 영상이 회득 가능한 3차원 카메라가 사용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공간분활 부호화 광학식 스캔방식, IEEE 1394 영상전송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480 × 640 픽셀의 3차원 카메라를 사용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한 설계목적에 따라 제작사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설문 정보 입력기(20)는 진단 대상자에게 직접 받는 설문지 답변을 입력시키기 위한 장치인데, 피험자의 신체적 특성에 기인하는 형태학적 진단 이외에도, 체질진단지를 이용하는 설문 조사법으로서 피험자의 심성을 객관한 측정을 더하여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피험자의 체질을 분류하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상체질의 진단방법 중 하나로서 이를 특히 성질재간이라 구분한다.
상기 설문 정보 입력기(20)는 상기 성질재간을 판독하기 위한 설문에 대한 답변 정보를 본 발명에 입력시키는 장치이다.
상기 설문 정보 입력기(2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설문지의 답변을 기재한 OCR 카드 리더기를 예로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컴퓨터에 기입한 답변 데이터를 전송받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베이스(300)는 사상체질 판단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가 기록된 것으로서, 체질의 사상을 각 체형 변수에 따라 구분한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어부(30)는 상기 카메라(10)와 설문 정보 입력기(20)의 전송 정보를 분석하고 연산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와 비교 처리하여 피사체의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 병증약리를 판단하여 출력시킨다.
상기 제어부(30)의 출력은 디스플레이(40) 또는 서버(50)로 연결된 타 컴퓨터, 인터넷 등으로 출력되어지고, 메모리(310)에 기록되며, 상기 데이스 베이스(300)에 재축적되어, 임상 정보의 누적으로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가 더 풍부해 지도록 한다.
한편, 상기 카메라(10)는 피사체의 얼굴에 대한 정보와 몸체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획득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카메라(10)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는 구분하여 얼굴에 대한 정보로 피사체의 용모사기를 판단하고, 상기 몸체에 대한 정보로 체형기상을 판단한다.
이하 이를 실시예와 대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제어부(30)는 카메라(10)에서 얼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입체 모델링시키고, 입체화된 모델링에서 용모 사기의 안면 표준점을 자동 포인팅시켜 계측변수를 획득한 후, 이를 체질 판단함수에 대입시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와 비교하여 용모 사기의 체질을 진단,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카메라(10)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피험자를 삼차원 입체 영상으로 재구성하며, 미리 선정된 체형인식 표준점에 자동으로 포인팅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기 안면 표준점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3차원 안면인식 안면 표준점(Facial Definition Parameters)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에 내장된 3차원 안면자동인식 프로그램으로 안면의 특징을 추출하기 위한 '안면의 특이점'들을 의미한다.
실시예에서는 공지의 논문을 참조하여 마틴식 계측법을 기반으로 측정항목을 설정하였으며, 국제 표준 기관 ISO(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는 인체 측정과 관련하여 머리 측정 항목을 6개로 규정하고 있다.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설정한 측정항목은 크게 FDP(Facial Definition Parameter)와 FAP(Facial Animation Parameter)로 나눌 수 있으며, FDP는 총 84개의 3차원 좌표값을 가진 특징점으로 구성되고 눈, 눈썹, 코, 입, 턱, 뺨, 혀, 치아, 귀, 머리, 머리를 표현하는 9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정의되고 있다.
FAP는 총 68개의 특징점으로 구성되고, 얼굴 근육의 움직임에 있어서 표정 및 입의 움직임을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면표준점은 기존 논문 및 MPEG-4(Moving Picture Experts Group)에서 사용하는 측정항목을 준용 및 개변하여 표 1과 같이 정면에 36개, 측면에 26개의 항목을 설정하였다.
표 1. 안면정면의 표준점
Frontal Face
Mark
Name(Chinese character) Name(Korean) Name(English) Description Remark
1 S1 右瞳孔点 우동공점 Right pupil 우측 동공점(기준점) 기준. 동공간폭은 안면의 다른 측정치보다 남녀간, 연령간, 인종간 차이가 가장 적다.
2 S2 左瞳孔点 좌동공점 Left pupil 좌측 동공점(기준점)
3 L1 髮際点 발제점 Trichion 얼굴의 중앙선상에서 머리카락이 나기 시작하는 점 제비추리가 있는 사람은 그곳에 찍는다.
4 L2 鼻尖点 비첨점 Pronasale 이안 수평선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과 코끝이 만나는 점 코의 모양 및 크기, 높이 등의 기준이 된다.
5 L3 下点 턱하점 Gnathion 턱의 기울기가 감소하여 수평으로 가기 시작하는 점. 얼굴의 아래경계를 만들기 위해 설정하였다.
6 1.1 右眉頂点 우눈썹상연점 Top point on right eyebrow 우측 눈썹상연으로 우측 동공점의 수직연장선과 만나는 점 눈썹의 좌우 폭 및 높이를 알기위해서 설정하였다.
