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394B1 -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394B1
KR100975394B1 KR1020100048702A KR20100048702A KR100975394B1 KR 100975394 B1 KR100975394 B1 KR 100975394B1 KR 1020100048702 A KR1020100048702 A KR 1020100048702A KR 20100048702 A KR20100048702 A KR 20100048702A KR 100975394 B1 KR100975394 B1 KR 100975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ater
filter
roller
adsorption clo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87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장원
조현서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엔지앤이
(주)해양연구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엔지앤이, (주)해양연구개발 filed Critical (주)에이치엔지앤이
Priority to KR10201000487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04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 B01D24/06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clamped between pervious fixed walls the pervious walls comprising a series of louvres or sl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translationally moving filtering elements, e.g. pist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용 부직포와 흡착포 및 에어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수중 준설물에 포함된 물을 효율적으로 탈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침전물 인입구 하단에 설치되며 자체 회전에 의해서 필터용 부직포를 유동시키는 부직포 구동용 롤러와; 부직포 구동용 롤러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 및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 사이에 설치되어 연속 회전하며서 침전물을 이송시키는 필터용 부직포와; 가이드용 롤러의 출력측 끝단부에 설치되며 필터용 부직포의 저면에 접면된 상태로 흡착포를 회동시키는 흡착포 구동용 롤러 및 아이들 롤러와; 상기 흡착포 구동용 롤러와 아이들 롤러 사이를 연속 회전하며 필터용 부직포의 저면에 접촉하여 필터용 부직포에 존재하는 물을 강제로 흡착시키는 흡착포와; 상기 흡착포의 회전 영역의 일단에 설치되며 2개 1조의 한쌍으로 밀착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흡착포를 압착함으로서 흡착포에 뭍어 있는 물을 강제로 배출시키는 흡착포 탈수용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An Apparatus for Dehydration of Dredge up Mud and Dehydration Method}
본 발명은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용 부직포와 흡착포 및 에어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수중 준설물에 포함된 물을 효율적으로 탈수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의 하구역, 폐쇄적인 해역, 양식어장, 항만권 등의 해저면과 하천 및 호수, 저수지 등의 바닥에는 다양한 종류의 퇴적물 및 오니가 존재한다. 이러한 퇴적물 및 각종 오니는 수질오염을 가속화 시키고 생태환경을 파괴하는 하나의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퇴적물 및 오니를 준설선을 이용하여 준설함으로 제거할 수 있는데 상기 준설선은 준설할 수역의 깊이와 바닥의 토질의 종류, 준설된 물질의 운반거리 등에 따라 각각 적당한 설비와 장비를 탑재하여, 해역, 강, 운하, 항만, 항로의 깊이를 깊게 하기 위한 준설작업을 하며, 물 밑의 슬러지를 포함하는 흙, 모래, 광물 등을 채취하는 작업, 수중구조물 축조의 기초공사, 해저 폐기물을 끌어올려 제거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하지만 현재 사용되는 준설 방법으로는 준설된 퇴적물 및 오니와 물을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하거나 분리한다 하더라도 분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효과적으로 분리하지 못한 물이 다시 해양이나 하천 및 호소로 흘러 들었을 때 2차적인 오염이 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퇴적물 및 오니를 효과적으로 탈수 시키기 위하여 탈수장치를 설치할 경우에는, 대형 정수장이나 하수종말 처리장등과 같은 대형설비를 갖추게 되어야 함으로써, 이에 대한 막대한 설치 및 운영비를 필요로하게 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준설물을 외부로 배출시에 필터용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로 탈수하고, 흡착포를 이용하여 2차 탈수하며, 에어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필터용 부직포의 이물질을 제거토록하여 준설물의 탈수 속도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필터용 부직포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물과 이물질이 포함된 침전물이 침전물 인입구를 통해 낙하는 단계(S10)와; 부직포 구동용 롤러를 회동시켜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와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가 구동되어 필터용 부직포가 연속회전하는 단계(S20)와; 침전물이 제 1 가이드용 롤러에 안착된 필터용 부직포를 타고 이동하면서 