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799B1 - 착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프리즘 도수를 가진 누진 다초점 렌즈 - Google Patents

착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프리즘 도수를 가진 누진 다초점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799B1
KR100978799B1 KR1020037014085A KR20037014085A KR100978799B1 KR 100978799 B1 KR100978799 B1 KR 100978799B1 KR 1020037014085 A KR1020037014085 A KR 1020037014085A KR 20037014085 A KR20037014085 A KR 20037014085A KR 100978799 B1 KR100978799 B1 KR 100978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rism
power
diopters
progres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0602A (ko
Inventor
메네제스에드가르브이.
Original Assignee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filed Critical 에씰로아 인터내셔날/콩파니에 제네랄 도프티크
Publication of KR20040030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0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 G02C7/068Special properties achieved by the combination of the front and back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02C7/06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bifocal; multifocal ; progressive
    • G02C7/061Spectacle lenses with progressively varying focal pow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프리즘 도수가 부가되는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렌즈는 종래의 누진 다초점 렌즈와 비교하여서 향상된 이미지의 품질을 나타낸다.
누진 다초점 렌즈, 광학 프리폼, 도수, 근용부, 원용부, 수직 프리즘

Description

착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프리즘 도수를 가진 누진 다초점 렌즈{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prism power added to improve wearer comfort}
본 발명은 다초점 안과용 렌즈에 관한 것입니다. 특히, 본 발명은 이미지의 질을 향상시키는 프리즘 도수(prism power)가 부가되는 누진 다초점 렌즈(progressive addition lense)에 관한 것이다.
이상시안(ametropia)을 교정하기 위한 안과용 렌즈는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누진 다초점 렌즈("PALs")와 같은 다초점 렌즈가 노안의 치료를 위하여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누진 다초점 렌즈는 증가되는 굴절 도수(dioptric power)의 점진적이며 연속적인 누진으로 원용부(distance vision zone), 중간부(intermediate vision zone) 및 근용부(near vision zone)를 제공한다. 2초점 렌즈와 3초점 렌즈와 같은 다른 형태의 다초점 렌즈에서 발견되는 서로 다른 광도수(optical power) 영역 사이에서 가시적 돌출부(ledge)가 없기 때문에 누진 다초점 렌즈는 착용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그러나, 착용자의 머리와 눈의 이동에 따라서 이미지 위치, 배율(magnification) 및 흐릿함의 변화가 누진 다초점 렌즈의 본래 성질이다. 이러한 이미지 품질과 이동으로 인한 문제점으로 인해 누진 다초점 렌즈 착용자가 렌즈를 채택하여 사용하기가 어려워 진다. 이러한 이미지 문제점을 감소시키기 위한 공지된 방법은 불필요한 비점수차, 또는 렌즈에 의하여 도입되는 비점수차를 렌즈의 외주로 퍼지게 하고, 도수에 있어 보다 점진적인 증가를 제공하기 위하여 채널을 길게 늘이며, 렌즈를 형성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누진면을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들은 미처방 프리즘 도수, 또는 하나 이상의 렌즈 표면들에 의하여 도입되거나 발생되는 프리즘 도수의 이미지 품질의 영향을 상쇄시키지 않고, 따라서 렌즈 착용자의 이미지의 흐릿함, 왜곡, 이동을 발생시키는 점이 단점이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는 PAL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의 누진 다초점 렌즈의 확대 단면도.
도 2는 프리즘 도수가 부가되는 도 1의 누진 다초점 렌즈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실시예 1의 종래의 누진 다초점 렌즈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프리즘 도수가 부가되는 실시예 1의 도 3에서 누진 다초점 렌즈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균일한 프리즘 도수가 경계면에서 부가되는 누진 다초점 렌즈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누진된 프리즘 도수가 경계면에 부가되는 누진 다초점 렌즈를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은 물론 프리즘 도수가 렌즈로 도입되는 렌즈 뿐만 아니라 이들의 디자인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부가되는 프리즘 도수는 전체 또는 부분으로서, 렌즈의 미처방 프리즘 도수의 이미지 품질의 악영향을 극복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가입 도수(add power), 도수와 베이스(base)를 갖는 근용부 수직 프리즘, 및 거의 전체 렌즈에 부가되는 도수와 베이스를 가지는 수직 프리즘을 구비하며, 상기 부가 수직 프리즘 베이스는 근용부 수직 프리즘 베이스에 반대 방향에 있고, 상기 부가 수직 프리즘 도수는 상기 가입 도수의 약 0.25 퍼센트인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공한다.
