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551B1 -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551B1
KR100975551B1 KR1020080010946A KR20080010946A KR100975551B1 KR 100975551 B1 KR100975551 B1 KR 100975551B1 KR 1020080010946 A KR1020080010946 A KR 1020080010946A KR 20080010946 A KR20080010946 A KR 20080010946A KR 100975551 B1 KR100975551 B1 KR 100975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water film
tube
extinguishing
tarpau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5184A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8001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55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5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5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 A62C31/07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with two or more outlets for different media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7/00Special 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liquid-spraying apparatus for purposes covered by this subclass
    • A01M7/005Special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aying or distributing parts, e.g. adaptations or mounting of the spray booms, mounting of the nozzles, protection shie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0Spraying vehicles

Abstract

화재시 소화액과 물이 혼합된 방화수를 고압으로 원거리까지 방출하여 불을 끌 수 있는 방수포를 갖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방수포를 갖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는 액체가 저장된 액체탱크와,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 탱크의 하측에 상기 액체탱크와 소화액 탱크의 저부까지 연결된 제1튜브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회전지지대와;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액체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펌프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대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엔진 멤버와; 분무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筒) 형상으로 일측 내부에는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분무부의 내부 테두리에는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된 다수의 분무노즐들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액체의 수압 및 그 토출 속도에 의하여 상기 제1튜브를 통하여 상기 소화액 탱크의 소화액과 액체탱크의 액체를 혼합하여 방수구로 방출하는 방수포가 상기 분무부의 중심부에서 송풍구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무부가 상기 엔진 멤버에 결합되고, 상기 분무부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브래킷의 상부에서 양측의 하부로 신장된 수막재킷과, 일측으로 유입되는 액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수막노즐을 통해 상기 수막재킷으로 배출하는 수막튜브로 구성된 수막형성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10946
폼(foam), 방수포, 관창, 방제기, 폼 탱크, 화재진압,

Description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HIGH EFFICIENT SPRAYER HAVING WATER DISCHARGER COMBINED DRAINAGE EQUIPMENT}
본 발명은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성능 방제기에 화재시 소화액과 액체가 혼합된 방화수(foam firefighting water)를 고압으로 원거리까지 방출하여 불을 끌 수 있도록 하는 방수포(water discharger)를 갖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고성능 방제기(high efficient sprayer)라 함은 고압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농작물까지 농약살포작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높은 능률의 방제기를 의미한다. 메인 프레임에 분무기(噴霧器)의 본체와 약제통 등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약제통에 담겨진 액체 농약을 상기 분무기의 본체를 통해 원거리까지 분무하는 것이다. 이러한 고성능 방제기는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분무기의 본체에 구비된 엔진이 동력으로 약제를 살포하는 가반식(可搬式)과 차량의 동력으로 주행과 살포를 동시 또는 단독으로 실시하는 주행식(走行式)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고성능 방제기는 본원 출원인 "(주)한성티앤아이"에 의해 출원 되어 2004. 11. 18.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458938호 "농약 방제기"에 그 상세한 구성이 개시(開示)되어 있고, 본원 출원인의 홈페이지 "http://www.hstni.com"의 제품소개란에는 위 선등록특허의 제품이 모델명 HSU-1000, HSU-2000으로 게재되어 있고 그 성능 및 제원이 간략히 소개되어 있다.