침전물에 포함된 물이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낙하하는 단계(S30)와; 흡착포 구동 롤러를 회동시켜 필터용 부직포의 저면에 흡착포가 접면되어 물을 흡수하면서 회동하는 단계(S40)와; 필터용 부직포와 흡착포가 접면된 상태로 제 2 가이드용 롤러를 타고 계속 이동하는 단계(S50)와; 흡착포가 한쌍의 흡착포 탈수용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압착되면서 물이 분리되는 단계(S60)와; 에어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필터용 부직포의 표면에 뭍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S70)와; 여과수 모임통 및 여과수 방류구를 이용하여 부직포 및 흡착포를 통해 배출된 물을 임시 저장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80)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시에 필터용 부직포를 이용하여 1차로 탈수하고, 흡착포를 이용하여 2차 탈수하며, 에어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필터용 부직포의 이물질을 제거토록하여 침전물의 탈수 속도를 극대화시킴은 물론 필터용 부직포의 이물질을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침전물 탈수장치 구성도 및 세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 침전물 탈수장치 가로방향 수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중 침전물의 탈수방법 플로우챠트.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중 침전물 탈수장치 구성도 및 세로방향 수직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중 침전물 탈수장치 가로방향 수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수중 침전물의 탈수방법 플로우챠트로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는 크게 침전물 인입구(10)와,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와,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40)와, 필터용 부직포(50)와, 제 1 가이드용 롤러부(60)와, 흡착포(70)와, 흡착포 구동용 롤러(80)와, 흡착포 아이들 롤러(90)와, 흡착포 탈수용 롤러(100)와, 제 2 가이드용 롤러부(110)와, 이물질 제거용 에어분사장치(120)와, 여과수 모임통(130)과, 여과수 방류구(140)로 이루어진다.
침전물 인입구(10)는 호퍼 형태로 이루어지며 물과 이물질들이 섞인 상태로 낙하된다.
부직포 구동용 롤러(20)는 침전물 인입구(10) 하단에 설치되며 자체 회전에 의해서 필터용 부직포를 유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는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별도의 동력장치 없이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의 유동에 따라 움직이는 수동소자이다.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40)는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의 하단에 예각으로 경사진 지점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의 유동에 따라 움직인다.
필터용 부직포(50)는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 및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40) 사이에 설치되어 연속 회전하며서 침전물을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 1 가이드용 롤러부(60)는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 사이에 설치되며 유(U)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에 필터용 부직포(50)가 설치되어 침전물을 담아서 이동시킨다.
흡착포 구동용 롤러(80)는 가이드용 롤러의 출력측 끝단부에 설치되며 필터용 부직포(50)의 저면에 접면된 상태로 흡착포(70)를 회동시킨다.
흡착포(70)는 흡착포 구동용 롤러(80)와 흡착포 아이들 롤러(90) 사이를 연속 회전하며 필터용 부직포(50)의 저면에 접촉하여 필터용 부직포에 존재하는 물을 강제로 흡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흡착포 탈수용 롤러(100)는 흡착포(70)의 회전 영역의 일단에 설치되며 2개 1조의 한쌍으로 밀착 결합된 상태로 이루어져 흡착포(70)를 압착함으로서 흡착포(70)에 뭍어 있는 물을 강제로 배출시킨다.
제 2 가이드용 롤러부(110)는 제 1 가이드용 롤러부(60)의 출력측에 설치하되 흡착포(70)의 하단에 설치하며 수평한 일자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어 필터용 부직포(50)가 흡착포(70)에 접면되면서 펼쳐져서 유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물질 제거용 에어분사장치(120)는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와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40) 사이의 필터용 부직포(50) 인접영역에 설치되어 필터용 부직포(50)에 에어를 분사시켜 필터용 부직포(50)의 표면에 뭍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내는 역할을 한다.
여과수 모임통(130)은 부직포 구동용 롤러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 사이의 하단부에 위치되어 부직포 및 흡착포를 통해 배출된 물을 받아서 배출구로 유도하는 수단이다.
여과수 방류구(140)는 여과수 모임통에 의해서 모아지는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수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과 골재가 포함된 침전물이 침전물 인입구(10)를 통해 낙하한다.
이후, 부직포 구동용 롤러(20)를 회동시켜 필터용 부직포(50)를 연속회전시킨다.
