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680B1 -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680B1
KR100978680B1 KR1020090079073A KR20090079073A KR100978680B1 KR 100978680 B1 KR100978680 B1 KR 100978680B1 KR 1020090079073 A KR1020090079073 A KR 1020090079073A KR 20090079073 A KR20090079073 A KR 20090079073A KR 100978680 B1 KR100978680 B1 KR 1009786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nt
compressor
valve
outdoor unit
indo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9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창덕
Original Assignee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헤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헤스코 filed Critical 충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79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6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6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6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3/00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 F25B43/02Arrangements for separating or purifying gases or liquids; Arrangements for vaporising the residuum of liquid refrigerant, e.g. by heat for separating lubricants from the refrigera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9On-off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Abstract

밸브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냉난방 장치가 제공된다.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외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키는 실외기; 실내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키는 실내기;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사이의 냉매 유동 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배관; 상기 복수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로의 냉매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개폐 밸브;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실내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냉방 팽창 밸브;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난방 팽창 밸브; 냉매에 혼합된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상기 압축기로 보내는 오일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로 기상 상태의 냉매만 유입되도록 기체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실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배관 중 적어도 일부는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는 냉난방 장치는, 사방변을 사용하지 않아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실외기 및 실내기의 냉매 입출구 방향이 냉방 및 난방 운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코일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냉난방, 사방변, 밸브 블록, 압축기, 실외기, 실내기

Description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A valve block, An air-conditioning and heat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and a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밸브 블록 및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방변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내구성과 신뢰성이 높은 밸브 블록 및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1)와, 냉매에 혼합된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로 보내는 오일분리기(7)와, 실외기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배하는 분배기(3)와, 동절기에는 증발기로, 하절기에는 응축기로 냉매의 상변화 열전달을 수행하는 실외기(2)와, 고온, 고압의 냉매를 증발이 용이하도록 저압의 냉매로 바꿔주는 팽창밸브(5)와, 동절기에는 응축기로, 하절기에는 증발기로 냉매의 상변화 열전달을 수행하는 실내기(미도시)와, 압축기로 기상 상태의 냉매만 유입되도록 기체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8)와 그리고 동절기와 하절기 냉매 흐름을 전환시켜 주는 역할 을 하는 사방변(5), 그리고 장치의 진공, 냉매 주입 등, 유지, 보수를 위해 필요한 서비스 밸브(6) 등으로 구성된다.
이 때,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 각 구성 부품간의 연결은 대부분 동관을 사용하여 용접을 하며 일부 부품에 한하여 플레어 체결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구성 부품 간의 연결을 동관 용접하는 경우, 전문 용접 기능공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생산비용이 증가하며, 용접 부위가 식을 때까지 잠시 다음 용접 작업을 멈추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부품의 파손 등으로 보수 작업이 필요할 경우, 장치에서 부품 분리 및 교체를 한 후 다시 용접하여야 하기 때문에 보수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소용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사방변과 같은 제품의 경우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부주의한 용접 작업으로 인해 종종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해 사방변이 없는 밸브 블록을 이용하여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여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높이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방 및 난방 운전에 상관없이 실외기 및 실내기의 냉매 흐름을 항상 같게 하여 코일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배관 용접 작업이 필요 없도록 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동시에 생산비용의 대폭적인 저감이 가능하고, 냉매 라인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보수 작업이 매우 편리한 냉난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외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키는 실외기; 실내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키는 실내기;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사이의 냉매 유동 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배관; 상기 복수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로의 냉매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개폐 밸브;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실내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냉방 팽창 밸브;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난방 팽창 밸브; 냉매에 혼합된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상기 압축기로 보내는 오일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로 기상 상태의 냉매만 유입되도록 기체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실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배관 중 적어도 일부는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는 냉난방 장치가 제공된다.
