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227B1 - Apparatus of cubic flower bed,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cubic flower bed,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1227B1 KR100971227B1 KR1020090027511A KR20090027511A KR100971227B1 KR 100971227 B1 KR100971227 B1 KR 100971227B1 KR 1020090027511 A KR1020090027511 A KR 1020090027511A KR 20090027511 A KR20090027511 A KR 20090027511A KR 100971227 B1 KR100971227 B1 KR 1009712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nt
- holding
- potted
- pot
- main bod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4—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using wick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의 배치나 관리가 용이한 입체화단장치 및 입체화단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탈부착이 자유롭게 보관유지하기 위한 구멍이 복수형성 된 기초구조체를 가지며, 그 구멍에 식물을 파지하는 화분형 부재가 심어짐으로써 형성된다. 화분형 부재는, 복수개의 부품으로 분할 가능하며, 그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식물을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보관유지부재가 장착됨으로써, 그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보관유지된다. 이것에 의하면, 화분형 부재에 의하여 식물을 파지하는 것이 간단한 동시에, 기초구조체에, 식물을 파지한 화분형 부재를 심는 것이 간단하게 되며, 용이하게, 입체화단을 형성할 수 있다. It is to provide a stereoscopic flower bed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a stereo flower bed, which are easy to arrange and manage plants. It is formed by planting a pot-shaped member that holds a plurality of holes in which the holes for detachable free storage are kept, and the plants are held in the holes. The pot-shaped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holding a plant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parts are combined, and the holding member is mounted, whereby the plurality of parts are kept in a combined state. . According to this, it is easy to hold | maintain a plant by a pot-shaped member, and it is easy to plant a pot-shaped member which hold | maintained a plant in a basic structure, and a three-dimensional flower bed can be formed easi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입체화단 장치 및 입체화단의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reoscopic stage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a stereoscopic stage.
종래, 동물이나 인형 등의 형상으로 식물을 장식적으로 배치한 입체화단이 알려져 있다.Background Art Conventionally, a three-dimensional flower bed in which plants are arranged in a shape such as an animal or a doll is known.
예를 들면, 와이어 등으로 동물이나 인형의 형상으로 뼈대(기초구조)를 형성하여, 그 기초구조의 내부에 배양토를 넣고, 기초구조의 표면(배양토의 표면)에 따라 소망의 식물을 심어가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종의 입체화단에서는, 식물이 미리 포트 등에서 키워져, 그 식물이 포트로부터 떼 내어져서 기초구조에 심어지는 방법이 채택되는 것이 있으나, 그때 뿌리가 상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For example, a skeleton (base structure)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nimal or a doll using a wire or the like, and cultured soil is placed inside the basic structure, and a desired plant is planted according to the surface of the basic structure (the surface of the cultured soil). This is proposed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In the three-dimensional flower bed of this species, a plant is grown in advance in a pot or the like, and the plant is detached from the pot and planted in a basic structure, but the root may be injured at that time.
예를 들면, 식물을 포트에서 기초구조로 옮겨 심었을 경우, 뿌리와 기초구조의 배양토 사이에 저항이 생겨 뿌리가 상하는(뿌리에 부담이 가는) 경우가 있었다. 또, 기초구조에 한정 되어진 공간에 식물을 심기 위해서, 그 식물의 뿌리를 어느 정도 제거하지 않으면 안 되는 경우가 있었다. For example, when a plant was transferred from a pot to a foundation, resistance was created between the root and the cultured soil of the foundation, which caused the root to go bad. In addition, in order to plant a plant in a space limited to the basic structure, the root of the plant has to be removed to some extent.
한편, 그러한 문제를 해결한 입체화단이, 예를 들면,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있다. 특허문헌 2의 입체화단은, 식물의 포기가 삽입되는 꽃대보관유지구와, 꽃대보관유지구가 장착되는 입체형상의 기본 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즉, 특허문헌 2의 입체화단은, 꽃대 보관유지구에 식물을 미리 이식해두고, 그 꽃대보관유지구 통째로, 입체형상의 기본 틀에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reoscopic stage which solved such a problem is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for example. The three-dimensional flower bed of patent document 2 consists of a flower frame holding | maintenance area into which abandonment of a plant is inserted, and a three-dimensional basic frame in which a flower base storage area | region is mounted.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flower bed of patent document 2 is planted beforehand in the flower bed storage area | region, and the flower stand storage area | region whole is attached to the basic frame of a three-dimensional shape.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 2001-16975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1-16975
[특허문헌2] 일본국 실개 평01-146837호 공보[Patent Document 2]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01-146837
그런데, 특허문헌 2의 입체화단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뿌리가 상하는 문제가 해결될 수도 있으나, 꽃대보관유지구의 설치에 수고가 드는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의 도 3 및 도 4에 의하면, 꽃대보관유지구는, 기본 틀에 대하여, 철사, 혹은 와이어 같은 것으로 묶어서 고정된다. 즉, 작업자는, 철사, 혹은 와이어를 이용하여, 꽃대보관유지구를 기본 틀에 대해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꽃대보관유지구의 설치는 용이하지 않고, 기본 틀에 대한 식물의 배치는 번거로운 것이었다.By the way, in the three-dimensional flower bed of patent document 2, although the problem of a bad root may be solved as mentioned above,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trouble may be taken in installation of a flower stem holding area. According to FIG. 3 and FIG. 4 of patent document 2, a flower stem holding | maintenance area | region is tied and fixed with a wire or a wire like a basic frame. That is, the worker needs to fix the flower stem holding | maintenance area | region with respect to a basic frame using a wire or a wire. For this reason, installation of a flower stem storage area | region is not easy, and arrangement | positioning of a plant with respect to a basic frame was troublesome.
