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763B1 - 하천의 보용 어도 - Google Patents

하천의 보용 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763B1
KR100971763B1 KR1020070120948A KR20070120948A KR100971763B1 KR 100971763 B1 KR100971763 B1 KR 100971763B1 KR 1020070120948 A KR1020070120948 A KR 1020070120948A KR 20070120948 A KR20070120948 A KR 20070120948A KR 100971763 B1 KR100971763 B1 KR 100971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r
fish
water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204A (ko
Inventor
민선영
민병무
Original Assignee
민선영
민병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선영, 민병무 filed Critical 민선영
Priority to KR1020070120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763B1/ko
Publication of KR20090054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2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60Ecological corridors or buffer z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개용 보에 의해 물의 흐름을 차단되는 경우에도 어류가 자유로이 월경할 수 있도록 보에 형성되는 하천의 보용 어도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하측하천(65)(67) 사이에 구축되는 보(20)에 있어서, 상기 상측하천(65)에서 하측하천(67)으로 점차 낮아지도록 상기 보(20)의 저면을 관통하여 경사지게 매설되는 이동관(35); 입구(25)가 상측하천(65)의 수중에 위치하고, 중도부는 보(20)의 볼록부(24)를 지나도록 볼록구간(34)이 형성되며, 출구(30)가 하측하천(67)의 수중에 위치하여 상기 상하측하천(65)(67)을 연결하는 어도(22); 및, 상기 어도(22)의 볼록구간(34)에서 인출되어 흡입구(40)가 상기 이동관(35)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어도(22)의 공기가 상기 이동관(35)으로 흡입 제거되도록 하는 흡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의 보에 설치한 여수로가 차단된 경우에도 어류의 상하측 이동이 모두 가능하므로, 자연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으며, 바닷물과 강물 중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어류에게 적응 공간을 제공하여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보, 어도, 흡입관