이 때, 복수의 개폐 밸브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구와 상기 실외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실내기의 유출구와 상기 실외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상기 압축기의 토출구와 상기 실내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밸브; 상기 실외기의 유출구와 상기 실내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4 밸브; 상기 실외기의 유출구와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5 밸브; 및 상기 실내기의 유출구와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6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냉난방 장치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밸브가 내부에 설치된 제 1 밸브 블록 및 상기 제 5 및 제 6 밸브가 내부에 설치된 제 2 밸브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밸브 블록 및 상기 제 2 밸브 블록 외부에 위치되는 배관들은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제 1 밸브 블록 및 상기 제 2 밸브 블록은 상기 블록들 내부의 밸브에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다수의 플러그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난방 장치를 실내 냉방 모드로 제어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제 1, 제 4, 제 6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을 차례로 지나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난방 장치를 실내 난방 모드로 제어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제 3, 제 5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을 차례로 지난 후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따르면, 제 1 내지 제 4 개폐 밸브를 내부에 구비한 밸브 블록으로서, 주 유입구, 제 1 내지 제 4 유입구 및 제 1 내지 제 4 유출구를 구비한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개폐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주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를 통과한 후 상기 제 1 유출구를 통하여 배출되거나, 혹은 상기 제 3 개폐 밸브를 통과한 후 상기 제 2 유출구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 1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4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2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3 유출구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3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4 개폐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유입구로 배출되며, 상기 제 4 유입구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2 밸브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유출구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밸브 블록이 제공된다.
상기 밸브 블록은 상기 하우징 표면에 설치되는 상기 하우징 표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플러그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 소통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는 기존의 냉난방 장치와는 달리 고장이 종종 발생하는 사방변을 사용하지 않은 밸브 블록을 구비함으로써 장치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는 밸브 블록을 사용하여 각각의 구성요소들을 연결함으로써 실외기 및 실내기의 냉매 입출구 방향이 냉방 및 난방 운전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하기 때문에 코일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난방 장치는 용접을 통한 냉매 배관 작업을 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냉매 라인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보수 작업이 매우 편리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블록을 구비한 냉 난방 장치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냉난방 장치의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밸브 블록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밸브 블록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10)는 압축기(50), 실외기(65), 실내기(70), 오일 분리기(60), 어큐뮬레이터(45), 제 1 밸브 블록(100) 및 제 2 밸브 블록(101)을 포함한다.
압축기(50)는 냉매를 고온, 고압으로 압축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압축기(50)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실외기(65) 및 실내기(7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때, 본 명세서에서 "제 1 구성요소-예를 들어, 실외기-로부터 제 2 구성요소- 예를 들어, 실내기-로 냉매가 유입될 수 있다"는 의미는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가 유체소통가능하도록 배관에 의하여 연결되며, 제 1 구성요소로부터 제 2 구성요소로 냉매가 흘러가되 제 1 구성요소로부터 제 2 구성요소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배관에 설치된 개폐 밸브에 의하여 조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외기(65)는 실외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킨다. 상기 실외기(65)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압축기(50) 및 실내기(70)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다.
실내기(70)는 실내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킨다. 실내기(70)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압축기(50) 및 실외기(65) 중 어느 하나 이상 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압축기(50), 실외기(65) 및 실내기(70) 사이에서 냉매가 유동가능하도록 복수의 배관(91 내지 99, 600 내지 615)이 냉매 유동 라인을 형성한다. 이 때, 상기 복수의 배관 중 적어도 일부에는 냉방 및 난방 모드에 따라 상기 압축기(50), 상기 실외기(65) 및 상기 실내기(70)로의 냉매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개폐 밸브(300 내지 305)가 설치된다. 상기 복수의 개폐 밸브(300 내지 305)의 개방 여부에 따라 압축기(50), 실외기(65) 및 실내기(70)로 유입되는 냉매의 양이 조절된다. 상기 복수의 개폐 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같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전자 밸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개폐 밸브(300 내지 305)는, 상기 압축기(50)의 토출구와 상기 실외기(65)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밸브(300), 상기 실내기(70)의 유출구와 상기 실외기(65)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밸브(301), 상기 압축기(50)의 토출구와 상기 실내기(70)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밸브(302), 상기 실외기(65)의 유출구와 상기 실내기(70)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4 밸브(303), 상기 실외기(65)의 유출구와 상기 압축기(50)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5 밸브(304) 및 상기 실내기(70)의 유출구와 상기 압축기(50)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6 밸브(305)를 포함한다.
