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537B1 -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분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분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537B1
KR100972537B1 KR1020080038709A KR20080038709A KR100972537B1 KR 100972537 B1 KR100972537 B1 KR 100972537B1 KR 1020080038709 A KR1020080038709 A KR 1020080038709A KR 20080038709 A KR20080038709 A KR 20080038709A KR 100972537 B1 KR100972537 B1 KR 100972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calcium phosphate
beta
radiation
high purity
phosphat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8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2920A (ko
Inventor
임윤묵
노영창
윤민호
Original Assignee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원자력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원자력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38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53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2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29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32Phosphates of magnesium, calcium, strontium, or bar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1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particle radiation or gamma-radiation
    • B01J19/082Gamma-radiation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081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particle radiation or gamma-radiation
    • B01J19/085Electron bea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탈이온수에 수산화칼슘(Ca(OH)2)과 인산(H3PO4)을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용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구형 나노 크기의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분말을 고온에서 하소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방사선을 이용하여 수분내의 짧은 시간에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산업적 용도 특히, 유기물 제조 또는 세라믹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베타-인산삼칼슘, 방사선, 고순도, 구형, 나노

Description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Preparation method of nano sized β-tricalcium phosphate powders in high purity using electron beam irradiation}
본 발명은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도의 산업 기술 발달로 인해 발생한 각종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를 대체하는 인공뼈와 같은 골격용 생체소재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의학계에서는 인간의 골격을 대체하는 소재로 수백 년 전부터 금속재료를 이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재료는 인체 내에서 상기 금속재료의 마모로 인한 피해 및 수년 후의 마모된 금속입자의 제거를 위한 재수술이 요구된다.
이에 최근 골격용 생체소재로서 우수한 골유착성과 생체친화성을 갖는 골충진제 및 골격용 생체소재의 개발에 생체세라믹소재인 인산칼슘계 세라믹(HAp 및 β-TCP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BCP(biphasic calcium phosphate))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 사용되고 있는 인산칼슘계 생체세라믹소재의 제조방법으로서 건식법, 침전법 및 수열합성법이 있다.
건식법은 고상반응을 이용하여 인산칼슘계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고온의 수증기에서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 Ca10(PO4)6(OH)2, HAp)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상기의 고상반응 과정에서 반응물질이 무정형의 응집체로 반응하기때문에 고순도의 결정질 인산칼슘계 생체세라믹을 합성하는 데는 문제점가 있다.
또한, 침전법은 Ca(NO3)2ㆍ4H2O, Ca(CH3COOH)ㆍ2H2O, Ca(OH)2, (NH4)2HPO4 및 H3PO4를 출발물질로 사용하고, Ca2 +이온 용액에 PO4 3 -이온 용액을 적가시켜 수산화인회석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 침전법은 낮은 비화학 및 양론 조성으로 되기 쉽고, 결정화가 낮아 입자들이 성장되면서 응집되기 쉬워 소결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수열합성법은 수산화인회석 분체를 200 ℃ 및 2 MPa 조건에서 장시간 교반시켜 높은 결정화 및 균질한 화학양론 조성의 수산화인회석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상기 침전법의 단점을 개선한 제조방법이지만, 장시간의 결정화 과정의 결과 나노 크기의 결정을 얻는데 문제가 있다.
상술한 종래 인산칼슘계 세라믹소재의 제조법은 기술은 다단계 반응에 의한 오염발생의 취약점과 수백 nm의 입자 크기를 갖는 분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고 순도의 인산칼슘게 세라믹 소재를 제조하는데 문제가 있다.