그러면, 침전물은 필터용 부직포(50)를 통해 연속적으로 움직이며 이때 필터용 부직포(50)의 필터작용에 의해서 물이 하강한다.
이때,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와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40)가 구동되어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에 의해서 필터용 부직포(50)가 연속회전하게 되며 침전물은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 사이 구간에서 물이 아래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 사이에 제 1 가이드용 롤러부(60)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제 1 가이드용 롤러부(60)는 유자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물이 옆으로 빠져 나가지 않고 오로지 아래로만 낙하할 수 있다.
만약에 유자 형태의 가이드용 롤러부를 적용하지 않으면 필터용 부직포(50)를 타고 침전물이 운반되는 도중에 골재나 필터용 부직포(50)의 측면으로 빠져나갈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유자 형태의 제 1 가이드용 롤러부(60)를 타고 필터용 부직포(50)가 회전하기 때문에 측면으로 골재나 물이 빠져 나가지 않고, 특히 물은 부직포의 아래 방향으로만 낙하하게 된다.
이후, 침전물이 계속이동하여 흡착포 위치 지점에 도달하면 제 2 가이드용 롤러부(110)를 타고 계속해서 이동하는바, 어느정도 물이 빠진 상태이며, 필터용 부직포(50) 상부에 남아 있는 물은 잘 빠지지 않으므로 흡착포를 접면시켜 강제로 흡착포를 통해 제거되도록 한다.
이때, 흡착포 구동용 롤러(80)는 제 1 가이드용 롤러부(60)의 출력측 끝단부에 설치되며 필터용 부직포(50)의 저면에 접면된 상태로 흡착포(70)를 회동시키도록 동작한다.
그리고, 흡착포(70)에 흡수된 물을 제거해야 하는바, 본 발명에서는 흡착포 탈수용 롤러(100)를 구동하여 상기 흡착포(70)가 한쌍의 흡착포 탈수용 롤러(100)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압착되면서 물이 분리된다.
그리고, 필터용 부직포(50)에는 물이 제거된 이물질이 남아 있기 때문에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와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40) 사이의 필터용 부직포(50) 인접영역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용 에어 분사장치(120)를 이용하여 필터용 부직포(50)의 표면에 뭍어 있는 이물질을 털어낸다.
한편, 부직포 구동용 롤러(20)와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30) 사이의 하단부에 여과수 모임통(130)이 배치되어 있어 필터용 부직포(50) 및 흡착포(70)를 통해 배출된 물을 임시 저장하며, 이후 여과수 방류구(140)를 통해 물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의 동작을 플로우챠트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물과 이물질이 포함된 침전물이 침전물 인입구를 통해 낙하는 단계(S10)와;
부직포 구동용 롤러를 회동시켜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와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가 구동되어 필터용 부직포가 연속회전하는 단계(S20)와;
침전물이 제 1 가이드용 롤러에 안착된 필터용 부직포를 타고 이동하면서 침전물에 포함된 물이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낙하하는 단계(S30)와;
흡착포 구동 롤러를 회동시켜 필터용 부직포의 저면에 흡착포가 접면되어 물을 흡수하면서 회동하는 단계(S40)와;
필터용 부직포와 흡착포가 접면된 상태로 제 2 가이드용 롤러를 타고 계속 이동하는 단계(S50)와;
흡착포가 한쌍의 흡착포 탈수용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압착되면서 물이 분리되는 단계(S60)와;
에어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필터용 부직포의 표면에 뭍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S70)와;
여과수 모임통 및 여과수 방류구를 이용하여 부직포 및 흡착포를 통해 배출된 물을 임시 저장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80)로 이루어진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에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의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침전물 인입구
20: 부직포 구동용 롤러
30: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
40: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
50: 필터용 부직포
60: 제 1 가이드용 롤러부
70: 흡착포
80: 흡착포 구동용 롤러
90: 흡착포 아이들 롤러
100: 흡착포 탈수용 롤러
110: 제 2 가이드용 롤러부
120: 이물질 제거용 에어분사장치
130: 여과수 모임통
140: 여과수 방류구

Claims (2)

  1. 삭제
  2. 물과 이물질이 포함된 침전물이 침전물 인입구를 통해 낙하는 단계(S10)와;
    부직포 구동용 롤러를 회동시켜 제 1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와 제 2 부직포 구동용 아이들 롤러가 구동되어 필터용 부직포가 연속회전하는 단계(S20)와;
