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164B1 - 수직 용접 장치 - Google Patents

수직 용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164B1
KR100972164B1 KR1020070136233A KR20070136233A KR100972164B1 KR 100972164 B1 KR100972164 B1 KR 100972164B1 KR 1020070136233 A KR1020070136233 A KR 1020070136233A KR 20070136233 A KR20070136233 A KR 20070136233A KR 100972164 B1 KR100972164 B1 KR 10097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vertical
conveying means
guide rail
to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6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68558A (ko
Inventor
전도형
박영진
윤종인
임채수
김응규
최옥환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362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164B1/ko
Publication of KR20090068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8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82Carriages forming part of a weld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11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 B23K37/0229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travelling on a guide member, e.g. rail, track the guide member being situated alongside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2Carriages for supporting the welding or cutting element
    • B23K37/0247Driv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tt Welding And Welding Of Specific Art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렛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이중 선체의 블록 조립에 있어 L형의 형강이나 T형의 바(bar)와 수직 프레임과의 조립시 발생되는 비교적 짧은 수직 필렛 용접부(용접장치의 투입이 어려운 곳)에 필렛 용접장치의 유용한 설치와 함께 용접시공의 진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형 수직 필렛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두 용접대상물이 직교하는 용접부위에 대하여 상진 또는 하진 용접을 수행하는 수직용접장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와 수직으로 위로 길게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조립체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는 이송수단부와, 상기 이송수단부와 연결되고 용접토치를 구비하여 이송수단부의 이송에 따라 용접 대상물에 대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수단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직교되는 용접대상물에 레일 조립체를 부착시키는 부착수단과, 상기 두 용접대상물이 직교하는 용접부위와 이송수단부에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접토치가 용접을 수행하는 부분을 일치시키도록 하기 위한 정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매그스위치 또는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용접장치로 용접하기 어려운 수직 필렛 용접부에 대하여 손쉽게 용접을 할 수 있다. 전자석의 사용으로 용접장치가 용접부위에 대하여 정렬이 되었을 때 용접장치를 용접부위에 접착하여 용접토치가 용접부위를 정확히 조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 등 조명장치 및 조정바의 사용으로 용접토치가 용접부위를 정확히 향하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텐션조절부가 있어 이송수단부의 가이드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클러치의 채용으로써 하나의 용접 작업을 끝낸 후 다른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수직 용접, 필렛 용접, 중조립, 전자석

Description

수직 용접 장치 {Vertical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수직 필렛 용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이중 선체의 블록 조립에 있어 L형의 형강이나 T형의 바(bar)와 수직 프레임과의 조립시 발생되는 비교적 짧은 수직 필렛 용접부(용접장치의 투입이 어려운 곳)에 필렛 용접장치의 유용한 설치와 함께 용접시공의 진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레일형 수직 필렛 용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의 용접 공정은 전체 선박 건조 공정의 약 60%를 점유하는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로서, 선박 생산은 여러 형상의 선체블록들을 독립적으로 제작한 다음 이들 블록들을 도크(Dock)에서 서로 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중, 대형 선박 1척을 건조하는데 250∼400개의 선체블록들이 만들어지며, 선체블록 내부에는 용접셀이 약 200개(셀마다 수직 용접부 2개 존재) 정도가 존재하므로 1척의 선박을 건조하기 위해서는 무수히 많은 수직교차부들을 용접해야 한다.
그러나 용접작업은 열악한 작업환경(용접 Fume, Spatter, 용접열 등)으로 인하여 3D 기피 현상에 따른 숙련된 용접사의 구인난 및 작업자 고령화 추세에 효과 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 용접자동화는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점에서 대형 선박의 선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용접장치가 소형화되는 추세이며, 용접 공정을 자동화하여 가동율 극대화에 의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용접장치로서 열악한 작업환경을 대신함으로서 안전성 및 작업자의 건강유지에 기여하며, 정밀도 및 반복성에 의한 고품질 용접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접장치의 대체적인 적용분야는 선박의 제조공정에서 L형 또는 T형과 같이 부재가 직교하여 부착되는 경우가 많다.
