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967B1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967B1
KR100978967B1 KR1020070140843A KR20070140843A KR100978967B1 KR 100978967 B1 KR100978967 B1 KR 100978967B1 KR 1020070140843 A KR1020070140843 A KR 1020070140843A KR 20070140843 A KR20070140843 A KR 20070140843A KR 100978967 B1 KR100978967 B1 KR 100978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ave
cluster
measur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659A (ko
Inventor
성기영
박성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아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070140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967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04B17/21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for calibration; for correcting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03Arrangements for wireless physical layer control
    • H04B7/2606Arrangements for base station coverage control, e.g. by using relays in tunnels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불요파 측정 방법은 복수의 기지국(RAS)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cluster)를 설정하는 단계;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에서 불요파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불요파 측정 장치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불요파 측정을 위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에 있어서, 불요파 측정 영역에 관한 클러스터 정보 및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의 유무에 대한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없는 경우 다운링크 프레임의 UL 맵 영역을 blank로 설정하여 상기 클러스터 내의 불요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단위로 자동으로 불요파를 감시할 수 있고 불요파를 감지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로그(log)로 남길 수 있고 알람(Alarm)으로도 처리하여 운용자가 불요파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장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운용 중인 장비가 최한시(System Idle 상태)인 경우에 측정하므로 경제적이며, 불요파가 존재 지역을 쉽게 추정할 수 있어 불요파 추적이 쉽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spurious signal of Radio Access System(RAS) in wireless tele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ROT(Rise Over Thermal)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불요파는 잡음(noise) 및 간섭(interference)으로 작용하여 기지국과 단말 간의 통신 장애를 일으킨다. 불요파로 인하여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 송수신에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며, 불요파가 심각한 경우에는 호 접속(Network Entry, Call Connection)이 불가할 수 있으며, 호 접속 상태에서는 불요파로 인해 호 절단(call drop)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핸드오버(handover)에도 영향을 주어 핸드오버 시간지연(delay, latency)의 요소가 되기도 하며, 핸드오버 실패(handover fail)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호 절단(call drop)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무선 네트워크 상에 불요파가 존재하는지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CDMA, GSM 및 WiBro/Mobile WiMAX 네트워크가 운용상태(operation)에서는 기지국이 송신하는 RF 신호(signal)와 불요파를 구분할 수 없어서 불요파가 운용 중인 네크워크에 존재하는지를 시스템이 자동으로 판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불요파는 하루 중 특정 시간대에만 관측될 수도 있고 특정 요일에만 관측될 수도 있고, 관측되지 않았던 불요파가 어느 날 갑자기 관측될 수도 있는 등 지속적인 관심을 갖지 않으면 불요파를 관측하기 어렵다. 따라서 어느 순간 한 번 불요파를 측정하였다고 해서 그 무선 네트워크에 불요파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신할 수 없다. 또한 이동전화 서비스 사업자가 통계 정보를 분석하여 호 접속(Call Connection, Network Entry) 지연 시간이 타 기지국에 비해 지나치게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호 접속 불량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경우, 호 절단(Call Drop), 핸드오버 불량 등이 타 기지국에 비해 높은 경우, 불요파가 원인인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불요파를 측정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기지국의 수신단에 고가의 스펙트럼 분석기(Spectrum Analyzer)를 연결하여 육안으로 불요파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ROT(Rise Over Thermal)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기지국(RAS)의 최한시(최대로 한가한 시간대)에 불 요파(spurious signal)를 측정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은, 복수의 기지국(RAS)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clust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없는 경우,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에서 불요파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는, 불요파 측정 영역에 관한 클러스터가 설정된 클러스터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말 유무 검사부; 및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없는 경우, 다운링크 프레임의 UL 맵 영역을 블랭크(blank)로 설정하여 상기 클러스터 내의 불요파를 측정하는 불요파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불요파(Spurious)를 감시(monitoring) 할 수 있고 불요파를 감지한 지역(RAS 정보)에 대한 정보를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로그(log)로 남길 수 있어 운용자가 로그(log)를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알람(Alarm)으로도 처리하여 운용자가 불요파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종래에는 타 기지국 RF 신호인지 불요파인지 구분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단말이 네트워크에 접속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주변 기지국과 주고 받거나 상위 제어국(ACR)으로부터 단말의 네트워크접속 정보를 받아 불요파를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장비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지 않고도 운용 중인 장비가 최한시(System Idle 상태)인 경우에 측정하므로 경제적이며, 불요파가 존재 지역을 쉽게 추정할 수 있어 불요파 추적이 쉽다.