이 때, 제 1 내지 제 4 밸브(300, 301, 302, 303)는 제 1 밸브 블록(100)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제 5 밸브 및 제 6 밸브(304, 305)는 제 2 밸브 블록(101) 내부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밸브 블록(100) 및 제 2 밸 브 블록(101)은 사방변 밸브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압축기(50), 실외기(65) 및 실내기(70) 사이를 유동하는 냉매의 유동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밸브 블록(100) 및 제 2 밸브 블록(101) 내부의 배관, 즉 제 1 내지 제16 유동로(600 내지 615)는 동관으로 구성되며, 밸브 블록 내부의 각각의 밸브와 외부 구성요소, 예를 들어, 압축기(50), 실외기(65), 실내기(70), 오일분리기(60) 및 팽창 밸브(75, 80) 등과의 연결은 밸브 블록 하우징에 설치된 제 1 내지 제 3 피팅관(200 내지 202) 혹은 제 1 내지 제 11 어댑터(500 내지 510)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퀵 커플링과 같은 어댑터는 플랙시블 호스와 연결할 때 사용되며, 피팅은 밸브 블록 내부의 배관과 오일 분리기(60) 및 팽창 밸브(75, 80)를 연결할 때 사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의 밸브 블록(100, 101)에는 플러그(400 내지 405)가 설치된다. 플러그(400 내지 405)는 일단이 밸브 블록(100, 101) 내부의 밸브에 유체 소통가능하게 연결된 배관에 연결되어 있다. 플러그(400 내지 405)는 평상시 냉방 및 난방 운전시에는 사용되지 않으나 배관 내의 압력을 측정하거나 냉매를 주입하거나, 배관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압력 측정 장치, 냉매 주입기, 혹은 진공 발생기와 같은 여러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다.
한편, 실외기(65)로부터 실내기(70)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 냉방 팽창 밸브(80)가 설치되며, 실내기로부터 실외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는 난방 팽창 밸브(75)가 설치된다.
오일분리기(60)는 냉매에 혼합된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압축기(50)로 보내도록 압축기와 제 1 밸브 블록 사이에 설치된다.
어큐뮬레이터(45)는 유체 흐름 방향에서 볼 때 압축기의 유입구 상류측에 설치되며, 압축기로 기상 상태의 냉매만 유입되도록 기체와 액체 냉매를 분리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블록(100) 및 제 2 밸브 블록(101) 외부에 설치되는 배관은 플랙시블 호스(91 내지 99)가 사용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는 플랙시블 호스의 교체 및 수리와 같은 유지 보수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냉난방 장치(10)는 밸브의 개폐 방식에 따라 냉방 모드 및 난방 모드로 작동이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냉난방 장치(10)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10)가 냉방 모드로 작동하는 경우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냉난방 장치(10)는 상기 제 1, 제 4, 제 6 밸브(300, 303, 305)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실외기(65) 및 실내기(70)를 차례로 지나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냉방 모드로 작동된다.
보다 상세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50)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1 플렉시블 호스(91)를 따라 제1 밸브 블록(100)의 제1 피팅관(200)에 부착된 유분리기(60)로 흐른다.
제1 밸브 블록(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개방된 제1 개폐 밸브(300)와 닫힌 제3 개폐 밸브(302)로 인해 제1 유동로(600)와 제2 유동로(601), 그리고 제1 어댑터(500)에 연결된 제7 플렉시블 호스(97-1)를 거쳐 실외기(65)로 유입되어 외부 공기로 열을 전달하며 응축과정을 수행한다.
실외기(65)를 나온 냉매는 제1 밸브 블록(100)의 제2 어댑터(501)에 연결된 제8 플렉시블 호스(97-2)를 따라 제1 밸브 블록(100)의 제5 유동로(604)를 따라 흘러간다.