일 예로, 도 10은 론지와 플로워가 선박의 주판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선박의 제작에 있어 주판(101)에 L형, T형의 앵글 부재를 붙인다. 주판(101)에 종방향으로 붙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론지(Longi)(102)라 부르기도 한다.
그리고 이 작업 뒤에 플로워(Floor)(103)라 불리는 판을 끼워넣는데 플로워(103)에는 슬롯이 있어 론지(102)를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을 중조립 공정이라 한다. 본 발명은 론지(102)와 플로어(103)가 교차하는 수직의 용접부위(104)를 용접하려는 것이다.
이렇게 완성된 블록은 도 10과 같으며 그 공간이 협소하고 어두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전량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다. 또한 작업자세도 좋지 않아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시킬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론지(102)와 플로워(103)가 교차하는 용접부위(104)에 대한 용접은 구조상 로봇의 투입도 어렵고, 실제로 Colsed Block이나 협소한 구간의 경우는 로봇이 들어가서 작업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용접장치나 로봇을 투입 설치한다 하더라도, 선체의 주판(101) 및 론지(102)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보조장비들이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와 해체시간의 문제로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해 이러한 상기와 같은 이중선체의 필렛 용접실시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서 열악한 환경조건에서 실시되고 있다.
따라서 용접사에 의해 진행되는 용접인 만큼, 향후 작업자의 건강문제는 물론, 용접의 균일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중 선체의 블록 조립에 있어 L형의 형강이나 T형의 바와 수직 프레임과의 조립시 발생되는 비교적 짧은 수직 필렛 용접부(용접장치의 투입이 불가능한 곳)에 필렛 용접장치의 유용한 설치와 함께 용접시공의 진행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두 용접대상물이 직교하는 용접부위에 대하여 상진 또는 하진 용접을 수행하는 수직용접장치는, 이송수단부와 용접수단부로 구성된 용접 캐리지가 레일 조립체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용접을 수행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직용접장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와 수직으로 위로 길게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조립체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하강할 수 있는 이송수단부와, 상기 이송수단부와 연결되고 용접토치를 구비하여 이송수단부의 이송에 따라 용접 대상물에 대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수단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직교되는 용접대상물에 레일 조립체를 부착시키는 부착수단과, 상기 두 용접대상물이 직교하는 용접부위와 이송수단부에 따라 이송되는 상기 용접토치가 용접을 수행하는 부분을 일치시키도록 하기 위한 정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부착수단은 매그스위치 또는 전 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렬수단으로는 상기 용접토치의 방향과 일치되는 레이저를 분사하여 상기 용접부위와 상기 용접토치의 방향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조명수단과, 용접 전 또는 용접 중에 슬라이드 레버를 통하여 상기 용접수단부를 상기 이송수단부에 대하여 슬라이딩 시킴으로써 용접토치와 용접부위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전후 슬라이드가 있다. 또한 상기 정렬수단은 용접 전 또는 용접 중에 용접토치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는 중심점 이동기능을 탑재한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수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측면에서 압착하여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는 부분에 클러치가 설치되어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수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일 조립체의 하단에는 클러치가 작동되어 하강되는 이송수단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방지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일반적인 용접장치로 용접하기 어려운 수직 필렛 용접부에 대하여 손쉽게 용접을 할 수 있다. 매그스위치 또는 전자석의 사용으로 용접장치가 용접부위에 대하여 정렬이 되었을 때 용접장치를 용접부위에 접착하여 용접토치가 용접부위를 정확히 조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레이저 포인터 등 조명장치 및 조정바의 사용으로 용접토치가 용접부위를 정확히 향하도록 쉽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텐션조절부가 있어 이송수단부의 가이드 압력을 조절할 수 있고, 클러치의 채용으로써 하나의 용접 작업을 끝낸 후 다른 용접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100)는 이송수단부(130)와 용접수단부(140)의 두 부분으로 구성된 용접 캐리지가 레일 조립체(110)와 연결되어 상진 용접을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용접수단부(140)는 이송수단부(130)와 일체가 되어 이송수단부(130)가 레일 조립체(110)를 따라 이동될 때 같이 움직이게 된다.