또한 불요파를 지속적으로 감시할 수 있으므로 불요파에 대한 대비책을 세울 수 있고, 인력, 측정장비. 시간을 절감할수 있다. 아울러 무선 네크워크를 높은 품질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 높은 데이터 throughput의 고품질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하기 설명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Mobile WiMAX/WiBro 네트워크 구성과 WiMAX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 장비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나타낸 인터페이스를 간략히 설명하면, R1은 기지국(RAS) 과 단말(MS) 간 Air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R4는 제어국(ACR)과 제어국(ACR)간 인터페이스를, R6는 제어국(ACR)과 기지국(RAS) 간 인터페이스, R8은 기지국(RAS)과 기지국(RAS) 간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클러스터 설정부(210), 단말 유무 검사부(220) 및 불요파 측정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는 시간설정부(240), 맵구성부(250), 불요파 데이터 보고부(260), 운용자 인터페이스부(270) 및 불요파 데이터 저장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스터 설정부(210)는 무선통신 시스템의 불요파 측정을 위해 복수의 기지국(RAS)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를 설정한다. 도 3은 기지국을 구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불요파 측정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복수의 기지국을 한 클러스터로 묶어 불요파를 측정한다. 여기서 기지국(RAS) 클러스터의 크기를 잘 정의하여야 불요파를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기지국(RAS) 클러스터의 크기가 작으면 클러스터 밖의 기지국(RAS)-단말(MS) 간 정상적인 RF 신호가 불요파로 오인될 수 있다. 반면, 기지국(RAS) 클러스터의 크기가 너무 크면, 클러스터 내에서 단말이 네트워크 엔트리(Network Entry) 상태가 아닌 시간을 확보하기가 쉽지 않다.
상기 클러스터 설정부(210)는 클러스터를 설정하는 방안으로 3가지를 제공한다. 첫째 방안은 상기 클러스터 설정부(210)는 지역적으로 분류 가능한 기지국을 선택하여 구성한다. 이 후 제어국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각 기지국으로 보낸다. 둘째 방안은 상기 클러스터 설정부(220)는 제어국이 페이징(paging)을 하기 위해 관리하고 있는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을 기본 단위로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말유무 검사부(220)는 상기 제어국이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상기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기지국으로 전송하게 하여 기지국에 접속 중인 단말이 있는지 검사한다. 세번째 방안은 상기 클러스터 설정부(210)는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위해 가지고 있는 이웃(neighbor)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단말유무 검사부(220)는 상기 이웃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들 간에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송수신하여 단말유무를 검사한다.
상기 시간설정부(240)는 상기 불요파 측정 시간을 설정하며, 호접속된 단말의 수가 가장 작은 시간대인 최대로 한가한 시간대(최한시)에 불요파 측정 시간을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불요파 측정시간을 최한시로 하는 이유는 최대한 단말의 서비스에 지장을 주지 않으려는 목적이다.