제1 밸브 블록(100)과 제 2 밸브 블록(101)은 제5 어댑터(504)와 제3 플렉시블 호스(93)와 제 8 어댑터(50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 밸브 블록(101)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5 개폐 밸브(304)가 닫힌 상태이므로 제11 유동로(610)와 제10 유동로(609)와 제13 유동로(612)를 거쳐 제2 밸브 블록(101)의 제3 피팅관(202)에 연결된 냉방 전용 팽창밸브(80)로 흐른다.
상기 냉방 전용 팽창밸브(80)에서 저온, 저압으로 전환된 냉매는 제1 밸브 블록(100)의 제6 어댑터(505)에 연결된 제4 플렉시블 호스(94) 따라 제1 밸브 블록(100)으로 유입된다.
제3 개폐 밸브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냉매는 제8 유동로(607), 제3 어댑터(502), 제9 플렉시블 호스(98-1)를 거쳐 실내기(70)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기(70)에서 냉매는 주위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실내 공간 냉방)하는 증발 과정을 겪은 후 제1 밸브 블록(100)의 제4 어댑터(503)에 연결된 제10 플렉시블 호스(98-2)를 따라 재차 제1 밸브 블록(101)으로 유입된다.
제1 밸브 블록(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9 유동로(608), 제7 어댑터(506), 제5 유동로(95), 제10 어댑터(509)를 거쳐 제2 밸브 블록(101)으로 유입된다.
제6 개폐 밸브(305)가 개방된 상태이므로 제16 유동로(615)와, 제12 유동로(611)와 제11 유동로(610)와, 제11 어댑터(510)와 제6 플렉시블 호스(96)를 따라 순차적으로 흐른 후 어큐뮬레이터(45)로 유입된다.
상기 어큐뮬레이터(45)에서 기상과 액상의 냉매가 분리된 후 기상의 냉매만 제11 플렉시블 호스(99)를 따라 상기 압축기(50)로 유입되어 냉방으로 운전되는 냉동 사이클을 완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운전 시 냉매의 흐름을 나타내는 냉난방 장치(10)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10)는 제 2, 제 3, 제 5 밸브(301, 302, 304)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를 폐쇄하여,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실내기 및 실외기를 차례로 지난 후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난방 모드를 달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50)에서 나온 고온, 고압의 냉매는, 제1 플렉시블 호스(91)를 따라 제1 밸브 블록(100)의 제1 피팅관(200)에 부착된 유분리기(60)로 흐른다.
제1 밸브 블록(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밀폐된 제1 개폐 밸브(300)와 개방된 제3 개폐 밸브(302)로 인해 제1 유동로(600)와 제6 유동로(605)와, 제7 유동로(606)와 그리고 제3 어댑터(502)에 연결된 제9 플렉시블 호스(98-1)를 거쳐 실내기(70)로 유입되어 실내 공기로 열을 전달(실내 공간 난방)하며 응축과정을 수행한 다.
실내기(70)를 나온 냉매는 제1 밸브 블록(100)의 제4 어댑터(503)에 연결된 제10 플렉시블 호스(98-2)를 따라 제1 밸브 블록(100)의 제9 유동로(608)를 따라 흘러간다.
또한 제1 밸브 블록(100)과 제 2 밸브 블록(101)은 제7 어댑터(506)와 제5 플렉시블 호스(95)와 제10 어댑터(509)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제2 밸브 블록(101)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6 개폐 밸브(305)가 닫힌 상태이므로 제15 유동로(614)와 제14 유동로(613)와 제9 어댑터(508)와 제2 플렉시블 호스(92)를 따라 난방 전용 팽창밸브(75)로 유입된다.
상기 난방 전용 팽창밸브(75)에서 저온, 저압으로 전환된 냉매는 개방된 제2 개폐 밸브(301)와 닫힌 상태의 제1 개폐 밸브(300)에 의해 제1 밸브 블록(100)의 제4 유동로(603)와 제2 유동로(601)와 제1 어댑터(500)와 제7 플렉시블 호스(97-1)를 따라 실외기(65)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기(65)에서 냉매는 증발과정을 겪은 후 제1 밸브 블록(100)의 제2 어댑터(501)에 연결된 제8 플렉시블 호스(97-2)를 따라 재차 제1 밸브 블록(101)으로 유입된다.