레일 조립체(110)에는 두 개의 평행한 가이드레일(111)이 있고 이 가이드레일(111)를 고정하기 위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2 개의 고정마운트(114)가 구비된다. 레일 조립체(110)의 하단에는 T자 형태의 받침대(122)가 있고, 상단에는 매그스위치(혹은 전자석)이 부착된 자석지그(12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 일(111)에 설치되는 자석지그(121)는 2개(또는 그보다 많을 수 있다)로서, 평행하는 가이드 레일(111)상으로부터 경사지게 설치되어 플로어(103)과 론지(102)의 조립에 의해 직교하는 직각 대응 면에 부착되도록 구성한다.
수직 부위에 수직용접장치(100)를 접근시켜 T자 형태의 받침대(122)를 용접대상물에 갖다 댄 후 용접되는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T자 형태의 받침대(122) 뒷부분에는 고무를 이용한 조정바(123)가 있어 작업자가 손 또는 발을 이용하여 캐리지를 조정할 수 있다. 용접부위(104)와 용접토치(145)가 일치가 되면 윗단에 있는 자석지그(121)에 설치된 매그스위치(혹은 전자석)를 On 시켜서 론지(102) 및 플로어(103)와 완전히 일치시킬 수 있다.
도 5는 가이드레일에 이송수단부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6은 가이드레일에 이송수단부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다.
이송수단부(130)가 가이드레일(1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송수단부(130)에 가이드롤러(113)를 좌우 2개씩 각각 설치한뒤 가이드레일(111)을 양 옆에서 압착시켜준다. 이러한 압착력이 캐리지의 가이드 능력을 좌우하기 때문에, 이송수단부(130)가 가이드레일(111)과 맞닿는 부분에 텐션조절부(137)가 구비되어 스프링(미도시)을 이용하여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가이드레일(111) 한쪽에 랙(136)을 장착하고 이송수단부(130)에는 피니언(134)을 설치하여 모터구동으로 캐리지가 상진용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나란히 평행하는 가이드레일(111) 중 어느 하나의 상부에 이송수단부(130)의 최대상승을 제어하는 감지스토퍼(112)가 설치되고, 이송수단부(130)에는 감지스토퍼(112)를 감지하는 근접센서(138)가 감지스토퍼(112)로부터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선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송수단부(130)가 정해진 위치까지 상승하면 감지스토퍼(112)가 이를 감지하여 이송이 중단됨과 함께 용접도 중단된다.
용접 캐리지가 용접을 다 끝내고 가이드레일(111)의 상단면에 올라갔을 경우 다음 작업을 위해 다시 하강해야 하므로 작업의 편리성을 위해, 캐리지를 즉시 하강시킬 수 있는 급속귀환장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이송수단부(130)에 피니언(134)을 장착하고 피니언(134)과 레일 사이를 연결하는 랙(136)을 설치하여 이들 간에 클러치 기능을 사용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클러치 레버(133)를 당기거나 또는 회전시킬 경우 클러치(135)가 좌우로 분리되어 모터의 회전력을 피니언(134)에 전달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작업자가 손으로 이송수단부(130)를 상하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캐리지를 밑단까지 내릴 경우 그 무게로 인해 캐리지가 손상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충격력을 흡수하기 위해 밑단에 고무를 이용한 충격흡수 방지대(115)가 설치된다.
도 7은 용접수단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제어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용접수단부(140)는 가이드레일(111) 상으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수단부(130)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수단부(130)의 후면 상에 위빙모터부(141)와 토치클램프(144)를 통해 연결된 용접토치(145)를 위빙시켜 용접한다. 상기 위빙모터부(141)는 펄스 신호값에 의해 회전동작되는 스테핑 모터를 채용하여 용접토 치(145)의 위빙동작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다. 수직 부위를 용접하기 위해서는 위빙 기능이 갖추어져야 한다. 즉 토치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캐리지가 상승한다. 이러한 위빙 기능은 상진 용접을 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기능이다.
