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857B1 -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857B1
KR100977857B1 KR1020080038363A KR20080038363A KR100977857B1 KR 100977857 B1 KR100977857 B1 KR 100977857B1 KR 1020080038363 A KR1020080038363 A KR 1020080038363A KR 20080038363 A KR20080038363 A KR 20080038363A KR 100977857 B1 KR100977857 B1 KR 100977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
water
main body
built
humid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3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12457A (en
Inventor
이철호
Original Assignee
이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20080038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857B1/en
Publication of KR200901124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45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8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7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a wal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 기술과 달리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고,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앰과 아울러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direct-connected type natural humidifier and a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Unlike the conventional art,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utilization of indoor space by purchasing a humidifier of a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inside a wall, and frequently replenishes water by supplying water directly into the humidifier. In addition to eliminating the hassle and direct supply of direct water, the storage space of the water can be minimized and the volume of the humidifier itself can be reduced.

빌트인, 직수, 자연증발, 가습기 Built-in, Direct Water, Natural Evaporation, Humidifier

Description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Built-in direct connection type natural humidifier and its humidification method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기술과 달리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고,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앰과 아울러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and a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More specifically, unlike the conventional art, the humidifier of a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is embedded in a wall to improve utilization of an indoor space, and to supply water into the humidifi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ilt-in direct connection type natural humidifier and a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which can reduce the volume of the humidifier itself by eliminating the trouble of frequently replenishing water and supplying direct water continuously.

종래 자연 증발형 가습기는 방적공장이나 습기에 약한 가구 등을 구비한 실내와 같이 일정의 습도 및 온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고, 또한 공장내부에서 발생하는 많은 먼지입자를 제거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도모해야 할 필요가 있는 곳 등에서 사용되는 공기조화기의 일종이다.Conventional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s need to maintain a constant humidity and temperature, such as indoors equipped with a spinning factory or furniture that is vulnerable to moisture, and also need to promote workers' health by removing many dust particles generated inside the factory. It is a kind of air conditioner used in places where there is a need.

기존의 자연 증발형 가습기는 팬의 회전을 통해 송풍실 내부에 저장된 물을 실내로 불어넣게 되고, 실내측의 공기를 받아들여 순환시키도록 작동한다.Existing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blows the water stored in the ventilation chamber into the room through the rotation of the fan, and operates to circulate the indoor air.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연 증발형 가습기는 수시로 물을 공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본체의 바닥 등 일정한 장소에 놓아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물을 너무 자주 갈아주지 않도록 물을 채우는 물통의 크기를 크게 형성하기 때문에 본체 전체의 크기를 줄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hassle to supply water from time to time, and because it has to be placed in a certain place such as the bottom of the main body, a separate space is required and water is filled so as not to change the water too often. Since the size of the bucket is formed larg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reduce the size of the entire bod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면서 가습기 자체를 보호할 수 있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by embedding a natural humidifier of the humidifier in the wall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nd a humidification method that can protect the humidifier itself while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interior spa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nd a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which eliminates the need to frequently replenish water by supplying direct water into the humidifier.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nd a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that can minimize the storage space of water because it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with the direct water to reduce the volume of the humidifier itself.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는 벽체의 함몰 된 공간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외부의 직수를 저장하며 유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 가습용 물의 저장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직수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공급부 및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저장된 직수를 증발 유도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부를 포함한다.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o as to be accessible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recessed space of the wall, and to store the outside of the direct water, having a inlet and discharge port, by minimizing the storage capacity of the humidifying water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external direct water into the main body or stop the flow of the direct water in accordance with an external signal through the inlet and the flow of air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It includes a humidifying unit for humidifying the room by inducing evaporation of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은 저장된 직수를 묻혀 공중으로 이동하며 자연 증발을 유도하는 가습부와 증발되는 물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갖는 본체를 벽체의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하면서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도록 커넥팅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빌트인 장착단계,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직수를 실시간으로 저장용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의 공급정지 신호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직수공급단계, 상기 본체 내부에 직수의 저장용량 완료시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습도 이상일 경우 습도센서의 정지신호를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가습부와 상기 송풍부를 작동하며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가습단계, 외부 전원인가를 유지한 채 설정 저장용량 이하에 따라 수위센서의 신호 발생시 가습부와 송풍부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직수를 설정치까지 본체에 직접적 또는 물받이통 내부로 공급하는 직수보충단계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ried the stored direct water is moved to the air, the humidifier to induce natural evaporation and the main body having a blower for blowing the evaporated water to the room of the wall The built-in mounting step of connecting the direct water supply while inserting the slide directly into the space, and continuously supplying the direct wat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until the supply stop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to detect the storage capacity in real time. In the direct water supplying step,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irect water is completed inside the main body, the indoor humidity is sensed in real time, and when the humidity exceeds the set value, the humidifier and the blower are continuously operated until the stop signal of the humidity sensor is generated. Humidification stage, set storage capacity while maintaining external power supply Up to the level sensor signals the occurrence of a humidification unit and the air blow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water stream operating set point directly to the body or drip tube supplied into the water stream along under includes supplementary step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은 자연 가습 방식의 가습기를 벽체의 내부에 매입함으로써 실내 공간 활용을 극대화하면서 가습기 자체를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가습기 내부에 직수를 공급함으로써 물을 자주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직수를 연속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물의 저장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가습기 자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nd the humi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tect the humidifier itself while maximizing the utilization of the indoor space by embedding the humidifier of the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inside the wall.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eliminates the hassle of frequently replenishing water by supplying the direct water into the humidifier, and since the direct water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the storage space of the water can be minimized, there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humidifier itself.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은 가습기 본체의 전측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하고, 본체 내부에 별도의 물받이통을 구비함으로써 청소 등을 위해 본체의 전측만을 개방한 후 물받이통을 꺼낼 수 있어 사용자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built-in direct-connected type natural humidifier and the humi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front side of the humidifier body, and provided with a separate drip tray inside the main body to open only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for cleaning, etc. Can take out the barrel has the effect of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및 그 가습방법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an embodiment of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nd a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onvention of a user or an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외형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설 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에 직수를 커넥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main parts connecting the direct water to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가습부와 송풍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 내부도이다.In addition, Figure 4 is a detailed inter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humidifying unit and the blowing unit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회전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한 요부 상태도이다.In addition, Figure 5 is a state diagram of the main part changed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otating member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And, 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는 외형을 이루는 본체(100)에 유입구(110)와 토출구(120)를 형성한다. 유입구(110)는 외부의 공기 특히, 실내 공기를 유입하는 역할을 하고, 토출구(120)는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공기가 유입구(110)로 유입되어 토출구(120)로 배출되도록 하기의 송풍부(320)가 작동한다. 유입구(110)와 토출구(120)의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1 and 2, the 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let port 110 and an outlet port 120 in the main body 100 forming an external shape. The inlet 110 serves to introduce external air, in particular, indoor air, and the outlet 120 serves to discharg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into the room. The blower 320 is operated to allow air to flow into the inlet 110 and discharged to the outlet 120. The shape and location of the inlet 110 and the outlet 120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특히, 실내의 벽체(10)에는 내부 방향으로 함몰된 공간(12)이 형성된다.In particular, a space 12 recessed in the inner direction is formed in the wall 10 of the room.