또, 특허문헌 1이나 특허문헌 2의 입체화단에서는, 식물에 관수한 경우, 기초구조(기본 틀)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식물의 뿌리 부분에 보수되기 어려울 것이라고 하는 염려가 있었다. 즉, 식물의 생육을 관리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Moreover, in the three-dimensionalization stage of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에 감안한 것으로, 식물의 배치나 관리가 용이한 입체화단 장치 및 입체화단의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such a problem,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reoscopic flower bed device and a method for forming a stereoscopic flower bed, which are easy to arrange and manage pla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청구항 1 기재의 입체화단 장치는, 화분형 부재와, 기초구조체를 갖춘 것이다.The stereoscopic end device of
화분형 부재는, 본체부재와 보관유지부재를 가진다. 본체부재는, 복수개의 부품으로 분할가능하며, 그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식물을 파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있다. 보관유지부재는, 그 본체부재에 대해서 탈부착이 자유로우며, 본 체부재를,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보관 유지하는 것이다.The potted member has a main body member and a storage holding member. The main body member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holding a plant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parts are combined. The storage holding member is free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main body member, and holds the main body member in a state where a plurality of parts are combined.
기초구조체는, 소망의 입체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표면에는, 화분형 부재를 탈부착이 자유롭게 보관유지하기 위한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가 복수 형성되어있다. 그리고, 그 청구항 1의 입체화단 장치는, 기초구조체의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의 각각에, 식물을 파지하는 화분형 부재가 보관유지되는 것이다. The base structure is formed in a desired three-dimensional shape, and on the surface thereof, a plurality of flower pot-shaped member holding portions for detachably holding the flower pot-shaped member are formed. In the stereoscopic end device of
이러한 입체화단 장치에 의하면, 화분형 부재에 있어서, 소망의 식물을 용이하게 파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우선 본체부재가 분할된 상태로 하고, 그 후 식물을 파지하도록 하여 본체부재를 조합하고, 본체부재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보관유지부재에 의해 보관 유지되면, 식물이 용이하게 파지된다.According to such a stereoscopic end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hold a desired plant in the potted member. Specifically, when the main body member is first divided, and then the plant is held by combining the main body members, and the parts of the main body member are held and held by the storage holding member in a combined state, the plant is easily gripped. .
또, 기초구조체에는, 화분형 부재를 탈부착이 자유롭게 보관유지하기 위해,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식물을 파지하는 화분형 부재를, 기초구조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기초구조체에, 소망의 식물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pot-shaped member storage holding part is formed in the base structure so that the pot-shaped member can be freely attached and detached, the pot-shaped member holding the plant can be easily attached to the base structure. Therefore, a desired plant can be easily arrange | positioned to a foundation structure.
이러한 입체화단 장치에 의하면, 식물을 소망의 입체형상으로 배치하는데 수고가 들지 않는다. 따라서, 입체화단의 형성의 작업 수를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어 유리하다.According to such a stereoscopic end device, it takes no effort to arrange a plant in a desired three-dimensional shape. Therefore, the number of operations for formation of the three-dimensionalization stage can be greatly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다음으로, 이와 같은 청구항 1의 입체화단 장치에 있어서는, 청구항 2와 같이 구성하면 한층 더 좋다.Next, in such a stereoscopic end device of
청구항 2의 입체화단 장치는, 청구항 1의 입체화단 장치에 있어서, 화분형 부재는, 외부로부터 전해지는 물을 흡수하고, 그 물을, 그 화분형 부재가 파지하는 식물의 뿌리로 인도하는 흡수부재를 갖추고 있다.The stereoscopic flower bed device of Claim 2 is the stereoscopic flower bed device of
이러한 청구항 2의 입체화단 장치에서는, 외부에서 예를 들면 물을 흩어 뿌려 공급하면, 그 물이 흡수부재에 의해 흡수되어 식물의 뿌리로 인도되기 때문에, 식물의 각각에 효율적으로 확실히 물을 공급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식물 하나하나에 물을 주는 수고를 덜어주게 된다. 이 때문에, 식물을 시들게 하는 문제를 줄여준다. 따라서, 식물의 생육의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In the stereoscopic flower bed apparatus of claim 2, when water is scattered and supplied, for example, from the outside, the water is absorbed by the absorbing member and guided to the root of the plant, so that water can be efficiently and reliably supplied to each of the plants. . For example, it saves you the trouble of watering each plant. This reduces the problem of withering plants. Therefore, it is easy to manage the growth of the plant.
