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337B1 -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 Google Patents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337B1
KR100978337B1 KR1020100026030A KR20100026030A KR100978337B1 KR 100978337 B1 KR100978337 B1 KR 100978337B1 KR 1020100026030 A KR1020100026030 A KR 1020100026030A KR 20100026030 A KR20100026030 A KR 20100026030A KR 100978337 B1 KR100978337 B1 KR 100978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main body
pneumatic
guide groove
transf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6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수
Original Assignee
아주실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76008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7833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아주실업(주) filed Critical 아주실업(주)
Priority to KR1020100026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04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 B64F1/06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for launching aircraft using catapu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70/00Launching, take-off or landing arrangements
    • B64U70/70Launching or landing using catapults, tracks or r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14Starting or launching devices for toy aircraft; Arrangements on toy aircraft for starting or launc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 선단부 부근의 상기 가이드홈 양측부에 한쌍의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된 본체와, 하단부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측에 무인 비행체가 장착되는 이송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이송몸체에 연결되는 발진와이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발진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발진와이어를 권취하면서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공기압 발진수단과, 상기 본체의 가이드홈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록킹부와, 상기 한쌍의 지지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몸체를 정지시키는 정지와이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지와이어의 일측이 다수번 권취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정지와이어에 의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정지와이어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진와이어의 일측을 공기압 발진수단에 연결하고, 다른 일측을 무인 비행체가 장착된 이송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공기압 발진수단에서 발진와이어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무인 비행체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무인 비행체의 발진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별도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DEPARTURE APPARATUS OF UNMANNED AIRVEHICLE}
본 발명은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무인 비행체의 발진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별도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軍)에서는 군사력을 증강시키기 위해 군사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이들 군사훈련 중 반공사격훈련과 같은 경우 실제 전투기를 대신하는 무인 비행체를 비행시킨 후 열추적장치를 이용하여 비행중인 무인 비행체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추적하거나 레이더를 이용하여 무인 비행체의 위치를 감지한 다음 감지된 무인 비행체를 사격하거나 무인 비행체로부터 발생되는 연막을 육안으로 식별하여 무인 비행체를 사격하는 방식의 훈련이 실시되고 있다.
종래의 무인 비행체는 비행동체와, 비행동체 일측에 설치되는 터빈과, 비행동체 일측에 설치되고 터빈으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아 회전하는 회전수단과, 비행동체 일측에 설치되는 열발생장치 및 비행동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연막발생통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비행전 필요에 따라 열발생장치 및 연막발생통을 동작시킨 후 무인 비행체를 비행시킨다.
이러한 무인 비행체는 비행하기 위해서 별도의 발진장치를 필요로 하는데, 종래의 무인 비행체 발진장치는 본체와, 일측에 본체에 고정되고 타측이 무인 비행체에 결합되어 무인 비행체에 전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무인 비행체 발진장치는 탄성부재에 의한 탄성력이 무인 비행체에 인가되면서 무인 비행체가 전방으로 이송되어 그 추진력으로 비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무인 비행체 발진장치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탄성부재의 일측을 당겨 무인 비행체에 고정하면서 많은 힘이 소요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작업자가 교대로 무인 비행체의 발진작업을 수행하면서 무인 비행체의 발진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무인 비행체 발진장치는 장시간 사용시 탄성부재가 신장 및 수축을 반복하면서 손상 또는 파손 될 뿐 아니라 손상 또는 파손으로 인한 탄성부재의 교체비용으로 인해 유지비용이 현저하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해외 일부 군사업체에서는 본체와,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압축된 질소가스가 저장되어 저장된 질소가스를 분사하는 가스분사장치를 포함하는 무인 비행체 발진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분사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무인 비행체 발진장치는 질소가스를 분사하고, 분사되는 질소가스의 압력으로 무인 비행체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면서 비행시킨다.