용접수단부(140)에는 레이저 포인트 또는 램프가 구비된 조명장치(147)가 설치되어 있어 어두운 공간에서의 작업시 작업자가 용접토치(145)를 용접부위(104)에 일치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레이저 포인터와 램프는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고, 동시에 작동시킬 수도 있다. 일 예로, 레이저 포인트를 이용하여 용접할 부분에 일치시키고 위아래로 이동시켜 용접할 구간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레이저 포인트의 위치에 용접토치(145)를 정렬시켜주게 되면 용접할 준비가 끝난다.
작업자가 용접을 위해 조명장치(147)와 자석지그(121), 조정바(123) 등을 이용해 용접 부위를 평행하게 맞춘다. 그러나 부재의 직각도가 완전하지 않기 때문에 캐리지가 상진용접하면서 그 거리 및 중심점이 조금씩 틀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용접토치(145)와 용접부위(104)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용접수단부(140)가 이송수단부(130)와 연결되는 부분에 전후 슬라이드(142)를 장착하였다. 슬라이드 레버(143)를 사용하여 이송수단부(130)에 대한 용접수단부(140)의 상대적인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작업자가 용접토치(145)와 용접부위(104) 간의 거리를 용접중에도 조정할 수 있다.
전원과 이송수단부(130), 용접수단부(14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132)가 상기 이송수단부(130) 상면에 설치된다. 도 8과 같이 제어장치(132)에는 다양한 스위치 내지 조작 레버가 설치되며, 중심점이 약간씩 틀어질 경우를 대비하여 중심점 이동기능을 탑재하여 작업자가 용접중에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외 다음과 같은 상진 용접캐리지가 갖춰야 할 일반적인 기능들을 탑재하였다. 위빙과 관련하여, 위빙시작 / 정지, 중심점이동, 위빙속도, 우멈춤, 좌멈춤, 위빙폭 등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탑재하였고, 전원과 관련하여 전류조절, 전압조절, 용접/비용접, 인칭 등이 가능하다. 시쿼스와 관련하여 시작, 정지, 주행속도의 선택이 가능하다.
도 9는 통신캐리지 방식을 사용하는 캐리지의 접속 계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통신캐리지 방식을 이용하여 캐리지 본체, 즉 제어장치(132)에서 전압, 전류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이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용접기(153)에 별도의 수신기(152)를 장착한 뒤 여기서 케이블을 빼내어 캐리지 연결부(151)를 통해 캐리지와 연결하여 통신이 수행된다. 가스 공급기(154)과 와이어 공급기(155)에서는 각각 이산화탄소 등의 용접 가스 및 용접용 와이어를 용접토치(145)로 공급한다.
통신캐리지 방법을 사용할 경우 캐리지 본체에서 전압과 전류를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된다. 통신 캐리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전력선통신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위해 용접기(153)에 수신기(152)를 연결함으로써 캐리지에서의 전압, 전류 조정 요청을 수신기(152)에서 받아서 용접기(153)로 전달한다. 수신기(152)에서는 220 V 교류 전압을 35 V 직류 전압으로 변경한 뒤 캐리지의 용접수단부(140)에 공급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와 같은 구성된 본 발명에 필렛 용접장치의 용접 실시에 따른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중 선체의 블록으로 구성된 선박을 조선함에 있어, 그 내부에 수직벽체에 해당하는 플로어(103)과 론지(102) 부위는 비교적 짧은 구간(300mm~1000mm)의 수직되는 필렛 용접부위(104) 바로 앞에 본 발명에 따른 필렛 용접장치(100)를 설치한다.
상기 필렛 용접장치(100)의 가이드레일(111)은 플로어(103)과 론지(102)사이에서 45도 경사각도로 위치시키되, 가이드레일(111)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설치된 2 개의 고정마운트(114)에 의해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111)의 후방으로 각 설치된 2 개 이상의 자석지그(121)를 이용하여 상호 직교되는 플로어(103)과 론지(102)의 직각 면에 각각 부착시켜 준다. 이때 후방측 용접수단부(140)의 용접토치(145)는 플로어(103)와 론지(102)가 접하는 용접부위(104)에 위치되는 상태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렛 용접장치(100)는 2개 이상의 전자석이 부착된 자석지그(121)를 플로어(103)과 론지(102)측의 수직면에 부착하는 것만으로 설치가 매우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이러한 점은 향후 용접실시 이후 용접장치를 해체한 상태에서 다음 용접장소로 이동하기에도 편리하다.