위 선등록특허의 고성능 방제기는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되어 독립적으로 운전되는 엔진의 작동에 의해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되는 약제를 최대 120m까지 분사시켜 대단위 지역의 방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등록특허의 고성능 방제기는 약제, 즉, 해충을 박멸하기 위한 액체 농약을 원거리까지 분무하는 것으로 화재진압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우리나라의 농촌에는 아직까지도 소방서 및 소방파출소가 널리 설치되어 있지도 않고, 밭작물을 재배하는 지역이 주로 들과 산에 위치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밭에 근접한 산에서 산불이 발생시, 원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소방서로부터 화재진압차량이 이동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한 후 많은 시간이 지체된 이후에 화재진압차량이 도착하는 것이 빈번하여 대형화재의 발생이 빈번하였다.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살수노즐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가 본원출원인에 의해 출원되어 2005. 12. 12. 실용신안등록된 실용등록 제20-0404038호 "특장차의 유,무선 자동 제어장치"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위 선등록고안은 단순히 약액을 분사하는 분사체의 상단부에 살수노즐을 설치하고, 펌프로서 물탱크에 저장된 약액을 펌핑하여 상기 살수노즐을 통해 살수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가질 뿐, 화재 현장으로부터의 화염 및 복사열로 부터 살수노즐이 설치된 분사체의 본체를 보호하는 수막형성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대형 산불화재에 투입할 수 없었고, 대형화재 진압을 위한 소화액인 폼(foam)을 고압으로 방수할 수 없어 산불 등의 진압에 사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시 불을 소화(消火)하는 소화액과 물을 혼합하여 고압으로 원거리까지 방수(discharge) 할 수 구조를 갖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압으로 소화수와 소화액을 혼합하여 방수하며, 상기 소화액의 방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화염 및 복사열로부터 방제기 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방제기 본체에 수막(water trickle)을 형성하는 수막장치와 방수포를 가지고 화재진압을 위한 방화수 방출과 약액분사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체가 저장된 액체탱크와,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 탱크의 하측에 상기 액체탱크와 소화액 탱크의 저부까지 연결된 제1튜브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회전지지대와;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액체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펌프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대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엔진 멤버와; 분무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筒) 형상으로 일측 내부에는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분무부의 내부 테두리에는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된 다수의 분무노즐들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액체의 수압 및 그 토출 속도에 의하여 상기 제1튜브를 통하여 상기 소화액 탱크의 소화액과 액체탱크의 액체를 혼합하여 방수구로 방출하는 방수포가 상기 분무부의 중심부에서 송풍구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무부가 상기 엔진 멤버에 결합되고, 상기 분무부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브래킷(bracket)의 상부에서 양측의 하부로 신장된 수막재킷(water trickle jacket)과, 일측으로 유입되는 액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수막노즐을 통해 상기 수막재킷으로 배출하는 수막튜브(water trickle tube)로 구성된 수막형성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한다.
삭제
상기 방수포는 제1직경을 가지는 제1유입관과 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유입관이 각각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제1튜브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토출 압력 및 속도에 의해 제1튜브를 통해 상기 소화액을 펌핑하여 혼합하는 소화액 노즐 혼합기와, 일정 길이의 튜브로 형성되어 상기 소화액 노즐 혼합기(foam nozzle mixer)의 배출구에 연결된 방수관(discharge tube)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론 상기 송풍팬에는 분무부의 송풍구의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구측의 내부에는 방수포의 중심으로부터 직경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와 상기 원통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의 외주면과 상기 분무부의 내부면 사이에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공기 분할 조절기가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 및 상기 방수관의 제1유입구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를 상기 분무노즐과 상기 제1유입구 양측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튜브의 중간에는 배출량이 적어도 3단계로 조절되는 유량조절밸브를 접속하여 상기 펌프의 토출 압력에 따라 소화액의 배출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수막튜브의 사이에는 수막형성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막조절밸브를 연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소화액은 폼(foam) 소화약제를 함유하고 있는 수용액으로서 화재를 질식 소화할 수 있는 화학혼합물로서, 중탄산나트륨의 수용액과 알루미늄 수용액의 화학반응에 의하여 발생하는 탄산가스를 핵으로 하는 화학폼, 또는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생산되는 포원액에 일정 비율의 물을 기계적으로 섞어서 만들어진 기계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는 첫째, 액체탱크에 농약제를 저장한 경우 상기 약제를 고압으로 원거리까지 분사할 수 있고, 둘째 액체탱크에 물을 저장한 경우 소화액과 혼합된 방화수를 원거리까지 방수하여 고압 살수 할 수 있어 산불 등의 화재진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의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이미 당해 기술 분야에서 주지된 고성능 방제기의 일반적인 기술적 구성까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앞서 기술한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허여된 농약 방제기의 일반적인 기술적 구성은 등록특허 제10-0458938호 "농약 방제기"의 구성을 참조하기 바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화재진압을 위한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10)의 측면 구성도로서, 이는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하여 분무기의 본체에 구비된 엔진이 동력으로 약제를 살포하는 가반식(可搬式)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무부의 단면도와 방수포에 공급되는 액체들의 이송 계통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무부의 정면도로서, 이는 분무부의 상단에 설치된 수막장치, 분무부의 전면개구부에 설치된 공기분할기 및 상기 전면개구부에 설치된 다수의 분무노즐을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수포의 폼 노즐 믹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서, 참조부호 20은 메인 프레임으로, 상기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10)의 전체를 지면 또는 차체의 적재함에 지지는 프레임이다.