베타-인산삼칼슘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선행기술들이 보고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 783587호는 세척된 미가공의 달걀껍질을 하소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하소된 달걀껍질 분말을 이소프로필 알콜 용매하에서 인산 용액을 첨가한 후 분쇄하여 혼합하는 단계(단계 2); 상기 단계 2에서 분쇄된 혼합물에 고분자 분말을 첨가한 후 교반하여 겔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3); 및 상기 단계 3에서 제조된 겔 용액을 건조하고 하소한 후 재분쇄하여 분말을 얻는 단계(단계 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베타-인산삼칼슘 및 소결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7-10919호는 물에 젤라틴 분말을 혼합하여 젤라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단계 1); 인산삼칼슘 전구체 분말과 기공전구체를 혼합한 후, 상기 젤라틴 용액을 첨가하여 인산삼칼슘 슬러리를 준비하는 단계(단계 2); 상기 혼합된 인산삼칼슘 슬러리를 교반중인 분산매에 첨가하여 구형의 과립을 형성하여 겔화시키는 단계(단계 3); 상기 겔화된 구형의 과립 표면을 유기용매로 분리, 세척하는 단계(단계 4); 및 상기 구형 과립을 하소 및 소결하여 인산삼칼슘 이외의 첨가물을 제거하는 단계(단계 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형의 다공성 베타-인산삼칼슘 과립의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술한 종래 방법들은 모두 베타-인산삼칼슘 분말 또는 과립을 제조하는 기술을 기재하고 있으나,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다단계의 반응을 수행하도록 구 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순도로 합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시간의 반응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시간 및 비용 면에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제조방법의 복잡한 제조 단계, 불순물로 인한 오염 발생 및 긴 반응시간이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던 중,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잡한 다단계의 공정수행 없이 방사선만을 이용하여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은 종래의 인산칼슘계 분체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수산화칼슘(Ca(OH)2) 및 인산(H3PO4)을 출발물질로 사용하고 방사선을 조사하여 수분내의 짧은 시간내에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산업적 용도 특히, 유기물 제조 또는 세라믹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탈이온수에 수산화칼슘(Ca(OH)2)과 인산(H3PO4)을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용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구형 나노 크기의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분말을 고온에서 하소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단계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1은 수산화칼슘(Ca(OH)2)와 인산(H3PO4)이 들어있는 반응용기에 탈이온수를 넣고 용해시킨 뒤, 상기 혼합용액에 암모니아수를 넣어 pH를 조절하며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1의 탈이온수는 3차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수산화칼슘(Ca(OH)2) 및 인산(H3PO4)의 혼합비는 인에 대한 칼슘의 몰비(Ca/P)가 1~2.5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2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몰비(Ca/P)가 1 미만이면 합성 시 무결정 및 탈칼슘현상으로 인한 제 3상의 물질이 합성되는 문제가 있고, 2.5를 초과하면 반응기가 증가하여 제 3상의 물질이 합성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의 pH는 11~13인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만약, pH가 11 미만이면 반응을 위한 OH-기의 부족으로 인하여 출발물질이 전체적으로 반응하지 못하여 출발물질이 반응물질과 반응기 안에 일부 미합성 상태로 공존하며 저결정성으로 합성되는 문제가 있고, 13을 초과하면 OH-기의 과잉으로 인하여 적정 pH안에서의 혼합 후 잔류 OH-기로 인한 과도한 오염발생에 대한 문제가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생성된 혼합용액이 들어있는 반응기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2의 방사선은 전자선 또는 감마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자선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방사선의 총조사선량은 100~1000 kGy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700 kGy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만약, 총 조사선량이 100 kGy 미만인 경우 베타-인산삼칼슘 분말 생성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고, 1000 kGy를 초과하는 경우 필요 이상의 방사선이 조사되는 문제가 있다. 방사선 조사를 이용하여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상기 단계 2는 5~10분 내의 짧은 시간에 완료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에서 생성된 분말을 고 온에서 하소시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계 3의 하소는 600~800 ℃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하소 온도가 600 ℃ 이하인 경우에는 합성 및 환경상의 오염으로 인한 유기물적인 요소를 제거하기위하여 하소 시 잔류오염도가 존재하는 문제가 있고, 800 ℃ 이상인 경우에는 분말의 입자크기에 영향을 미치는 소결의 개념으로서 입성장 및 그레률을 성장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은 5~10 nm인 단상의 구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사선을 이용한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은 극성을 띠는 세라믹 분말이므로 방사선 조사시 이온 또는 라디칼의 활성에 의해 상기의 분말이 제조된다. 이때, 이온 또는 라디칼의 활성은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높은 에너지의 방사선이 물질을 통과할 때 물질과 방사선의 상호작용에 의해 에너지가 물질에 전달되고 방사선 자체의 에너지는 감소한다. 에너지를 받은 물질은 여기(勵起), 이온화 및 진동을 일으키고, 이때 여기(勵起)와 이온화가 화학반응에 직접 관계한다. 또한 열 등에 의해 물질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열은 상황에 따라 간접적으로 화학반응에 영향을 준다. 물질 AB의 이온화와 여기(勵起)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AB → AB+ + e- ------------(1)
AB → AB* ------------(2)
(1)에서 방출된 전자가 중성 전자인 AB에 부가되면, AB+로 재결합한다.
AB + e- → AB-, (Aㆍ + B-) ------------(3)
AB+ + e- → AB* ------------(4)
(2)와 (4)에서 생선된 여기(勵起) 분자는 해리되고 두개의 라디칼을 생성한다.
