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889B1 -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889B1
KR100974889B1 KR1020080074060A KR20080074060A KR100974889B1 KR 100974889 B1 KR100974889 B1 KR 100974889B1 KR 1020080074060 A KR1020080074060 A KR 1020080074060A KR 20080074060 A KR20080074060 A KR 20080074060A KR 100974889 B1 KR100974889 B1 KR 10097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value
storage device
data storage
sense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4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579A (ko
Inventor
박영미
이상이
박대선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74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889B1/ko
Priority to US12/410,812 priority patent/US20100031368A1/en
Publication of KR2010001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4Protection against unauthorised use of memory or access to memo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6Secure or tamper-resistant hous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2/00Accessing, addressing or allocating within memory systems or architectures
    • G06F12/16Protection against loss of memory cont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50Monitoring users, programs or devices to maintain the integrity of platforms, e.g. of processors, firmware or operating systems
    • G06F21/55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 G06F21/554Detecting local intrusion or implementing counter-measures involving event detection and direct a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78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to assure secure storage of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06K19/073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detecting tampering with the circuit
    • G06K19/07381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by detecting tampering with the circuit with deactivation or otherwise incapacitation of at least a part of the circuit upon detected tamper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28Indicating or preventing prior or unauthorised use, e.g. cassettes with sealing or locking means, write-protect devices for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 G11B20/0069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said measures preventing that data are read from the recording medium

Abstract

본 발명은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탬퍼 검출 방법은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압력값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초기 구동 시점에 센싱된 초기 압력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감소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 횟수에 따라 변화하는 임계압력값을 비교하여 악의적 탬퍼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데이터, 메모리, 탬퍼