상기 메인 프레임(20)의 상부의 일측에는 액체, 예를 들면, 물 또는 농약제등을 저장하는 액체탱크(22)가 설치되어 있고, 그 대향면측에는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 탱크(26)가 내부에 설치된 하부 하우징(24)이 설치되며, 상기 액제탱크(22)와 하부하우징(24)의 사이에는 방제기 본체(30)를 지지하는 회전 지지대(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화액 탱크(26)에는 일측이 상기 소화액 탱크(26)의 저부까지 연결된 제1튜브, 예를 들면, 소화액 이송튜브(20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전 지지대(40)의 상부에는 방제기 본체(30)가 좌우회전되며, 상하로 일정한 각도 움직일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회전 지지대(40)와 방제기 본체(30)간의 결합은 앞서 기술한 선등록특허의 기술적 구성을 참고하기 바란다.
상기 회전 지지대(40)의 상부에 결합된 방제기 본체(30)는 동력을 발생하는 도 2의 엔진(52)과, 상기 엔진(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액체탱크(22)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펌프(54)가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 지지판(4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엔진 멤버(engine member)(50)와; 상기 엔진 멤버(50)에 결합된 분무부(6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분무부(6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筒) 형상을 갖는 분무하우징(62)의 일측에는 상기 엔진(52)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64)이 설치되고, 상기 분무하우징(62)의 타측 송풍구의 테두리에는 상기 펌프(54)의 토출구에 연결된 액체 이송관(102)에 연결된 액체유량조절밸브(RVV)의 제1배출관(106)이 타측이 다수의 분무노즐(68)들에 연결 설치된다. 또한, 상기 펌프(54)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의 수압 및 그 토출 속도에 의하여 상기 소화액 이송튜브(200)에 연결된 유량조절밸브(FVV)의 타측을 펌핑 혼합하여 방수구(92)로 방출하는 방수포(90)가 관창 브래킷(FT)에 의하여 상기 분무하우징(62)의 중심부에서 송풍구의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무하우징(62)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브래킷(76)가 설치되고, 상기 브래킷(76)의 상부에는 분무 하우징(62)의 상부 양측의 하부로 신장된 수막재킷(78)이 설치되며, 상기 수막재킷(78)의 상부에는 인정한 간격으로 수막노즐(72)이 설치된 수막튜브(74)가 설치되어 구성된 수막형성장치(7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수막형성장치(70)는 수막튜브(74)의 일측으로 유입되는 액체, 예컨대, 유입되는 물을 상기 수막노즐(72)을 통해 상기 수막재킷(78)의 상부로 배출함으로써 화재진압 시, 화재 현장의 화염 및 그 복사열로부터 분무부(60) 및 방제기 본체(30)를 보호한다.