그러나, 가스분사장치를 이용한 종래의 무인 비행체 발진장치는 무인 비행체를 비행시키기 위해 고가의 질소가스를 구입하면서 유지비용이 현저하게 상승하였을 뿐 아니라 인화성이 높은 질소가스를 사용하여 이에 따른 안전사고가 뒤따르며,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유지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진와이어의 일측을 공기압 발진수단에 연결하고, 다른 일측을 무인 비행체가 장착된 이송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공기압 발진수단에서 발진와이어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무인 비행체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무인 비행체의 발진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별도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이 이루어진 경우 본체의 전방으로 이송된 이송몸체를 발진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와이어 및 복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인력소모없이 이송몸체의 복귀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음 발진동작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무인 비행체를 발진시키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 선단부 부근의 상기 가이드홈 양측부에 한쌍의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된 본체와, 하단부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측에 무인 비행체가 장착되는 이송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이송몸체에 연결되는 발진와이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발진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발진와이어를 권취하면서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공기압 발진수단과, 상기 본체의 가이드홈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록킹부와, 상기 한쌍의 지지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몸체를 정지시키는 정지와이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지와이어의 일측이 다수번 권취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정지와이어에 의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정지와이어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공기압 발진수단은 상기 본체 일측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공압실린더와,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1 공압실린더에 각각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로드부 및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1 로드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발진와이어의 일측이 복수번 권취되는 제1 권취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본체 일측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 공압실린더와,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2 공압실린더에 각각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로드부 및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2 로드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정지와이어의 일측이 복수번 권취된 제2 권취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일단부가 상기 연결축에 치차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몸체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공기압 발진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이송몸체의 선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이송되도록 하는 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하는 록킹바와, 상기 록킹바(53)과 수직방향으로 상기 연결축에 치차결합되는 구동바 및 상기 구동바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바가 전후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정지와이어에 의해 정지된 경우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방향으로 상기 이송몸체에 연결되는 복귀와이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귀와이어를 권취하여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3 공압실린더와, 상기 제3 공압실린더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로드부과, 상기 제3 로드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복귀와이어의 일측이 복수번 권취된 제3 권취유닛 및 상기 제3 권취유닛과 대향설치되는 보조 보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발진와이어의 일측을 공기압 발진수단에 연결하고, 다른 일측을 무인 비행체가 장착된 이송몸체에 연결한 상태에서 공기압 발진수단에서 발진와이어에 인장력을 인가하여 무인 비행체가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함으로써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무인 비행체의 발진작업이 매우 용이할 뿐 아니라 별도의 유지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이 이루어진 경우 본체의 전방으로 이송된 이송몸체를 발진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와이어 및 복귀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인력소모없이 이송몸체의 복귀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질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음 발진동작 또한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의 측면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의 요부단면도,
도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바의 사시도,
도4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의 측면도이며,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부의 요부단면도이고, 도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록킹바의 사시도이다.
도1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1)는 본체(10)와, 이송몸체(20)와, 발진와이어(30)와, 공기압 발진수단(40)과, 록킹부(50)와, 정지와이어(60)와, 완충수단(70)과, 복귀와이어(80) 및 복귀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길이가 긴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후술하는 이송몸체(20)의 이송돌부(22)가 삽입되는 가이드홈(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발진와이어 지지롤러(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는 상면 중 선단부 부근의 가이드홈(11) 양측부에 한쌍의 지지돌기(13)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후단부에는 복귀와이어 지지롤러(14)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본체(10)는 이송몸체(20)가 발진와이어(3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이송몸체(20)의 이송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후술하는 구성들의 설치영역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체(10)는 무인 비행체가 비행할 수 있을 정도의 이송거리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며, 무인 비행체의 이송거리에 따라 길이가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송몸체(20)는 무인 비행체가 장착되는 캐리어(21)와, 캐리어(21)의 하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본체(10)의 가이드홈(11)에 삽입되는 