7 1.2 左眉頂点 좌눈썹상연점 Top point on left eyebrow 좌측 눈썹상연으로 좌측 동공점의 수직연장선과 만나는 점
생략 ... ... ... ... ... ...
정면의 안면표준점은 표 1과 같이 36개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3차원 안면자동인식기를 사용하여 안면표준점의 3차원적 좌표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면의 형태학적 특징을 검출한다.
표 2. 안면측면 안면표준점
Lateral Face
Mark
Name(Chinese character) Name(Korean) Name(English) Description Remark
1 S2 左瞳孔点 좌동공점 Left pupil 좌측 동공점(기준점) 기준점
2 S3 左耳珠点 좌이주점 Left tragion 이공전면의 구슬모양의 돌기 측면에서 방사의 기준이 된다.
3 L1 髮際点 발제점 Trichion 얼굴의 중앙선상에서 머리카락이 나기 시작하는 점 제비추리가 있는 사람은 그곳에 찍는다.
4 L2 鼻尖点 비첨점 Pronasale 이안 수평선에 직교하는 가상의 수직선과 코끝이 만나는 점 코의 모양 및 크기, 높이 등의 기준이 된다.
5 L3 下点 턱하점 Gnathion 턱의 기울기가 감소하여 수평으로 가기 시작하는 점. 얼굴의 아래경계를 만들기 위해 설정하였다.
6 L4 左下顎角点 좌하악각점 Left mandible angle 안면윤곽선상에서 좌측 귀 아래쪽으로 구각높이에서 각이 생기는 점(불명확할 경우 좌구각점 수평연장선과 얼굴윤곽선의 교차점) 안면 하안부의 폭을 알기 위해서 설정하였다.
생략 ... ... ... ... ... ...
측면의 안면표준점은 표 2와 같이 26개의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3차원 안면자동인식기를 사용하여 안면표준점의 3차원적 좌표를 계산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안면형태학적 특징을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30)는 카메라(10)에서 몸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입체 모델링시키고, 입체화된 모델링에서 체질기상의 체형 표준점을 자동 포인팅시켜 계측변수를 획득한 후, 이를 체질 판단함수에 대입시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체질기상의 체질을 진단, 출력한다.
본 발명은 피험자의 신체적 거리(체간, 둘레)를 측정함에 있어, 정확하고 객관적인 측정값을 보장받으며, 나아가 피험자에 대하여 신체적인 접촉을 배제함으로써, 피험자가 측정단계에서 가지는 불쾌감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신체를 측정한다.
종래의 경우 피험자를 눕힌 자세로 하여 체간 거리나 둘레를 수평자나 줄자 등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는데, 피험자가 취하여 할 자세에 따라 측정값의 오차가 높았으며, 피험자가 측정자(의사 등)와의 신체적인 접촉에 의한 불쾌감 등이 있어 문제가 되어왔으나, 본 발명은 카메라(10)를 이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카메라(10)에서 획득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피험자를 삼차원 입체 영상으로 재구성하며, 미리 선정된 체형인식 표준점에 자동으로 포인팅 되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된다.
따라서, 재구성된 삼차원 신체 영상을 이용하여 체간거리, 둘레거리 등 체형판단 변수들이 계측된다.