Description

하천의 보용 어도{Fish way for a reservoir of river}
본 발명은 하천 등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관개용 보에 의해 물의 흐름을 차단되는 경우에도 어류가 자유로이 월경할 수 있도록 보에 형성되는 하천의 보용 어도에 관한 발명이다.
삭제
삭제
삭제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보(20)에는 보(20)를 넘어 하천수가 넘칠 수 있도록 보(20)의 일부분 높이를 낮추어 여수로(21)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여수로(21)를 통해 상하측의 어류가 이동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가뭄 등으로 인해 물의 흐르는 량이 부족한 경우 여수로(21)가 수면보다 높아 어류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생태계의 파괴를 초래하기도 한다.
따라서, 하천에 구축되는 보에다 관통공을 형성하여 어류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도 하나, 관통공에 가해지는 상하측 하천사이의 강한 수압으로 인해 어류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며, 보의 관통공을 통해 가뭄이 계속되면 낮아지는 수위의 하천물이 모두 빠져나가서 하상이 매마른 경우가 발생하여서 생태계의 보존에서도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보의 양측 방향으로 어류의 이동통로가 서로 연결되면서 구성되는 어도의 입출구에는 별도의 개폐장치을 구성하여서 일정시간 마다, 별도로 연결되어 설치되는 전력에 의한 모터와 같은 동력으로, 서로 교호상으로 개폐를 하여주어야 일측면으로 물의 쏠림현상을 감소하면서 어류의 이동이 되는 개폐문용 어도의 제공은, 별도의 개폐문에 대한 개폐장치가 필요하며, 또한 어류의 이동에 필요한 물의 충만이 필요하므로 하천물의 수면 이하에서 입출구가 잠겨있어야 사용이 가능하므로, 가뭄 등으로 수면이 낮아지면, 상기 수문에 형성되는 입출구가 물위로 노출된 경우에는 효과적인 어도의 역할이 불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발명으로서, 수문에 어도를 형성하면서 어류가 이동하는 통로에는 물이 충만하는 것은 물론, 수문 일측의 어류가 타측으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태계의 파괴를 방지하 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하는 어류가 적응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하측하천(65)(67) 사이에 구축되는 보(20)에 있어서, 상기 상측하천(65)에서 하측하천(67)으로 점차 낮아지도록 상기 보(20)의 저면을 관통하여 경사지게 매설되는 이동관(35); 입구(25)가 상측하천(65)의 수중에 위치하고, 중도부는 보(20)의 볼록부(24)를 지나도록 볼록구간(34)이 형성되며, 출구(30)가 하측하천(67)의 수중에 위치하여 상기 상하측하천(65)(67)을 연결하는 어도(22); 및, 상기 어도(22)의 볼록구간(34)에서 인출되어 흡입구(40)가 상기 이동관(35)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어도(22)의 공기가 상기 이동관(35)으로 흡입 제거되도록 하는 흡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관(33)에서 가요관(55)이 상측하천(65)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요관(55) 끝단에는 부기(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입관(33)의 흡입구(40)에는 흡입지관(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저수지 또는 하천 등에 설치한 보에 의하여 하천수의 이동이 차단된 경우에도 어류의 상하측하천으로 이동이 모두 가능하므로, 자연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으며, 이동하려는 보에서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는 어류에게 적응 공간을 제공하여 스트레스를 받지 않고 성장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의 사시도로서 단면이 へ형의 어도를 구성하면서 볼록부에 흡입관을 형성한 구조이며, 도 3은 도 2에서 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로서 상기 흡입관을 이동관의 이동구간으로 연결시켜 준 구조로서 이동관을 흐르는 빠른 물살로 흡입력이 형성하는 구조이며, 도 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1의 사시도로서 흡입관의 입구를 볼록구간에 형성하는 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2의 사시도로서 상기 볼록부에서 돌출되는 흡입관에서 상측하천으로 연결되는 흡입관에 가요관과 부기를 연결하여서 수면에 따라 이동하면서 수면의 물을 흡입하여 주는 구조이며, 도 6는 도 5에서 사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로서 흡입관의 단부를 이동관의 이동구간에 연결하는 구조이며,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로서 이동구간을 흐르는 물의 이동력에 의한 흡입력을 보강하기 위하도록 다수개의 흡입지관으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에서 집수 또는 경사지에서 저수가 되도록 보(20)가 구축되어 상하측하천(65)(67)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상측하천(65)에서 보(20)의 저부를 관통하여 하측하천(67)으로 경사지게 매설되어 상측하천(65)의 물이 하측하천(67)으로 고속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측 하천(65)으로 입구(25)가 위치하도록 안치하고 하측하천(67)으로 출구(30)를 안치하고 중도부는 보(20)의 볼록부(24)에 안치되는 어도(22)를 구성하여 주되, 상기 어도(22)의 입출구(25)(30)는 각각 상하측하천(65)(67)의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하며, 보(20)의 볼록부(24)에는 어도(22)의 중도부 볼록구간(34)이 위치하도록 형성한다.
어도(22)의 볼록구간(34)에서는 흡입관(33)을 연통되도록 인출하여 이동관(35)의 내부로 삽입하여 흡입관(33)의 끝단 흡입구(40)가 위치하도록 한다.
따라서, 이동관(35)으로 흐르는 하천수의 압력에 의해 흡입관(33) 내부의 공기가 흡입구(40) 측으로 배출되게 되고, 어도(22)의 볼록구간(34)에 존재하는 공기를 흡입하여 이동관(35) 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이때, 어도(22)의 내부가 밀폐된 상태이므로 압력이 낮아지게 되면서 하천수가 공기와 함께 흡입관(33)으로 배출되면서 어도(22) 내부 전체에 하천수가 채워지게 되고, 어류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하천(65)에서 하측하천(67)으로 이동하는 이동관(35)의 이동속도는 하측부위로 이동할수록 이동력이 증가하게 된다.
아울러, 흡입관(33)에는 가요관(55)을 연통되도록 연결하여 끝단에 상측하천(65)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가요관(55)의 끝단에는 부기(60)를 결합함으로써, 상측하천(65) 수면의 물이 흡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흡입관(33)의 흡입구(40)에서 흡입되는 흡입력은 상측하천(65)의 수면에서부터 흡입을 하면서 볼록구간(34)의 밀폐된 공기를 흡입하여야 구조적으로 보강된 흡입력이 제공되므로, 높은 위치의 수면에서 흡입이 되도록 가요관(55)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관(35)으로 이동하는 하천수의 흡입력은 흡입관(33)의 끝단 폭이 넓어야 증대되므로, 이동관(35) 내부에 삽입된 흡입관(33)의 흡입구(40)에는 흡입지관(42)을 형성하여 준다.
여기서 상기 흡입관(33)의 흡입력에 의하여 볼록구간(34)의 공기가 흡입되면서, 동시에 하천수가 어도(22) 내부에 충만되면서 흡입관(33)으로 분출이 되나, 이의 분출량은 어도(22)의 전체 구간에 비교하여 소량이므로 어도(22)에서의 어류이동에 대한 영향을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 구조이다.
도 1은 종래에 제공된 보용 여수로의 일부 절개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도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사용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1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2의 사시도
도 6는 도 5에서 사용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요부에 대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20 : 보 21 : 여수로 22 : 어도
24 : 볼록부 25 : 입구 30 : 출구
33 : 흡입관 34 : 볼록구간 35 : 이동관
40 : 흡입구 42 : 흡입지관 55 : 가요관
60 : 부기 65 : 상측하천 67 : 하측하천