또한, 흡수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부직포 등을 생각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포를, 본체부재의 외부로부터 그 본체부재에서의 식물을 파지하는 부분까지 배치하고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에 의하면, 외부에서 전해진 물이 부직포에 의해 빠르게 흡수되는 동시에, 부직포를 사이에 끼워, 흡수된 물이 식물의 뿌리부분으로 빠르게 인도된다. 또한, 부직포에는 보수효과도 있기 때문에, 빈번히 물을 주어야 하는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As the absorbing member, for example, a nonwoven fabric or the like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may be disposed and provid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member to a portion of the plant holding member in the main body member. According to this, the externally delivered water is quickly absorbed by the nonwoven fabric, and the absorbed water is quickly led to the root of the plant by sandwiching the nonwoven fabric. In addition, since the nonwoven fabric also has a repair effect, the problem of frequent watering can be avoided.
또, 그 외에는, 예를 들면 스폰지형의 부재를 본체부재의 외부로부터 그 본체부재에서의 식물을 파지하는 부분까지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덧붙여 말하자면, 스폰지형의 부재에 있어서 식물을 육성하고(스폰지형의 부재 속에 뿌리를 뻗게 한다), 본체부재에 의해, 식물을 그 스폰지형의 부재 통째로 파지하도록 해도 좋다. 다음으로, 청구항 1, 2의 입체화단 장치에서는 구체적으로, 청구항 3과 같이 구성하면 좋다.In addition, for example, the sponge-like member may be arranged from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member to the portion of the body holding the plant. Incidentally, the plant may be grown in the sponge-like member (the roots are stretched in the sponge-like member), and the main body member may be used to grasp the plant as a whole. Next, the stereoscopic end device of
청구항 3의 입체화단 장치에서는,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는 소정의 깊이를 가지는 구멍 형태로 구성되고, 화분형 부재는, 구멍 형태의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 부에 심어져서 보관유지되도록 되어 있다.In the three-dimensional flower bed end device of claim 3, the potted member holding portion is formed in a hol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the potted member is planted in the potted member holding portion in the form of a hole so as to be kept.
이와 같은 청구항 3의 입체화단 장치에 의하면, 화분형 부재를 구멍형태의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에 심는 것만으로도 좋기 때문에, 식물의 배치가 보다 간단하게 처리된다. 따라서, 입체화단의 형성의 작업 수를 보다 효율적으로 줄일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three-dimensional flower bed apparatus of claim 3, since the potted member may be simply planted in the potted-shaped member storage holding part, the arrangement of the plant is more easily processed. Thus, the number of operations for forming the stereoscopic stage can be reduced more efficiently.
또, 청구항 1, 2의 입체화단 장치에서는, 청구항 4와 같이 구성해도 좋다.In the stereoscopic end device of
청구항 4의 입체화단 장치는, 청구항 1, 2의 입체화단 장치에 있어서,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는, 평행한 두개의 레일부재를 갖추고, 본체부재는, 식물을 파지하는 동체부가 레일부재의 궤간보다도 폭이 좁게 구성되는 반면, 그 궤간보다도 폭이 넓게 구성된 상판부를 그 동체부의 상부에 가지고, 화분형 부재는, 상판부에 있어서의 동체부 측의 면이 레일부재 상에 재치됨으로써 보관유지할 수 있다.The stereoscopic end device of Claim 4 is the stereoscopic end device of
이와 같은 입체화단 장치에 의하면, 본체부재의 동체부가 레일부재보다도 폭이 좁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본체부재의 동체부를, 레일부재의 내측에 간단하게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재는, 레일부재의 궤간보다도 폭이 넓은 상판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상판부를 레일부재 상에 재치하는 것만으로, 화분형 부재를 기초구조체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판부를 레일부재 상에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화분형 부재의 이동도 매우 간단한 것으로 된다.According to such a stereoscopic end device, since the body portion of the body member is configured to have a smaller width than the rail member, the body portion of the body member can be easily disposed inside the rail member. And since the main body member has an upper plate portion that is wider than the gap between the rails of the rail member, the pot member can be disposed on the base structure by simply placing the upper plate portion on the rail member. In addition, by moving the upper plate portion on the rail member, the movement of the potted member is also very simple.
이와 같이 청구항 4의 구성에 의하면, 화분형 부재를 소망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한층 더 용이하게 된다. 즉, 입체화단의 형성이 보다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입체화단의 형성의 작업 수를 삭감할 수 있다.Thu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Claim 4, it becomes much easier to arrange | position a potted member to a desired position. That is, formation of a stereoscopic stage becomes simpler. Therefore, the number of operations of formation of a stereoscopic stage can be reduced.
