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802B1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lled dry laver for frying in oil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lled dry laver for frying in o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8802B1 KR100978802B1 KR1020100000228A KR20100000228A KR100978802B1 KR 100978802 B1 KR100978802 B1 KR 100978802B1 KR 1020100000228 A KR1020100000228 A KR 1020100000228A KR 20100000228 A KR20100000228 A KR 20100000228A KR 100978802 B1 KR100978802 B1 KR 10097880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w material
- cutting
- laver
- seaweed
- material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41000206607 Porphyra umbilicalis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923 batch prod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2791 Brassica nap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977 Brassica sinapist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27 fu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94 past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채(C)를 연속 이송되는 김(L)에 공급하여 김말이(P)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되는 김(L)에 압송스크류(25)를 통하여 잡채(C)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20); 상기 원료공급부(20)의 하류단으로 이송되는 성형벨트(45) 상으로 원료를 수용하여 연속적인 원통형태의 김말이(P)를 생성하는 전방성형부(40)와 후방성형부(50)를 구비하는 성형수단; 상기 원통형태로 이송되는 김말이(P)를 절단날(65)로 커팅하는 절단배출부(60); 및 상기 원료공급부(20)에서 원료의 소진상태를 판단하고, 절단배출부(60)에서 절단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김말이의 양산시에 다수의 작업자들이 투입된 일괄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의 청결성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evice for producing a seaweed roll (P) by feeding the chaechae (C) to the continuous feeding of seaweed (L): supplying the chaechae (C) through the pressure feeding screw 25 to the seaweed (L) to be transferred Raw material supply unit 20; It is provided with a front molding portion 40 and a rear molding portion 50 to receive the raw material on the forming belt 45 is transpor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ortion 20 to produce a continuous cylindrical laver (P). Molding means for performing; Cutting discharge unit 60 for cutting the seaweed roll (P) to the cylindrical shape with a cutting blade 65; And a controller 70 for determining the exhausted state of the raw material in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20 and adjusting the cutting length in the cutting and discharging unit 6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with the cleanliness of the product by automating the batch process in which a large number of workers were put in the mass production of Kim.
Description
본 발명은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김말이의 양산시에 다수의 작업자들이 투입된 일괄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의 청결성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rying lav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rying laver, which can improve productivity with cleanliness of a product by automating a batch process in which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put into production. will be.
근래 들어 김밥, 김말이, 김과자 등의 김을 응용한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게 증가하면서 일일이 손으로 제조하는 종래 방식의 비위생적이고 비생산적인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위생적으로 양산화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28709호,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32070호 등의 선행기술이 발견된다. In recent years, as the demand for products applied with seaweed such as gimbap, kimmalyi, and pastry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efforts have been made to mass-produce hygienically to improve the unsanitary and unproducti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by hand. In this regard, prior arts such a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928709 and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32070 are found.
일예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28709호는 『풍부한 영양분을 포함하고 있어 간식 또는 식사 대용이 가능한 김말이 튀김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당면을 삶는 단계와, 그 당면을 간장으로 간하는 단계와, 김 상부로 상기 간한 당면을 적층하고, 그 상부로 야채류, 고기류, 해산물류, 떡 등의 내용물을 적층 한 후 돌돌 감아 원통형으로 겹치게 마는 단계와, 김말이 표면에 튀김가루를 입히는 단계와, 기름에 튀기는 단계를』 제안한다.As an exampl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928709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a fried seaweed roll which contains rich nutrients and can be used as a snack or meal. More specifically, the step of boiling vermicelli and soybean vermicelli with soy sauce W, laminating the simple vermicelli on top of laver, laminating the contents of vegetables, meat, seafood, rice cake, etc. on the upper part of the laver and rolling them in a cylindrical shape; Offer a step over frying.