Claims (3)

  1. 상하측하천(65)(67) 사이에 구축되는 보(20)에 있어서,
    상기 상측하천(65)에서 하측하천(67)으로 점차 낮아지도록 상기 보(20)의 저면을 관통하여 경사지게 매설되는 이동관(35);
    입구(25)가 상측하천(65)의 수중에 위치하고, 중도부는 보(20)의 볼록부(24)를 지나도록 볼록구간(34)이 형성되며, 출구(30)가 하측하천(67)의 수중에 위치하여 상기 상하측하천(65)(67)을 연결하는 어도(22); 및,
    상기 어도(22)의 볼록구간(34)에서 인출되어 흡입구(40)가 상기 이동관(35)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어도(22)의 공기가 상기 이동관(35)으로 흡입 제거되도록 하는 흡입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용 어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33)에서 가요관(55)이 상측하천(65)으로 연결되고, 상기 가요관(55) 끝단에는 부기(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용 어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33)의 흡입구(40)에는 흡입지관(4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의 보용 어도.
KR1020070120948A 2007-11-26 2007-11-26 하천의 보용 어도 KR1009717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48A KR100971763B1 (ko) 2007-11-26 2007-11-26 하천의 보용 어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48A KR100971763B1 (ko) 2007-11-26 2007-11-26 하천의 보용 어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204A KR20090054204A (ko) 2009-05-29
KR100971763B1 true KR100971763B1 (ko) 2010-07-22

Family

ID=40861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48A KR100971763B1 (ko) 2007-11-26 2007-11-26 하천의 보용 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7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036B1 (ko) 2010-12-13 2011-07-01 서문진 안전어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455A (ko) * 2001-07-13 2004-03-03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환원형 보효소 q10의 제조 방법
KR200418455Y1 (ko) 2006-03-31 2006-06-12 박해원 사이펀 여수로
KR100671264B1 (ko) 2005-09-09 2007-01-19 보은군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20070067034A (ko) * 2007-05-29 2007-06-27 이광석 공기 방울로 유속을 조절하는 어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8455A (ko) * 2001-07-13 2004-03-03 가네가후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환원형 보효소 q10의 제조 방법
KR100671264B1 (ko) 2005-09-09 2007-01-19 보은군 어도의 기능을 갖는 부력식 자동보
KR200418455Y1 (ko) 2006-03-31 2006-06-12 박해원 사이펀 여수로
KR20070067034A (ko) * 2007-05-29 2007-06-27 이광석 공기 방울로 유속을 조절하는 어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6036B1 (ko) 2010-12-13 2011-07-01 서문진 안전어도
WO2012081830A1 (ko) * 2010-12-13 2012-06-21 Seo Moon Jin 안전어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204A (ko) 200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6036B1 (ko) 안전어도
KR100541631B1 (ko) 유속 안내판과 어도 덮게의 저항 작용에 의해 물고기의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어도의 구성방법
JP2013127162A5 (ko)
KR101277845B1 (ko) 이물질 차단장치가 구비된 배수문
KR100971763B1 (ko) 하천의 보용 어도
JP2012188829A (ja) 砂防堰
KR20110009781U (ko) 압축공기 제거수단을 갖는 사이펀여수로
CA2256402A1 (en) Fish ladder and its construction
KR100572507B1 (ko) 하수처리용 우수토실
JP2012046937A (ja) 砂防ダムの取水機構
US337819A (en) Combined wasteway and drain for ponds
KR20060113615A (ko) 조립식 자동보 수문
KR100607455B1 (ko) 하천수의 원활한 이용을 위한 수중보
KR102428970B1 (ko) 제방에 연설된 어도
KR100939562B1 (ko) 다단 나선형 어도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KR20070108424A (ko) 물고기의 이동이 용이한 이중어도의 구성방법
US1768310A (en) Irrigating system
JP2004316383A (ja) 魚道を備えた水門堰の扉体。
JP3628302B2 (ja) 砂防ダム
KR101152609B1 (ko)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하는 어도
KR100941775B1 (ko) 웨이브 리버
KR101008462B1 (ko) 치어류 이동용 어도 장치
JPH057727U (ja) 魚道装置
JP2004211403A (ja) 魚道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