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084B1 - 개구부 덮개 - Google Patents

개구부 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084B1
KR100977084B1 KR1020080029390A KR20080029390A KR100977084B1 KR 100977084 B1 KR100977084 B1 KR 100977084B1 KR 1020080029390 A KR1020080029390 A KR 1020080029390A KR 20080029390 A KR20080029390 A KR 20080029390A KR 100977084 B1 KR100977084 B1 KR 10097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opening
coupling
fix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9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966A (ko
Inventor
허동석
Original Assignee
허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동석 filed Critical 허동석
Priority to KR1020080029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084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52Protections, e.g. cover, caps, against impaling on starter reinforcement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04G21/322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 E04G21/3233Means supported by building floors or flat roofs, e.g. safety railings without permanent provision in the floor or ro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9/00Screwed connection with deformation of nut or auxiliary member whil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개구부 덮개에 관한 것으로, 내측으로 결합홈을 형성한 덮개와 상기 덮개에 형성된 결합홈에 배치되되 하측으로 홈을 형성한 너트와 상기 너트에 결합하는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너트 하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는 중공형태의 몸체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결합부의 볼트와 결합하는 고정너트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와 고정너트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개구부 덮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덮개와 결합부와 고정부재를 결합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작업자가 임의로 제거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두께의 개구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를 길게 형성한 상태에서 개구부 두께에 따라 몸체를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표시부에 의해 개구부 두께에 정확히 맞게 절단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부의 너트와 고정부재의 몸체에 형성된 기준홈과 기준돌기 및 너트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표시기에 의해 너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결합이 되기 때문에, 양 방향으로 벌어지는 고정부재의 고정부를 개구부 벽체와 수직한 방향으로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80029390
개구부, 덮개, 고정