그리고, 본체(100)는 공급부(200)를 통해 외부의 수도배관 등과 연결된 직수를 공급받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자연 증발식 가습기는 빌트인(built-in) 방식이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receives direct water connected to an external water pipe through the supply unit 200. That is, the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uilt-in.

따라서, 기존에 자연 증발식 가습기가 바닥에 놓여지는 것보다 실내의 활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the room than the existing natural evaporative humidifier is placed on the floor.

아울러, 본체(100)는 빌트인 방식이지만 자유롭게 공간(12)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자연 가습기의 본체(100)를 용이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main body 100 is a built-in type, the main body 100 is freely formed into and out of the space 12. This is to easily maintain the main body 100 of the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더욱 상세히, 벽체(10)의 공간(12)에는 슬라이드 출입되는 슬라이드판(410)을 구비하고, 본체(100)는 슬라이드판(410)에 놓여짐에 따라 공간(12)으로부터의 인출이 용이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드판(410)이 공간(12)의 바닥면에 슬라이드 출입되는 구조는 레일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00)가 슬라이드판(410)에 고정되는 구조는 볼팅 방식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In more detail, the space 12 of the wall 10 includes a slide plate 410 that slides in and out, and the main body 100 is placed on the slide plate 410 to easily withdraw from the space 12. do. At this time, the slide plate 410 slides in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pace 12 can be applied in various ways, such as a rail system. In addition, the structure in which the main body 100 is fixed to the slide plate 410 may be variously applied, such as a bolting method.

한편, 벽체(10)의 공간(12)은 벽체(10) 자체의 하중에 의해 파손되거나 무너질 수 있어 공간(12) 내측면에는 하우징(20)이 형성된다. 하우징(20)은 공간(12) 내측벽을 지지하고, 본체(100)의 크기를 규격화함에 따라 시공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판(410)은 하우징(20)의 바닥면에 슬라이드 되는 방식으로 구비된다. 물론, 본체(100)는 이 슬라이드판(410)에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space 12 of the wall 10 may be damaged or collapsed by the load of the wall 10 itself, so that the housing 20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2. The housing 20 supports the inner wall of the space 12 and facilitates construction by standardizing the size of the main body 100. Therefore, the slide plate 410 is provided in a manner that slid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20. Of course,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on the slide plate 410.

본체(100)가 벽체(10)의 공간(12)에 직접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된 것으로 하고, 이를 도시한다.Although the main body 100 may be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space 12 of the wall 10, hereinafter, it is assumed that the main body 100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0.

그리고, 본체(100)는 둘레면에 플랜지(130)를 형성한다. 플랜지(130)는 본체(100)가 벽체(10) 및 하우징(20) 외측에 걸리도록 하여 하우징(20) 내부로의 삽입깊이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편의상, 플랜지(130)는 본체(100)의 상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아울러, 플랜지(130)는 본체(100)를 꺼낼 때 손잡이 기능을 한다. And the main body 100 forms a flange 130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lange 130 serves to limit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housing 20 by allowing the body 100 to be caught outside the wall 10 and the housing 20. For convenience, the flange 130 is shown to be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body 100. In addition, the flange 130 functions as a handle when the main body 100 is taken out.

공급부(200)는 외부의 직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가습용 물을 외부 조작시 연속적으로 본체(100) 내부에 공급하거나 직수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supply unit 200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external direct water and serves to continuously supply the humidifying wat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or stop the flow of direct water during external operation.

더욱 상세히, 공급부(200)는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직수연결부재(210) 및 본체(100)에 연결되어 직수연결부재(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직수를 본체(100) 내부로 공급 유도하는 보조연결부재(220)로 형성된다.In more detail, the supply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main body 100 to directly supply and guide the external direct wate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to the direct water inside the main body 100. It is formed of an auxiliary connecting member 220 to guide the supply.

특히, 직수연결부재(210)는 외부에서 실내의 수도꼭지 등으로 연결되는 수도배관(도시하지 않음)에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그래서, 직수연결부재(210)는 외부의 직수를 그대로 공급받게 된다. 이때, 직수연결부재(210)는 벽체(10) 내부에 매립되어 공간(12) 특히 하우징(2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직수연결부재(210)가 벽체(10)에 매립시 단부를 하우징(20) 내부에 노출시켜 보조연결부재(220)와 연결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directly connected to a water pipe (not shown) connected to the faucet of the room from the outside. Thus,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supplied with the external direct water as it is. At this tim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preferably embedded in the wall 1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pace 12, in particular the housing 20. Of course, when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embedded in the wall 10, the end is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20 to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이때, 직수연결부재(210)는 벽체(10)에 매립되어 단부를 하우징(20)에 삽입되어 내부로 소정 돌출된다. 그래서, 보조연결부재(220)는 이 직수연결부재(210)의 단부에 연결된다. At this tim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embedded in the wall 10, the en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 is a predetermined protrude into the inside. Thus,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220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아울러, 보조연결부재(220)는 직수연결부재(2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100)에 연결됨에 따라 외부의 직수를 본체(100) 내부에 직접적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직수연결부재(210)가 직접적으로 본체(100)에 연결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serves to directly supply the external direct water into the main body 100 as it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Of cours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0.