상기 수막튜브(74)의 일측과 상기 펌프(54)의 토출구는 수막조절밸브(CWV)를 게재하는 액체이송튜브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펌프(54)의 토출구와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68) 및 상기 방수관(90)의 제1유입구(92A)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를 상기 분무노즐(68)과 상기 제1유입구(92A)에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2배출관(106)(104)의 양측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액체유량조절밸브(RVV)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화액 탱크(26)에 일측이 연결된 소화액 이송튜브(200)의 타측에는 3단계로 조절되는 유량조절밸브(FVV)의 일측이 연결되며, 상기 유량조절밸브(FVV)의 타측은 상기 방수포(90)의 제2유입구(92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무 하우징(62)내에 설치된 방수포(9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직경을 가지는 제1유입구(92A)와 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유입구(92B)가 각각 상기 펌프(54)의 토출구와 상기 제1튜브, 즉, 소화액 이송관(200)에 연결된 유량조절밸브(FVV)의 타측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유입구(92A)와 제2유입구(92B)는 하나의 배출구(방수구)(92E)를 가지는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방수포(90)의 제1유입구(92A)로 강력한 송출압력과 이송속도를 가지는 액체가 유입되어 배출구로 방출되는 경우, 상기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는 제1유입구(92A)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제2유입구(92C)를 상기 송출압력과 이송속도에 대응하는 압력으로 펌핑하게 됨으로써 소화액 탱크(26)에 저장된 소화액이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의 내부에서 혼합되어 배출구로 방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펌프(54)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액체 탱크(22)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하여 이송하는 경우 상기 방수포(90)에서 방출되는 압력은 35kg/㎠의 압력이 되도록 하였고, 상기 유량조절밸브(FVV)의 3단계 조절에 의하여 상기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에서의 액체 대 소화액의 혼합비는 약 99 : 1, 98: 2, 97 : 3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분무 하우징(62)의 내부의 일측에 설치된 송풍팬(64)에는 분무부(60)의 송풍구의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65)가 설치되며, 상기 분무 하우징(62)의 송풍구측의 내부에는 방수포(90)의 중심으로부터 직경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80)와 상기 원통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80)의 외주면과 상기 분무 하우징(62)의 내부면 사이에 일정한 등간격으로 배열된 플레이트(82)로 구성된 공기 분할 조절기(8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무 하우징(62)의 송풍기(64)에 형성된 원뿔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65)는 분무 하우징(62)의 중앙부의 풍속을 증가시키고, 방수포(90)의 종단부분에 형성된 원통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80) 및 플레이트(82)로 구성된 공기 분할 조절기(84)는 분무 하우징(62)의 내부의 배출 풍속을 적절하게 분할함으로써 분무노줄(68)과 방수포(90)에 의해 분무되거나 방출되는 액체를 양호한 효율로 원거리로 이송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유량조절배브(FVV)와 수막조절밸브(CWV)가 적절한 배출량으로 개방되고, 액체유량조절밸브(RVV)가 양측(both), 즉, 액체이송관(102)을 제2배출관(104)과 제1배출관(106)의 양측에 연결하거나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의 배출관, 예를 들면, 방수포(90)의 제1유입구(92A)에 연결된 제1배출관(106)에 연결한 상태에서 엔진(52)이 작동되면, 분무 하우징(62)에 설치된 송풍팬(63)이 회전하여 강력한 바람을 송풍구로 배출한다.
또한, 상기 엔진(52)의 작동에 따라 펌프(54)가 작동하여 액체 라인(100)을 통해 액체 탱크(22)에 저장된 액체, 예를 들면, 물을 펌핑하여 액체 이송관(102)으로 물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 펌프(54)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액체 이송관(102)으로 이송되는 액체의 토출압력은 35kg/㎠ 정도이다.