"누진 다초점 렌즈"라는 것은 적어도 하나의 누진 증가면(progressive addition surface)을 갖는 렌즈를 의미한다. "누진 증가면"은 원용부 및 근용부 또는 시야 영역과, 원용부 및 근용부를 연결하는 굴절 도수를 증가시키는 영역을 갖는 연속적인 비구면이다. "가입 도수"라는 것은 상기 누진 다초점 렌즈의 근용부와 원용부 사이에서의 굴절 도수의 차를 의미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a) 제 1의 가입 도수, 도수와 베이스를 갖는 제 1 근용부 수직 프리즘, 및 실질적으로 전체 렌즈에 부가되는 도수와 베이스를 갖는 제 1 수직 프리즘을 구비하는 제 1 렌즈와, b) 제 2의 가입 도수, 도수와 베이스를 갖는 제 2 근용부 수직 프리즘, 및 실질적으로 전체 렌즈에 부가되는 도수와 베이스를 갖는 제 2 수직 프리즘을 구비하는 제 2 렌즈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부가 프리즘 베이스 각각은 부가되는 근용부 수직 프리즘 베이스에 방향이 반대이며, 상기 부가 수직 프리즘 각각은 부가되는 렌즈의 가입 도수의 약 0.25 퍼센트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렌즈상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제 2 렌즈상의 대응되는 지점에서 수직 프리즘 간의 차가 약 0.5 디옵터(diopter) 이하인 누진 다초점 렌즈 쌍을 제공한다.
원용부로부터 근용부로 상기 누진 다초점 렌즈의 도수의 연속적인 변화로 렌즈에 수직 프리즘이 도입되고, 상기 도입된 프리즘은 렌즈의 핏팅 포인트(fitting point)로부터 근용부로 도수 변화에 해당하며 도수가 변하게 되는 것이 본 발명의 발견이다. 상기 수직 프리즘의 도수와 방향은 렌즈의 원용부 및 근용부 구면 굴절력에 따르게 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프리즘은 베이스 업(base up) 또는 베이스 다운(base down)이 될 것이다. 상기 "베이스 업"이라는 것은 상기 프리즘의 베이스가 렌즈 표면에 대하여 90도(degree) 방향으로 놓이는 것을 의미한다. "베이스 다운"이라는 용어는 상기 프리즘의 베이스가 렌즈 표면에 대하여 270도(degree) 방향으로 놓이는 것을 말한다. 근용부에 있는 포지티브 구면 굴절력에 대해, 상기 수직 프리즘은 베이스 업 프리즘이 될 것이며, 네거티브 구면 굴절력에 대해, 상기 프리즘은 베이스 다운 프리즘이 될 것이다. 상기 베이스 업 프리즘의 영향은 렌즈 착용자에 의하여 관찰되는 이미지를 만곡시키고 신장시키는 것이다. 베이스 다운 프리즘은 이미지의 만곡과 이미지의 상향 이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누진 다초점 렌즈 근용부에 고유한 미처방 프리즘은 렌즈 착용자에 대해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킨다.
실질적으로 전체 렌즈에 수직 프리즘을 부가시킴으로써 누진 다초점 렌즈의 이미지 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는 것이 이미지의 또 다른 발견이다. 부가 프리즘은 렌즈의 근용부에 갖추어져 있는 미처방 수직 프리즘에 반대방향인 베이스 방향이 된다. 수직 프리즘이 실질적으로 전체 렌즈에 부가되기 때문에, 부가된 프리즘 도수는 원용부에서 실질적으로 시력이 감소되지 않고도 렌즈 착용자가 용인할 수 있는 양으로 제한되어야만 한다. 통상적으로, 시력 차트를 사용하여 측정될 때, 시력의 하나 이상의 라인 손실(line loss)은 렌즈 착용자에 의하여 잘 용납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부가 수직 프리즘 도수의 양은 렌즈의 가입 도수의 약 0.25%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써 왔던 한 쌍의 렌즈에서, 부가 프리즘 도수의 양은 렌즈 착용자가 써 왔던 양 렌즈에서 동일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렌즈에 부가되는 프리즘의 양으로 인해 우안 렌즈상의 임의의 지점에서의 수직 프리즘이 좌안 렌즈상의 대응 지점에서의 수직 프리즘과 약 0.5 디옵터 이하의 양 만큼 다르게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는 임의의 종래 수단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안과용 렌즈의 제조에 임의의 알려진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알릴 디글리콜(allyl diglycol),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acrylate)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재료는 통상의 상업적으로 구매가능한 것이거나, 이들의 제조방법들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렌즈는 그라인딩, 전체 렌즈의 캐스팅(casting), 몰딩, 열성형, 라미네이팅(laminating), 표면 캐스팅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임의의 종래 렌즈 제조기술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캐스팅은 임의의 수단에 의해서도 실행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미국특허 제5,147,585호, 제5,178,800호, 제5,219,497호, 제5,316,702호, 제5,358,672호, 제5,480,600호, 제5,512,371호, 제5,531,940호, 제5,702,819호, 및 제5,793,465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 되지 않는, 표면 캐스팅에 의하여 실행되며, 이러한 특허들은 전체로서 참고로 본원에 합체되어 있다.