AB* → Aㆍ + Bㆍ ------------(5)
상기와 같은 반응으로 생성된 이온 또는 라디칼이 이후의 화학변화를 일으킨다. 이러한 상기 원리에 의해, 방사선을 이용하여 수분내의 짧은 시간에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1
반응용기에 수산화칼슘 7.42 g 및 인산 12.82 g을 넣고 탈이온수(3차 증류수) 300 mL로 용해시켰다. 이후,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용액의 pH가 1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7.46 mA(1 MeV)의 전자선 조사조건하에서 총 조사선량을 100 kGy가 되도록 조사하여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2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25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3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50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4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75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5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100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6>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6
반응용기에 수산화칼슘 7.42 g 및 인산 12.82 g을 넣고 탈이온수(3차 증류수) 300 mL로 용해시켰다. 이후, 암모니아수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용액의 pH가 12가 되도록 조절하였다. 다음으로, 14.92 mA(1 MeV)의 전자선 조사조건하에서 총 조사선량을 100 kGy가 되도록 조사하여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7>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7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25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8>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8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50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9>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9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75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0>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 10
전자선 총 조사선량이 1000 kGy인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10에 따른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조건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수산화칼슘
(g)
인산
(g)
pH 조건
방사선 조건
1MeV(mA)
방사선량
kGy
실시예 1 7.42 12.82 12 7.46 100
실시예 2 7.42 12.82 12 7.46 250
실시예 3 7.42 12.82 12 7.46 500
실시예 4 7.42 12.82 12 7.46 750
실시예 5 7.42 12.82 12 7.46 1000
실시예 6 7.42 12.82 12 14.92 100
실시예 7 7.42 12.82 12 14.92 250
실시예 8 7.42 12.82 12 14.92 500
실시예 9 7.42 12.82 12 14.92 750
실시예 10 7.42 12.82 12 14.92 1000
< 실험예 1>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결정상 분석
(1) X선 회절 분석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결정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X선 회절 분석기(RIGAKU, D/MAX-IIIC, theta-theta goniometer, Power : 40kV 45mA, Scan method : theta-2theta scan, Scan range : 2theta=10~80, Scan speed :2 deg/min, Step size : 0.02)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 결정상의 X-선 회절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3의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X-선 회절 결과를 문헌에 보고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회절 분석 결과와 동일함을 알 수 있다.
(2) 전자회절패턴 ( EDP ) 분석, 투과전자현미경( TEM ) 및 에너지분산분광 ( EDS ) 분석
투과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Field Emission Transmisson Electron Microscope, JEM-2100F, JEOL)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에 대해 전자회절패턴 분석, 투과전자현미경 및 에너지분산분광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은 전자 회절 패턴 분석 결과 육방정계 결정 격자 구조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문헌에 보고된 결과와 일치함을 알 수 있고, 또한 도 3의 (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의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은 투과전자현미경 사진으로 부터 5~20 nm 크기의 구형 나노 입자임을 알 수 있고, 나아가 도 3의 (c)를 참조하면, 에너지분산분광 분석 결과 Ca과 P의 함량비(Ca/P)가 1.5로서 베타-인산삼칼슘 내의 Ca과 P의 함량비와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3) 고분해능 투과현미경( HRTEM ) 분석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에 대해 고분해능 투과현미경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3의 베타-인산삼칼슘은 5~10 nm의 입자직경을 갖는 단상의 구형 나노 입자임을 알 수 있다.
< 실험예 2>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 순도 분석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순도를 측정하기 위해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석법을 이용하여 수행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3의 베타-인산삼칼슘은 불순물 함량이 0.0029%에 불과함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초고순의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원소 함량(ppm) 원소 함량(ppm)
Ag - Mn 9.49
Al 73.0 Mo -
B 13.8 Na 55.7
Ba 3.81 Si 362
Cu - Sr 142
Fe 65.0 Ti 7.42
K 6.62 V -
Li - Zn 0.94
Mg 2130 Zr 3.08
총량 2872.86 불순물(%) 0.0029
< 실험예 3> 베타- 인산삼칼슘 분말의 세포 독성 분석
실시예 3에 의해 제조된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생체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포 독성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베타-인산삼칼슘은 투여량에 따른 세포 생존률이 85% 이상으로 우수함을 알 수 있고,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은 생체에 적합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의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결정상을 분석한 X-선 회절 그래프이고,
3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의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전자회절패턴(a:EDP), 투과전자현미경(b:TEM) 및 에너지분광검출기(c:EDS) 분석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의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고분해능 투과전자현미경(HRTEM) 사진이고,
5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3의 구형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세포독성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4)

  1. 탈이온수에 수산화칼슘(Ca(OH)2)과 인산(H3PO4)을 용해시킨 후, 상기 혼합용액의 pH를 조절하는 단계(단계 1);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에 방사선을 조사하여 구형 나노 크기의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단계 2); 및
