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469B1 - 좌표계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좌표계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469B1
KR100978469B1 KR1020060113707A KR20060113707A KR100978469B1 KR 100978469 B1 KR100978469 B1 KR 100978469B1 KR 1020060113707 A KR1020060113707 A KR 1020060113707A KR 20060113707 A KR20060113707 A KR 20060113707A KR 100978469 B1 KR100978469 B1 KR 100978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system
image
routine
converting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4629A (ko
Inventor
문석환
양동호
Original Assignee
문석환
제주한라대학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금호정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석환, 제주한라대학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금호정보 filed Critical 문석환
Priority to KR1020060113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69B1/ko
Publication of KR200800446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6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8Alteration of picture size, shape, position or orientation, e.g. zooming, rotation, rolling, perspective, transl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표계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방에 빛을 90도의 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결합되어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하여, 구 좌표계로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 상기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을 통해 수신된 구 좌표계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계 변환 루틴; 및 상기 좌표계 변환 루틴에서 변환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60도 화각, 구 좌표계, 직교 좌표계

Description

좌표계 변환 방법{A method for coordinate transfer}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계 변환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2는 도1에서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3은 도1에서 좌표계 변환 루틴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4는 360도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다.
도5는 직교 좌표계로 변환된 영상이다.
도6은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가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좌표계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와 같은 정보 단말기를 통해 특정 공간의 가상 현실 체험을 위해, 특정 지점에서 촬영된 각각의 정지 영상을 결합하여 동영상으로 제공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상 현실 체험용 동영상은 다수의 정지 영상을 촬영하 고, 촬영된 다수의 정지 영상을 결합 및 변환하는 작업을 거친 후에 제공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 서버의 과부하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로 촬영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정지 영상만으로 가상 현실 체험용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좌표계 변환 방법은, 전방에 빛을 90도의 각도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결합되어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 좌표계로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 상기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을 통해 수신된 구 좌표계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계 변환 루틴; 및 상기 좌표계 변환 루틴에서 변환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은: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디지털 영상인지를 조사하는 입력 제1단계; 및 디지털 영상이 아닌 경우,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화하는 입력 제2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좌표계 변환 루틴은: 촬영된 영상의 중심점 좌표를 검출하는 변환 제1단계; 촬영된 영상의 반지름을 검출하는 변환 제2단계; 상기 변환 제1단계에서 검출된 중심점 좌표와 변환 제2단계에서 검출된 반지름을 기반으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는 변환 제3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변환 제3단계에서 변환된 직교 좌표계로 이동하는 변환 제4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환 제1단계는: 촬영된 영상의 가로 픽셀과 세로 픽셀의 중심점을 중심점 좌표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변환 제2단계는: 촬영된 영상의 가로 픽셀수와 세로 픽셀수의 합을 2π로 나눈 값을 반지름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가 기술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 용어들은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
먼저 첨부된 도면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계 변환 방법을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계 변환 방법의 흐름도이고, 도2는 도1에서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의 세부 흐름도이고, 도3은 도1에서 좌표계 변환 루틴의 세부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좌표계 변환 방법은 크게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S100), 좌표계 변환 루틴(S200) 및 영상 저장 루틴(S300)을 포함한다.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S100)은, 구 좌표계로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루틴이다.
도2를 참조로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S100)을 상세히 설명하면, 입력 제1단계,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디지털 영상인지를 조사한다(S110).
입력 제2단계, 디지털 영상이 아닌 경우,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화한다(S120).
좌표계 변환 루틴(S200)은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을 통해 수신된 구 좌표계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는 루틴이다.
도3을 참조로 좌표계 변환 루틴(S200)을 설명하면, 변환 제1단계, 촬영된 영 상의 중심점 좌표를 검출한다(S210). 여기서 중심점 좌표는, 촬영된 영상의 가로 픽셀과 세로 픽셀의 중심점을 중심점 좌표로 검출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사체 중 주제가 되는 피사체의 중심이 중심점 좌표로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변환 제2단계, 촬영된 영상의 반지름을 검출한다(S220). 여기서 반지름은, 촬영된 영상의 가로 픽셀수와 세로 픽셀수의 합을 2π로 나눈 값으로 반지름이 검출될 수 있다. 한편, 사각형의 영상 중 상하의 일부가 잘려서 촬영된 경우에는, 가로 픽셀수 대신 대각선 픽셀수의 변환을 통해 반지름이 검출될 수도 있음에 유의한다.
변환 제3단계, 변환 제1단계에서 검출된 중심점 좌표와 변환 제2단계에서 검출된 반지름을 기반으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한다(S230).
변환 제4단계, 촬영된 영상을 변환 제3단계에서 변환된 직교 좌표계로 이동한다(S240).
영상 저장 루틴(S300)은 좌표계 변환 루틴에서 변환된 영상을 저장하는 루틴이다.
(적용예)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 도4 내지 도6을 참조로 본 발명의 적용예를 설명한다.
도4는 360도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고, 도5는 직교 좌표계로 변환된 영상이며, 도6은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가 카메라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장치(100)는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110)가 기본 렌즈(120)가 결합된 카메라(130)에 결합되는 구성을 갖는다. 반사경(112)은 투시창(115)을 통해 들어온 빛을 90도의 각도로 반사시켜 기본 렌즈(120)로 들어가도록 하여 360도의 화각을 갖도록 한다. 이때 불투명부(114,116)는 불필요한 빛의 인입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360도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은, 일반적으로 접하게 되는 영상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영상을 식별할 수 있도록 직교 좌표계로 변환할 필요가 있다.
먼저, 제1단계, 360도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중심점(10)을 검출한다. 중심점(10)은 가로 픽셀수와 세로 픽셀수의 중앙이 되는 지점이 된다.
제2단계, 영상의 중심점(10)을 기준으로 영상의 반지름(r)을 검출한다.
제3단계, 영상의 중심점(10)과 가로축의 하나(a)를 기준으로 구 좌표계를 직교 좌표계로 변환한다.
제4단계, 변환 규칙에 따라 픽셀을 이동하여 새로운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의 상태가 도5에 도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사용자에게 익숙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가상 현실 화면을 생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영상의 중심점을 이동하는 것에 의해 가상 현실 화면이 생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전술된 실시예에만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사상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에 유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사용자에게 익숙한 직교 좌표계를 갖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구 좌표계를 갖는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
    구 좌표계로 촬영된 영상을 입력받는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
    상기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을 통해 수신된 구 좌표계 영상을 직교 좌표계로 변환하는 좌표계 변환 루틴; 및
    상기 좌표계 변환 루틴에서 변환된 영상을 저장하는 영상 저장 루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계 변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입력 루틴은:
    360도의 화각을 갖는 렌즈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디지털 영상인지를 조사하는 입력 제1단계; 및 디지털 영상이 아닌 경우,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화하는 입력 제2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표계 변환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060113707A 2006-11-17 2006-11-17 좌표계 변환 방법 KR100978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707A KR100978469B1 (ko) 2006-11-17 2006-11-17 좌표계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707A KR100978469B1 (ko) 2006-11-17 2006-11-17 좌표계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629A KR20080044629A (ko) 2008-05-21
KR100978469B1 true KR100978469B1 (ko) 2010-08-26