    침전물이 제 1 가이드용 롤러에 안착된 필터용 부직포를 타고 이동하면서 침전물에 포함된 물이 중력작용에 의해서 아래로 낙하하는 단계(S30)와;
    흡착포 구동 롤러를 회동시켜 필터용 부직포의 저면에 흡착포가 접면되어 물을 흡수하면서 회동하는 단계(S40)와;
    필터용 부직포와 흡착포가 접면된 상태로 제 2 가이드용 롤러를 타고 계속 이동하는 단계(S50)와;
    흡착포가 한쌍의 흡착포 탈수용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자동으로 압착되면서 물이 분리되는 단계(S60)와;
    에어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필터용 부직포의 표면에 뭍어 있는 이물질을 분리하는 단계(S70)와;
    여과수 모임통 및 여과수 방류구를 이용하여 부직포 및 흡착포를 통해 배출된 물을 임시 저장후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S8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KR1020100048702A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KR100975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02A KR100975394B1 (ko)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8702A KR100975394B1 (ko)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394B1 true KR100975394B1 (ko) 2010-08-11

Family

ID=4275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8702A KR100975394B1 (ko) 2010-05-25 2010-05-25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3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93A (ja) * 1992-05-27 1994-03-15 Ebara Infilco Co Ltd 含水物の脱水処理装置
JP2008023551A (ja) * 2006-07-20 2008-02-0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ベルトプレス式脱水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1493A (ja) * 1992-05-27 1994-03-15 Ebara Infilco Co Ltd 含水物の脱水処理装置
JP2008023551A (ja) * 2006-07-20 2008-02-07 Hitachi Plant Technologies Ltd ベルトプレス式脱水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3415B1 (ko) 빗물정화장치
KR100629151B1 (ko) 초기우수 다중여과시설
KR20140036875A (ko) 수면의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장치 및 부유물 제거방법
CN102644302A (zh) 一种河道、湖泊淤泥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0767754B1 (ko) 정화시설 내부 저장수를 이용하여 물청소하는 오염수다중정화시설 및 오염수 정화방법
JP2009000638A (ja) 濁水の浄化方法
JP2007146425A (ja) 湖沼水の浚渫方法及び浚渫システム
CN102240473A (zh) 一种垃圾分离装置
KR100975394B1 (ko)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되는 준설퇴적물의 수분을 여과 및 흡착식으로 탈수하는 방법
KR101060739B1 (ko) 수질정화 및 슬러지 탈수를 위한 수처리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20120105770A (ko)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 여과장치
KR101006745B1 (ko)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배출되는 배출수의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여과장치 및 방법
RU2605983C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поверхностного стока
CN101210421B (zh) 漂浮式水库疏浚方法
CN113371961A (zh) 一种自适应悬浮物浓度的高密滤袋应急脱水系统
KR100976254B1 (ko) 어장정화, 항로준설 및 다양한 준설사업 중 발생 되는 준설퇴적물에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탈수장치 및 방법
KR101297660B1 (ko) 수중 오염물질 포장 정화 방법
KR100828162B1 (ko) 준설토사 탈수처리장치
KR20130036975A (ko) 슬러지의 수분 및 녹조와 부유물 처리장치 그리고 이를 이용한 슬러지 수분 및 녹조와 부유물 처리방법
KR20150136737A (ko) 점 오염원과 비점오염원에서 하천으로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들과 하천수를 깨끗하게 정화시켜 주는 자연친화적인 친환경 공법에 적용되는 하천수 정화시스템
CN214734869U (zh) 一种高寒高海拔地区隧道施工用废水处理系统
CN109133521A (zh) 一种生活污水处理系统
RU2570460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донных отложений водоемов от нефти и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2160058B1 (ko) 수저면 오염퇴적물 정화시스템
KR102356194B1 (ko) 관로형 스크린부를 장착한 빗물침투형 저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