상기 액체 이송관(102)으로 이송되는 액체는 상기 액체 이송관(102)의 직경보다 매우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 수막용 이송관에 연결된 수막조절밸브(CVW)를 통해 분무 하우징(62)의 상단에 설치된 수막튜브(74)로 공급한다. 이와같은 동작에 의하여 상기 분무 하우징(62)의 상단의 양측에 덮어진 수막재킷(78)으로는 물이 배출되어 수막을 형성한다. 상기 형성된 수막은 방제기 본체(30)를 화재현장에 가져가 화재를 진압 시, 화재현장의 복사열 및 화염을 차단 화점근거리에 접근 소화작업을 할 수 있도록 도모한다.
한편, 상기 액체유량조절밸브(RVV)와 제1배출관(106)에 제1유입구(92A)가 연결된 방수포(90)는 강력한 압력으로 유입되는 액체를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를 통해 방수구로 배출한다. 상기 방수포(90)의 방수구로 배출되는 액체는 펌프(54)의 토출압력과 송풍팬(64)의 송풍력에 의해여 원거리, 예를 들면, 40m 정도까지 분사된다.
상기 방수포(90)의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의 강력한 액체의 배출에 의해 제2유입구(92B)에 연결된 소화액 이송튜브(200)상의 소화액이 펌핑되어 상기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의 내부에서 혼합되어 폼(foam) 발생이 이루어져 원거리까지 방출된다. 이때, 상기 소화액 노즐 혼합기(92C)에서 혼합되는 소화액의 혼합율을 유량조절밸브(FVV)의 배출량조절에 따라 변화하는데, 본 발명은 액체와 소화액의 혼합비가 약 99 : 1, 98: 2, 97 : 3이 되도록 유량조절밸브(FVV)의 배출량을 설정하였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농약을 펌프와 송풍팬에 의해 원거리까지 분무하는 고성능 방제기에 방수포를 설치하고, 상기 방수포로 펌프에서 강력하게 토출되는 액체와 소화액을 혼합하여 화재가 발생된 원거리까지 용이하게 방출함으로써 소방서까지의 거리가 먼 농어촌에서의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화재진압을 위한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의 측면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무부의 단면도와 방수포에 공급되는 액체들의 이송 계통을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분무부의 정면도로서, 이는 분무부의 상단에 설치된 수막장치, 분무부의 전면개구부에 설치된 공기분할기 및 상기 전면개구부에 설치된 다수의 분무노즐을 보인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방수포의 폼 노즐 믹서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수포를 갖는 고성능 방제기 20 : 메인 프레임,
22 : 액체탱크, 24 : 하부 하우징,
26 : 소화액 탱크(폼 탱크), 30 : 방제기 본체,
40 : 회전지지대, 50 : 엔진 멤버,
60 : 분무부, 62 : 분무하우징,
64 : 송풍팬, 65 : 공기흐름 조절체,
66 : 노즐 브래킷, 68 : 분무노즐,
70 : 수막형성장치, 72 : 수막노즐,
74 : 수막튜브, 76 : 브래킷,
80 : 공기 흐름 조절체, 82 : 분할 플레이트,
84 : 공기 분할 조절기, 90 : 방수포,
92 : 폼 노즐 믹서, 92C : 혼합실,

Claims (7)

  1. 삭제
  2. 액체가 저장된 액체탱크와, 소화액이 저장된 소화액 탱크의 하측에 상기 액체탱크와 소화액 탱크의 저부까지 연결된 제1튜브가 설치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회전지지대와; 동력을 발생하는 엔진과, 상기 엔진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액체탱크에 저장된 액체를 펌핑하여 고압으로 토출하는 펌프가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지지대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엔진 멤버와;
    분무부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원통(筒) 형상으로 일측 내부에는 상기 엔진의 회전축에 연결된 송풍팬이 설치되고, 상기 분무부의 내부 테두리에는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된 다수의 분무노즐들이 설치되며, 상기 펌프의 토출구에 연결되어 공급되는 액체의 수압 및 그 토출 속도에 의하여 상기 제1튜브를 통하여 상기 소화액 탱크의 소화액과 액체탱크의 액체를 혼합하여 방수구로 방출하는 방수포가 상기 분무부의 중심부에서 송풍구의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분무부가 상기 엔진 멤버에 결합되고,
    상기 분무부의 상단부에는 일정한 높이를 갖는 브래킷의 상부에서 양측의 하부로 신장된 수막재킷과, 일측으로 유입되는 액체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수막노즐을 통해 상기 수막재킷으로 배출하는 수막튜브로 구성된 수막형성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포는 제1직경을 가지는 제1유입관과 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유입관이 각각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제1튜브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의 토출 압력 및 속도에 의해 제1튜브를 통해 상기 소화액을 펌핑하여 혼합하는 소화액 노즐 혼합기와, 일정한 