Family

ID=39662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707A KR100978469B1 (ko) 2006-11-17 2006-11-17 좌표계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223B1 (ko) 1995-11-04 2000-05-01 이구택 광각렌즈를 가지는 카메라의 왜곡 교정방법
KR20040050888A (ko) * 2001-10-29 2004-06-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평면 화상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기억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050103597A (ko) * 2004-04-26 2005-11-01 주식회사 일리시스 실시간 파노라마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0527039B1 (ko) 2003-06-20 2005-11-09 학교법인 호서학원 반구 상의 영상 저장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0223B1 (ko) 1995-11-04 2000-05-01 이구택 광각렌즈를 가지는 카메라의 왜곡 교정방법
KR20040050888A (ko) * 2001-10-29 2004-06-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비평면 화상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 기억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0527039B1 (ko) 2003-06-20 2005-11-09 학교법인 호서학원 반구 상의 영상 저장 시스템
KR20050103597A (ko) * 2004-04-26 2005-11-01 주식회사 일리시스 실시간 파노라마 비디오 영상을 이용한 감시 시스템 및 그시스템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629A (ko) 200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54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a non-linear lens-distorted image
US9030524B2 (en) Image generating apparatus, synthesis table generating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9128366B2 (en)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20110158509A1 (en) Image stitching method and apparatus
US1085591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13313658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201016524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照合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8048443A (ja) 魚眼レンズ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抽出方法
JP2008061260A (ja) 魚眼レンズカメラ装置及びその画像歪み補正方法
JP2000235645A (ja) 画像変換用演算装置
US20190289206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captur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2014020408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distortion processing
CN111402404B (zh) 全景图补全方法、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电子设备
AU2007249585B2 (en) Real-time capture and transformation of hemispherical video images to images in rectilinear coordinates
US10417743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10350582A1 (en) Point cloud global tetris packing
TWI732796B (zh) 在結構化光系統中之深度映射產生
KR100978469B1 (ko) 좌표계 변환 방법
CN113436247B (zh) 一种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90195674A1 (en) Indicator system,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indicating device
JP6777507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WO2021149509A1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4900742A (zh) 基于视频推流的场景旋转过渡方法以及系统
CN114900743A (zh) 基于视频推流的场景渲染过渡方法以及系统
JP7057393B2 (ja) プログラム、ヘッドマウントディスプレイ及び情報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