내부에 이송모터가 설치된 이송수단부(130)는 제어장치(132)에 의해 조작되어 가이드레일(111)상으로부터 상승한다. 하강시키면서 용접하는 하진 용접도 가능하나 일반적으로 상진용접을 많이 사용한다. 용접수단부(140)는 이송수단부(130)의 상승에 따라 같이 상승하면서 위빙모터부(141) 내부의 스테핑 모터를 구동시켜 토 치클램프(144)를 통해 용접토치(145)의 위빙동작을 구현하면서 상기 플로어(103)과 론지(102)의 직각모서리가 되는 용접부위(104)에 대하여 용접을 실시한다. 상기 용접토치(145)의 위빙 동작은 위빙모터부(141)의 스테핑 모터를 이용한 것으로 이송수단부(130)의 상승조건과 비례하여 주어진 위빙 동작을 정확히 하여 균일한 비드형성으로 양질의 용접을 구현할 수 있다. 용접 전이나 용접 도중에 작업자가 좌,우멈춤 조절, 위빙속도 조절, 위빙폭조절 등을 통해 균일한 비드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용접장치는 플로어(103)의 양측에서 동일조건하에 설치되어 용접이 실시되는 것으로, 가이드레일(111)상으로 상승 주행하면서 용접이 실시되며, 설정된 용접부위(104)에 맞게 가이드레일(111) 상에 설치된 감지스토퍼(112)까지 상승되고, 이때의 이송수단부(130)측의 근접센서(138)는 상기 감지스토퍼(112)의 상한위치에서 감지 제한되어 이송수단부(130)의 최대상승에서 더 이상의 용접을 실시하지 않는 상태로서 작동 제어된다.
상기와 같이 상승되어 용접을 마친 캐리지는 가이드레일로부터 하강시켜 다음 용접작업구간으로 이동시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서 용접을 실시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수직용접장치의 실제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5는 가이드레일에 이송수단부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정면구성도,
도 6은 가이드레일에 이송수단부가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용접수단부의 구성을 자세히 보여주는 구성도,
도 8은 제어장치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통신캐리지 방식을 사용하는 캐리지의 접속 계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론지와 플로워가 선박의 주판에 설치되어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직용접장치 102: 론지
103: 플로어 110: 레일 조립체
111: 가이드레일 115: 충격흡수대
121: 자석지그 123: 조정바
130: 이송수단부 132: 제어장치
133: 클러치 레버 135: 클러치
137: 텐션조절부 140: 용접수단부
142: 전후 슬라이드 143: 슬라이드 레버
145: 용접토치 147: 조명장치
151: 캐리지 연결부 152: 수신기

Claims (8)

  1. 두 용접대상물이 직교하는 용접부위에 대하여 상진 또는 하진 용접을 수행하는 수직용접장치에 있어서,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와 연결되어 상향 수직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가이드레일을 구비하는 레일 조립체와,
    상기 가이드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어 승하강할 수 있는 이송수단부와,
    상기 이송수단부와 연결되고 용접토치를 구비하여 이송수단부의 이송에 따라 용접 대상물에 대하여 용접을 수행하는 용접수단부와,
    상기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직교되는 두 용접대상물에 상기 레일 조립체를 부착시키는 부착수단과,
    용접 전 또는 용접 중에 슬라이드 레버를 통하여 상기 용접수단부를 상기 이송수단부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켜 용접토치와 용접부위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전후 슬라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두 용접대상물이 직교하는 용접부위와 상기 용접토치가 용접을 수행하는 부분을 일치시키는 정렬수단
    을 포함하는 수직용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은 매그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상기 용접토치의 방향과 일치되는 레이저를 분사하여 상기 용접부위와 상기 용접토치의 방향을 일치시키도록 하는 조명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장치.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렬수단은 용접 전 또는 용접 중에 용접토치의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는 중심점 이동기능을 탑재한 제어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롤러와,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가이드레일을 측면에서 압착하여 압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텐션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부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접촉하는 부분에 클러치가 설치되어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클러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이송수단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조립체의 하단에는 클러치가 작동되어 하강되는 이송수단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충격흡수 방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용접장치.