제1 밸브 블록(100)으로 유입된 냉매는 제5 유동로(604), 제5 어댑터(504), 제3 유동로(93), 제8 어댑터(507)를 거쳐 제2 밸브 블록(101)으로 유입된다. 이 때, 제5 개폐 밸브(305)가 개방되고 제6 개폐 밸브(305)가 닫힌 상태이므로 냉매는 제11 유동로(610)와, 제11 어댑터(510) 그리고 제6 플렉시블 호스(96)를 거쳐 어큐 뮬레이터(45)로 유입된다.
어큐뮬레이터(45)에서 기상과 액상의 냉매가 분리된 후 기상의 냉매만 제11 플렉시블 호스(99)를 따라 압축기(50)로 유입되어 난방으로 운전되는 냉동 사이클을 완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난방 장치(10)는, 도 2와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실외기(65)와 실내기(70)로 유입되는 냉매의 방향과 유출되는 냉매의 방향이 냉방 운전 시나 난방 운전 시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실외기와 실내기의 기능이 서로 바뀔 경우 냉매의 흐름 방향이 역방향으로 되는 기존의 냉난방 장치에 비해 냉매 분배 및 합류가 효과적으로 수행되어 코일의 성능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냉난방 장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방 운전 시 냉난방 장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난방 운전 시 냉난방 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밸브 블록의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밸브 블록의 구조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5: 어큐뮬레이터 50: 압축기
60: 유분리기 65: 실외기
70: 실내기 75: 난방 팽창밸브
80: 냉방 팽창밸브 91~99: 제1~제11 플렉시블 호스
100: 제1 밸브 블록 101: 제2 밸브 블록
200~202: 제1~제3 피팅관 300~305: 제1~제6 개폐 밸브
400~405: 제1~제6 플러그 500~510: 제1~제11 어댑터
600~615; 제1~제16 유동로

Claims (9)

  1. 삭제
  2.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외공기와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증발 또는 응축시키는 실외기;
    실내 공기와 냉매의 열교환을 통해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키는 실내기;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사이의 냉매 유동 라인을 형성하는 복수의 배관;
    상기 복수의 배관에 설치되어,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로의 냉매 유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개폐 밸브;
    상기 실외기로부터 상기 실내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냉방 팽창 밸브;
    상기 실내기로부터 상기 실외기로 냉매가 유입되는 배관에 설치되는 난방 팽창 밸브;
    냉매에 혼합된 오일을 분리하여 다시 상기 압축기로 보내는 오일분리기; 및
    상기 압축기로 기상 상태의 냉매만 유입되도록 기체와 액체 냉매를 분리하는 어큐뮬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실외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실내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실내기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 상기 실외기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배관 중 적어도 일부는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개폐 밸브는,
    상기 압축기의 토출구와 상기 실외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밸브;
    상기 실내기의 유출구와 상기 실외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밸브;
    상기 압축기의 토출구와 상기 실내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3 밸브;
    상기 실외기의 유출구와 상기 실내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4 밸브;
    상기 실외기의 유출구와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5 밸브; 및
    상기 실내기의 유출구와 상기 압축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제 6 밸브를 포함하는, 냉난방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밸브가 내부에 설치된 제 1 밸브 블록 및
    상기 제 5 및 제 6 밸브가 내부에 설치된 제 2 밸브 블록을 더 포함하는, 냉 난방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블록 및 상기 제 2 밸브 블록 외부에 위치되는 배관들은 플랙시블 호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난방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밸브 블록 및 상기 제 2 밸브 블록은 상기 블록들 내부의 밸브에 유체소통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구비하는, 냉난방 장치.