다른 예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32070호는 『김밥의 재료를 교반, 혼합하여 김말이유니트(3)으로 공급하는 투입유니트(2)와, 투입유니트(2)로부터 공급된 김밥재료를 김으로 말아서 절단할 수 있도록 절단유니트(4)로 공급하는 김말이유니트(3)와, 김말이유니트(3)에서 말아진 김밥을 소정 간격으로 절단하는 절단유니트(4)로 구성된』 김밥 제조장치를 제안한다.As another example, Korean Unexamin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1998-0032070 discloses, `` The feeding unit (2) for agitating and mixing the ingredients of gimbap and feeding it to the kimmal feeding unit (3), and the kimbap material supplied from the feeding unit (2). It proposes a gimbap manufacturing apparatus consisting of a ladle roll unit (3) for feeding a cutting unit (4) to be rolled up and cut into a cutting unit (4) for cutting gimbap rolled up in the laver roll (3)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그러나, 전자의 선행기술은 김말이의 양산에 있어 생산성을 향상하는 기술적 사항을 내포하지 않고, 후자의 선행기술은 밥이 아닌 잡채를 주재료로 하는 김말이의 양산에 적용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However, the former prior art does not contain technical matters for improving productivity in the mass production of kim malyi, and the latter prior art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mass production of kim malyi mainly made of rapeseed and not rice.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김말이의 양산시에 다수의 작업자들이 투입된 일괄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의 청결성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roduction apparatus for frying laver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with the cleanliness of the product by automating the batch process put a number of workers during the mass production of laver The purpose is to provide.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잡채를 연속 이송되는 김에 공급하여 김말이를 생성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되는 김에 압송스크류를 통하여 잡채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 상기 원료공급부의 하류단으로 이송되는 성형벨트 상으로 원료를 수용하여 연속적인 원통형태의 김말이를 생성하는 전방성형부와 후방성형부를 구비하는 성형수단; 상기 원통형태로 이송되는 김말이를 절단날로 커팅하는 절단배출부; 및 상기 원료공급부에서 원료의 소진상태를 판단하고, 절단배출부에서 절단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producing seaweed roll by feeding the chaechae to the continuously transported laver: Raw material supply for supplying the chaechae through the pressure feeding screw to the conveyed laver; Molding means including a front molding part and a rear molding part for receiving a raw material onto a forming belt conveyed to a downstream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part to generate a continuous cylindrical laver; Cutting discharge portion for cutting the seaweed roll to be transferred to the cylindrical shape with a cutting blade; And a control unit for determining the exhausted state of the raw material in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and adjusting the cutting length in the cutting discharge unit.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공급부는 압송스크류의 하류측에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습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is provided with a spray nozzl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pressure screw to supply the wet air.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성형수단은 나팔형의 성형판을 통과하는 성형벨트를 개재하여 잡채를 김으로 싸고, 고정틀과 가동틀에 의하여 형성되는 성형홈 상으로 이송하면서 원통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ing means is wrapped in the jeomchae through the forming belt passing through the trumpet-shaped plate, and is produced in a cylindrical state while transporting on the forming groove formed by the fixed frame and the movable frame. It is don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성형벨트의 이송속도를 엔코더로 검출하여 전체 공정을 조절하고, 절단배출부의 커버가 개방되는 것을 커버센서로 검출하여 전체 공정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detects the conveying speed of the molding belt with an encoder to adjust the whole process, and detects that the cover of the cut discharge part is opened by a cover sensor, and stops the whole process.