렌즈에 수직 프리즘 도수의 부가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서 성취될 수 있다. 사용된 특정의 방법은 렌즈제조에 사용되는데 바람직한 방법에 따르게 된다. 예를 들면, 하나 이상의 렌즈 표면을 제조하기 위해 서페이싱(surfacing)이 사용되는 렌즈에 대해, 상기 부가 수직 프리즘 도수는 예컨대 오프셋 블로킹(offset blocking) 기술을 사용하여 제한됨이 없이, 서페이싱 공정을 통하여 렌즈에 합체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하나 이상의 표면들 또는 전체 렌즈들이 캐스트되는 렌즈에서, 상기 렌즈 또는 표면을 캐스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몰드(mold)가 수직 프리즘 도수를 부가시키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울임에 의해 렌즈에 부가되는 수직 프리즘의 도수는 프리폼(preform) 표면에 대한 몰드 표면의 기울기와 거의 동일하게 될 것이다. 예를 들면, 1도의 경사는 부가 프리즘 도수의 약 1 디옵터과 동일하게 된다. 기울기의 방향은 프리즘이 베이스 업 또는 베이스 다운되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도 1은 볼록면상에 렌즈 가입 도수를 가지는 종래 기술의 누진 다초점 렌즈(10)를 도시한 것이다. 실선(11 및 12)은 원시 및 근시 시선의 레이 트레이스(ray trace)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렌즈를 통해 보여진 대상물이 더 큰 표면 곡률로 인해 발생되는 근용부내 미처방 수직 프리즘으로 인하여 어떻게 이동되어 나타나지를 도시한 것이다. 참조로서, 점선(13)은 0 가입 도수를 갖는 렌즈(단초점 렌즈)의 형상을 나타내고, 점선(14)은 누진 및 단초점 렌즈 사이의 레이 트레이스에서의 차를 나타낸다. 도 2는 볼록면상에 가입 도수를 갖는 누진 다초점 렌즈인 렌즈(20)를 도시한 것이다. 점선(23)은 어떠한 부가된 프리즘이 없는 렌즈의 형상을 나타낸다. 실선(21 및 22)은 베이스 다운 프리즘을 발생시키기 위해 경사진 렌즈의 볼록면을 가진 렌즈(20)를 나타낸다. 상기 렌즈와 레이 트레이스(25 및 26)의 합성된 형상은 렌즈를 통해 보여지는 대상물이 근용부에 있는 하부 미처방 프리즘으로 인하여 어떻게 대부분 이동되지 않은 채로 나타나는지를 도시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광학 프리폼이 사용되고, 하나 이상의 층들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리폼 표면상에 캐스트된다. 여기에서, "광학 프리폼"이라는 것은 광을 굴절시킬 수 있으며 오목면과 볼록면을 갖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제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제품은 안경렌즈를 제조에 사용하기 적합하다. 각각의 광학 프리폼과 캐스트 층의 굴절 도수들은 원시, 근시, 중간시의 일부 또는 모두가 될 수 있거나, 형성될 마감 렌즈의 원통형 굴절 도수들 일 수 있거나, 이들의 조합이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프리폼의 적어도 일면은 누진 증가면이며, 상기 캐스트 층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프리폼의 전방 표면에 형성된 누진 증가면을 형성한다.