다음으로, 청구항 5의 발명은, 복수개의 부품으로 분할 가능하며, 그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에서 식물을 파지 가능한 본체부재와, 그 본체부재에 대하여 탈부착이 자유로우며, 본체부재를,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보관유지하기 위한 보관유지부재와, 본체부재의 저부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내지 복수의 꼬치형 부재를 가지는 화분형 부재와, 소망의 입체형상으로 형성된 기초구조체를 갖추며, 기초구조체의 표면에 식물을 파지하는 화분형 부재가 꼬치형 부재를 사이에 끼워 고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단 장치이다.Next, the invention of claim 5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he main body member capable of holding a plant in a state where the plurality of parts are combine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member, and a plurality of main body members. It has a storage holding member for holding and holding parts in a combined state, a potted member having one to a plurality of skewer-shaped members projecting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body member, and a basic structure formed in a desired three-dimensional shape. It is a stereoscopic st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tted member holding the plant on the surface of the structure is fixed by sandwiching a skewered member therebetween.
이러한 입체화단 장치에서는, 예를 들면 작업자는, 화분형 부재가 갖추는 꼬치형 부재를 기초구조체에 꿰어 찌름으로써, 화분형 부재를 기초구조체에 용이하게 고정(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식물을 소망의 입체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에 수고가 들지 않고, 입체화단 형성의 작업 수를 삭감할 수 있다.In such a stereoscopic end device, for example, the worker can easily fix (arrange) the pot-shaped member to the base structure by stitching the skewer-shaped member provided in the pot-shaped member to the base structure. For this reason, arranging a plant in a desired three-dimensional shape does not take effort, and can reduce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ree-dimensional flower bed formation.
다음으로, 청구항 6의 발명은, 복수개의 부품으로 분할 가능하며, 그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식물을 파지 가능한 본체부재와, 그 본체부재에 대해서 탈부착이 자유로우며, 본체부재를, 복수개의 부품이 조합된 상태로 보관 유지하기 위한 보관유지부재를 가지는 화분형 부재로 소망의 식물을 파지시켜, 소망의 입체형상의 기초구조체를 형성하는 동시에, 그 기초구조체의 표면에 화분형 부재를 보관유지 가능한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를 복수 형성하여, 기초구조체의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부의 각각에, 식물을 파지한 화분형 부재를 보관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화단의 형성방법이다.Next, the invention of claim 6 can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and a main body member capable of holding a plant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parts are combined, detachable from the main body member, and a plurality of main body members. A potted member having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and holding parts in a combined state can hold a desired plant to form a desired three-dimensional foundation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can hold and hold the potted member on the surface of the foundation structure. A method of forming a three-dimensional flower bed comprising: forming a plurality of pot-shaped member holding portions, and holding potted members holding the plants in each of the pot-shaped member holding portions of the base structure.
이러한 입체화단의 형성방법에 의하면, 청구항 1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rmation method of such a stereoscopic stage, the effect similar to the effect of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based on drawing.
[제 1실시형태][First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화단 장치(1)의 모식도(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실제 입체화단 장치(1)의 사진을 도 13에 나타낸다.FIG. 1: is a figure which shows the schematic diagram (an example) of the
입체화단 장치(1)는, 기초구조체(10)(도 2 참조)와, 화분형 부재(20)(도 3~9참조)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화분형 부재(20)에 의해 식물이 파지되고, 식물을 파지한 그 화분형 부재(20)가 기초구조체(10)에 심어짐으로써, 입체형상의 화단이 형성된다(도 13 참조).The
도 2에 나타내는 기초구조체(10)는, 예를 들면, 소망의 입체형상으로 형성된 발포체(예를 들면 발포 스티로폴)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하나 내지 복수개의 심선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형성된다. 이 수법은, 입체형상의 전체 크기가 비교적 작은 경우(예를 들면 높이 1.5m미만 정도)에 이용할 수 있다.The