이송돌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후술하는 발진와이어(3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면서 캐리어(21)에 장착된 무인 비행체에 비행할 수 있을 정도의 추진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캐리어(21)는 본체(10)의 상면에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본체(10)의 상면과 대응되는 일측에 바퀴부(21a)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진와이어(30)는 일측이 공기압 발진수단(40)에 다수회 권취되고, 다른 일측이 복귀와이어 지지롤러(14)를 통해 이송몸체(20)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공기압 발진수단(40)으로부터 인장력이 인가되면서 이송몸체(20)를 전방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발진와이어(30)는 무인 비행체가 장착되어 다소 높은 중량을 갖는 이송몸체(20)를 당겨야 하므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공기압 발진수단(40)은 본체(10)의 선단부 하측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공압실린더(41)와, 서로 대향하는 제1 공압실린더(41)에 각각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 로드부(42) 및 서로 대향하는 제1 로드부(42)에 각각 결합되고 발진와이어(30)가 다수번 권취되는 제1 권취유닛(4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발진와이어(30)에 인장력을 인가함으로써 발진와이어(30)가 이송몸체(20)를 전방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권취유닛(43)은 제1 로드부(42)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43a)와, 제1 플레이트(43a)에 이격되게 한쌍이 설치되는 제1 지지리브(43b)와, 한쌍의 제1 지지리브(43b)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취홈(43ca)이 형성되는 제1 보빈(43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1 권취유닛(43)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1 보빈(43c)에 발진와이어(30)가 권취되어 제1 로드부(42)의 동작에 따라 서로 대향하는 제1 보빈(43c)이 상호 멀어지거나 근접하면서 발진와이어(30)에 인장력을 제공하거나 제공된 인장력을 해제하는 역할을 하는데, 제1 권취유닛(43)의 동작은 후술하는 도4 및 도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록킹부(50)는 본체(10)의 후단부 일측면에 설치되는 몸체부(51)와, 몸체부(51)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52)과, 일단부가 연결축(52)에 치차결합되고 타단부가 가이드홈(11)에 삽입돌기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록킹바(53)와, 록킹바(53)과 수직으로 연결축(52)에 치차결합되는 구동바(54) 및 구동바(54)가 전후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바(54)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 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도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록킹바(53)의 선단부에는 통과홈(5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록킹부(50)은 삽입돌기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이송몸체(20)의 이송을 단속하는 역할을 하는데, 구체적인 동작설명은 도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정지와이어(60)는 일측이 완충수단(70)에 다수회 권취되고, 다른 일측이 한쌍의 지지돌기(13)에 지지되는 것으로서, 발진와이어(3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몸체(20)를 정지시키고, 무인비행체가 이송몸체(20)로부터 이탈되어 비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정지와이어(60)는 무인 비행체가 장착되어 다소 높은 중량을 갖는 이송몸체(20)가 충돌되어 정지되도록 해야함으로써 발진와이어(30)와 같이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완충수단(70)은 본체(10)의 선단부 하측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공압실린더(71)와, 제2 공압실린더(71)에 각각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로드부(72) 및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로드부(72)에 각각 결합되고 정지와이어(60)가 다수번 권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제2 권취유닛(7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정지와이어(60)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 권취유닛(73)은 제1 권취유닛(43)과 같이 제2 플레이트(73a)와, 제2 지지리브(73b) 및 제2 보빈(73c)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송몸체(20)가 상기한 정지와이어(60)에 정지되는 경우 정지와이어(60)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충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제2 권취유닛(73)의 동작은 도4 및 도5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복귀와이어(80)는 일측이 복귀수단(90)에 다수회 권취되고, 다른 일측이 공기압 발진수단(4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된 이송몸체(20)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전방으로 이송된 이송몸체(20)를 발진 전 초기위치로 복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복귀와이어(80)는 발진와이어(30)와 같이 다소 높은 중량을 갖는 이송몸체(20)를 당겨야 하므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복귀수단(90)은 본체(10)의 선단부 하측에 설치되는 제3 공압실린더(91)와, 제3 공압실린더(91)에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로드부(92) 및 제1 로드부(42)에 결합되고 복귀와이어(80)가 다수번 권취되는 제3 권취유닛(93) 및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귀와이어(80)를 권취하여 복귀와이어(80)가 전방으로 이송된 이송몸체(2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3 권취유닛(93)은 제3 로드부(92)의 선단에 결합되는 제3 플레이트(93a)와, 제3 플레이트(93a)에 이격되게 한쌍이 설치되는 제3 지지리브(93b)와, 한쌍의 제3 지지리브(93b)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외주면에 다수의 권취홈이 형성되는 제3 보빈(93c) 및 제3 보빈과 대향설치되는 보조 보빈(93d)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제3 권취유닛(93)은 제3 보빈(93c) 및 보조 보빈(93d)에 복귀와이어(80)가 권취되고, 제3 보빈(93c)이 보조 보빈(93d)과 근접한 초기 위치에서 로드부(92)에 의해 보조 보빈(93d)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면서 제3 보빈(93c) 및 보조 보빈(93d)에 복귀와이어(80)를 보다 권취하여 복귀와이어(80)가 이송몸체(20)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4 내지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의 발진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무인 비행체가 장착된 이송몸체(20)의 일측에 발진와이어(30)의 일측을 결합한 상태에서 이송몸체(20)를 본체(10)의 상면 중 후단부에 안착시킨다.
이때, 록킹바(53)는 선단부 일측이 가이드홈(11) 내에서 이송몸체(20)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록킹위치에 위치하여 이송몸체(20)가 발진와이어(30)에 의해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후 도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록킹부(50)의 구동바(43)가 전진하면서 록킹바(53) 또한 전진하면서 록킹바(53)의 통과홈(53a)이 본체(10)의 가이드홈(11)과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되는 해제위치로 이동되며, 상호 대향하는 제1 로드부(42)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하면 상호 대향하는 제1 보빈(43c)이 제1 로드부(42)와 동반이동되고, 제1 보빈(43c)에 권취된 발진와이어(30)에 인장력이 인가되면서 이송몸체(20)를 전방으로 빠르게 이송시킨다.