길이의 튜브로 형성되어 상기 소화액 노즐 혼합기의 배출구에 연결된 방수관으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팬에는 분무부의 송풍구의 방향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원뿔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가 설치되며, 상기 송풍구측의 내부에는 방수포의 중심으로부터 직경이 커지는 원통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와 상기 원통형상의 공기 흐름 조정체의 외주면과 상기 분무부의 내부면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열된 플레이트로 구성된 공기 분할 조절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다수의 분무노즐 및 상기 방수관의 제1유입구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액체를 상기 분무노즐과 상기 제1유입구 양측 또는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의 토출구와 상기 수막튜브의 사이에는 수막형성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막조절밸브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의 중간에는 배출량이 적어도 3단계로 조절되는 유량조절밸브를 접속하여 상기 펌프의 토출 압력에 따라 소화액의 배출량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KR1020080010946A 2008-02-04 2008-02-04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KR100975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46A KR100975551B1 (ko) 2008-02-04 2008-02-04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946A KR100975551B1 (ko) 2008-02-04 2008-02-04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184A KR20090085184A (ko) 2009-08-07
KR100975551B1 true KR100975551B1 (ko) 2010-08-13

Family

ID=41205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946A KR100975551B1 (ko) 2008-02-04 2008-02-04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5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27B1 (ko) * 2004-05-04 2005-01-13 세원엔지니어링 (주) 배연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4827B1 (ko) * 2004-05-04 2005-01-13 세원엔지니어링 (주) 배연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5184A (ko) 2009-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14947C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high volumes of foam
CN106111390B (zh) 一种高压雾炮机
EP3590580B1 (en) Foam production method, fire extinguishing method, and foam extinguishing appliance
KR101047392B1 (ko) 방제기
RU2008119366A (ru) Способ и вертоле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мбинированного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лесных массивов и промышленных объектов (варианты)
US10232203B2 (en) Bucket supported polymer gel emulsion preparation system
US2010025228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mbating Fires
CN203154684U (zh) 消防车用压缩气体泡沫灭火系统
US6237859B1 (en) Fluid injection spray system for a wind machine
CN105999597B (zh) 一种多功能消防车
US7104334B2 (en) Deployable automatic foaming fire protection system
KR100975551B1 (ko) 방수포를 가지는 고성능 방제기 겸용 방수장치
CN101850165A (zh) 多功能射流风力灭火机
KR200429026Y1 (ko) 소독 방역 특장차량
CN206837269U (zh) 一种仓库内自动消防装置
US5337830A (en) Fire fighting foam generation system
KR100516474B1 (ko) 소화용 물안개분사장치 및 이를 탑재한 소방차량
CN204043485U (zh) 涡喷防暴车
CN214801918U (zh) 一种园林护养专用的喷雾器
CN103599859B (zh) 螺旋喷水管装置
CN2219162Y (zh) 射流喷水机
JP2000117161A (ja) 小形発泡散布装置
CN207640869U (zh) 一种高效环保消防设备
KR102089670B1 (ko) 멀티형 영농 살포기
CN210096729U (zh) 高空飞行消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