또한, 금속 등에 의해 소망의 입체형상의 골격을 형성하고, 골격 사이를 발포체(발포 스티로폴)로 채움으로써, 기초구조체(10)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발포체만으로 입체형상을 형성하고 심선으로 지지하는 전술의 방법과 비교하여, 전체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 수법은, 입체형상의 전체 크기가 비교적 큰 경우(예를 들면, 높이 1.5m이상)에 이용하면 좋다.In addition, the
기초구조체(10)의 표면(예를 들면 발포체의 표면)에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분형 부재(20)가 심어지기 위한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구멍(11)이, 그 표면에 깔아 채워지도록 하여 복수 형성된다.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구멍(11)은, 그 구멍의 깊이가 적어도 화분형 부재(20)(상세하게는 후에 설명한다)가 들어가는 깊이가 되도록 구성된다.On the surface (for example, the surface of the foam) of the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기초구조체(10)의 형상은, 일례이며, 기초구조체(10)는, 소망의 입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화분형 부재(20)에 대해서, 도 3~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the shape of the
도 3은 화분형 부재(20)의 사시도, 도 4는 화분형 부재(20)의 정면도(N사시도), 도 5는 화분형 부재(20)의 측면도(M시시도), 도 6은 화분형 부재(20)의 저면도(L시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tted
화분형 부재(20)는, 본체부재(30)(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도 7 참조)와, 보관유지부재(50)(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도 8참조)와, 고정핀(70)(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도 9 참조)을 갖추고 있다.The
도 7은 본체부재(30)의 상세도(보다 구체적으로는, 본체부재(30)를 구성하는 부품 a, b의 상세도), 도 8은 보관유지부재(50)의 상세도, 도 9는 고정핀(70)의 상세도이다.FIG. 7 is a detailed view of the main body member 30 (more specifically, details of the parts a and b constituting the main body member 30), FIG. 8 is a detailed view of the
먼저, 본체부재(30)를 주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본체부재(30)에 있어서 점점 끝이 가늘어지게 되는 부분(도 3에서의 좌측)을 하측으로 하여, 그 반대측(도 3에서의 우측)을 상측으로 한다. 또, 본체부재(30)는, 서로 같은 형상을 가지는 부품(30a)와 부품(30b)을 조합하여 이루어진 것이지만(바꾸어 말하면, 본체부재(30)는, 부품(30a), 부품(30b)으로 분할 가능하다), 이하, 부품(30a)(30b)을 조합한 상태의 본체부재(30)에 대해서 설명한다.First, the
본체부재(30)는, 식물을 파지하기 위해(구체적으로, 식물의 뿌리 부분을 파지하기 위해) 동체부(48)를 가진다(예를 들면 도 4, 5 참조).The
동체부(48)는, 식물의 뿌리부분을 받아들이기 위한 공간을 가지도록, 대략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동체부(48)의 상측의 직경과 하측의 직경에서는, 하측의 직경 쪽이 약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그리고, 동체부(48)의 측벽(37)에는, 개구(37a)가 복수(구체적으로, 4개) 설치되어 있다(도 3~5, 7 참조). 개구(37a)는, 동체부(48)의 길이방향으로 가늘고 긴 받침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7a)는,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구의 역할이나 배수가 잘 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A plurality of (specifically, four)
또, 동체부(48)의 측벽(37) 중에, 37b에 나타내는 부분(예를 들면 도 3 참조)보다도 두껍게 구성되어 있으며, 그 두꺼운 부분만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이하, 37b에 나타내는 부분을 두꺼운 벽(37b)이라 기재한다. 두꺼운 벽(37b)은, 측벽(37)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2개소에 설치되어 있다.Moreover, in the
상기 두꺼운 벽(37b)은, 동체부(48)의 길이 방향으로 길쭉한 장방형상을 가진다(도 3, 7 참조). 또, 두꺼운 벽(37b)은, 개구(37a)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개구(37a)가 두꺼운 벽(37b)의 양측에 위치하도록 장착되어 있다.The
동체부(48) 위쪽에는, 원통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보관유지부재(50)를 끼워 넣기 위해 U자모양의 홈(이하,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이라 한다)(33)이 형성되어 있다(도 7참조). 또한, 전술한 두꺼운 벽(37b)은,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까지 늘어져 있으며, 그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과 겹치는 부분에서 홈을 채울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도 7 참조).Above the
또, 동체부(48)의 아래쪽에는, 원통형상의 원주방향을 따라 고정핀(70)을 끼워 넣기 위해 U자모양의 홈(이하, '고정핀용 U자 홈'이라 한다.)(34)가 형성되어 있다(도 7참조). 또한, 전술의 두꺼운 벽(37b)은 고정핀용 U자 홈(34)까지 늘어져 있지 않고, 고정핀용 U자 홈(34)은 전체 둘레에 따라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다(도 7참조).In addition, a U-shaped groov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fixing pin U groove') 34 is formed below the
다음으로, 동체부(48)의 위쪽에는, 그 동체부(48)와 일체적으로, 박판형의 천판(31)이 형성되어 있다(도 3~7참조).Next, a thin plate-like
천판(31)은, 외형이 정육각형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적어도, 평행한 대변의 폭이 동체부(48)의 외경(직경)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천판(31)의 중심영역에는, 동체부(48)의 공간과 연결되는 원형의 개구(36)가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7참조).The
또, 천판(31)과 동체부(48)와의 사이(천판(31)과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과의 사이)에는,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과 서로 이웃하도록 해서 U자모양의 홈 (32)이 형성되어 있다(도 3~4, 7 참조). 이하, 이 U자 모양의 홈(32)의 것을 홈(32)이라 기재한다.Further, between the