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should us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alternatives may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는 김말이의 양산시에 다수의 작업자들이 투입된 일괄 공정을 자동화하여 제품의 청결성과 함께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manufacturing apparatus for frying laver ro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utomating a batch process in which a large number of workers are put in mass production of laver and improving productivity with cleanliness of the product.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정면과 평면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원료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전방성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후방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and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ront and plane as a whol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aw material supply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ront molding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ear mold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discharge par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cut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to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를 정면과 평면에서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원료공급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전방성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후방형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배출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절단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and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front and plane as a whole,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raw material supply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ar mold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ischarge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cut portion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trol unit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잡채(C)를 연속 이송되는 김(L)에 공급하여 김말이(P)를 생성하는 장치에 관련된다. 하나의 본체(10) 상에 호퍼(12)를 비롯하여 원료공급부(20), 전방성형부(40), 후방성형부(50), 절단배출부(60), 제어부(70)가 구비되고, 이와 같은 본체(10)는 하나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두 개를 병치할 수도 있다. 호퍼(12)에 보관되는 잡채(C)는 호퍼(12)의 저면에 설치된 이송벨트(14)를 통하여 후속하는 공정으로 보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producing a seaweed roll (P) by feeding the chaechae (C) to the laver (L) to be continuously transported. The raw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되는 김(L)에 압송스크류(25)를 통하여 잡채(C)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20)가 구비된다. 원료공급부(20)의 이송벨트(14)의 하단에는 유입롤러(22)를 구비하여 잡채(C)를 절적한 크기로 절단한다. 이송벨트(14)와 유입롤러(22)를 통하여 낙하되는 잡채(C)는 모터(18)로 작동되는 압송스크류(25)와 그 선단의 노즐(26)을 통하여 압출된다. 김(L)은 본체(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원단롤러(28) 상에 권취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공급되고, 성형벨트(45)를 구동하는 벨트롤러(48)(도 9참조) 측으로 상향된 후에 압송스크류(25)의 노즐(26)의 하측을 지나도록 이송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aw