전방으로 이송되는 이송몸체(20)는 선단부가 지지돌기(13)에 지지된 정지와이어(60)에 충돌되면서 정지되고, 무인 비행체는 관성에 의해 이송몸체(20)로부터 이탈되면서 비행하게 된다.
여기서 이송몸체(20)가 정지와이어(60)에 충돌하는 경우 정지와이어(60)에 인가되는 충격이 정지와이어(60)를 통해 제2 보빈(73c)으로 전달되고, 제2 보빈(73c)으로 전달된 충격은 다시 제2 로드부(72)로 전달되어 상호 대향하는 제2 로드부(72)가 상호 접근하면서 제2 보빈(73c)에 권취된 정지와이어(60)의 인장력이 해제되고, 이에 지지돌기(13)에 지지된 지지와이어의 일측이 이송몸체(20)의 충돌과 동시에 전방으로 전진되어 그 충격이 완화된다.
이와 같이 전방으로 이송된 이송몸체(20)를 발진 초기위치로 복귀하고자 하는 경우 복귀와이어(80)의 일측을 이송몸체(20)의 후단부 일측에 결합하고, 복귀수단(90)이 구동되면 제3 보빈(93c)이 복귀와이어(80)를 권취하며, 이에 복귀와이어(80)가 이송몸체(20)를 당기면서 초기위치로 복귀시킨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10 : 본체
11 : 가이드홈 12 : 발진와이어 지지롤러
13 : 지지돌기 14 : 복귀와이어 지지롤러
20 : 이송몸체 21 : 캐리어
22 : 이송돌부 30 : 발진와이어
40 : 공기압 발진수단 41 : 제1 공압실린더
42 : 제1 로드부 43 : 제1 권취유닛
50 : 록킹부 51 : 몸체부
52 : 연결축 53 : 록킹바
54 : 구동바 55 : 전후진구동부
60 : 정지와이어 70 : 완충수단
71 : 제2 공압실린더 72 : 제2 로드부
73 : 제2 권취유닛 80 : 복귀와이어
90 : 복귀수단 91 : 제3 공압실린더
92 : 제3 로드부 93 : 제3 권취유닛

Claims (6)

  1. 무인 비행체를 발진시키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에 있어서,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며, 상면 중 선단부 부근의 상기 가이드홈 양측부에 한쌍의 지지돌기가 돌출형성된 본체와;
    하단부 일측이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설치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고, 일측에 무인 비행체가 장착되는 이송몸체와;
    일단부가 상기 이송몸체에 연결되는 발진와이어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발진와이어의 타단부가 연결되며, 공기압을 이용하여 상기 발진와이어를 권취하면서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공기압 발진수단과;
    상기 본체의 가이드홈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록킹부와;
    상기 한쌍의 지지돌기에 지지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송되는 이송몸체를 정지시키는 정지와이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정지와이어의 일측이 다수번 권취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정지와이어에 의해 정지되는 경우 상기 정지와이어에 인가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발진수단은
    상기 본체 일측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고 제1 공압실린더와;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1 공압실린더에 각각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로드부; 및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1 로드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발진와이어의 일측이 복수번 권취되는 제1 권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은
    상기 본체 일측에 상호 이격거리를 두고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2 공압실린더와;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2 공압실린더에 각각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로드부; 및
    상호 대향설치되는 상기 제2 로드부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정지와이어의 일측이 복수번 권취된 제2 권취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축과;
    일단부가 상기 연결축에 치차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이송몸체의 선단부를 지지하여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공기압 발진수단에 의해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록킹위치와, 상기 이송몸체의 선단부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이송몸체가 이송되도록 하는 해제위치사이를 이동하는 록킹바와;
    상기 록킹바와 수직방향으로 상기 연결축에 치차결합되는 구동바; 및
    상기 구동바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바가 전후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바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전후진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정지와이어에 의해 정지된 경우 상기 본체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방향으로 상기 이송몸체에 연결되는 복귀와이어; 및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복귀와이어를 권취하여 상기 이송몸체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상기 본체의 후방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수단은
    상기 본체 일측에 설치되는 제3 공압실린더와;
    상기 제3 공압실린더에 전후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로드부와;
    상기 제3 로드부에 결합되고, 상기 복귀와이어의 일측이 복수번 권취된 제3 권취유닛; 및