홈(32)의 도중에는, 같은 간격으로 2곳에, 길고 가느다란 개구(32a)가 장착되어 있다(도 3, 5, 7 참조). 구체적으로, 개구(32a)는, 홈(32) 중, 전술의 두꺼운벽(37b)의 위쪽 부분에 장착되어 있다. 이 개구(32a)를 사이에서 동체부(48)의 내부 공간과 외부가 연결하여 통한다.In the middle of the
다음으로, 저부(49)는, 하측으로 향해 점차 끝이 가늘어지며,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대략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7 참조). 저부(49)의 측벽(39)에는, 하측으로 향해 점차 끝이 가늘어지는 이등변 삼각형 모양의 개구(39a)가 복수(구체적으로 4개) 설치되어 있다. 개구(39a)는, 전술한 개구(37a)와 마찬가지로, 식물의 뿌리가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기구의 역할이나 배수를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Next, the bottom 49 is gradually tapered downward, and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onical shape having a space therein (see FIGS. 3 to 7). The
또, 측벽(39)에는, 그 측벽(39)에서 돌출하도록, 돌출부재(35)가 복수(구체적으로, 4개) 만들어져 있다. 돌출부재(35)는, 저부(49)의 하단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점차 돌출량이 커지도록, 또 하단에서 상측으로 향하여 길고 가느다랗게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부재(35)는, 측벽(39)에 있어서, 개구(39a)끼리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등간격으로 4곳에 설치되어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specifically four) of protruding
상기 돌출부재(35)는, 화분형 부재(20)를 기초구조체(10)의 화분형 부재보관유지구멍(11)에 매립할 때, 이탈 방지용의 스토퍼 기능을 한다.The protruding
다음으로, 보관유지부재(50)에 대해서, 도 3~6,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보관유지부재(50)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8참조). 그리고, 보관유지부재(50)는, 그 보관유지부재(50)의 개구부(54)에 본체부재(30)의 동체부(48)가 삽입 관통되도록 하여, 동체부(48)의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에 끼워 넣어진다. 보관유지부재(50)를 구성하는 테두리(51)의 내측 면은,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과 대응하도록, 원호모양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관유지부재(50)를 구성하는 테두리(51)의 좌우방향(도 8에서 좌우방향)에는, 외측으로 약간 돌출한 돌출부(52)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52)의 내측(내경측)에는, 테두리(51)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움푹 들어간 홈(53)이 형성되어있다. 홈(53)은, 본체부재(30)의 측벽(37)의 두꺼운 벽(37b)과 맞추어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보관유지부재(50)가 본체부재(30)에 장착될 때에, 본체부재(30)의 두꺼운 벽(37b)과 보관유지부재(50)의 홈(53)이 맞아 서로 대응 이동하도록 하여, 양자(보관유지부재(50) 및 본체부재(30))가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As shown in FIG. 8, the
다음으로, 고정핀(70)에 대해서, 도 3~6,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Next, the fixing
고정핀(70)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도 9 참조). 그리고, 고정핀(70)은, 그 고정핀(70)에 있어서의 개구부(73)에 본체부재(30)의 저부(49)가 삽입 관통되도록 하고, 동체부(48)의 고정핀용 U자 홈(34)에 끼워 넣어 진다. 고정핀(70)을 구성하는 테두리(71)의 내측 면은, 고정핀용 U자 홈(34)과 맞추도록, 원호모양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fixing
그리고, 고정핀(70)을 구성하는 테두리(71)에 있어서는, 등간격으로 4곳에, 그 테두리(71)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재(72)가 장착되어 있다. And in the
돌출부재(72)는, 도 9에 있어서의 평면도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 모양을 가진다.The protruding
또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길이 방향의 둘레는 원호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돌출부재(72) 중에 고정핀(70)의 테두리(71)와 접하는 부분의 둘레는, 그 테두리(71)의 원호를 따라 형성되기 때문에 원호모양으로 되어 있다. 또, 돌출부재(72) 중, 고정핀(70)의 테두리(71)와 접하는 둘레에 대향하는 주변도, 소정의 직경을 가지는 원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으며, 원호 모양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when it demonstrates in more detail, the perimeter of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mprised in circular arc shape. That is, the circumference | surroundings of the part which contact | connects the
또, 도 9에 있어서의 측면도 혹은 A-A단면도를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돌출부재(72)의 측단면은 점차 끝이 가늘어지는 삼각형 모양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s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the side view or the A-A cross-sectional view in FIG. 9, the side cross section of the protruding
이 돌출부재(72)는, 화분형 부재(20)를 기초구조체(10)의 화분형 부재보관유지구멍(11)에 끼워 넣은 경우에, 이탈 방지용의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한다.The protruding
이러한 제 1실시형태의 입체화단 장치를 갖춘 입체화단의 형성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행위의 주체는, 소정의 작업자이다.A method for forming a stereoscopic stage provided with the stereoscopic stage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addition, the subject of the following actions is a predetermined worker.