이때, 상기 원료공급부(20)는 압송스크류(25)의 하류측에 분사노즐(32)을 구비하여 습공기를 공급한다. 분사노즐(32)은 물탱크(38)에 연결되는 수관(34)과 공압기(도시 생략)와 연결되는 공기관(36)을 포함하고, 물탱크(38)에 저장된 물을 고압의 공기로 분무하여 김(L)이 이송중에 흐트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습공기의 분무량을 조절하기 위해 유로의 개도를 변경하는 조절노브(33)를 구비한다. 습공기의 분사에 의하여 김(L)이 성형벨트(45) 상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된다.At this time, the raw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공급부(20)의 하류단으로 이송되는 성형벨트(45) 상으로 원료를 수용하여 연속적인 원통형태의 김말이(P)를 생성하는 성형수단을 구비한다. 성형벨트(45)는 연질수지나 직물과 같이 유연성이 좋은 소재로 형성되고 벨트롤러(48)를 개재하여 컨베이어 방식으로 이송된다. 성형수단은 후술하는 것처럼 전방성형부(40)와 후방성형부(5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orming means for receiving the raw material on the forming
이때, 상기 성형수단은 나팔형의 성형판(42)을 통과하는 성형벨트(45)를 개재하여 잡채(C)를 김(L)으로 싸고, 고정틀(51)과 가동틀(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성형홈(53) 상으로 이송하면서 원통형태로 생성한다. 전방성형부(40)는 성형벨트(45)의 경로상에 성형판(42)과 가이드(43)를 구비하여 원료를 1차적으로 U자형 단면으로 감싸는 작동을 수행한다. 성형판(42)은 하류로 갈수록 입구가 좁아지는 나팔형이고, 그 하류측의 가이드(43)는 U자형 단면의 상단을 폐쇄하는 형태이다. 후방성형부(50)는 고정틀(51)과 가동틀(52)의 사이에 성형홈(53)을 지닌 부분을 양단에 이격하여 형성한 구조이다. 상측의 가동틀(52)은 조절노브(55)를 통하여 일정 범위로 상하운동이 가능하므로 성형홈(53)의 크기를 어느 정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방성형부(50)는 복수로 설치하여 2차, 3차에 걸쳐 원료를 O형 단면의 김말이(P)로 완성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forming means is wrapped by the seam (C) with the laver (L) through the forming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통형태로 이송되는 김말이(P)를 절단날(65)로 커팅하는 절단배출부(60)를 구비한다. 안내편(61)과 안내통(62)을 통하여 이송되는 원료는 회전되는 절단날(65)에 의해 설정된 길이 단위로 절단된다. 안내편(61)은 성형벨트(45)보다 작은 간격으로 2개를 대향하여 설치한다. 안내통(62)은 연속적인 O형 단면의 김말이(P)를 정렬 상태로 이송하며, 그 하단에 이르러 절단날(65)이 통과할 정도의 좁은 틈새를 구비한다. 절단날(65)의 하류측으로 배출롤러(64)가 설치되어 절단된 김말이(P)를 배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이때, 절단배출부(60)에서 절단날(65)이 수용되는 부분은 사고의 위험성이 크므로 별도의 개방 가능한 커버(68)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At this time, since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료공급부(20)에서 원료의 소진상태를 판단하고, 절단배출부(60)에서 절단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한다. 제어부(70)는 제어기(75)를 중심으로 공급센서(72), 절단센서(74) 등의 신호를 입력하며, 압송스크류(25)를 비롯하여 이송벨트(14), 성형벨트(45) 등의 전반적인 작동을 단속한다. 공급센서(72)는 호퍼(12)의 하류측으로 압송스크류(25)에 공급되는 잡채(C)의 양을 측정하도록 설치된다. 절단센서(74)는 절단날(65)의 회전 상태를 검출하도록 그 회전축에 설치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이때, 상기 제어부(70)는 성형벨트(45)의 이송속도를 엔코더(78)로 검출하여 전체 공정을 조절하고, 절단배출부(60)의 커버(68)가 개방되는 것을 커버센서(76)로 검출하여 전체 공정을 정지한다. 엔코더(78)는 성형벨트(45)를 구동하는 모터(18)에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압송스크류(25)를 구동하는 모터(18) 또는 그 외의 모터에도 부가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엔코더(78)는 성형벨트(45)의 작동속도를 검출하여 다른 부분의 속도를 연동적으로 조절하는 용도이다. 커버센서(76)는 절단배출부(60)에 설치된 커버(68)의 개폐 상태를 검출하는 용도이다. 커버(68)가 개방된 것을 감지하면 압송스크류(25), 성형벨트(45), 절단날(65) 등의 전반적인 공정을 정지한다. 이외에 제어기(75)는 공급센서(72)의 입력으로 압송스크류(25)의 잡채(C)의 양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이송벨트(14)와 유입롤러(22)를 정지시키고, 절단센서(74)의 입력으로 절단날(65)의 회전수를 변동하여 김말이(P)의 절단길이를 조절한다.At this time, the
물론, 상세한 도시는 생략하지만 제어부(70)의 제어기(75)는 각부의 공정조건을 입력하는 스위치와 작동상태를 표시하는 스크린을 구비한다.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detail, the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9 to 1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equentially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작동에 있어서, 도 9처럼 김(L)이 성형벨트(45) 상으로 공급되는 동안 분사노즐(32)에서 습증기가 분사되고 압송스크류(25)의 노즐(26)을 통하여 잡채(C)가 공급되며, 도 10처럼 김(L)과 잡채(C)가 성형벨트(45)와 함께 전방성형부(40)의 성형판(42) 및 후방성형부(50)의 성형홈(53)을 통과하면서 U자 단면에서 O자 단면형으로 완성되고, 이어서 도 11 및 도 12처럼 성형판(42)과 가이드(43)를 통과하는 동안 회전되는 절단날(65)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배출된다.In operation, wet steam is injected from the