상기 단말 유무 검사부(220)는 상기 클러스터 내의 특정 기지국에서 주변 기지국으로 호 접속(call connection)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단말 유무 검사부(220)는 제어국에서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으로 주변 기지국의 호 접속 상태를 알려주어 단말 유무를 판별한다. 즉 제어국에서 단말 접속정보를 R6 인터페이스를 통해 클러스터 내에 있는 단말에게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규격에서 정의한 메시지가 아닌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말 유무 검사부(220)는 기지국 간에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주고 받아 단말과의 호 접속 상태 여부를 파악한다. 기지국-기지국 상호 간에 단말 접속 정보를 R8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 메시지는 기지국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이 상기 정보를 공유(share)할 수 있도록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실제 구현에서는 기지국 주처리기(Main processor)가 도 3과 같이 기지국(RAS)으로 구성된 클러스터에서 특정 기지국(RAS)에게 주변 기지국으로 호 접 속(Connection)이 된 단말이 없다는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주고 받아 호 접속 단말의 유무를 체크하게 된다.
이렇게 기지국 클러스터 내에 단말이 네트워크 엔트리 상태인지 아닌지를 주고 받는 이유는 기지국-단말 간의 RF 신호가 네트워크에 있을 때는 상기 RF 신호와 불요파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상기 맵구성부(250)는 다운링크 프레임의 UL 맵 영역을 blank로 설정하여 업링크의 버스트 영역에 단말의 트래픽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일반적으로 TDD 방식의 WiBro/Mobile WiMAX 시스템에서 모든 OFDMA 프레임은 DL 및 UL 구간과 TTG 및 RTG 구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802.16e 규격에 time line에 근거하여 동기화(synchronized) 되어 있다. 상기 맵 구성부(250)는 상기 DL 구간의 UL 맵 영역을 blank로 설정함으로써, 업링크 프레임의 버스트 영역에 단말의 트래픽이 발생되지 않게 하여 단말의 트래픽이 아닌 불요파 만을 측정할 수 있게 한다.
상기 불요파측정부(230)는 호 접속된 단말이 없으면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에서 불요파를 측정한다. 상기 불요파 측정부(230)는 업링크 시작 프레임에서 적어도 3 심볼을 제외하고 나머지 업링크 프레임에 스위치를 온(ON)하여 불요파를 측정한다. 단말 운용자가 비록 최한시(최대한 한가한 시간)이지만 간헐적으로 발생할수 있는 단말의 제어 심볼, 예를 들어 레인징(ranging), CQICH, ACK 이 발생하여 상기 신호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UL 시작 프레임에서 최소한 3 심볼(WiBro 에서는 1심볼은 115.2 마이크로 초)을 제외하고 그 이후 UL 프레임에만 스위치 ON을 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즉 업 링크 프레임에서 제어 심볼을 제외하여야 정확하게 필드에 존재하는 불요파 신호를 캡쳐할 수가 있다.
도 4는 불요파 신호 측정을 위한 아날로그 파트의 블록도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한시(최대로 한가한 시간대)에 기지국 주처리기(Main processor)로부터 불요파 측정 명령을 받았을 때 기지국 LNA 출력단에 존재하는 높은 Dynamic range와 정확성(accuracy)을 가지는 기존의 RSSI 회로를 재활용하여 실제 필드에 존재하는 불요파 노이즈를 측정하여 보고함으로 기지국의 수신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 링크를 통해서 인가되는 불요파 노이즈는 우선 저잡음 증폭기(Low Noise Amplifier, LNA)로 증폭되고 상기 신호는 RF 커플러를 통해서 불요파 측정용 스위치와 필터와 RF 검출기를 통해 측정되어 ADC를 통해 MCU에 인가하게 된다. 물론 상기 불요파 신호 감지 회로는 평상시에는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 데이터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수신 신호를 채널카드로 송신하며 또한 업링크 수신 신호세기를 모니터링하는 진단 기능(RSSI)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불요파 신호는 기지국 주처리기(Main processor)로 보고된다. 결국 불요파 데이터는 주변 셀로부터 유기되는 신호를 완전히 배제한 이른바 정제된 셀에 존재하는 불요파 신호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불요파 데이터 보고부(260)는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측정되면, 소정의 문턱(threshold) 값 이상으로 측정된 값을 불요파로 파악하여 보고한다. 