우선, 소망의 식물의 뿌리 부분을, 본체부재(30)의 공간에 배치하고, 식물을 그 본체부재에 의해 파지한다. 본체부재(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부품 a, b로 분할 가능하며, 부품 a, b를 분할한 상태에서 어느 쪽이든 한쪽에 식물을 배치하고, 그 후, 브품 a, b를 조합함으로써, 본체부재(30)에 용이하게 식물을 파지할 수 있다. 부품 a, b를 조합한 후는, 본체부재(30)에 보관유지부재(50) 및 고정핀(70)을 장착함으로써, 부품 a, b가 분리하지 않도록 보관유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품 a, b가 분리함으로써 식물이 낙하한다고 하는 사태가 방지된다.First, the root part of a desired plant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space of the
또한, 실제로는, 예를 들면 식물의 모종을, 본체부재(30)의 공간부분에 흙이 나 발포체 통째로 심고, 화분형 부재(20)에서 식물을 키우도록 하면 좋다. 한편, 식물을 다른 포트 등에서 키워, 어느 정도 성장한 식물을 그 포트에서 떼어 내어, 본체부재(30)에 옮겨 심어도 좋다.In addition, for example, seedlings of plants may be planted entirely in soil or foam in the space portion of the
그리고, 소망의 식물을 파지한 화분형 부재(20)를 필요한 양만큼 준비하여, 그 화분형 부재(20)를, 기초구조체(10)에 장착된 화분형 부재보관유지구멍(11)에 심는다.Then, the potted
이것에 의해, 기초구조체(10)의 표면이 식물(식물을 파지한 화분형 부재(20))로 덮여지며, 입체화단이 완성되게 된다(도 13 참조).As a result, the surface of the
이러한 본 제 1실시형태의 입체화단 장치(1)에 의하면, 소망의 식물을 파지한 화분형 부재(20)를 기초구조체(10)의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구멍(11)에 심는 것만으로도, 간단하며 확실한 입체화단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화분형 부재(20)에서 식물을 모종의 상태에서 키우면 키울수록 예를 들면 다른 포트 등에서 성장시킨 식물을 화분형 부재(20)로 옮겨 심을 필요도 없이 간단한 동시에, 옮겨 심음으로써 뿌리에 부담이 가게 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때문에, 식물에게로의 피해를 경감할 수 있으며, 식물이 시들어버릴 수 있는 가능성도 저감할 수 있으므로, 그 후의 식물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stereoscopic
[제 2실시형태]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제 2실시형태의 입체화단 장치(1)에 대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the
제 2실시형태에서는, 제 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화분형 부재(20)가, 도 10(a)에 나타내는 도수부재(90)를 갖추고 있는 점이 상이하다. 도수부재(90)는, 부직포로 구성된다. 또한, 도 10(b)에는, 도수부재(90)가 배치되어 설치된 화분형 부재(2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In the second embodiment, the potted
도수부재(90)는, 식물과 본체부재(3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이며,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항아리 모양의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수부재 90은, 화분형 부재 20(본체부재 30)에 있어서, 동체부 48이 형성되는 원통모양의 공간 및 저부(49)가 형성하는 원추 모양의 공간에 연속적으로 들어가는 것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The frequency-
도수부재(90)의 상측(상단)에는,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날개(91)가 설치되어 있다. 날개(91)는, 장방형상을 가지고, 도수부재(90)의 상단의 외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On the upper side (upper end) of the powering
그리고,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수부재(90)는, 화분형 부재(20)(본체부재(30))가 식물을 파지하기 위해 가지는 공간에 들어가서 사용된다. 이 때, 그 도수부재(90)는, 본체부재(30)의 개구(32a)로 날개(91)가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자리잡고 있다.And as shown in FIG.10 (b), the
이러한 도수부재(90)가 배치되어 설치된 화분형 부재(20)를 입체화단 장치(1)에 이용한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 할 수 있다.When the pot-shaped
구체적으로, 외부에서 물을 주면, 도수부재(90)의 날개(91)로부터 그 물이 흡수되고, 흡수된 물은, 도수부재(90) 전체로 침투한다. 즉, 날개(91)로부터 식물 의 뿌리 부분에 물이 유도되게 된다. 이 때문에, 식물의 뿌리 부분에 간단하고 확실히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도수부재(90)에는 보수효과도 있기 때문에, 건조를 방지하거나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식물의 관리와 육성이 용이하게 된다.Specifically, when water is watered from the outside, the water is absorbed from the
[제 3실시형태]Third Embodiment
다음으로, 제 3실시형태의 입체화단 장치(1)에 대해서,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실시형태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Next, the
제 3실시형태에서는, 제 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화분형 부재(20)에 있어서, 고정핀(70)(예를 들면 도 9참조)을 대신하여, 도 11(a)에 나타내는 고정핀(95)이 이용되는 것이 상이하다. 또한, 도 11(b)에는, 고정핀(95)이 장착된 화분형 부재 (2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In the third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otted
고정핀(95)은, 도 11(a),(b)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형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측 면은,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과 맞추어 넣을 수 있도록 원호모양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s. 11 (a) and 11 (b), the fixing
또, 고정핀(95)은, 그 고정핀(95)을 구성하는 테두리체로부터 외부로 향해 끝이 가늘게 돌출하는 꼬치형 부재(96)를 복수로 갖추고 있다. 구체적으로, 꼬치형 부재(96)는, 고정핀(95)의 테두리체의 직경방향으로 수직방향(면s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고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그리고, 도 1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핀(95)은, 꼬치형 부재(96)가 화분형 부재(20)(본체부재(30))의 하측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본체부재(30)에 장착 된다. 또한, 고정핀(95)은, 그 고정핀(95)이 본체부재(30)에 장착된 상태로, 꼬치형 부재(96)가 그 본체부재(30)의 하단(저부(49)의 하단)보다도 하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1B, the fixing
이러한 고정핀(95)을 이용하면, 기초구조체(10)에 있어서,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구멍(11)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게 된다. 왜냐하면, 꼬치형 부재(96)를 기초구조체(10)에 찔러 넣음으로써, 화분형 부재(20)를 기초구조체(10)에 대해 고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If such a