    상기 제3 권취유닛과 대향설치되는 보조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KR1020100026030A 2010-03-24 2010-03-24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KR100978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030A KR100978337B1 (ko) 2010-03-24 2010-03-24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6030A KR100978337B1 (ko) 2010-03-24 2010-03-24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8337B1 true KR100978337B1 (ko) 2010-08-26

Family

ID=4276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6030A KR100978337B1 (ko) 2010-03-24 2010-03-24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33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16B1 (ko) 2009-06-09 2012-06-12 정운규 비행체 발사기
CN102991687A (zh) * 2012-12-12 2013-03-27 魏伯卿 航母舰载机用叶轮式弹射器
CN105667822A (zh) * 2016-03-30 2016-06-15 代翔 一种飞行器循环传送牵引系统
CN111392058A (zh) * 2020-03-04 2020-07-10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无人机起飞辅助装置
CN112937903A (zh) * 2021-03-22 2021-06-11 贵州航天特种车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无人机弹射的轻量化锁紧装置
WO2023063680A1 (ko) * 2021-10-12 2023-04-20 이재창 캐터펄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001B1 (ko) 2000-08-16 2006-07-14 에이에이아이 코포레이션 이동식 항공체 발사기구
US7165745B2 (en) 2003-01-17 2007-01-23 The Insitu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aunching unmanned aircraft, including releasably gripping aircraft during launch and braking subsequent grip motion
KR100792638B1 (ko) 2006-04-04 2008-01-09 김주은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2001B1 (ko) 2000-08-16 2006-07-14 에이에이아이 코포레이션 이동식 항공체 발사기구
US7165745B2 (en) 2003-01-17 2007-01-23 The Insitu Group,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aunching unmanned aircraft, including releasably gripping aircraft during launch and braking subsequent grip motion
KR100792638B1 (ko) 2006-04-04 2008-01-09 김주은 무선조정 다목적 항공기의 이륙장치 및 이를 이용한이륙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2816B1 (ko) 2009-06-09 2012-06-12 정운규 비행체 발사기
CN102991687A (zh) * 2012-12-12 2013-03-27 魏伯卿 航母舰载机用叶轮式弹射器
CN102991687B (zh) * 2012-12-12 2015-04-22 魏伯卿 航母舰载机用叶轮式弹射器
CN105667822A (zh) * 2016-03-30 2016-06-15 代翔 一种飞行器循环传送牵引系统
CN105667822B (zh) * 2016-03-30 2018-07-27 成都天空营地科技有限公司 一种飞行器循环传送牵引系统
CN111392058A (zh) * 2020-03-04 2020-07-10 吉林工程技术师范学院 一种无人机起飞辅助装置
CN112937903A (zh) * 2021-03-22 2021-06-11 贵州航天特种车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无人机弹射的轻量化锁紧装置
WO2023063680A1 (ko) * 2021-10-12 2023-04-20 이재창 캐터펄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8337B1 (ko) 무인 비행체 공기압 발진장치
CN104590592B (zh) 一种空间电磁对接机构
ITMI20070835A1 (it) Impianto di trasporto a fune e metodo di azionamento dello stesso
KR101343246B1 (ko) 무인항공기 발사장치
US9221651B2 (en) Swinging sheave bracket with force control
CN101367438B (zh) 无人飞行平台起飞弹射系统
MXPA04009461A (es) Aparato para marcar un vehiculo usando un rayo laser.
CN107600445B (zh) 一种固定翼无人机短距共轨发射回收装置
CN106114890B (zh) 一种小型无人机弹射装置及无人机起飞方法
WO2007043463A1 (ja) 加速装置
CN107380476B (zh) 一种适用于无人机电磁弹射的直线弹射电动机
CN107328344B (zh) 用于监测混凝土结构表面裂缝宽度的无人机
EP3445653B1 (en) Electric unmanned aerial vehicle launcher
KR102162848B1 (ko) 다목적 확장형 무인비행기
CN109483571A (zh) 一种巡检机器人系统以及控制方法
EP3822174B1 (en) Launcher catapult track device
RU115726U1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JP2014218229A (ja) アンビリカル設備
CN207670685U (zh) 一种登机桥接机口防撞机构及包含该机构的登机桥
ES2251340T3 (es) Atacador de proyectil para artilleria.
CN106697317A (zh) 一种固定翼无人机单轨弹射架
JP6374681B2 (ja) 飛行装置
CN203728117U (zh) 具有减速功能的断带保护装置
CN114440703A (zh) 一种基于安培力的辅助轨道装置及设计方法
CN205738045U (zh) 无人机下口盖自动开关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