이때, 제어기(75)를 통하여 성형벨트(45)의 이송속도를 증가하면 원료공급부(20)의 이송벨트(14)와 유입롤러(22), 압송스크류(25), 절단날(65)의 속도를 연동적으로 변동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김말이(P)의 규격과 함께 생산량을 신속하게 조절할 수 있다. 만일 후방성형부(50)의 조절노브(55)를 사용하면 김말이(P)의 굵기를 즉시 변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feed speed of the forming
한편, 배출롤러(64)에 포토센서 또는 근접스위치를 설치하여 절단된 김말이(P)를 계수하고 제어기(75)의 스크린 상으로 생산량을 출력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by installing a photosensor or proximity switch in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2: 호퍼 14: 이송벨트
18: 모터 20: 원료공급부 22: 유입롤러
25: 압송스크류 26: 노즐 32: 분사노즐
34: 수관 36: 공기관 40: 전방성형부
42: 성형판 43: 가이드 45: 성형벨트
50: 후방성형부 51: 고정틀 52: 가동틀
53: 성형홈 55: 조절노브 60: 절단배출부
61: 안내편 62: 안내통 64: 배출롤러
65: 절단날 68: 커버 70: 제어부
72: 공급센서 74: 절단센서 75: 제어기
76: 커버센서 78: 엔코더10: main body 12: hopper 14: transfer belt
18: motor 20: raw material supply 22: inlet roller
25: pressure screw 26: nozzle 32: injection nozzle
34: water pipe 36: air pipe 40: front molding
42: forming plate 43: guide 45: forming belt
50: rear molding 51: fixed frame 52: movable frame
53: forming groove 55: adjusting knob 60: cutting discharge portion
61: guide 62: guide 64: discharge roller
65: cutting blade 68: cover 70: control unit
72: feed sensor 74: cutting sensor 75: controller
76: cover sensor 78: encoder
Claims (4)
상기 이송되는 김(L)에 압송스크류(25)를 통하여 잡채(C)를 공급하는 원료공급부(20);
상기 원료공급부(20)의 하류단으로 이송되는 성형벨트(45) 상으로 원료를 수용하여 연속적인 원통형태의 김말이(P)를 생성하는 전방성형부(40)와 후방성형부(50)를 구비하는 성형수단;
상기 원통형태로 이송되는 김말이(P)를 절단날(65)로 커팅하는 절단배출부(60); 및
상기 원료공급부(20)에서 원료의 소진상태를 판단하고, 절단배출부(60)에서 절단길이를 조절하는 제어부(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I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seaweed roll (P) by feeding the chaechae (C) to a continuous seaweed (L):
Raw material supply unit 20 for supplying the chaechae (C) to the conveying seaweed (L) through a pressure screw (25);
It is provided with a front molding portion 40 and a rear molding portion 50 to receive the raw material on the forming belt 45 is transported to the downstream end of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20 to generate a continuous cylindrical laver (P). Molding means for performing;
Cutting discharge unit 60 for cutting the seaweed roll (P) to the cylindrical shape with a cutting blade 65; And
And a control unit 70 for determining the exhausted state of the raw material in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20 and adjusting the cutting length in the cutting discharge unit 60.
상기 원료공급부(20)는 압송스크류(25)의 하류측에 분사노즐(32)을 구비하여 습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raw material supply unit 20 is provided with a spray nozzle 32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pressure screw 25 to supply wet air, characterized in that for supplying wet air.
상기 성형수단은 나팔형의 성형판(42)을 통과하는 성형벨트(45)를 개재하여 잡채(C)를 김(L)으로 싸고, 고정틀(51)과 가동틀(52)에 의하여 형성되는 성형홈(53) 상으로 이송하면서 원통형태로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molding means is formed by the fixed frame 51 and the movable frame 52 by wrapping the chaechae (C) with laver (L) via the forming belt 45 passing through the trumpet-shaped plate 42.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rying lav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duced in a cylindrical shape while being transferred onto the groove (53).