  6.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실내 냉방 모드로 제어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제 4, 제 6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실외기 및 상기 실내기을 차례로 지나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
  7. 제 2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냉난방 장치를 실내 난방 모드로 제어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 2, 제 3, 제 5 밸브를 개방하고, 나머지 밸브를 폐쇄하여, 상기 압축기로부터 토출된 냉매가 상기 실내기 및 상기 실외기을 차례로 지난 후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도록 하는, 냉난방 장치의 제어 방법.
  8. 제 1 내지 제 4 개폐 밸브(300~303)를 내부에 구비한 밸브 블록(100)으로서,
    주 유입구(10), 제 1 내지 제 4 유입구(11~14) 및 제 1 내지 제 4 유출구(15~18)를 구비한 하우징; 및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제 1 내지 제 4 개폐 밸브(300~303)를 포함하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주 유입구(10)를 통하여 유입되는 유체는 상기 제 1 개폐 밸브(300)를 통과한 후 상기 제 1 유출구(15)를 통하여 배출되거나, 혹은 상기 제 3 개폐 밸브(302)를 통과한 후 상기 제 2 유출구(16)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상기 제 1 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4 유출구(18)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2 유입구(12)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3 유출구(17)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 외부로 배출되며,
    상기 제 3 유입구(13)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4 개폐 밸브(303)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유출구(16)로 배출되며,
    상기 제 4 유입구(14)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제 2 개폐 밸브(301)를 경유하여 상기 제 1 유출구(15)로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밸브 블록.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표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플러그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유체 소통가능하게 형성되는, 밸브 블록.
KR1020090079073A 2009-08-26 2009-08-26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KR1009786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73A KR100978680B1 (ko) 2009-08-26 2009-08-26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9073A KR100978680B1 (ko) 2009-08-26 2009-08-26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680B1 true KR100978680B1 (ko) 2010-08-30

Family

ID=42760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9073A KR100978680B1 (ko) 2009-08-26 2009-08-26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6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3121A1 (zh) * 2021-05-31 2022-1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阀组集成模块、车辆热管理系统以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422A (en) * 1979-12-31 1981-12-22 Korycki Leszek S Heat pump system
KR20060080191A (ko) * 2003-09-30 2006-07-0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조 실외기, 공기 조화기 및 압축기 유닛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6422A (en) * 1979-12-31 1981-12-22 Korycki Leszek S Heat pump system
KR20060080191A (ko) * 2003-09-30 2006-07-07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조 실외기, 공기 조화기 및 압축기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3121A1 (zh) * 2021-05-31 2022-12-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阀组集成模块、车辆热管理系统以及车辆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165946B (zh) 换热器和空调器
CN105004090A (zh) 一种多联机空调系统及该系统过冷和喷气增焓的方法
CN104964371B (zh) 组合式空调系统
US9625217B2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same
CN104180442A (zh) 空调系统
CN103982943A (zh) 多联机空调系统
CN106765617A (zh) 喷气增焓热泵空调系统、控制方法、控制装置和空调器
CN113614470B (zh) 空调设备
CN104896793A (zh) 空调热水机系统
CN109386985A (zh) 两管制喷气增焓室外机及多联机系统
KR102136883B1 (ko) 히트펌프 시스템
CN203731741U (zh) 空调热水机系统
KR100978680B1 (ko) 밸브 블록, 이를 구비한 냉난방 장치 및 방법
CN108800393A (zh) 空调系统
CN107560213A (zh) 空调系统及空调
KR102337394B1 (ko) 공기조화기
CN110006193A (zh) 空调系统及其使用的压缩机油温调节装置
KR100281810B1 (ko) 멀티 에어콘의 냉매분배팽창장치
CN109668233A (zh) 多联机系统
CN105650919B (zh) 空调系统及喷气过热度调节方法
CN102635984A (zh) 室外机冷凝器及空调器
CN104896808A (zh) 多联机系统
CN104976104B (zh) 一种空调、双缸变容压缩机及其控制方法
CN208779749U (zh) 空调系统
KR20110045430A (ko) 분배기를 갖는 전자식 팽창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