소정의 수직 프리즘 도수를 부가하기 위하여 몰드와 프리폼의 위치선정은 짐벌 홀더(gimbal holder), 그립퍼(gripper), 진공 그립퍼 등과, 이들의 조합과 같은 임의의 종래 위치선정 수단을 사용하여서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위치선정은 짐벌 작용을 할 수 있는 고정체에 흡인과 같은 위치선정 수단을 사용하여 몰드를 배치함으로써 성취된다. 요구되는 몰드 이동과 경사는 서보 모터를 포함하나 이에 국하되지 않는 임의의 종래의 이동수단에 의하여 성취될 수 있다.
일단 소정의 몰드 프리폼 배향이 달성되면, 상기 캐스트 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몰드내로 분배되고, 캐스트 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화된다. 이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재료로는 본원에 참조로 합체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5,470,892호에 기재된 것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부가적인 적절한 모노머는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보네이트(diethylene glycol bis(allyl) carbonate), 비스페놀 A 디알릴 카보네이트(bisphenol A diallyl carbonate) 등과 같은 알릴(allyl) 및 비스(알릴) 카보네이트와, 아크릴 산(acrylic acid), 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ethylene glycol diacrylate),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아클레이트(tetraeth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테트라하이드로퍼퍼릴 메타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테트라하이드로퍼퍼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acrylate), 헥산에디올메타아크릴레이트(hexanediolmethacrylate),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butyl methacrylate), 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propyl methacrylate), 펜테릴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penterythritol tetraacrylate),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와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다관능 아크릴레이트(acrylate) 및 메타클릴레이트와, 디비닐 벤젠(divinyl benzene)과 같은 스티렌 및 스티렌 유도체, 4-비닐 아니졸(vinyl anisole), 다양한 에스테르(ester) 또는 말레산(maleic acid) 및 이타코닉산(itaconic acid), 메타아크릴(methacrylic) 및 아크릴 안하이드리드(acrylic anhydride),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모노머는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하고, 이들의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프리폼을 사용하기 위한 적절한 재료들은 안경렌즈 재료로서 사용하기 위해 상술된 재료들이다.
분배된 재료의 경화는, 열경화, 복사 경화, 가시광 경화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 임의의 종래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자외선(ultra-violet) 경화가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몰드가 저강도 자외선에 노출된 후 고강도 자외선에 노출되는 2단계의 UV 경화가 사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프리즘은 렌즈의 2개층의 경계면에 도입되고, 각 층은 바람직하게는 서로 다른 굴절율로 된다. 상기 프리즘의 양은 전체 렌즈 영역에 걸쳐서 일정할 수 있으며, x-축위에서 일정한 값을 가지고, x-축 아래에서는 서로 다른 값을 가지며, x-축을 가로질러서는 혼합된 불연속성을 가지고, 핏팅 포인트로 부터 렌즈의 근용부까지 완만하고 단조로운 방식으로 점차적으로 변화된다. 부가 프리즘의 크기 또는 양이 핏팅 포인트로부터 근용부까지 변화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변화는 누진 증가 채널내로 불필요한 비점수차의 도입을 방지하기 위해 점진적으로 되어야만 한다. 상기 부가 프리즘의 크기는 표준광학원리에 따라서 2개의 층사이의 굴절율 차를 고려하여만 한다. 내부 경계면에 프리즘을 위치시키는 것은, 원용부와 근용부에서 프리즘의 양을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하고, 또한 렌즈제조를 간략하게 하는 점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은 다음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를 고려함으로써 보다 명백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1
도 3에는, 볼록면(35)상에 총렌즈 가입 도수의 일부분과 오목면(36)상에 또다른 부분을 갖는 누진 다초점 렌즈(30)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의 렌즈는 광학 프리폼의 볼록면에 누진 증가면을 캐스팅함으로써 형성된다. 2.25 디옵터의 총 가입 도수를 갖는 렌즈는 0.75의 디옵터의 가입 도수를 갖는 오목면과 1.50 디옵터의 가입 도수를 갖는 볼록면으로 제조된다. 1.50 디옵터의 총 가입 도수를 갖는 렌즈는 0.75 디옵터의 가입 도수를 갖는 오목면과, 0.75 디옵터의 가입 도수를 갖는 볼록면으로 제조된다. 실선(31 및 32)은 각각 원시 시선과 근시 시선의 레이 트레이스이다. 점선(33)은 렌즈가 단초점 렌즈인 경우에 렌즈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고, 점선(34)은 단초점 렌즈에 대한 레이 트레이스의 이동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은 부가 프리즘이 없는 렌즈(30)와 같은 렌즈의 수평 및 수직 프리즘 도수를 나타낸 것이다. 2.25 디옵터의 가입 도수 렌즈에 대해, 근용부에서의 미처방 수직 프리즘은 0.65 내지 1.12 베이스 업 프리즘 디옵터의 범위를 갖는다. 1.50 디옵터 가입 도수 렌즈에 대해, 근용부에서의 미처방 수직 프리즘은 0.49 내지 0.59의 베이스 업 프리즘 디옵터를 갖는다.