상기 제어부(70)는 성형벨트(45)의 이송속도를 엔코더(78)로 검출하여 전체 공정을 조절하고, 절단배출부(60)의 커버(68)가 개방되는 것을 커버센서(76)로 검출하여 전체 공정을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튀김용 김말이의 제조장치.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unit 70 detects the conveying speed of the molding belt 45 by the encoder 78 to adjust the overall process, and detects by the cover sensor 76 that the cover 68 of the cutting discharge unit 60 is opened. Th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laver for frying characterized in that the entire process is stopp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0228A KR100978802B1 (en) | 2010-01-04 | 2010-01-04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lled dry laver for frying in oi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00228A KR100978802B1 (en) | 2010-01-04 | 2010-01-04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lled dry laver for frying in oi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8802B1 true KR100978802B1 (en) | 2010-08-30 |
Family
ID=4276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00228A KR100978802B1 (en) | 2010-01-04 | 2010-01-04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lled dry laver for frying in oi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8802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025B1 (en) * | 2013-06-05 | 2014-12-09 | 신영수 | method and fried food |
KR20190073721A (en) * | 2017-12-19 | 2019-06-27 | 강신탁 | dried laver and rice paper attaching devic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265Y1 (en) * | 1994-03-31 | 1996-03-19 | 이남재 | Machine for laver rice |
KR200441827Y1 (en) | 2007-05-18 | 2008-09-09 | 김주동 | An auto manufacturing device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
-
2010
- 2010-01-04 KR KR1020100000228A patent/KR10097880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2265Y1 (en) * | 1994-03-31 | 1996-03-19 | 이남재 | Machine for laver rice |
KR200441827Y1 (en) | 2007-05-18 | 2008-09-09 | 김주동 | An auto manufacturing device of rice rolled in dried laver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71025B1 (en) * | 2013-06-05 | 2014-12-09 | 신영수 | method and fried food |
KR20190073721A (en) * | 2017-12-19 | 2019-06-27 | 강신탁 | dried laver and rice paper attaching device |
KR102007714B1 (en) | 2017-12-19 | 2019-08-07 | 강신탁 | dried laver and rice paper attaching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106992B (en) | Full-automatic apery handbag dumpling machine | |
FI125963B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elongated foods | |
CN205756898U (en) | A kind of Novel noodle press | |
CN102100334B (en) | Multifunctional fry-free noodle production line and process | |
CN207792005U (en) | A kind of noodles conveying device | |
KR100978802B1 (en) |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olled dry laver for frying in oil | |
KR20170113986A (en) | Dough molding machines with rotary valve | |
KR20090040503A (en) | Food machinery that automatically wraps the outer shell of foodstuffs, including semi-finished ingredients | |
CN104585264B (en) | An integrated noodle rolling machine and noodle making method thereof | |
CN104511433A (en) | Rejected product automatically processing device | |
CN102090428B (en) | Manufacturing method and device for sandwiching fillings between upper and lower skin layers | |
CN204014903U (en) | Multilayer musculus cutaneus compounding machine | |
CN102793109A (en) | Large-scale hot-dry noodle continuous production line | |
CN204217743U (en) | Sesame machine in one | |
KR20200057245A (en) |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ereal bar using cereal and double noodle using double noodle | |
RU125431U1 (en) | MULTIFUNCTIONAL MACHINE FOR TWO-SIDED THREE-DIMENSIONAL INTRODUCTION OF STARTING AND FORMING | |
CN104146213A (en) | Making method for nutrient noodles and noodle maker | |
WO2015198292A1 (en) | Forming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pasta of elongated type and related method | |
CN207284976U (en) | A kind of pocket cake or bread continuous rolling former structure | |
CN203243869U (en) | Fried food powdering machine capable of adjusting thickness of dusted powder | |
CN204070396U (en) | Fresh powder machine | |
CN206565182U (en) | multifunctional pastry machine | |
CN105432706B (en) | An integrated fish noodle processing equipment with automatic steam control function | |
CN205143411U (en) | Integrated processing equipment of fish face | |
CN207100339U (en) | A kind of glutinous rice flour stick automatic-extrusion, dusting, cutting form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2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