여기서,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직수연결부재(210)는 외부의 직수를 일차적으로 많은 양을 공급받음과 아울러 벽체(10) 내부에 매립되기 때문에 경질(硬質)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직수연결부재(210)는 제 1개폐밸브(212)를 구비하여 본체(100) 내부로 공급되는 직수의 양을 조절 및 단속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개폐밸브(212)는 수동으로 조작되거나 외부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Her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is preferably formed in a pipe shape. In particular, sinc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supplied with a large amount of external direct water primarily and is embedded in the wall 10,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preferably formed to be hard.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12 to adjust and control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into the main body 100. In this case,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12 may be manually operated or automatically operated by an external signal.

그리고, 보조연결부재(220)는 플렉시블한 연질로 이루어진다. 이는, 본체(100)를 하우징(20) 내부로 삽입시 하우징(20) 내부에 감겨져 본체(100)의 인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체(100)가 하우징(20) 외부로 인출될 때에도 보조연결부재(220)가 직수연결부재(2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야 함에 따라 보조연결부재(220)는 공간(12)이나 하우징(20) 내부에 코일 형상으로 감겨 있거나 연성을 갖음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연결부재(220)는 제 2개폐밸브(222)를 구비한다. 제 2개폐밸브(222)는 제 1개폐밸브(212)와 마찬가지로 본체(100) 내부로 유입되는 직수의 양을 조절 및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 2개폐밸브(222)는 수동으로 개폐 작동될 수 있으나, 본체(100)에 형성된 컨트롤부(1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할 가습부(300)의 신호에 따라 온, 오프 조작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is made of a flexible soft. This is to allow the main body 100 to be retracted into the housing 20 when the main body 100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20. In addition, even when the main body 100 is drawn out of the housing 20,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220 should be kept connected to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so that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220 is space 12 or the housing. (20) It is desirable to have a coil wound inside or to have a ductility. At this time,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220 has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222. Like the first open / close valve 212, the second open / close valve 222 adjusts and regulates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main body 100. Here,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222 may be manually opened and closed operation, bu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40 formed on the main body 100 to be operated on, off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of the humidifier 300 to be described later This is preferred.

여기서,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Here, only one of the first open / close valve 212 and the second open / close valve 222 may be provided.

한편, 본체(100)는 공급부(200)로부터 직수를 직접적으로 외부 조작시 연속적으로 공급받기 때문에 내부의 수위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직수의 저장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에 따라 본체(100) 자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main body 100 receives the direct water directly from the supply unit 200 continuously during external operation, the internal water level can be minimized, and accordingly, the main body 100 can be minimized. ) Can reduce its size.

아울러,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분리 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연 가습 기능을 갖는 본체(100)를 장기간 미사용시, 보조연결부재(220) 및 본체(100)에 잔류하고 있는 직수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내부 오염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is preferably detachably connected. This is to prevent internal contamination by completely removing water remaining in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and the main body 100 when the main body 100 having a natural humidification function is not used for a long time.

따라서,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커플러(230)로 연결된다.Therefor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are connected to the coupler 230.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써, 커플러(230)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의 연결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특히, 보조연결부재(220)는 단부에 제 1돌출턱(232)을 형성함과 아울러 커플러(230)는 일측 가장자리에서 중심방향으로 제 2돌출턱(234)을 형성한다. 또한, 직수연결부재(210)의 외측 둘레면과 커플러(230)의 내측 둘레면에는 각각 탭(236,238)이 형성되어 서로 체결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 3, as an example, the coupler 2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s rotatably provided at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In particular,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forms a first protrusion 232 at the end and the coupler 230 forms a second protrusion 234 in the center direction at one edge. In addition, tabs 236 and 238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er 230 and fastened to each other.

그래서, 직수연결부재(210)의 탭(236)과 커플러(230)의 탭(238)이 결합된 상태로, 커플러(230)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며 직수연결부재(210)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이에 따라 제 2돌출턱(234)이 제 1돌출턱(232)에 면접된다. Thus, in a state where the tab 236 of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tab 238 of the coupler 230 are coupled, the coupler 230 is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and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Thus, the second protrusion 234 is interviewed with the first protrusion 232.

물론,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는 다양한 구조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Of cours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may be detachably coupled by a variety of structures.

특히, 제 1개폐밸브(212)는 직수연결부재(210)와 보조연결부재(220)가 분리되기 전에 우선적으로 오프(OFF)되어 직수의 흐름을 차단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212 is preferably OFF before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are separated (OFF) to block the flow of water.

아울러, 커플러(230)가 보조연결부재(220)에 삽입되기 위해서는 본체(100)가 분리 가능하여 그 연결부위에 커플러(230)를 삽입한 보조연결부재(220)가 끼워짐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for the coupler 230 to be inserted into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the main body 100 may be detachable,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having the coupler 230 inserted therein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portion.

한편, 보조연결부재(220)는 직수에 포함되는 중금속 성분 및 이물질 등을 걸러내기 위해 필터부재(460)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필터부재(460)는 보조연결부재(220)의 단부에 억지 끼움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된다.On the other h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is preferably to form a filter member 460 to filter out heavy metal components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direct water. The filter member 460 is provided in various ways such as being forcibly fitted to the end of 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220.

또한, 본체(100)는 자체적으로 내부에 직수를 담을 수 있으나, 별도의 물받이통(420)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여 보조연결부재(220)로부터 공급되는 직수를 공급받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물받이통(420)은 본체(100)에서 분리 가능하도록 하여 세척을 용이하도록 한다. 물받이통(420)이 본체(100)에 분리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contain water directly therein, but it is preferable to receive the water supplied from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by having a separate drip tray 420 detachably. The drip tray 420 may be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100 to facilitate washing. The structure in which the drip tray 420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100 may be variously applied.

특히, 본체(100)는 공간(12) 또는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물받이통(420)을 꺼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체(100)는 물받이통(420)과 가습부(300)를 수용하는 케이싱(102) 및 이 케이싱(102)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 전측패널(104)로 이루어진다. 케이싱(102)은 하우징(20) 내부에 수용되기 때문에 전측방향으로 전측패널(104)을 개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전측패널(104)은 케이싱(102)과 대응되는 가장자리를 힌지부(106)로 연결됨으로써 해당 가장자리를 기준으로 회동되며 개폐된다. 물론, 전측패널(104)은 케이싱(102)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는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0)가 공간(12)이나 하우징(20)에 수용된 상태로 전측패널(104) 만을 열어 물받이통(420)과 디스크(312)를 교체나 세척 가능하다.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body 100 can take out the drip tray 420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space 12 or the housing 20. That is,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casing 102 for receiving the drip tray 420 and the humidifying part 300 and a front panel 104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casing 102. Since the casing 102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0, it is preferable to open the front panel 104 in the front direction. In addition, the front panel 104 is rotated and opened based on the corresponding edge by connecting the edge corresponding to the casing 102 to the hinge portion 106. Of course, the front panel 104 may be variously applied, such as being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casing 102. Therefore, the user can open or close only the front panel 104 while the main body 100 is accommodated in the space 12 or the housing 20 to replace or wash the drip tray 420 and the disk 312.