가입 도수;
왼쪽 또는 오른쪽
근용부의
미처방
수평 프리즘;방향
근용부의
미처방
수직 프리즘;
방향
원용부의
미처방
수평 프리즘;
방향
원용부의
미처방
수직 프리즘;
방향
2.25 디옵터
오른쪽
0.05D
아웃
1.12D
0.12D
0.92D
다운
2.25 디옵터
왼쪽
0.06D
0.65D
0.12D
0.92D
다운
2.25 디옵터
오른쪽
0.10D
1.06D
0.14D
아웃
0.57D
다운
2.25 디옵터
왼쪽
0.03D
0.78D
0.04D
아웃
0.59D
다운
1.50 디옵터
오른쪽
0.18D
0.49D
0.16D
아웃
0.35D
다운
1.50 디옵터
왼쪽
0.14D
0.50D
0.04D
아웃
0.59D
다운
1.50 디옵터
오른쪽
0.05D
0.59D
0.45D
0.37D
다운
1.50 디옵터
왼쪽
0.15D
0.57D
0.32D
아웃
0.45D
다운
도 4는 베이스 다운 프리즘을 제조하기 위해 경사진 볼록면(45)으로 제조된 누진 다초점 렌즈(40)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렌즈는 광학 프리폼에 누진 증가면을 캐스팅함으로써 형성된다. 수직 프리즘은 프리폼의 x축 주위로 프리폼에 대하여 B도(degree)로 상기 누진 증가면을 캐스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글래스 몰드를 기울임으로써 렌즈에 부가되고, 다음과 같은 수학식 1과 같이 주어진다.
[수학식 1]
B={1/(n-1)}x arctan(P/100)
여기서, n은 캐스트 층의 굴절율이고, P는 도입된 프리즘이다.
그 다음 적절한 캐스팅 수지가 부가되고, 도시된 렌즈를 형성하기 위하여 경화된다. 부가 수직 프리즘의 양은 가입 도수의 절반과 동일하다. 2.25 디옵터 가입 도수 렌즈에 대해, 베이스 다운 프리즘의 대략 1.12 디옵터이 부가된다. 1.50 디옵터 가입 도수 렌즈에 대해, 대략 0.75의 베이스 다운 프리즘이 부가된다. 실선(41 및 42)은 렌즈를 통해 원시 시선과 근시 시선의 레이 트레이스를 각각 나타낸다. 점선(44)은 프리즘의 부가가 없는 레이 트레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표 2는 수직 프리즘 도수가 부가된 표 1의 렌즈를 나타낸다. 상기 표들의 비교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근용부의 수직 프리즘 도수는 상기 부가 프리즘 도수에 의해 감소된다.
가입 도수;
왼쪽 또는 오른쪽
근용부의
미처방
수평 프리즘;
방향
근용부의
수직 프리즘;
방향
원용부의
미처방
수평 프리즘;
방향
원용부의 수직 프리즘;
방향
2.25 디옵터
오른쪽
0.05D
아웃
0.01D
다운
0.12D
2.04D
다운
2.25 디옵터
왼쪽
0.06D
0.47D
다운
0.12D
2.04D
다운
2.25 디옵터
오른쪽
0.10D
0.06D
다운
0.14D
아웃
1.69D
다운
2.25 디옵터
왼쪽
0.03D
0.34D
다운
0.04D
아웃
1.71D
다운
1.50 디옵터
오른쪽
0.18D
0.26D
다운
0.16D
아웃
1.10D
다운
1.50 디옵터
왼쪽
0.14D
0.25D
다운
0.04D
아웃
1.34D
다운
1.50 디옵터
오른쪽
0.05D
0.16D
다운
0.45D
1.12D
다운
1.50 디옵터
왼쪽
0.15D
0.18D
다운
0.32D
아웃
1.20D
다운
실시예 2
도 5에서, 렌즈의 2개의 표면(54 및 55)의 경계면에서 베이스 다운 프리즘의 균일한 크기가 도입된 렌즈(5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표면중의 하나는 굴절율이 1.60인 재료로 제조되고, 다른 하나는 굴절율이 1.50인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렌즈의 볼록면(54)은 6.00 디옵터의 원용부 곡률반경과, 7.00 디옵터의 근용부 곡률반경을 가진다. 상기 오목면(55)은 6.00 디옵터의 원용부 곡률반경과, 5.00 디옵터의 근용부 곡률반경을 가진다. 상기 렌즈의 원시 도수는 0.00 디옵터이고, 가입 도수는 2.00 디옵터이다. 경계면(56)의 곡률반경은 6.00 디옵터이고, 하기 수학식 2의 전체 렌즈에 걸쳐서 베이스 다운 프리즘(P)을 제조하기 위하여 6도(degree)로 볼록면에 대해 기울여져 있다.