즉 일정 레벨(level) 이상인 경우만 불요파로 간주하며, 상기 문턱값은 운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운용자 인터페이스부(270)는 불요파 측정에 대한 운용자에 의한 제어 기능을 제공하며, 상기 클러스터 내의 모든 기지국에서 동시에 불요파를 측정하게 하는 불요파 동시 측정 메뉴를 제공한다. 또한 불요파 측정 기능을 온/오프(on/off)할 수 있는 불요파 측정 온/오프 메뉴, 특정 임의의 시간에 자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스케줄링 측정 메뉴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불요파 데이터 저장부(280)는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측정되면, 불요파를 측정한 순간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운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불요파 측정 정보를 로그(log)로 저장하거나 불요파 감지를 알리는 알람(alarm)으로 처리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클러스터 설정부(210)에서 클러스터(cluster)가 설정된다.(S510단계) 상기 클러스터는 복수의 기지국(RAS)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러스터는 지역적으로 분류 가능한 기지국을 선택하여 구성한다. 이 때에는 제어국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각 기지국(RAS)으로 보낸다. 또한 상기 클러스터는 제어국에서 관리하고 있는 페이징 그룹(paging group)을 기본 단위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 때에도 제어국에서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각 기지국으로 보낸다. 또한 상기 클러스터는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위해 가지고 있는 이웃(neighbor)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이웃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기지국 간에 직접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주고 받는다. 상기 RAS 클러스터의 크기는 작으면 클러 스터 밖의 RAS-MS 간 정상적인 RF신호가 불요파로 오인될 수 있고, 그 크기가 너무 크면 클러스터 내에 단말이 네트워크 엔트리 상태가 아닌 시간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클러스터 크기를 적절하게 설정하여야 한다.
클러스터 크기가 설정되면, 불요파 측정 시간대를 설정한다.(S520단계) 상기 불요파 측정 시간대는 호 접속된 단말 수가 가장 작은 시간대인 최대로 한가한 시간대(최한시)로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나서 단말유무 검사부(220)는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한다.(S530단계) 이를 위해 먼저 기지국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한다. 이는 제어국에서 기지국 클러스트 내에 네트워크 엔트리한 단말이 있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기지국 클러스트로 정보를 전달할 수도 있다.
기지국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없으면, 제어국(ACR)에게 주변 기지국에 대한 네트워크 엔트리한 단말의 정보를 요청하여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요청을 받은 제어국은 단말 접속정보를 클러스터 내에 있는 각 기지국에게 R6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호 접속된 단말 유무 검사는 기지국 간에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음으로써도 가능하다. 즉 이웃 기지국에게 네트워크 엔트리한 단말 정보를 요청하여 클러스터 내에 호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한다. 상기 기지국-기지국 상호간 단말 접속 정보는 R8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제어 메시지를 전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제어 메시지는 클러스터 내의 모든 기지국이 상기 정보를 공유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클러스터 내의 단말이 네트워크 엔트리 상태인지 아 닌지를 제어 메시지를 통해 주고 받는 이유는 기지국-단말 간의 RF신호가 네트워크에 있을 때는 상기 RF 신호와 불요파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또한, 업 링크 신호를 UL MAP 영역을 blank로 설정하여 제한하는 경우 단말의 서비스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단말의 서비스 사용에 최대한 지장을 주지 않기 위한 목적이다.