그리고, 본체(100) 내부와 물받이통(4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살균부재(430,440)가 구비되어 직수를 살균 후 본체(100)의 토출구(120)를 통해 배출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drip tray 420 is provided with sterilizing members 430 and 440, and preferably sterilizes water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of the main body 100.

편의상, 물받이통(420)에는 제 1살균부재(430)가 구비되고, 본체(100) 내부에는 제 2살균부재(440)가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제 1살균부재(430)는 수중에서 자체적으로 제역할을 하는 살균제로 하고, 제 2살균부재(440)는 전기신호를 받아 발광하는 살균램프로 함이 바람직하다.For convenience, the drip tray 420 is provided with a first sterilizing member 430, and the second sterilizing member 440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first sterilizing member 430 is a sterilizing agent that performs its own role in the water, and the second sterilizing member 440 is preferably used as a sterilizing lamp that emits electric signals.

특히, 직수가 본체(100) 내부에 직접적으로 담수될 경우, 본체(100)는 수위센서(450)를 구비한다. 수위센서(450)는 본체(100) 내부의 수위가 설정치 이상일 때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오프신호가 컨트롤부(140)에 전송된다. 컨트롤부(140)는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어느 하나의 개폐밸브를 닫는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수위센서(450)는 실시간으로 본체(100) 내부의 수위를 감지한다. 물론, 물받이통(420)이 본체(100) 내부에 구비될 경우, 수위센서(450)는 물받이통(420)에 형성된다.In particular, when the direct water is fresh water directly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water level sensor 450. The water level sensor 450 transmits an off signa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12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222 to the control unit 140 when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t value. The control unit 140 generates a signal for closing one of the on / off valves of the first open / close valve 212 and the second open / close valve 222. The water level sensor 450 detects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00 in real time. Of course, when the drip container 420 is provided inside the body 100, the water level sensor 450 is formed in the drip container (420).

또한, 수위센서(450)가 전자식일 경우에는 본체(100) 내부 상측면에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 하측의 수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water level sensor 450 is electronic, the water level sensor 450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o detect the level of water i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0 in real time.

한편, 본체(100)의 유입구(110)를 통해 유입되어 토출구(120)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본체(100) 내부에 저장된 직수를 증발 유도하여 실내를 가습하도록 본체(100)에는 가습부(300)가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100 so as to humidify the room by evaporating the direct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0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120. Humidification unit 300 is formed.

가습부(300)는 자연증발부(310)와 송풍부(320)를 포함한다.The humidifier 300 includes a natural evaporator 310 and a blower 320.

자연증발부(310)는 본체(100) 내부에 저장되는 직수를 묻힌(wet) 후 본체(100) 내부 공중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연증발을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송풍 부(320)는 공기의 흐름을 유입구(110)에서 토출구(120)로 유도함으로써 자연증발부(310)의 일부에 묻어 증발되는 직수를 토출구(120)로 배출함에 따라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역할을 한다.The natural evaporation unit 310 serves to induce spontaneous evaporation by wetting the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100 and then exposing it to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blowing unit 320 controls the flow of air. By inducing the inlet 110 to the discharge port 120 serves to spontaneously humidify the room by discharging the water directly buried in a portion of the natural evaporation unit 310 to the discharge port 12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례로써, 자연증발부(310)는 회전축(311), 디스크(312), 기어부재(314), 풀리(315), 동력전달부재(317) 및 디스크모터(316)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4, as an example, the natural evaporation unit 310 may include a rotation shaft 311, a disk 312, a gear member 314, a pulley 315, a power transmission member 317, and a disk motor 316. ).

회전축(311)은 양단을 각각 본체(100) 특히 케이싱(102)에 지지되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다. 디스크(312)는 회전축(311)에 고정 형성되어 디스크모터(316)의 작동시 회전축(311)과 함께 회전되고, 일부 특히 하측을 본체(100)의 케이싱(102)이나 물받이통(420)에 담수된 직수와 접촉하게 된다. 이때, 디스크(312)는 직수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수 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표면에 리브(313)를 돌출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디스크(312)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회전축(311)에 고정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rotating shaft 311 are supported by the main body 100, especially the casing 102, and are rotatably formed. The disk 312 is fixedly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311 and rotated together with the rotating shaft 311 when the disk motor 316 is operated, and in particular, the lower side of the disk 312 is provided in the casing 102 or the water reservoir 420 of the main body 100. It comes in contact with fresh wat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disks 312 are fo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water, and it is preferable to protrude the ribs 313 on the surface. In addition, the disk 312 is fixedly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311 by various methods.

리브(313)는 디스크(312)의 회전방향에 대해 오목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저장된 직수를 최대한 적심과 아울러 소정량의 직수를 퍼올려 공기와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자연 증발량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Since the rib 313 is formed in a circular arc shape concave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disk 312, the amount of stored water can be wetted as much as possible,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can be pumped up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ir.

그리고, 기어부재(314)는 회전축(311)의 둘레면에 형성되고, 풀리(315)는 기어부재(314)와 맞물린다. 즉, 기어부재(314)와 풀리(315)는 외접하여 맞물린다.The gear member 314 is form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on shaft 311, and the pulley 315 is engaged with the gear member 314. That is, the gear member 314 and the pulley 315 are externally engaged.

또한, 동력전달부재(317)는 풀리(315)와 연결됨과 동시에 디스크모터(316)의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특히, 동력전달부재(317)는 베벨기어로 도시하였으나, 다양 하게 적용 가능하다. 디스크모터(316)는 동력전달부재(317)에 맞물리고, 동력전달부재(317)는 풀리(315)에 맞물려 기어부재(314)와 회전축(311)에 회전력을 전달함으로써 디스크(312)가 회전된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17 is connected to the pulley 315 and at the same time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isc motor 316. In particular, althoug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17 is shown as a bevel gear, it can be variously applied. The disc motor 316 is engaged with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17, an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17 is engaged with the pulley 315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to the gear member 314 and the rotation shaft 311 so that the disc 312 rotates. do.