[수학식 2]
P=D x {(n1-n2)/(n1-1)}=1.00D
삭제
실선(51 및 52)은 렌즈를 통해 원시 시선과 근시 시선의 레이 트레이스를 각각 나타내고, 점선(53)은 부가 프리즘이 없는 레이 트레이스를 나타낸다.
실시예 3
도 6은 렌즈의 2개면(64 및 65)사이의 경계면에서 베이스 다운 프리즘의 크기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이 도입되는 렌즈(60)를 나타낸 것으로, 여기서 상기 표면은 1.60 및 1.50의 굴절율의 재료로 제조된다. 상기 렌즈의 볼록면(64)은 6.00 디옵터의 원용부 곡률반경과, 7.00 디옵터의 근용부 곡률반경을 가진다. 상기 오목면(65)의 원용부 곡률반경은 6.00 디옵터이며, 5.00 디옵터의 근용부 곡률반경을 가진다. 렌즈의 원시 도수는 0.00 디옵터이고, 가입 도수는 2.00 디옵터이다. 상기 핏팅 포인트와 그 위로(y 〉0mm) 원용부에서의 경계면(66)의 곡률반경은 6.00 디옵터이고, 상기 영역에서 볼록면에 평행하게 된다. 이것은 핏팅 포인트에서 어떠한 프리즘도 도입하지 않는다. 상기 근용부의 상부 아래(y〈 -15mm)에서의 곡률반경은 6.00 디옵터이고, 수학식 2의 근용부에서 베이스 다운 프리즘을 6도(degree) 도입함으로써 상기 볼록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수학식 2]
P=D x {(n1-n2)/(n1-1)}=1.00D
상기 핏팅 포인트와 근용부의 상부 사이(0 〉y 〉-15mm)에서의 경계면 곡률반경은 시각적인 방해를 최소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들 좌표 위쪽과 아래쪽에서 상기 곡률반경에 대하여 완만하게 혼합된다. 상기 실선(61 및 62)은 렌즈를 통해 원시 시선과 근시 시선의 레이 트레이스를 각각 도시한 것이고, 점선(63)은 부가 프리즘이 없는 레이 트레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Claims (15)

  1. 원용부, 근용부 및 원용부와 근용부를 연결하는 굴절 도수 증가부를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누진 증가면 및 누진 다초점 렌즈 근용부 내에 미처방 수직 프리즘을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하나의 수직 프리즘이 렌즈 전체에 서페이싱 공정을 통하여 부가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부가된 수직 프리즘의 베이스 방향은 렌즈의 근용부 내의 미처방 수직 프리즘의 베이스 방향과 반대인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누진 증가면을 포함하는 광학 프리폼(optical preform)을 더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프리폼 상에 캐스팅된 누진 증가면을 더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1.12 디옵터의 베이스 다운 프리즘 부가를 가지는 2.25 디옵터렌즈인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는 0.75 디옵터의 베이스 다운 프리즘 부가를 가지는 1.50 디옵터 렌즈인 누진 다초점 렌즈를 제조하는 방법.