상기 체형판단 변수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체간거리는 액와행문 횡행선, 양유두 횡행지선, 7,8늑연골 접합부 융기선, 천추혈 횡행직선, 전상장골극 횡행선으로 이루어지는 5군데를 특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액와행문 횡행선은 피험자의 양팔을 벌려 액화횡문 기시범 사이의 수평직선거리, 양유두 횡행지선은 좌우 유두 횡행직선을 지나 측면의 적백육제선까지의 수평직선거리, 7,8늑연골 접 합부 융기선은 제 7, 8늑연골 접합부 융기부분(불용혈)을 지나 측면의 적백제선까지의 수평직선거리, 천추혈 횡행직선은 신궐혈에서 좌우 천추혈의 횡행선을 지나 측면 적백육제선까지의 수평직선거리, 전상장골극 횡행선은 좌우 전상장골극(ASIS)의 바깥 측정부위까지의 수평직선거리를 바깥에서부터 조이듯이 측정하는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둘레거리는 이마둘레, 목둘레, 겨드랑이둘레, 가슴둘레, 늑골둘레, 허리둘레, 장골둘레, 곡골둘레로 이루어지는 8군데로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이마둘레는 좌우 미간사이의 인당혈을 지나는 수평둘레 거리, 목둘레는 갑상연골 바로 밑을 지나는 수평둘레 거리, 겨드랑이둘레는 좌우 겨드랑이를 지나는 수평둘레를 앞에서 측정한 거리, 가슴둘레는 좌우 유두점을 지나는 수평둘레 거리, 늑골둘레는 좌우 제 7,8늑연골 접합부 융기부분을 지나는 수평둘레 거리, 허리둘레는 배꼽을 지나는 수평둘레 거리, 장골둘레는 좌우 전상장골극(ASIS)을 지나는 수평둘레 거리, 곡골둘레는 정중선상의 치골상방(곡글)을 지나는 수평둘레 거리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간거리나 둘레거리의 경우 그 측정 지점이 변경될 경우, 피험자의 재측정의 과정 없이 이미 측정되어 저장된 피험자의 삼차원 신체 영상을 다시 사용하여 측정 부위를 다시 계측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이와 같이 카메라(10)를 통하여 전달된 정보를 3차원으로 해석하여 체형판단 변수를 자동 포인팅하여 계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계측된 상기 체형판단 변수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체형판단 함수에 대입하고 그 결과값을 구하며, 상기 결과값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300)와 비교하고 피험자의 체질을 판단하여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사상체질 자동진단기는 외래 병원의 서버(50)와 연결되어 상기 외래 병원의 서버로 부터 환자의 병증 약리를 전송받아 이를 진단 변수로 활용하거나, 상기 외래 병원의 서버로 환자의 진단 결과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피험자의 계측이 자유롭게 진행되며 피험자의 체형 정보와 더불어 피험자의 병증 약리나 설문 내용이 자동인식되어 피험자의 체질이 객관적이고 정확하게 출력되어지는 특징을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하여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구체화되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가 실현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조합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용모사기 판단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체형기상 판단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 20 : 설문 정보 입력기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
50 : 서버 300 : 데이터 베이스
310 : 메모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피사체의 영상을 3D로 획득하여 디지탈 정보로 전송시키는 카메라와;
    설문 내용을 전산입력시키는 설문 정보 입력기와;
    사상체질 판단 정보들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와;
    상기 카메라와 설문 정보 입력기의 전송 정보를 분석하고 연산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 처리하여 피사체의 용모사기, 체형기상, 성질재간, 병증약리를 판단하여 출력시키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출력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어부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는 피사체의 얼굴에 대한 정보와 몸체에 대한 정보를 구분하여 획득하여 이를 상기 제어부로 전송시키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얼굴에 대한 3차원 정보를 입력받아 용모 사기의 3차원 안면인식 안면 표준점을 기반으로 안면 표준점의 3차원적 좌표를 계산하여 안면의 형태학적 특징을 검출하고, 상기 몸체에 대한 3차원 신체 영상 정보를 입력받아 입체 모델링을 통해 계측된 체질기상의 체형 표준점을 통해 획득된 계측변수를 이용하여 피험자의 신체적 거리(체간, 둘레)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의 얼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입체 모델링시키고, 입체화된 모델링에서 용모 사기의 안면 표준점을 자동 포인팅시켜 계측변수를 획득한 후, 이를 체질 판단함수에 대입시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용모 사기의 체질을 진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카메라의 몸체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입체 모델링시키고, 입체화된 모델링에서 체질기상의 체형 표준점을 자동 포인팅시켜 계측변수를 획득한 후, 이를 체질 판단함수에 대입시켜 결과를 출력하고, 상기 데이터 베이스와 비교하여 체질기상의 체질을 진단,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7. 삭제
KR1020080026748A 2008-03-24 2008-03-24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KR100979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48A KR100979506B1 (ko) 2008-03-24 2008-03-24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6748A KR100979506B1 (ko) 2008-03-24 2008-03-24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557A KR20090101557A (ko) 2009-09-29
KR100979506B1 true KR100979506B1 (ko) 2010-09-02

Family

ID=41359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6748A KR100979506B1 (ko) 2008-03-24 2008-03-24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50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893A (ko) * 2014-10-06 2016-04-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형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00066955A (ko) * 2018-12-03 2020-06-11 박상순 사상 체질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프로그램