Description

개구부 덮개{Covering structure for opening}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개구부를 덮기 위한 개구부 덮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덮개와 결합부와 고정부재를 결합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작업자가 임의로 제거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두께의 개구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를 길게 형성한 상태에서 개구부 두께에 따라 몸체를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표시부에 의해 개구부 두께에 정확히 맞게 절단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결합부의 너트와 고정부재의 몸체에 형성된 기준홈과 기준돌기 및 너트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표시기에 의해 너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결합이 되기 때문에, 양 방향으로 벌어지는 고정부재의 고정부를 개구부 벽체와 수직한 방향으로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개구부 덮개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하는 공사현장에는 하수구나 배관 등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슬라브 등에 개구부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개구부는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고자 ㄱ자형의 플레이트를 시공자가 고정부재를 사용하여 조립하여 사용하였으나, 조립시 발생하 는 작업시간 및 제작에 따른 비용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이를 개선하고자 한국특허공보 제10-0677189호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개구부 덮개(200)는 도 1에서와 같이 내측으로 원형상의 결합홈(113)이 관통되어 형성된 덮개(11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홈(113)에 결합하는 원형상의 결합축(121)과 고정부(122) 및 걸림부(123)로 이루어진 고정부재(120)를 형성하여, 개구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개구부 덮개(200)는 측면에서 밀었을 때에는 개구부를 이탈하지 않은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작업자들이 편의를 위해 개구부 덮개(200)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서 손쉽게 개구부 덮개(200)를 제거한 후 사용자들이 다시 설치하여야만 하지만, 이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사고의 위험성을 더욱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구부 덮개시공방법은 내측으로 결합홈을 형성한 덮개와, 상기 덮개에 형성된 결합홈에 배치되되 하측으로 홈을 형성한 너트와 상기 너트에 결합하는 볼트로 이루어진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너트 하측에 형성된 홈에 결합하는 중공형태의 몸체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결합부의 볼트와 결합하는 고정너트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와 고정너트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로 구성된 고정부재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구부 덮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상기 고정부재의 고정부는 결합부의 볼트에 의해 볼트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너트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접히도록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구부 덮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상기 너트의 외측으로는 돌출된 형태의 방향표시부의 구성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구부 덮개 및 이의 시공방법은 상기 결합부의 너트와 고정부재 의 몸체에는 기준홈과 기준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구부 덮개는 덮개에 결합부와 고정부재를 결합하기 때문에 현장에서 작업자가 임의로 제거하지 못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두께의 개구부에 설치할 수 있도록 몸체를 길게 형성한 상태에서 개구부 두께에 따라 몸체를 절단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눈금표시부에 의해 개구부 두께에 정확히 맞게 절단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부의 너트와 고정부재의 몸체에 형성된 기준홈과 기준돌기 및 너트에 형성되어 있는 방향표시기에 의해 너트에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일정한 방향으로만 결합이 되기 때문에, 양 방향으로 벌어지는 고정부재의 고정부를 개구부 벽체와 수직한 방향으로 손쉽게 배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공사현장의 슬라브 등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를 덮을 수 있으면서, 사용자가 임의로 이를 제거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우선,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부(1)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덮개(10)는 내측으로 다수의 결합홈(11)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결합부(20)는 상기 덮개(10)의 결합홈(11)에 결합하여 덮개(10)가 사 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개구부(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상기 덮개(10)의 결합홈(11)의 상측에 배치되며, 하측으로 홈(21)을 형성한 너트(22)와, 상기 너트(22)에 결합하는 볼트(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너트(22)와 볼트(23)의 결합은 통상적인 나사산에 의한 결합이 아닌 너트(22)에 볼트(23)가 삽입되어 볼트(23)의 머리에 의해 걸쳐있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결합부(20)에 결합하여 덮개(10)를 사용자가 임의로 제거하지 못하도록 형성하는 고정부재(30)는 상기 결합부(20)의 하측에 형성된 홈(21)에 결합하는 몸체(31)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결합부(20)의 볼트(23)와 나사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지질 수 있는 고정너트(3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몸체(31)와 고정너트(32) 사이에는 고정부(32)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20)의 구성요소인 너트(22)의 하측에 형성된 홈(21)에 결합하는 고정부재(30)의 몸체(31)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되, 상기 억지끼워 맞춤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너트(22)와 고정부재(30)의 재질을 합성수지로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부(33)는 결합부(20)의 볼트(23)를 전진시켰을 때에, 고정너트(32)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고정부(33)가 양 측면으로 벌어지면서 접힐 수 있도록 구성하도록 하며, 이때에 상기 고정부(33)에는 고정부(33)가 잘 접힐 수 있도록 접힘부(33a)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접힘부(33a)는 주름 형태로 형성하거나 또는 고정부(33)가 원활히 접힐 수 있도록 프레스기계를 이용하여 선형형태의 라인으로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30)의 몸체(31)와 결합하는 결합부(20) 형성된 너트(22)의 외측에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것처럼 방향표시부(22a)를 형성하여, 전술한 고정부재(30)의 고정부(33)가 볼트(23)의 작용에 의해 양 측면으로 벌어져 접힐 때에, 개구부(1)의 벽면체와 수직한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20)의 너트(22)에 형성되어 있는 홈(21)과 고정부재(30)의 몸체(31)에는 기준홈(21b)과 고정돌기(31b)를 형성하여, 결합방향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30)의 몸체(31)에는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눈금표시부(31a)를 더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몸체(31)의 길이를 길게 제작한 상태에서 다양한 개구부(1)의 두께(t)를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개구부(1)의 두께에 따라 몸체(1)를 현장에서 절단하여 개구부(1) 두께(t)에 따라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며, 이때에 상기 눈금표시부(31a)는 1cm간격으로 형성하여 다양한 개구부(1) 두께(t)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때에 고정부재(30)의 고정부(32)에서 몸체(31) 방향으로 치수가 얼마나 되는지 표시할 수 있는 치수를 기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1)에는 규격화되어 제작되는 건물을 시공할 때에 손쉽게 몸체(1)의 길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문자형태로 이루어진 고정표시부(31c)를 더 형성 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이 건축시공법에 의거하여 개구부(1)가 형성되는 슬라브 등의 두께가 정해져 있는 건물일 경우에 이용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아파트의 경우 개구부(1)를 형성하는 슬라브의 두께가 18cm라고 하면, 고정부재(30)에 형성된 몸체(31)의 18cm가 되는 지점에 "아파트"라는 고정표시부(31c)를 기재함으로써, 특정 건물시공시 편리하게 고정부재(30)의 몸체(1)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으 개구부 덮개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시공하고자 하는 슬라브 등에 형성된 개구부(1)의 크기를 측정하여 덮개(10)의 크기를 선정하여 준비한 상태에서, 결합부(10)의 너트(22) 하측에 형성된 홈(21)에 고정부재(30)의 몸체(31)를 결합한 후 결합부(20)의 볼트(23)를 너트(22)에 삽입하여 고정부재(30)의 하측에 형성된 고정너트(32)에 볼트(23)가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도록 한다.(S10)
여기서, 상기 볼트(23)와 고정너트(32)의 결합시 볼트(23)를 많이 회전시켜 고정부(33)가 좌, 우측으로 벌어지지 않도록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결합부(20)의 너트(22)의 홈(21)에 결합하는 고정부재(30)의 몸체(31)의 경우, 개구부(1)의 두께(t)를 미리 측정한 상태에서 몸체(31)를 개구부(1)의 두께(t)에 맞게 절단한 후 너트(22)의 홈(21)에 결합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준비작업이 완료되면 결합부(20)와 결합한 고정부(30)를 덮 개(10)에 형성된 결합홈(11)에 결합한다.(S20)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부(33)의 경우, 양 측면으로만 벌어지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부(20)의 너트(22)에 결합되어 있는 고정부재(30)를 회전시켜서 고정부재(30)의 고정부(33)가 개구부(1)의 벽면체와 수직한 방향이 될 수 있도록, 너트(22)의 방향표시부(22a)를 이용하여 너트(22)의 회전 및 위치선정을 하도록 한다.
그런 후, 결합부(20)에 형성된 볼트(23)를 전진시켜 고정부재(30)의 고정부(33)가 개구부(1)에 걸려서 덮개(1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고, 이러한 작업을 개구부(1)의 외측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덮개(10)의 결합홈(11)에 반복적으로 실시함으로써 시공방법을 완료한다.(S30)
도 1은 종래의 개구부 덮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개구부 덮개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와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의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구부 10 : 덮개
11 : 결합홈 20 : 결합부
21 : 홈 21a : 기준홈
22 : 너트 22a : 방향표시부
23 : 볼트 30 : 고정부재
31 : 몸체 31a : 눈금표시부
31b : 기준돌기 31c : 고정표시부
32 : 고정너트 33 : 고정부
33a : 접힘부 50 : 개구부 덮개