  15. 삭제
KR1020037014085A 2001-04-27 2002-04-26 착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프리즘 도수를 가진 누진 다초점 렌즈 KR100978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44,910 US6505934B1 (en) 2001-04-27 2001-04-27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prism power added to improve wearer comfort
US09/844,910 2001-04-27
PCT/US2002/013421 WO2002088832A2 (en) 2001-04-27 2002-04-26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prism power added to improve wearer comf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0602A KR20040030602A (ko) 2004-04-09
KR100978799B1 true KR100978799B1 (ko) 2010-08-30

Family

ID=25293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4085A KR100978799B1 (ko) 2001-04-27 2002-04-26 착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프리즘 도수를 가진 누진 다초점 렌즈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6505934B1 (ko)
EP (1) EP1412806B1 (ko)
JP (1) JP4277977B2 (ko)
KR (1) KR100978799B1 (ko)
CN (2) CN1585909A (ko)
AT (1) ATE410714T1 (ko)
AU (1) AU2002305263B2 (ko)
BR (1) BR0209260A (ko)
CA (1) CA2445879C (ko)
DE (1) DE60229258D1 (ko)
IL (2) IL158603A0 (ko)
MX (1) MXPA03009852A (ko)
MY (1) MY122872A (ko)
RU (1) RU2282225C2 (ko)
TW (1) TW594099B (ko)
WO (1) WO200208883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98A1 (ko) * 2018-01-05 2019-07-11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누진 다초점 렌즈의 양면 비구면 설계 및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64550B2 (ja) * 2001-10-12 2008-10-15 セイコーオプティカ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累進屈折力眼鏡レンズ
FR2850763B1 (fr) * 2003-02-03 2005-07-01 Essilor Int Lentille aphtalmique a addition progressive de puissance et de prisme
JP3882764B2 (ja) * 2003-02-19 2007-02-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累進屈折力レンズ
JP3582527B1 (ja) * 2003-04-10 2004-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累進屈折力レンズ及び製造方法
US7104647B2 (en) * 2005-02-03 2006-09-12 Krall Jeffrey P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base in prism
US7258437B2 (en) * 2005-09-07 2007-08-21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multifocal optical article
US8789946B2 (en) 2007-01-25 2014-07-29 Rodenstock Gmbh Reference points for ortho position
US20080273169A1 (en) * 2007-03-29 2008-11-06 Blum Ronald D Multifocal Lens Having a Progressive Optical Power Region and a Discontinuity
EP2130090A4 (en) 2007-03-07 2011-11-02 Pixeloptics Inc MULTIFOKALLINSE WITH A REGION WITH PROGRESSIVE OPTICAL STRENGTH AND A DISCONTINUITY
EP2202561A1 (en) * 2008-12-24 2010-06-30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A lens customizing method
DE102010007267B4 (de) 2010-02-08 2020-09-03 Carl Zeiss Vision International Gmbh Linsenelement mit verbesserter prismatischer Wirk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Linsenelements
KR20140138756A (ko) * 2012-02-21 2014-12-04 퀸스랜드 유니버시티 오브 테크놀로지 근시 진행의 지연 및/또는 근시 또는 근시-관련 질환이나 상태의 치료 또는 예방
ES2554119T3 (es) * 2013-03-01 2015-12-16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énérale d'Optique) Método para optimizar el prisma postural de una lente oftálmica
US9618774B2 (en) 2014-02-10 2017-04-11 Shamir Optical Industry Ltd. Quasi progressive lenses for eyewear
US10048511B2 (en) 2016-10-08 2018-08-14 eyeBrain, Medical, Inc. Eye-strain reducing lens
US10048512B2 (en) 2016-10-08 2018-08-14 eyeBrain, Medical, Inc. Low-convergence spectacles
US10338409B2 (en) 2016-10-09 2019-07-02 eyeBrain Medical, Inc. Lens with off-axis curvature center
US10420467B2 (en) 2017-09-05 2019-09-24 eyeBrain Medical,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binocular alignment
US11589745B2 (en) 2017-09-05 2023-02-28 Neurolens, Inc.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binocular alignment
US11360329B2 (en) 2017-12-31 2022-06-14 Neurolens, Inc. Negative power eye-strain reducing lens
US10921614B2 (en) 2017-12-31 2021-02-16 Neurolens, Inc. Low-convergence negative power spectacles
US10908434B2 (en) 2018-01-01 2021-02-02 Neurolens, Inc. Negative power lens with off-axis curvature center