KR1020070136233A 2007-12-24 2007-12-24 수직 용접 장치 KR10097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33A KR100972164B1 (ko) 2007-12-24 2007-12-24 수직 용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36233A KR100972164B1 (ko) 2007-12-24 2007-12-24 수직 용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558A KR20090068558A (ko) 2009-06-29
KR100972164B1 true KR100972164B1 (ko) 2010-07-26

Family

ID=4099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6233A KR100972164B1 (ko) 2007-12-24 2007-12-24 수직 용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845B1 (ko) * 2010-05-25 2012-05-24 주식회사 우성 필렛 자동용접기용 마그네트 가이드바장치
KR101228389B1 (ko) * 2011-03-31 2013-01-3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조리개장치
KR200467068Y1 (ko) * 2012-11-19 2013-06-17 케이티티플랜트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KR101251569B1 (ko) * 2012-11-19 2013-04-08 케이티티플랜트 주식회사 자동용접장치
KR101711489B1 (ko) * 2015-06-26 2017-03-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각도 조절 용접장치
CN105312740B (zh) * 2015-11-10 2017-07-25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铝质薄壁船体立向焊缝预应力变形控制方法及装置
CN109483036A (zh) * 2018-12-31 2019-03-19 苏州森诺扬机械有限公司 一种新型碰焊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18A (ko) * 1998-06-11 2000-01-15 김형벽 규격이 상이한 평판소재간의 자동 아아크 용접을 위한정열장치
KR20070097964A (ko) * 2006-03-30 2007-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일형 무선 수직 필렛 용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1418A (ko) * 1998-06-11 2000-01-15 김형벽 규격이 상이한 평판소재간의 자동 아아크 용접을 위한정열장치
KR100362588B1 (ko) * 1998-06-11 2003-10-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규격이 상이한 평판소재간의 자동 아아크 용접을 위한정열장치
KR20070097964A (ko) * 2006-03-30 2007-10-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일형 무선 수직 필렛 용접장치
KR100776065B1 (ko) * 2006-03-30 2007-11-1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레일형 무선 수직 필렛 용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8558A (ko) 2009-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164B1 (ko) 수직 용접 장치
CN107052508B (zh) 用于船舶板架结构机器人的智能焊接系统及其焊接工艺
KR100776065B1 (ko) 레일형 무선 수직 필렛 용접장치
KR20240011116A (ko) 다수의 토치를 이용한 플랜지 자동 용접 장치
KR100908277B1 (ko)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용 전자동 용접 로봇
KR200494535Y1 (ko) 선박 건조용 용접작업 보조장치
KR100924720B1 (ko) 용접 캐리지
KR101161548B1 (ko) 무레일 수평 용접 캐리지
KR101306432B1 (ko) 앵글 오버랩 부위의 6축 자동 용접 시스템 및 앵글 오버랩 부위의 6축 자동 용접 방법
KR102011867B1 (ko) 관부의 플라즈마 내면 용접 장치
KR100607338B1 (ko) 용접선 추적 및 부재 취부장치를 구비한 멤브레인 형식액화천연가스 운반선 화물창건조를 위한 플라즈마 자동용접 장치
KR20240054095A (ko) 자동용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방법
CN216263970U (zh) 用于u形加劲肋的双面自动角焊的焊接装置
CN211305154U (zh) 辅助装置
KR101820769B1 (ko) 양방향 용접 자동화 장치
JP7510900B2 (ja) 溶接装置及び溶接方法
JPH05318119A (ja) 鈑桁へのスチフナ自動仮付け装置
KR20010035989A (ko) 스폿 용접시스템
KR20130051215A (ko) 무레일 용접장치
KR101649497B1 (ko) 십자형 구조물 용접장치
KR101141502B1 (ko) 전자세 용접 캐리지
CN219945058U (zh) 用于梯式架桥的焊接机
CN115647483B (zh) 一种筒体径向对接焊缝清根装置
CN217529816U (zh) 一种车架焊接装置
KR100485653B1 (ko) 수평 용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