주변 기지국에도 네트워크 엔트리한 단말이 없으면 불요파를 측정할 수 있는준비가 되어 있으므로, 불요파 측정부(230)는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에서 불요파를 측정한다.(S550단계) 상기 불요파 측정을 위해 맵 구성부(250)를 통해 다운링크 프레임의 UL MAP 영역을 blank로 설정하여 업링크의 버스트 영역에 단말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후 불요파를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업링크 시작 프레임에서 적어도 3 심볼을 제외하고 나머지 업링크 프레임에 스위치를 온(ON)하여 불요파를 구분한다. 즉 업링크 프레임에서 제어 심볼을 제외하여야 정확하게 필드에 존재하는 불요파 신호를 캡쳐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불요파 측정은 운용자 인터페이스부(270)에서 제공하는 메뉴를 통해 상기 클러스터 내의 모든 기지국이 동시에 불요파를 측정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불요파 측정은 실제 구현상으로는 기지국(RAS) RSSI 측정블록으로 제어 명령어를 보내 RX 레벨을 측정하여 상기 RX레벨을 미리 정해놓은 문턱값과 비교하여 불요파 여부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측정되면, 불요파 데이터 보고부(260)는 미리 정해놓은 문턱(threshold) 값 이상인지 판별하여(S560단계), 상기 문턱값 이상인 측 정 값을 불요파로 간주하여 이를 EMS에 불요파 측정 시간, Rx 레벨에 해당하는 dBm 값, RAS 기지국 정보 등 불요파 정보를 EMS로 보고한다.(S570단계) 또한 EMS의 불요파 데이터 저장부(280)는 불요파가 감지되었음을 알리는 알람(alarm)을 발생시키고, 관련정보를 로그 저장한다.(S570단계)
그리고 RAS 클러스터 내의 RAS가 불요파를 측정하는 시간동안 클러스터 내의 단말이 네트워크 엔트리를 시도하는 경우는 즉시 클러스터 내의 모든 기지국으로 상기 정보를 전달하고 이 정보를 전달받은 기지국은 불요파 측정을 중단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특정되는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Mobile WiMAX/WiBro 네트워크 구성과 WiMAX에서 규정하고 있는 각 장비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기지국을 구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클러스터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불요파 신호 측정을 위한 아날로그 파트의 블록도에 대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을 흐름도로 도시한 것이다.

Claims (22)

  1. 복수의 기지국(RAS)으로 이루어지는 클러스터(cluster)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계; 및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없는 경우,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에서 불요파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설정은
    지역적으로 분류 가능한 기지국을 선택함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설정은
    제어국에서 관리하고 있는 페이징 그룹을 기본 단위로 하거나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위해 가지고 있는 이웃(neighbor) 정보를 이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된 단말 유무 검사는
    상기 제어국이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상기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있는 각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된 단말 유무 검사는
    호 접속된 단말 수가 가장 작은 시간대인 최대로 한가한 시간대(최한시)에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된 단말 유무 검사는
    기지국 간에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아 단말과의 호 접속 상태 여부를 파악함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 접속된 단말 유무 검사는
    제어국이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에게 주변 기지국의 호 접속 상태를 알려주어 판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측정은
    다운링크 프레임의 UL MAP 영역을 블랭크(blank)로 설정하여 업링크의 버스트 영역에 단말의 트래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후 불요파를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측정은
    업링크 시작 프레임에서 적어도 3 심볼을 제외하고 나머지 업링크 프레임에스위치를 온(ON)하여 불요파를 구분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측정은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이 동시에 불요파를 측정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불요파가 측정되면, 소정의 문턱(threshold) 값 이상으로 측정된 값을 보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12. 무선통신 시스템의 불요파 측정을 위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에 있어서,
    불요파 측정 영역에 관한 클러스터가 설정된 클러스터 정보에 상응하여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하는 단말 유무 검사부; 및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없는 경우, 다운링크 프레임의 UL 맵 영역을 블랭크(blank)로 설정하여 상기 클러스터 내의 불요파를 측정하는 불요파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무 검사부는 불요파 측정 시간에 관한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불요파 측정 시간 동안 불요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 정보는
    호접속된 단말의 수가 가장 작은 시간대인 최대로 한가한 시간대(최한시)의 시간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정보는
    구성요소 관리 시스템(EMS)이 지역적으로 분류 가능한 기지국을 선택하여 구성됨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정보는
    제어국이 관리하고 있는 페이징 그룹을 기본 단위로 하거나 기지국이 핸드오버를 위해 가지고 있는 이웃(neighbor) 정보를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무 검사부는
    제어국으로부터 제공된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유무 검사부는
    이웃(neighbor)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들 간에 단말의 네트워크 엔트리 정보를 송수신하여 단말유무를 검사한 결과 정보, 기지국 간에 제어 메시지를 주고 받아 단말과의 호 접속 상태 여부를 파악한 정보 및 제어국에서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으로 주변 기지국의 호 접속 상태를 알려주어 단말 유무를 판별한 정보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클러스터 내에 호 접속된 단말이 있는지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측정부는
    업링크 시작 프레임에서 적어도 3 심볼을 제외하고 나머지 업링크 프레임에스위치를 온(ON)하여 불요파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내에서 불요파가 측정되면, 소정의 문턱(threshold) 값 이상으로 측정된 값을 보고하는 불요파 데이터 보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스터 내에서 불요파가 측정되면, 불요파 측정정보를 로그 또는 알람 형태로 저장하는 불요파 데이터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불요파 측정 장치는
    상기 클러스터 내의 기지국에서 동시에 불요파를 측정하게 하는 불요파 동시 측정 메뉴, 불요파 측정 기능을 온/오프할 수 있는 불요파 측정 온/오프 메뉴 및 불요파 측정 기능을 임의의 시간을 설정하여 측정할 수 있는 스케줄링 불요파 측정 스케줄링 메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장치.