US20200073146A1 (en) * 2018-09-05 2020-03-05 Jan Hoogland Generic Reading Glasses with Convergence Assistance
CA3183684A1 (en) 2020-06-01 2021-12-08 Icares Medicus, Inc. Double-sided aspheric diffractive multifocal lens, manufacture, and uses thereof
WO2022118991A1 (ko) * 2020-12-01 2022-06-09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양면 비구면 렌즈와 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9382A1 (fr) * 1995-11-24 1997-05-29 Seiko Epson Corporation Verres a focale multiple et a indice de gradient, verres de lunettes, et fabrication de verres a focale multiple et a indice de gradient
KR20000075414A (ko) * 1999-05-20 2000-12-15 워필드 마크 점진성 부가 렌즈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393853A (en) 1919-06-24 1921-10-18 American Optical Corp Lens
GB186641A (en) * 1921-03-31 1922-10-02 Edgar Derry Tillyer Improvements in lenses
US2442849A (en) 1944-07-11 1948-06-08 Harry Langsam Ophthalmic lens
US3507565A (en) * 1967-02-21 1970-04-21 Optical Res & Dev Corp Variable-power lens and system
DE2814916C3 (de) 1978-04-06 1982-01-07 Optische Werke G. Rodenstock, 8000 München Brillenglas mit einem zwischen Fernteil und Nahteil liegenden Progressionsbereich
US4606626A (en) 1982-12-13 1986-08-19 Seiko Epson Corporation Progressive multifocal ophthalmic lenses with prism for correcting chromatic aberration
US5219497A (en) * 1987-10-30 1993-06-15 Innotech,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lenses using thin coatings
JP3273783B2 (ja) * 1989-07-17 2002-04-15 オプティッシェ.ウエルケ.ゲー.ローデンストック 正の遠隔視覚パワーを有する眼鏡用プログレッシブレンズ
US5455642A (en) * 1990-12-27 1995-10-03 Sieko Epson Corporation Progressive power lens
US5689324A (en) 1992-08-18 1997-11-18 Q2100, Inc. Progressive lens
US6086203A (en) * 1998-09-03 2000-07-11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Progressive addition lens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19382A1 (fr) * 1995-11-24 1997-05-29 Seiko Epson Corporation Verres a focale multiple et a indice de gradient, verres de lunettes, et fabrication de verres a focale multiple et a indice de gradient
KR20000075414A (ko) * 1999-05-20 2000-12-15 워필드 마크 점진성 부가 렌즈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35498A1 (ko) * 2018-01-05 2019-07-11 한미스위스광학 주식회사 개인 맞춤형 누진 다초점 렌즈의 양면 비구면 설계 및 제조 방법과 이를 이용한 양면 비구면 렌즈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2088832A3 (en) 2004-02-26
AU2002305263B2 (en) 2006-11-23
CN101082705A (zh) 2007-12-05
BR0209260A (pt) 2005-02-01
US6505934B1 (en) 2003-01-14
ATE410714T1 (de) 2008-10-15
IL158603A0 (en) 2004-05-12
MXPA03009852A (es) 2004-12-06
RU2003134370A (ru) 2005-02-27
IL158603A (en) 2010-04-29
JP4277977B2 (ja) 2009-06-10
WO2002088832A2 (en) 2002-11-07
EP1412806B1 (en) 2008-10-08
RU2282225C2 (ru) 2006-08-20
CN1585909A (zh) 2005-02-23
EP1412806A2 (en) 2004-04-28
JP2005503576A (ja) 2005-02-03
CN101082705B (zh) 2010-06-30
KR20040030602A (ko) 2004-04-09
TW594099B (en) 2004-06-21
DE60229258D1 (de) 2008-11-20
CA2445879A1 (en) 2002-11-07
CA2445879C (en) 2010-09-21
MY122872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799B1 (ko) 착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프리즘 도수를 가진 누진 다초점 렌즈
AU2002305263A1 (en)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prism power added to improve wearer comfort
KR100700651B1 (ko) 누진 감소면을 포함하는 누진 다초점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JP4574355B2 (ja) 多焦点眼用レンズの設計方法
KR100554083B1 (ko) 근시용 렌즈
JP4223290B2 (ja) 累進焦点レンズ
KR100629406B1 (ko) 누진 다초점 렌즈 및 이의 제조방법
US6886938B1 (en)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an additional zone
RU230079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многофокусных линз
JP2003508819A (ja) プログレッシブアディション・レンズ
KR20010030936A (ko) 안과용 렌즈
AU766075B2 (en) Methods for producing progressive addition lenses
CA2370277C (en) Progressive addition lenses with modified channel power profiles
JP5008827B2 (ja) 進行性円柱屈折力型眼用レンズ
US20100060852A1 (en) Single vision spectacle lens
MXPA98008839A (es) Lente progresiv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