따라서, 디스크모터(316)가 작동하면, 동력전달부재(317)·풀리(315)·기어부재(314)·회전축(311) 및 디스크(312)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Therefore, when the disk motor 316 is operate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17, the pulley 315, the gear member 314, the rotation shaft 311, and the disk 312 rotate in one direction.

그래서, 디스크(312)는 회전되면서 직수를 적신 후 본체(100) 내부의 공기 중에 노출되고, 이 노출된 직수는 자연 증발하게 된다. 특히, 디스크(312)는 묻은 직수가 자연 증발되는 속도로 회전된다. Thus, the disk 312 is rotated and wetted with direct water, and then exposed in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the exposed direct water naturally evaporates. In particular, the disk 312 is rotated at a rate at which spontaneous water naturally evaporates.

디스크모터(316)는 작동시 진동이 방지되도록 임의의 고정체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체(100)는 내부에 프레임(330)을 구비하여 디스크모터(316)를 고정 장착한다.The disc motor 316 is preferably fixed to any fixture to prevent vibration during operation. Thus, the main body 100 has a frame 330 therein to fix the disc motor 316.

또한, 디스크(312)는 본체(100) 내부의 이물질을 부착한 후 직수에 담겨지면서 이물질을 씻어냄으로써 청결을 유지한다.In addition, the disk 312 is attached to the foreign matter inside the main body 100 and is kept in clean by washing the foreign matter while being immersed in water.

아울러, 송풍부(320)는 회전부재(322) 감속부재(326)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blowing unit 320 includes a rotation member 322, a reduction member 326.

회전부재(322)는 본체(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부 조작에 의해 회전시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토출구(120)로 강제 배출시킨다. 이에 따라, 기압차로 인해 실내의 공기는 본체(100)의 유입구(110)로 유입된다. 즉, 회전부재(322)는 공기의 흐름을 강제한다. 이때, 회전부재(322)는 임펠러나 팬으로 한다.The rotating member 322 is rotatably mounted in the main body 100, and forcibly discharges the air in the main body 100 to the discharge port 120 during rotation by external operation. Accordingly,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0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That is, the rotating member 322 forces the flow of air. At this time, the rotating member 322 is an impeller or a fan.

그리고, 회전부재(322)는 회전력 전달을 외부로부터 받아야 하는데, 자연증발부(310)의 디스크모터(316)에 직접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otation member 322 needs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transmission from the outside, and is preferably directly connected to the disk motor 316 of the natural evaporation unit 310.

특히, 회전부재(322)는 디스크모터(316)의 성능에 따라 강하게 회전하면서 디스크(312)에 묻은 물기를 바닥으로 낙하시킬 수 있게 됨에 따라 회전속도가 조절 또는 감속되어야 한다. 그래서, 디스크모터(316)와 회전부재(322) 사이에는 감속부재(326)가 구비된다. 감속부재(326)는 감속기로 하여 회전부재(322)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In particular, the rotation member 322 is to be strongly or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performance of the disk motor 316 can be dropped to the bottom of the water on the disk 312, the rotational speed should be adjusted or reduced. Thus, the reduction member 326 is provided between the disc motor 316 and the rotating member 322. The reduction member 326 serves as a speed reducer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member 322.

한편, 자연증발부(310)의 동력전달부재(317)나 풀리(315) 및 송풍부(320)의 회전부재(322)는 독립된 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317 of the natural evaporator 310 or the pulley 315 and the rotating member 322 of the blower 320 may receive a rotational force from an independent motor.

도 2에서처럼, 일례로써, 회전부재(322)는 디스크(312)를 향하도록 하여 본체(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디스크(312)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강제 유동한다. 그래서, 디스크(312)의 표면에 묻은 직수는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증발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2, as an example, the rotating member 322 is forced toward the disk 312 by directing the air introduced into the main body 100 toward the disk 312. Thus, the direct water on the surface of the disk 312 will evaporate as soon as possible.

이 경우, 회전부재(322)가 너무 강하게 회전시 디스크(312) 표면에 묻은 직수는 본체(100)의 토출구(120)로 유동하지 않고 본체(100) 내부 바닥으로 낙하함으로써 회전부재(322)는 감속부재(326)에 의해 감속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when the rotary member 322 is rotated too strongly, the number of direct drops on the surface of the disk 312 does not flow to the discharge port 120 of the main body 100 but falls to the bottom inside the main body 100 so that the rotating member 322 It is preferable to be decelerated by the deceleration member 326.

도 5에서처럼, 다른 예로써, 회전부재(322)는 본체(100)의 유입구(110)에 대응되는 본체(100) 내부에 형성된다. 그래서, 유입구(110)로 유입된 공기는 회전부재(322)에 의해 유입구(110)에 대응되는 본체(100) 내측벽에 일차적으로 부딪힌 후 디스크(312)와 접촉하면서 물기를 포함하여 토출구(120)로 배출된다.As shown in FIG. 5, as another example, the rotating member 322 is formed inside the main body 100 corresponding to the inlet 110 of the main body 100. Thu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10 is first hit by the inner wall of the main body 100 corresponding to the inlet 110 by the rotating member 322 and then contacted with the disk 312, including the water discharge outlet 120 To be discharged.

미설명된 도면부호는 상술한 것으로 대체한다.Unexplained reference numerals are replaced with those described above.

한편, 회전부재(322) 및 감속부재(326)는 프레임(330)에 견고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member 322 and the deceleration member 326 is preferably firmly supported by the frame 330.

또한, 본체(100)는 전측에 컨트롤부(140)를 형성하는데, 이 컨트롤부(140)는 본체(10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러그(48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 플러그(480)는 벽체(10)의 공간(12) 내측면에 형성되거나 이에 연장되어 하우징(20)에 부착된 콘센트(490)에 접속됨에 따라 수위센서(450), 제 2살균부재(440) 및 습도센서(470)가 전기신호를 받아 실시간으로 작동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forms a control unit 140 on the front side, the control unit 1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480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plug 480 is The water level sensor 450, the second sterilizing member 440, and the humidity sensor 470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2 of the wall 10 and are connected to the outlet 490 attached to the housing 20. )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and operates in real time.