Claims (11)

  1. 공사현장의 슬라브 등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를 덮기 위한 개구부 덮개에 있어서,
    내측으로 결합홈(11)을 형성한 덮개(10);
    상기 덮개(10)에 형성된 결합홈(11)에 배치되되 하측으로 기준홈(21a)을 포함하는 홈(21)을 형성한 너트(22)와 상기 너트(22)에 결합하는 볼트(23)로 이루어진 결합부(20);
    상기 결합부(20)의 너트(22) 하측에 형성된 홈(21)에 결합하되, 외측으로 상기 홈(21)에 형성된 기준홈(21a)과 대응하는 기준돌기(31b)를 포함하는 중공형태의 몸체(31)를 형성하고, 하측으로는 결합부(20)의 볼트(23)와 결합하는 고정너트(32)를 형성하며, 상기 몸체(31)와 고정너트(32) 사이에 형성된 고정부(33)로 구성된 고정부재(3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부 덮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의 너트(22)와 고정부재(30)의 몸체(31)는 억지끼워맞춤에 의해 결합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부 덮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0)의 너트(22)와 고정부재(30)는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부 덮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고정부(33)는 결합부(20)의 볼트(23)를 회전시킴에 따라 고정너트(32)가 상측으로 상승하면서 접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부 덮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22)의 외측으로는 돌출된 형태의 방향표시부(22a)를 더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부 덮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몸체(31) 외측에는 눈금표시부(31a)를 더 형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부 덮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몸체(31)에 형성한 눈금표시부(31a)는 1cm간격으로 표시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개구부 덮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29390A 2008-03-29 2008-03-29 개구부 덮개 KR10097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90A KR100977084B1 (ko) 2008-03-29 2008-03-29 개구부 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9390A KR100977084B1 (ko) 2008-03-29 2008-03-29 개구부 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966A KR20090103966A (ko) 2009-10-05
KR100977084B1 true KR100977084B1 (ko) 2010-08-23