Description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Method for tamper-detection and Data storage apparatus using the same method}
본 발명은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악의적인 탬퍼 여부를 좀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저장기술의 발달에 따라 경량 메모리를 이용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가 발전되었다. 특히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백업 데이터용 저장 장치뿐만 아니라, 중요한 데이터나 시스템의 중요한 알고리듬 등을 저장하고, 필요에 따라 메모리에서 알고리듬을 로딩하는 형식으로 사용하여 시스템의 보안을 유지하는 방법에도 데이터 저장 장치가 사용되어졌다.
특히, 중요 정보를 저장하거나, 시스템의 중요 알고리듬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는 외부의 공격 등에 대하여 보안을 유지해야할 필요성이 대단히 크게 요청되었다.
도 1은 데이터 저장 장치에 이용되는 종래 탬퍼 검출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데이터 저장 장치(101)는 저장 용량 및 그 용도에 따라 여러 가지 크기가 있으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와 같은 프로그램 가능한 프로세서에 적용되는 알고리듬 등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데이터를 저장하는USB 저장 장치나 PCMCIA 저장 장치일 수 도 있으나, 어느 경우라도 보안의 유지가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 저장 장치의 보안을 위해, 전원이 차단되면 데이터를 자동으로 삭제하거나 상기 저장 장치의 내부에 압력 센서 등을 구비하여 압력의 변화를 감지한 경우에 데이터를 삭제하는 탬퍼 검출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상기 저장 장치의 외부를 감싸는 하우징은 대부분이 휨 특성을 갖는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있고,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압력(103)에 의해 하우징의 강도가 저하되는 피로 현상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에 가해지는 압력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센서의 센싱 값이 초기 센싱 값에 비하여 작아지게 되고, 이러한 경우에 악의적인 탬퍼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데이터를 삭제하는 오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악의적인 탬퍼에 의한 압력 변화인지 하우징의 피로도에 의한 압력 변화인지를 좀더 정확히 판단하여 악의적인 탬퍼의 경우에만 데이터 삭제를 수행하는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의 피로도로 인하여 하중 횟수의 증가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압력 센서의 센싱값을 모델링함으로써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의 감소가 악의적인 탬퍼에 의한 것인지 하우징의 피로도에 의한 것인지를 좀더 정확하게 판단하고 악의적 탬퍼의 경우에만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하는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센싱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압력값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초기 구동 시점에 센싱된 초기 압력값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감소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 횟수에 따라 변화하는 임계압력값을 비교하여 악의적 탬퍼를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탬퍼 검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악의적 탬퍼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상기 하우징의 피로도에 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임계압력값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싸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물질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하중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압력 센서의 센싱값을 하중 횟수에 따라 모델링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하중 횟수를 1씩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횟수가 사전설정된 탬퍼탐지횟수 이상인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사전설정된 탬퍼탐지값과 소정의 오차범위내인 경우에는 상기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을 참조하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하우징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센싱된 압력값과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하중 횟수에 따라 변화하는 임계압력값을 비교하여 악의적인 탬퍼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초기 구동 시점과 상기 압력값을 센싱하는 시점을 측정하는 RTC(Real Time Clock)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어부는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구동 시점에 센싱된 초기 압력값 보다 감소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감소된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악의적 탬퍼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감소된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상기 하우징의 피로도에 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탬퍼 검출 방법에 따르면, 악의적인 탬퍼에 의한 압력 변화와 하우징의 피로도에 의한 압력 변화를 좀더 정확히 구분할 수 있으므로, 악의적인 탬퍼가 발생한 경우에만 데이터 저장 장치내의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함으로써 좀더 안정적인 데이터 보호가 가능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데이터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 전원공급부(220), 압력센서(230), RTC(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하며, 이들 구성요소들은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여 보호된다. 하우징에는 일반적으로 강도와 경량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하여 휨 특성이 있는 금속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전원이 차단되면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전원이 차단되어도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지 않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20)는 메모리로 제공되는 전원을 외부 전원 또는 내부 전원으로 전환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전원 공급부(220)는 일반적으로백업 배터리와 같은 내부 전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내부 전원은 데이터 저장 장치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장치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원공급부(220)는 외부 전원이 OFF상태인 경우에 내부 전원으로 전환하여 계속적으로 악의적인 탬퍼가 감지될 수 있도록 해주고 악의적인 탬퍼가 발생하여 메모리(210)내의 데이터가 삭제된 이후에는 전원을 차단한다.
압력 센서(230)는 하우징의 개봉이나 정상적이지 않은 상태를 감지하기 위해 하우징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측정한다.
RTC(240)는 데이터 저장 장치가 처음 구동한 시점을 기준으로 현재 시점 정보를 제공한다. 즉, 최초 구동 시점"t0"를 기준으로 한 현재 시점(ti) 정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RTC(240)에 의해 제공되는 현재 시점 정보는 하우징에 가해지는 하중 횟수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제어부(25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하우징에 가해지는 하중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센싱값을 모델링한 임계압력값과, 압력 센서(230)의 센싱값을 비교함으로써 악의적인 탬퍼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악의적인 탬퍼가 발생한 경우에는 메모리(210)내의 데이터를 삭제한다.
임계압력값은 하우징을 이루는 금속의 피로도를 고려한 실험을 통하여 하우징에 압력이 가해지는 하중 횟수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 센서의 센싱값을 모델링한 값으로서, 제어부(250)내의 내부 메모리(미도시)에 저장된다.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금속의 강도가 저하되는 피로 현상으로 인해, 하중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압력 센서(230)의 센싱 값은 데이터 저장 장치의 초기 센싱값에 비해 작아질 것이다. 따라서, 금속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하중 횟수에 따라 변화되는 압력 센서의 센싱 값을 모델링하여 임계압력값으로 설정해둠으로써, 압력 센서(230)에 의한 센싱값의 감소가 악의적인 탬퍼에 의한 것인지 금속의 피로도에 의한 것인지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50)는 압력 센서(230)의 센싱 값과 사전 설정된 탬퍼 탐지값을 비교하여 소정의 탬퍼탐지값과 오차범위이내인 경우에는 하우징이 개봉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210)내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이때, 탬퍼 탐지값은 하우징이 개봉된 경우에 압력 센서에 의해 센싱될 수 있는 값으로 사전 설정된다.
또한, 제어부(250)는 RTC(240)에서 제공된 현재 시점(ti)에서 압력 센서(230)에 의해 센싱된 값이 초기 센싱값보다 큰 경우에 하우징에 압력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하중 횟수를 증가시키고, 하중 횟수가 사전 설정된 탬퍼탐지횟수와 소정의 오차범위 이내이면 메모리(210)내의 데이터를 삭제할 수 있다. 제어부(250)는 하중 횟수가 사전 설정된 탬퍼 탐지 횟수 이상이 되면 하우징의 피로 현상이 커지므로 더 이상 악의적인 탬퍼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메모리(210)내 데이터의 삭제를 명령할 수 있다. 메모리(210)가 휘발성 메모리라면 상기 전원 공급부(220)에 상기 메모리(21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하고, 비휘발성 메모리라면 상기 메모리(210)에 직접 데이터를 삭제하도록 명령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탬퍼 검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우선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현재 시점(ti)에 하우징에 가해지는 압력값(S(ti))을 센싱한다(단계 310). 일실시예에서, 현재 시점 정보는 RTC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다음, 단계(320)에서 현재 센싱값(S(ti))과 사전 설정된 탬퍼탐지값(STD)을 비교하여 현재 센싱값(S(ti))이 탬퍼탐지값(STD)과 오차범위(δTD)내인 것으로 판단되면, 메모리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전원을 차단한다(단계 37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탬퍼탐지값(STD)은 하우징이 개봉한 효과의 센싱값을 의미하므로, 현재 센싱값(S(ti))이 탬퍼탐지값(STD)과 오차범위(δTD)내인 경우에는 메모리의 데이터를 삭 제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 단계(330)에서 현재 센싱값(S(ti))과 초기 센싱값(S(t0))을 비교하여 S(ti)가 S(t0)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하우징에 하중이 가해진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340)에서 하중 횟수(n)를 증가시킨다.
단계(360)에서 상기 증가된 하중 횟수가 사전 설정된 탬퍼탐지횟수(NTD)의 오차범위내인지 판단한다. 하중 횟수가 탬퍼탐지횟수 이상이라면 반복적인 하중에 의해 하우징의 피로도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더 이상 악의적인 탬퍼를 정확히 감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경우에는 단계(370)로 진행하여 메모리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전원을 차단한다.
한편, 단계(330)의 비교 결과 현재 센싱값(S(ti))이 초기 센싱값(S(t0))보다 작은 경우에는 센싱값의 감소가 악의적인 탬퍼에 의한 것인지 금속의 피로도에 의한 것인지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단계(350)에서 현재 센싱값(S(ti))과 하우징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하중 횟수별로 모델링된 임계압력값(
Figure 112008054697665-pat00001
)을 비교한다. 현재 센싱값(S(ti))이 임계압력값(
Figure 112008054697665-pat00002
)의 오차 범위(δn) 내에 있다면 이러한 센싱값의 감소는 금속의 피로도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31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현재 센싱값(S(ti))이 임계압력값(
Figure 112008054697665-pat00003
)의 오차 범위(δn)를 벗어난다면 이러한 센싱값의 감소는 악의적인 탬퍼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단계(370)로 진행하여 메모리의 데이터를 삭제하고 전원을 차단한다.
이제까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데이터 저장 장치에 이용되는 종래 탬퍼 검출 방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탬퍼 검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메모리
220 : 전원공급부
230 : 압력센서
240 : RTC
250 : 제어부