수위센서(450) 및 제 2살균부재(440)는 상술한 바 있다.The level sensor 450 and the second sterilizing member 440 have been described above.

그리고, 습도센서(470)는 본체(100)의 전측에 형성되어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되고, 설정치 이상의 실내 습도를 검출시 공급부(200)의 직수 공급 차단 신호 즉,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닫힘 신호를 컨트롤부(140)에 전송한다. 해당되는 개폐밸브는 컨트롤부(140)의 제어에 의해 오프된다.And, the humidity sensor 47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detect the humidity in the room in real time, when detecting the indoor humidity above the set value, that is, the direct water supply shutoff signal of the supply unit 200, that i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 The closing signal of at least one of 212 and the second open / close valve 222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40. The open / close valve is turned off by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40.

물론,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가 될 경우,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오프(OFF)된 개폐밸브는 다시 온(ON)됨으로써 외부 직수는 다시 본체(100) 또는 물받이통(420)으로 공급된다.Of course, when the indoor humidity is less than the set value,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212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222 is turned off (ON) is turned on again (on) again the external direct water It is supplied to the main body 100 or the water reservoir 420.

즉, 습도센서(470)는 공급부(200)와 가습부(300)의 작동여부 신호를 발생한다.That is, the humidity sensor 470 generates a signal whether the supply unit 200 and the humidifier 300 operate.

한편, 도 6에서처럼,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은 빌트인 장착단계(S10), 직수공급단계(S20), 가습단계(S30) 및 직수보충단계(S40)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6, built-in direct connection type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includes a built-in mounting step (S10), a direct water supply step (S20), a humidification step (S30) and a direct water supplement step (S40).

빌트인 장착단계(S10)는 저장된 직수를 묻혀 본체(100) 내부의 공중으로 이동하며 자연 증발을 유도하는 가습부(300)와 증발되는 물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320)를 갖는 본체(100)를 벽체(10)의 공간(12)에 슬라이드 삽입하면서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도록 커넥팅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공정이다.Built-in mounting step (S10) is buried in the stored water is moved to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100, the main body having a humidifier 300 for inducing natural evaporation and a blowing unit 320 for blowing the evaporated water into the room It is a process of connecting 100 to a direct supply while directly inserting 100 into the space 12 of the wall 10, and connecting it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즉, 이 단계(S10)는 본체(100)를 벽체(10)의 공간(12) 내부에 장착하는 공정이다.That is, this step (S10) is a step of mounting the body 100 in the space 12 of the wall (10).

특히, 공간(12)은 내부에 하우징(20)을 구비하고, 본체(100)는 하우징(20) 내부에 슬라이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공간(12) 내부에 직접적으로 수용된 것으로 설명한다.In particular, the space 12 has a housing 20 therein, and the main body 100 may be formed to slide in and out of the housing 20, but will be described below as being directly accommodated in the space 12. do.

그리고, 직수공급단계(S20)는 본체(100)의 내부로 직수를 실시간으로 저장용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450)의 공급정지 신호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정이다.In addition, the direct water supply step (S20) is a process of continuously supplying the direct water in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until a supply stop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450 that detects the storage capacity in real time.

더욱 상세히, 이 공정(S20)에서, 수위센서(450)는 유입되는 직수의 양을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이상의 공급시 공급부(200) 특히 보조연결부재(220)의 제 2개폐밸브(222)나 직수연결부재(210)의 제 1개폐밸브(212)의 닫힘 신호를 발생함에 따라 직수 공급 중지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is step (S20), the water level sensor 450 detects the amount of water flowing into the real time in real time to supply more than the set value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222 of the supply unit 200, in particular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20 or As the closing signal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12 of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210 is generated, the direct supply supply stop signal is generated.

물론, 가습부(300)가 계속적으로 작동함에 따라 본체(100) 내부나 물받이통(420)의 수위는 점차적으로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밸브는 수위센서(450)의 신호의 미발생으로 다시 개방됨으로써 외부 직수는 다시 본체(100) 내부나 물받이통(420)으로 공급된다.Of course, as the humidifier 300 continues to operate, the water level inside the main body 100 or the water reservoir 420 gradually decreases, so that the first open / close valve 212 and the second open / close valve 222 are provided. At least one of the on / off valves is opened again due to the non-occurrence of the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450, so that the external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or the water reservoir 420 again.

그리고, 가습단계(S30)는 본체(100) 내부에 직수의 저장용량 완료시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습도 이상일 경우 습도센서(470)의 정지신호를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가습부(300)와 송풍부(320)를 작동하며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공정이다.And, the humidifying step (S30) is a humidification unit 300 continuously detects the humidity of the room in real time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number of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in real time to generate a stop signal of the humidity sensor 470 or more than the set value humidity in real time And blower 320 is a process of natural humidification of the room.

더욱 상세히, 이 공정(S30)에서, 습도센서(470)는 본체(100) 전측에 형성되어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게 되고, 설정치 이상의 실내 습도를 검출시 공급부(200)의 직수 공급 차단 신호 즉,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닫힘 신호를 발생함과 더불어 가습부(300)와 송풍부(320)의 작동중지 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컨트롤부(140)가 해당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n this step (S30), the humidity sensor 470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detect the humidity in the room in real time, when detecting the indoor humidity above the set value, the direct supply cutoff signal of the supply unit 200 That is, the closing signal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opening / closing valve 212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valve 222 is generated, and an operation stop signal of the humidifier 300 and the blower 320 is generated, and the control is performed. The unit 140 transmits the signal.

물론, 실내의 습도가 설정치 이하가 될 경우, 상기 제 1개폐밸브(212)와 제 2개폐밸브(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개폐밸브는 습도센서(470) 신호의 미발생으로 다시 개방됨으로써 외부 직수는 다시 본체(100) 내부 또는 물받이통(420)으로 공급됨과 더불어 가습부(300)와 송풍부(320)는 다시 작동하여 실내를 가습한다.Of course, when the indoor humidity is less than the set value, at least one of the on-off valve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valve 212 and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valve 222 is opened again by the occurrence of the humidity sensor 470 signal to the outside Direct water is supplied back into the main body 100 or the drip tray 420, and the humidifier 300 and the blower 320 operate again to humidify the room.