Family

ID=41533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9390A KR100977084B1 (ko) 2008-03-29 2008-03-29 개구부 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0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03B1 (ko) * 2022-02-15 2022-07-11 주식회사 우보테크 부품 유닛 및 차체 조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22000040T5 (de) * 2022-02-15 2023-11-09 Woobo Tech Co., Ltd. Teilegruppe und Struktur für den Zusammenbau mit einer Fahrzeug-Karosseri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621A (ko) * 2003-11-17 2004-02-11 주마로 고압형 유체 정량공급밸브
KR200398872Y1 (ko) * 2005-07-27 2005-10-17 안영화 건축용 개구부 덮개 구조물
JP2007232156A (ja) * 2006-03-03 2007-09-13 Inax Corp 締結装置及び洋風水洗式便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2621A (ko) * 2003-11-17 2004-02-11 주마로 고압형 유체 정량공급밸브
KR200398872Y1 (ko) * 2005-07-27 2005-10-17 안영화 건축용 개구부 덮개 구조물
JP2007232156A (ja) * 2006-03-03 2007-09-13 Inax Corp 締結装置及び洋風水洗式便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9003B1 (ko) * 2022-02-15 2022-07-11 주식회사 우보테크 부품 유닛 및 차체 조립 구조
WO2023158025A1 (en) * 2022-02-15 2023-08-24 Woobo Tech Co., Ltd. Part unit and structure for assembling vehicle bod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966A (ko) 2009-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2316B2 (de) Anordnung zur befestigung einer ablagevorrichtung sowie ablagevorrichtung
US20060191150A1 (en) Templat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070041800A1 (en) Door lock installation kit
EP2848374B1 (en) T-Square
US9074377B2 (en) Tile installation guide and related method
KR100977084B1 (ko) 개구부 덮개
US20050011079A1 (en) Template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8404972B1 (en) Electrical device mounting boxes
US11759970B2 (en) Power tool attachment saw
JP6113875B2 (ja) 天端レベル管理具
CN207959648U (zh) 屋顶窗的安装框架及包括这种安装框架的成套部件
JPWO2019123909A1 (ja) 石膏ボード
KR101686187B1 (ko) 튜브 단부 절삭장치
US20070023427A1 (en) New construction box protector/locator
US8119911B1 (en) Cover plate for electrical enclosure box and associated method
IE20210167A2 (en) Electrical Back Box
KR20090059178A (ko) 바닥재 마감용 절단칼
CN211341194U (zh) 预埋装置和预制构件
KR200496642Y1 (ko) 플랫타이단부 절단구
DE102014106026B4 (de) Elektrische Installationsvorrichtung für wandbündigen Einbau
KR100888870B1 (ko) 천장형 에어컨의 설치 지그
JP7495166B2 (ja) 石膏ボード
JP6009400B2 (ja) 建具用孔あけアタッチメント
JP6709755B2 (ja) コア削孔用ガイド
DE102007059992A1 (de) Wannenunterbau mit Abdichtungsfol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