Claims (11)

  1. 압력 센서를 이용하여 데이터 저장 장치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센싱하는 단계;
    상기 센싱된 압력값과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초기 구동 시점에 센싱된 초기 압력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감소된 경우에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에 가해지는 하중 횟수에 따라 변화하는 임계압력값을 비교하여 악의적 탬퍼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탬퍼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악의적 탬퍼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탬퍼 검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싸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물질의 피로도에 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탬퍼 검출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압력값은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를 감싸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물질의 피로도를 고려하여 하중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상기 압력 센서의 센싱값을 하중 횟수에 따라 모델링한 값인 탬퍼 검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큰 경우에 상기 하중 횟수를 1씩 증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탬퍼 검출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횟수가 사전설정된 탬퍼탐지횟수 이상인 경우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탬퍼 검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사전설정된 탬퍼탐지값과 소정의 오차범위 내인 경우 메모리 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탬퍼 검출 방법.
  8.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와,
    하우징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센싱하는 압력 센서와,
    상기 센싱된 압력값과 상기 하우징에 가해지는 하중 횟수에 따라 변화하는 임계압력값을 비교하여 악의적인 탬퍼를 검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저장 장치의 초기 구동 시점과 상기 압력값을 센싱하는 시점을 측정하는 RTC(Real Time Clock)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구동 시점에 센싱된 초기 압력값 보다 감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감소된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를 벗어난 경우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악의적 탬퍼에 의한 것으로 판단하고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초기 압력값보다 감소된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이 상기 임계압력값의 오차 범위 내인 경우에 상기 센싱된 압력값의 감소는 상기 하우징의 피로도에 인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메모리내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데이터 저장 장치.
KR1020080074060A 2008-07-29 2008-07-29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KR100974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60A KR100974889B1 (ko) 2008-07-29 2008-07-29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US12/410,812 US20100031368A1 (en) 2008-07-29 2009-03-25 Tamper detection method and data storage device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4060A KR100974889B1 (ko) 2008-07-29 2008-07-29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579A KR20100012579A (ko) 2010-02-08
KR100974889B1 true KR100974889B1 (ko) 2010-08-11