특히, 증발된 직수가 본체(100)의 토출구(120)로 배출되기 전에, 본체(100)나 물받이통(420)에 형성된 살균부재는 해당되는 액체 상태의 직수 또는 분무된 직수를 살균 처리함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before the evaporated direct water is discharged to the outlet 120 of the main body 100, the sterilizing member formed in the main body 100 or the drip tray 420 sterilizes the direct or sprayed direct water in a liquid state. desirable.

그리고, 직수보충단계(S40)는 외부 전원인가를 유지한 채 설정 저장용량 이하에 따라 수위센서(450)의 신호 발생시 가습부(300)와 송풍부(320)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직수를 설정치까지 본체(100)에 직접적 또는 물받이통(420) 내부로 공급하는 공정이다.In addition, the direct water replenishment step (S40) up to the set value in the state in which the humidifier 300 and the blower 320 operate when the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450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et storage capacity or less while maintain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It is a process of supplying the body 100 directly or into the drip container 420.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art belong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therefrom. I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claims below.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외형도이다.1 is an external view of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설치 상태를 보인 개략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에 직수를 커넥팅하는 요부 단면도이다.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for connecting the direct water to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가습부와 송풍부의 설치 상태를 보인 상세 내부도이다.Figure 4 is a detailed internal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of the humidifying unit and the blowing unit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의 회전부재의 설치 위치를 변경한 요부 상태도이다.5 is a state diagram of the main parts o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otating member of the built-in direct-connected type natural humidifi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을 보인 순서도이다.Figure 6 is a flow chart showing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벽체 12: 공간10: wall 12: space

100: 본체 110: 유입구100: main body 110: inlet

120: 토출구 200: 공급부120: discharge port 200: supply unit

210: 직수연결부재 220: 보조연결부재210: direct connection member 220: auxiliary connection member

230: 커플러 300: 가습부230: coupler 300: humidifier

310: 자연증발부 320: 송풍부310: natural evaporator 320: blower

410: 슬라이드판 420: 물받이통410: slide plate 420: drip tray

Claims (21)

벽체의 함몰된 공간 내·외부로 출입 가능하게 형성되고, 외부의 직수를 저장하며, 유입구와 토출구를 갖는 본체;A main body which is formed in and out of the recessed space of the wall, stores the external water, and has an inlet and an outlet; 가습용 물의 저장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본체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외부 신호에 따라 상기 본체 내부로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하거나 상기 직수의 흐름을 정지시키는 공급부; 및A supply unit which directly supplies external direct water into the main body or stops the flow of the direct water according to an external signal in order to reduce the size of the main body by minimizing a storage capacity of humidifying water; And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어 상기 토출구를 통해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통해 상기 본체 내부에 저장된 직수를 증발 유도하여 실내를 가습하는 가습부를 포함하고,And a humidifying part for humidifying the room by evaporating direct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through a flow of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and discharged in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ort. 상기 가습부는,The humidifying unit, 상기 본체 내부에 저장되는 직수를 묻힌 후 이 직수를 상기 본체 내부의 공중에 노출시킴으로써 자연증발을 유도하는 자연증발부; 및A natural evaporation unit that induces natural evaporation by embedding the direct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and exposing the direct water to the air inside the main body; And 공기의 흐름을 상기 유입구에서 상기 토출구로 유도함으로써 상기 자연증발부의 일부에 묻어 증발되는 직수를 상기 토출구로 배출함에 따라 실내를 가습하는 송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s comprising a blower for humidifying the indoors by directing the flow of air from the inlet to the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direct water that is buried in the natural evaporation portion to the discharge port.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간은 슬라이드 출입되는 슬라이드판을 형성하고;The space defines a slide plate which slides in and out; 상기 본체는 상기 슬라이드판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formed on the slide plate. 제 2항에 있어서,3.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본체는 둘레면에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벽체의 외측면에 걸림으로써 상기 공간 내부로의 삽입깊이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 The main body is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space is limited by forming a flange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is caugh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급부는 외부의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 안내하는 직수연결부재; 및The supply unit is a direct connection member for directly supplying and directing the external direct water; And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직수연결부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직수를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 유도하는 보조연결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connection member which is connected to the main body,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to guide the supply of water into the main body.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직수연결부재는 상기 벽체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기 공간 내부에 돌출되도록 상기 벽체에 매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The direct connection member is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embedded in the wall so as to protrude in the space within the range that does not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wall. 제 4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직수연결부재와 상기 보조연결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부 조작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개폐밸브를 구비하여 유동하는 직수의 흐름을 단속 및 흐름량 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At least one of the direct connection member and the auxiliary connection member has a built-in direct connection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n opening and closing valve that is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by an external operation to control the flow and control the flow of direct flow.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본체는 내측면에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수위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개폐 작동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water level sensor on the inner side built-in direct-connected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signal to at least one of the on-off valves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제 7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본체는 내부에 물받이통을 분리 가능하게 구비하고;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water reservoir detachably therein; 상기 물받이통과 상기 본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직수를 살균하기 위해 살균부재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f the drip tray and the body to form a sterilization member for sterilizing the direct wat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보조연결부재는 플렉시블한 재질이며, 필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The auxiliary connecting member is a flexible material, 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ter memb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본체는 상기 가습부를 수용하는 케이싱; 및The main body has a casing for receiving the humidifying portion; And 상기 케이싱을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측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ront panel formed to open and close the cas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자연증발부는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축;The natural evaporation portion is a rotation shaft rotatably formed on the body; 상기 본체에 저장된 직수에 일부가 접하도록 상기 회전축에 고정 형성되는 디스크;A disk fixedly formed on the rotating shaft such that a part of the straight water stored in the main body is in contact with the straight water; 상기 회전축의 둘레면에 형성된 기어부재;A gear member form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상기 기어부재와 맞물리는 풀리; A pulley engaged with the gear member; 상기 풀리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 및A power transmission member for transmitting rotational power to the pulley; And 상기 디스크를 간접적으로 회전시켜 표면에 묻은 직수를 공기 중에서 증발 유도하도록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디스크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isk motor for transmitt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power transmission member to indirectly rotate the disk indirectly evaporated in the air the direct water on the surface. 제 14항에 있어서,15. The method of claim 14, 상기 디스크는 직수를 묻히는 표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측면에 리브를 돌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The disk is a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o protrude ribs on the side to increase the surface area buried direc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송풍부는 공기를 상기 유입구로 유입시킨 후 상기 토출구로 배출 유도하도록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재; 및The blowing unit is a rotating member rotated by an external force to guide the discharge into the discharge port after introducing air into the inlet; And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속도를 감속하는 감속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deceleration member for reducing the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ng member. 제 1항, 제 14항, 제 15항 및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14, 15 and 17, 상기 본체는 플러그가 형성되고;The main body is formed with a plug; 상기 벽체의 공간 내측면은 콘센트가 형성됨에 따라,As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of the wall outlet is formed, 상기 플러그가 상기 공간 내측에서 상기 콘센트에 접속시 상기 공급부와 상기 가습부는 전기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part and the humidifier is electrically controlled when the plug is connected to the outlet inside the space. 제 1항, 제 14항, 제 15항 및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14, 15 and 17, 상기 본체는 습도센서를 구비하여 외부에 해당되는 실내의 습도에 따라 상기 가습부의 작동여부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humidity sensor built-in direct-connected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for generating a control signal of the operation of the humidifying unit according to the humidity of the room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제 1항 내지 제 5항, 제 14항, 제 15항 및 제 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14, 15 and 17, 상기 벽체의 공간은 하우징을 형성하고;The space of the wall forms a housing; 상기 본체는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기.Built-in direct-connect type natural humidifier, characterized in that the main body is accommodated in the housing. 저장된 직수를 묻혀 공중으로 이동하며 자연 증발을 유도하는 가습부와 증발되는 물기를 실내로 배출하도록 송풍하는 송풍부를 갖는 본체를 벽체의 공간에 슬라이드 삽입하면서 직수를 직접적으로 공급받도록 커넥팅함과 아울러 외부 전원과 접속하는 빌트인 장착단계;It is connected to receive direct water while inserting the main body which has a humidifying part which moves buried water directly into the air and induces natural evaporation, and a blowing part which blows out the evaporated water into the room, while being directly inserted into the space of the wall. Built-in mounting step for connecting with; 상기 본체의 내부로 직수를 실시간으로 저장용량을 감지하는 수위센서의 공급정지 신호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직수공급단계;A direct water supply step of continuously supplying the direct water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until a supply stop signal of a water level sensor detecting a storage capacity in real time; 상기 본체 내부에 직수의 저장용량 완료시 실내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설정치 습도 이상일 경우 습도센서의 정지신호를 발생시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가습부와 상기 송풍부를 작동하며 실내를 자연 가습하는 가습단계; A humidifying step of sensing the humidity of the room in real time when the storage capacity of the direct water is completed in real time and operating the humidifying part and the blower part continuously until a stop signal of the humidity sensor is generated when the humidity is above a set value humidity; 외부 전원인가를 유지한 채 설정 저장용량 이하에 따라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 발생시 상기 가습부와 상기 송풍부가 작동하는 상태에서 직수를 설정치까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하는 직수보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직수 연결형 자연 가습방법.And a water replenishment step of supplying water into the main body up to a set value in a state in which the humidifying part and the blower are operated when a signal of the water level sensor is generated according to a set storage capacity or less while maintaining an external power supply. Built-in direct connection natural humidification method.
KR1020080038363A 2008-04-24 2008-04-24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KR1009778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363A KR100977857B1 (en) 2008-04-24 2008-04-24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363A KR100977857B1 (en) 2008-04-24 2008-04-24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457A KR20090112457A (en) 2009-10-28
KR100977857B1 true KR100977857B1 (en) 2010-08-24