KR1020070140843A 2007-12-28 2007-12-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 KR100978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43A KR100978967B1 (ko) 2007-12-28 2007-12-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843A KR100978967B1 (ko) 2007-12-28 2007-12-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59A KR20090072659A (ko) 2009-07-02
KR100978967B1 true KR100978967B1 (ko) 2010-08-30

Family

ID=41329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843A KR100978967B1 (ko) 2007-12-28 2007-12-28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640A1 (ko) * 2012-03-13 201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사이 협력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0754B1 (ko) * 2011-10-21 2012-03-22 네트웍오앤에스 주식회사 스마트폰을 신호 확인 장치로 이용하는 불요파 검출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819A (ko) * 2003-05-29 2004-12-08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인기지국 감시장치에서 스퓨리어스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04793A (ko) * 2006-04-24 2007-10-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불요파 발생 통보 방법, 장치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819A (ko) * 2003-05-29 2004-12-08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무인기지국 감시장치에서 스퓨리어스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20070104793A (ko) * 2006-04-24 2007-10-29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한 불요파 발생 통보 방법, 장치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7640A1 (ko) * 2012-03-13 2013-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클러스터 사이 협력 통신을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659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51477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drive test
US9363693B2 (en) Radio measurement collection method, radio terminal, and radio base station
EP3255917B1 (en) Channel det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377577B (zh) 下行无线链路失败的恢复方法及装置
JP5601585B2 (ja) 通信システム、情報収集制御装置、情報収集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測定制御方法
US10285158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riggering paging profiling
CN110719359A (zh) 终端性能测试方法及系统
US20230090571A1 (en) Interference detection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interferenc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WO2014177113A2 (zh) 一种排查小区干扰的方法及系统、网管
US2019007491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signal strength
US2001004685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arming on occurrence of cell secession of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0903507B1 (ko) 무선 이동통신 환경에서 호 절단 및 호 설정 실패 원인분석 장치 및 방법
KR10097896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불요파 측정 방법 및 장치
CN103491562A (zh) 一种基站故障检测方法、设备及系统
EP2464162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testing performance of wireless network cell
CN103634858A (zh) 一种用户设备的切换方法、基站、用户设备和切换系统
EP4175204A1 (en) Parsing method for received channel power indicator value, and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386159B1 (ko) 무선 이동통신 네트워크에서의 호 절단 및 호 설정 실패 원인 분석 방법
CN103716825A (zh) 一种基站监控天线劣化的方法及装置
US20230199538A1 (en) Candidate beam measurement method and terminal
US20230107132A1 (en) Radio base station, method, and program
US20230088502A1 (en) Interference detection apparatus, radio base station, interference detection method, and program
JP7409482B2 (ja) 干渉検出装置、無線基地局、干渉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4271110A1 (en) Channel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lbt failure repor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device
JP3797842B2 (ja) 無線装置の故障診断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