    상기 단계 2에서 제조된 분말을 고온에서 하소시키는 단계(단계 3)를 포함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탈이온수는 3차 증류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수산화칼슘(Ca(OH)2) 및 인산(H3PO4)의 혼합비는 인에 대한 칼슘의 몰비(Ca/P)가 1~2.5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수산화칼슘(Ca(OH)2) 및 인산(H3PO4)의 몰비가 1.5~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1의 혼합용액의 pH는 11~13이 되도록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방사선은 전자선 또는 감마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7.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방사선은 전자선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의 방사선의 총조사선량은 100~1000 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의 총조사선량은 300~700 kG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는 5~10분내에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3의 하소는 600~800 ℃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 분말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80038709A 2008-04-25 2008-04-25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분말의 제조방법 KR100972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09A KR100972537B1 (ko) 2008-04-25 2008-04-25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분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8709A KR100972537B1 (ko) 2008-04-25 2008-04-25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분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20A KR20090112920A (ko) 2009-10-29
KR100972537B1 true KR100972537B1 (ko) 2010-07-28

Family

ID=41554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8709A KR100972537B1 (ko) 2008-04-25 2008-04-25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분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5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599B1 (ko) * 2012-02-13 2013-12-27 코덴트티엠에스 주식회사 pH 조절에 의한 고순도의 베타 삼인산칼슘 나노 분말의 제조방법
KR102177267B1 (ko) 2020-04-20 2020-11-11 주식회사 동양케미칼 이노시톨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성물을 이용한 사료용 삼인산칼슘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5026B (zh) * 2020-10-14 2022-12-23 武汉理工大学 一种铕掺杂β-磷酸三钙荧光纳米颗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919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오스코텍 다공성의 β-인산삼칼슘 과립의 제조 방법
KR100783587B1 (ko) * 2007-01-19 2007-12-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결성이 우수한 β-트리칼슘포스페이트 분말 및 이의소결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0919A (ko) * 2005-07-20 2007-01-24 주식회사 오스코텍 다공성의 β-인산삼칼슘 과립의 제조 방법
KR100783587B1 (ko) * 2007-01-19 2007-12-11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소결성이 우수한 β-트리칼슘포스페이트 분말 및 이의소결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599B1 (ko) * 2012-02-13 2013-12-27 코덴트티엠에스 주식회사 pH 조절에 의한 고순도의 베타 삼인산칼슘 나노 분말의 제조방법
KR102177267B1 (ko) 2020-04-20 2020-11-11 주식회사 동양케미칼 이노시톨 추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생성물을 이용한 사료용 삼인산칼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2920A (ko) 200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osh et al.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nano-hydroxyapatite powder using sol-gel technique
Ramesh et al.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of hydoxyapatite derived by sol–gel and wet chemical precipitation methods
Mohandes et al. Hydroxyapatite nanocrystals: simple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formation mechanism
Gozalian et al. Synthesis and thermal behavior of Mg-doped calcium phosphate nanopowders via the sol gel method
Türk et al. Effect of solution and calcination time on sol-gel synthesis of hydroxyapatite
Leena et al. Accelerated synthesis of biomimetic nano hydroxyapatite using simulated body fluid
Sanosh et al. Sol–gel synthesis of pure nano sized β-tricalcium phosphate crystalline powders
Frangopol et al. Synthesis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strontium substituted hydroxyapatites
Zhang et al. Synthesis of nanosize single-crystal strontium hydroxyapatite via a simple sol–gel method
Massit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ized β-tricalcium phosphate: effects of the aging time
Karimi et al. One-step and low-temperature synthesis of monetite nanoparticles in an all-in-one system (reactant, solvent, and template) based on calcium chloride-choline chloride deep eutectic medium
Yeong et al. Mechanochemical synthesis of hydroxyapatite from calcium oxide and brushite
KR100972537B1 (ko) 방사선을 이용한 나노 크기의 고순도 베타-인산삼칼슘분말의 제조방법
Stipniece et al. The study of magnesium substitution effect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ydroxyapatite
Barandehfard et al. Sonochemical synthesis of hydroxyapatite and fluoroapatite nanosized bioceramics
RU239545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ктивного к спеканию порошка пирофосфата кальция
Fereshteh et al.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fluorapatite nanoparticles via a mechanochemical method
Larson et al. Non-stirred synthesis of Na-and Mg-doped, carbonated apatitic calcium phosphate
Hanafi et al. Characterization of hydroxyapatite doped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magnesium ions
KR102075840B1 (ko) 용매열 합성법 및 고체-액체-용액 방법을 이용한 휘트록카이트 제조방법
Fahami et al. Effect of high-energy ball milling on the formation and microstructural features of carbonated chlorapatite nanopowders
Li et al. Preparation of nanosized hydroxyapatite particles at low temperatures
Zhang et al. Morphologies of hydroxyapatite nanoparticles adjusted by organic additives in hydrothermal synthesis
Medvecky et al. Amorphous calcium phosphates synthesized by precipitation from calcium D-gluconate solutions
Nasiri-Tabrizi et al. Mechanochemical synthesis of fluorapatite-zinc oxide (FAp-ZnO) composite nanopowd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