Family

ID=41609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4060A KR100974889B1 (ko) 2008-07-29 2008-07-29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00031368A1 (ko)
KR (1) KR100974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645B1 (ko) * 2011-12-14 2013-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이용한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51817B1 (ko) * 2014-05-22 2015-09-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메모리 삭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EP3086255B1 (en) * 2015-04-23 2018-09-19 Nxp B.V. Capacitive sensor arrays for detecting secure element tampering
EP3153234B1 (de) * 2015-10-09 2018-03-14 CTC Analytics AG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kolben einer spritze
TWI647707B (zh) * 2017-09-30 2019-01-11 宇瞻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資料保護機構之資料儲存裝置及其資料保護方法
CN208766800U (zh) * 2018-10-11 2019-04-19 中磊电子(苏州)有限公司 可检测并回报擅动的电子装置
US11657148B2 (en) * 2019-05-10 2023-05-23 General Electric Company Event analysis in an electric power system
US11191155B1 (en) 2020-12-10 2021-1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mper-respondent assembly with structural material within sealed inner compartment
US11716808B2 (en) 2020-12-10 2023-08-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Tamper-respondent assemblies with porous heat transfer element(s)
US11941159B2 (en) * 2021-06-08 2024-03-26 Hewlett-Packard Develoment Company, L.P. Configuration data deletion based on tamper status
CN116451282B (zh) * 2023-06-15 2023-09-01 浙江亿视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针对网点碳排放监测的传感器数据防篡改系统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466B1 (ko) 1992-08-10 2001-11-22 스티븐에스. 그레이스 축류압축기의진동들뜸을모니터하기위한프로세스및장치
KR20030090959A (ko) * 2002-05-24 2003-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탬퍼 레지스턴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6005049A (ja) 2004-06-16 2006-01-05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耐タンパ筐体
KR20060070684A (ko) * 2004-12-21 2006-06-26 브이케이 주식회사 휴대폰 불법복제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466B1 (ko) 1992-08-10 2001-11-22 스티븐에스. 그레이스 축류압축기의진동들뜸을모니터하기위한프로세스및장치
KR20030090959A (ko) * 2002-05-24 2003-12-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탬퍼 레지스턴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6005049A (ja) 2004-06-16 2006-01-05 Fuji Electric Holdings Co Ltd 耐タンパ筐体
KR20060070684A (ko) * 2004-12-21 2006-06-26 브이케이 주식회사 휴대폰 불법복제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31368A1 (en) 2010-02-04
KR20100012579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4889B1 (ko) 탬퍼 검출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장치
JP5891274B2 (ja) データ記憶装置とその異常電圧からの保護方法
US92357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eventing data remanence in memory
US7385491B2 (en) Tamper monitor circuit
US7681024B2 (en) Secure booting apparatus and method
TW201727680A (zh) 記憶體資源的熱監測技術
US2014037273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waking up operating system of electronic device
US7454629B2 (en) Electronic data processing device
JP4896225B2 (ja) 情報処理端末及び改ざん検証方法
US9961811B2 (en) Controlling access to components in a server housing to enforce use of a grounding strap
KR101551817B1 (ko) 메모리 삭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09002216B (zh) 一种触摸屏修复方法、装置和电子设备
JP2005267761A (ja) フラッシュメモリの劣化監視方法
US20200034576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trusion
TWI482161B (zh) 資料儲存裝置及其電壓偵測及資料保護方法
CN104503881A (zh) 手持设备功耗检测的方法、装置及手持设备
JP4675980B2 (ja) 不正行為防止方法
CN103942293A (zh) 基于文件系统被恶意入侵时的自毁防护方法及其装置
CN104461405A (zh) 数据应急保护方法及电子设备
JP5699651B2 (ja) 情報処理装置
US20190102578A1 (en) System With Attack Protection Structure
JP2007279987A (ja) 認証情報記憶装置
TWI545586B (zh) 資料儲存裝置及其限制存取方法
JP2007323487A (ja) 情報処理装置
US77119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ustrating unwanted access to data with a hos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