Family

ID=41553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363A KR100977857B1 (en) 2008-04-24 2008-04-24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85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68B1 (en) 2011-10-14 2013-05-06 주경원 Built-in type disinfecting apparatus
KR20210013938A (en) 2019-07-29 2021-02-08 정재민 Termite house humidifi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243A (en) * 2008-11-05 2010-05-13 육영복 Built-in fountain
WO2017138674A1 (en) * 2016-02-12 2017-08-17 (주)딘에어코리아 Direct water connection type humidifier
CN106440165A (en) * 2016-10-26 2017-02-22 吴江市晓昱喷气织造有限公司 Humidification mechanism for textile workshop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34A (en) 1984-07-18 1986-02-06 P S Kankyo Giken Kk Humidifier
KR900011121Y1 (en) * 1988-02-11 1990-12-15 정무영 Wall topestry type humidifier
KR19980068250U (en) * 1997-05-30 1998-12-05 배순훈 Sterilizer for home humidifier
KR20010087583A (en) * 2000-03-07 2001-09-21 김호성 direct connecting instant humidifi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7434A (en) 1984-07-18 1986-02-06 P S Kankyo Giken Kk Humidifier
KR900011121Y1 (en) * 1988-02-11 1990-12-15 정무영 Wall topestry type humidifier
KR19980068250U (en) * 1997-05-30 1998-12-05 배순훈 Sterilizer for home humidifier
KR20010087583A (en) * 2000-03-07 2001-09-21 김호성 direct connecting instant humidifi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1368B1 (en) 2011-10-14 2013-05-06 주경원 Built-in type disinfecting apparatus
KR20210013938A (en) 2019-07-29 2021-02-08 정재민 Termite house humidif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457A (en) 200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857B1 (en) Built-in type humidifier and humidification method thereof
JP2005274041A (en) Humidifying device
KR100805239B1 (en) Humidify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er having the same
KR101433289B1 (en) Vaporization humidifier type ceiling bury
KR20160042864A (en) Humidifying unit for a hvac system
JP2022115918A (en) Liquid atomization device
KR102054286B1 (en) Humidification apparatus having the rotating humidification filter
KR20200142840A (en) Clothes care apparatus
KR101415220B1 (en) Vaporization humidifier type wall-mounted
JP7241257B2 (en) Liquid atomization device
JP7308383B2 (en) humidifier
WO2020136986A1 (en) Humidifier
JP2021046976A (en) Liquid atomization device
JP7133755B2 (en) Liquid atomization device
JP2012037169A (en) Humidifier and its control method
CN111902218B (en) Liquid micronizing device
JP2013242072A (en) Humidifying mechanism
KR100955417B1 (en) Built-in type humidifier
JP7291877B2 (en) Liquid atomization device
KR101719327B1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densed water
JP2021171713A (en) Liquid micronization device
KR101731976B1 (en) Humidifier
CN215832087U (en) Humidifier
WO2020209130A1 (en) Liquid atomization device
JP7450144B2 (en) How to stop water in liquid atomization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