KR102553842B1 (ko) 2022-05-03 2023-07-10 부야 주식회사 사상 체질 판단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0399B1 (ko) * 2010-10-01 2013-01-09 한국 한의학 연구원 통합정보를 이용한 체질정보 분석방법
KR101387896B1 (ko) * 2012-09-24 2014-04-21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질 및 건강 판단 장치 및 그의 체질 및 건강 판단 방법
KR102249824B1 (ko) 2014-02-24 2021-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신체 정보 감지장치 및 이의 신체 정보 감지방법
KR101715567B1 (ko) * 2016-07-21 2017-03-13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산학협력단 사상체질전문가의 체질 진단에서의 시진(視診) 또는 망진(望診) 상의 오류를 교정하기 위한 얼굴 분석 시스템
KR102623861B1 (ko) * 2016-07-28 2024-01-12 주식회사 아이젠테크 족부 스캐닝 데이터와 사상체질 데이터 매칭 방법 및 이에 구동되는 지압장치
JP6653922B2 (ja) * 2018-03-14 2020-02-26 株式会社Bhy 体質等の識別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データベースの作成方法
KR101972757B1 (ko) * 2018-09-04 2019-04-29 김성수 귀 형태 및 골상과 귀의 반사운동으로 체질을 감별하는 사상체질 감별 서비스 제공 방법
JP7266295B2 (ja) * 2019-09-12 2023-04-28 株式会社Bhy 体質等の識別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データベースの作成方法
KR102511032B1 (ko) * 2020-12-29 2023-03-16 오창영 자극 정보 제공 장치, 복합 자극 장치, 복합 자극 제공 시스템 및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22A (ko) * 2000-06-14 2000-09-05 이명수 사상체질 감별을 위한 설문지 작성 방법 및 상기 방법을이용한 인터넷 비지니스 모델
KR20050110093A (ko) * 2004-05-17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사상의학 체질 운용장치 및 방법
KR20080109425A (ko) * 2007-06-13 2008-12-17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인식을 통한 얼굴 특징 추출과 사상체질 판별 방법 및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622A (ko) * 2000-06-14 2000-09-05 이명수 사상체질 감별을 위한 설문지 작성 방법 및 상기 방법을이용한 인터넷 비지니스 모델
KR20050110093A (ko) * 2004-05-17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사상의학 체질 운용장치 및 방법
KR20080109425A (ko) * 2007-06-13 2008-12-17 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인식을 통한 얼굴 특징 추출과 사상체질 판별 방법 및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0893A (ko) * 2014-10-06 2016-04-1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형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1679125B1 (ko) 2014-10-06 2016-11-23 한국 한의학 연구원 체형 분석 장치 및 방법
KR20200066955A (ko) * 2018-12-03 2020-06-11 박상순 사상 체질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프로그램
KR102181022B1 (ko) * 2018-12-03 2020-11-19 박상순 사상 체질 판단 방법 및 그 방법을 이용한 프로그램
KR102553842B1 (ko) 2022-05-03 2023-07-10 부야 주식회사 사상 체질 판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557A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506B1 (ko) 사상체질 자동진단기
CN114980810A (zh) 用于检测人的运动过程和/或生命体征参数的系统
US20100312143A1 (en) Human body measurement system and information provision method using the same
Cvetkoska et al. Smart mirror E-health assistant—Posture analyze algorithm proposed model for upright posture
CN114999646B (zh) 新生儿运动发育评估系统、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20230200908A1 (en) Computing platform for improved aesthetic outcomes and patient safety in medical and surgical cosmetic procedures
JP2016085490A (ja) 顔形態の評価システム及び評価方法
Palmero et al. Automatic sleep system recommendation by multi-modal RBG-depth-pressure anthropometric analysis
KR20130141285A (ko) 피부상태 진단 방법 및 장치와 이를 이용한 피부상태 적합 화장정보 제공 방법
Samsudin et al. Clinical and non-clinical initial assessment of facial nerve paralysis: A qualitative review
KR102278410B1 (ko) 개인 건강 상태 동시 측정이 가능한 고성능 딥러닝 지정맥 인증 시스템 및 방법
KR101309013B1 (ko) 안면 영상과 엑스레이 영상을 이용한 형상진단기
Alagha et al. Objective grading facial paralysis severity using a dynamic 3D stereo photogrammetry imaging system
Friesen et al. Defining repeatability for scapulothoracic and thoracohumeral motion during the novel work-related activities and functional task (WRAFT) protocol
CN115578789A (zh) 脊柱侧弯检测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0984771B1 (ko) 안면형태에 따른 형상 자동진단기
Wang et al. SENSITIVITY-BASED INFORMATION SELECTION FOR PREDICTING INDIVIDUAL'S SUB-HEALTH ON TCM DOCTORS'DIAGNOSIS DATA
Guihard et al. Three-Dimensional Quantification of Facial Morphology and Movements Using a Wearable Helmet
CN112151177A (zh) 一种慢性创面的评估管理系统及方法
US20220319676A1 (en) Predicting user body volume to manage medical treatment and medication
Prima et al. Evaluation of Joint Range of Motion Measured by Vision Cameras
KR102222059B1 (ko) 마커가 형성된 진단기를 이용한 대상체 위치 및 진단 결과를 출력시키는 대상체 위치인식형 진단장치
Li et al. A photogrammetric method for the measurement of three-dimensional cervical range of motion
Awais et al. Face and its features detection during nap
CN117546255A (zh) 从用户捕获数据对疾病风险的评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