이 때문에, 기초구조체(10)에 대하여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구멍(11)을 설치하지 않아도 좋으며, 입체화단의 형성의 작업 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고정핀(95) 자체는, 공업적으로 간단함과 동시에 대량으로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다.For this reas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the potted
[제 4실시형태]Fourth Embodiment
다음으로, 제 4실시형태의 입체화단장치(1)에 대하여,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제 1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Next, the
제 4실시형태에서는, 제 1실시형태와 비교하여, 화분형 부재(20)에 있어서, 고정핀 70(예를 들면, 도 9참조)을 대신하여, 도 12(a)에 나타내는 고정핀(97)이 이용되는 점이 상이하다. 또한, 도 12(b)에는, 고정핀(97)이 장착된 화분형 부재(2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In the fourth embodiment, 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in the pot-shaped
고정핀(97)은, 도 12 (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측 면은, 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33)과 맞추어 넣을 수 있도록 원호 모양으로 돌출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핀(97)은, 제 1실시형태의 고정핀(70)과 상이하며, 돌출부재 등은 설치되어 있지 않고, 고리모양의 테두리체만으로 구성된다. The fixing
이와 같은 고정핀(97)의 경우, 예를 들면 제 1실시형태의 고정핀(70)과 비교하여 생산이 용이하게 되며,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입체화단 장치(1) 전체의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e case of such a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다. As mentioned above, although one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was described,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mbodiment, A various form can be taken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is invention.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식물을 배치하고 싶은 개소에, 서로 평행한 두개의 레일부재를 설치하고, 그 레일부재 상에, 화분형 부재(20)를 재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구체적으로, 두개의 레일 부재와 본체부재(30)에 있어서의 홈(32)이 맞추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좋다. 두개의 레일 부재와 본체부재(30)에 있어서의 홈(32)이 맞추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으로, 화분형 부재(20)가 두개의 레일부재의 사이에 보관유지 되도록 된다. 즉, 이러한 방법에 의해서도, 화분형 부재(20)를 소망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게 된다. 혹은, 화분형 부재(20)의 배치장소에 따라서 천판(31)이 레일부재상에 재치되는 것만으로 구성해도 좋다.For example, in the said embodiment, you may comprise so that the two rail members parallel to each other may be provided in the place where a plant is to be arrange | positioned, and the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고정핀(70)(95)(97)을 이용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본체부재(30)는, 적어도 보관유지부재(50)에 의해, 부품 a, b가 조합된 상태에서 보관유지되기 때문이다. 고정핀(70)(95)(97)을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면, 그 만큼 생산비를 절감 할 수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fixing pins 70, 95 and 97 may not be used. This is because the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초구조체(10)에는, 화분형 부재(20)를 심기 위한 화분형 부재 보관유지구멍(11)이 설치되어 있지만, 화분형 부재(20)를 보관유지 가능하다면, 구멍에 한하지 않고, 어떠한 구성을 갖추어도 좋다.In addition, in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 although the pot-shaped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초구조체(10)의 표면을, 예를 들면, FRP(섬유강화 플라스틱)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플레이트에 관통구멍을 설치하여, 그 관통구멍에 화분형 부재(20)가 끼워 넣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플레이트의 재질은 FRP에 한하지 않고, 어떠한 재질을 사용해도 좋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풍이나 배수개선의 역할을 완수하는 것이면, 개구(37a)(39a)의 갯수나 형상은 상관없다.In addition, in the above embodiment, the number and shape of the
또, 상기의 제 2실시형태에 있어서, 도수부재(90)의 소재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흡수 가능한 것이라면, 부직포 이외의 어떠한 소재를 이용해도 좋다. 게다가, 외부에서 식물의 뿌리 부분에 도수가 가능한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을 갖추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수부재(90)를 갖추는 대신에, 외부에서 식물의 뿌리 부분에 도수하는 도수로를 설치하여도 좋다.In addition, in said 2nd Embodiment, the raw material of the frequency-
도 1은 본 발명의 입체화단(입체화단 장치(1))의 모식도이다.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stereoscopic stage (stereoscopic stage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기초구조체(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도 3은 화분형 부재(20)의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tted
도 4는 화분형 부재(20)의 정면도이다.4 is a front view of the potted
도 5는 화분형 부재(20)의 측면도이다.5 is a side view of the potted
도 6은 화분형 부재(20)의 저면도이다.6 is a bottom view of the potted
도 7은 본체부재(30)의 상세도이다.7 is a detailed view of the
도 8은 보관유지부재(50)의 상세도이다.8 is a detailed view of the
도 9는 고정핀(70)의 상세도이다.9 is a detailed view of the fixing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의 화분형 부재(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0: is a figure which shows the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의 화분형 부재(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the pott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의 화분형 부재(2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2 is a view showing the potted
도 13은 본 발명의 입체화단 장치(1)의 도면(사진)이다.13 is a view (photograph) of the
< 도면의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the Codes in Drawings>
1…입체화단 장치, 10…기초구조체, 11…화분형 부재보관유지구멍, 20…화분형 부재, 30…본체부재, 30a, 30b…부품, 31…천판, 32…홈, 32a…개구, 33…보관유지부재용 U자 홈, 34…고정핀용 U자 홈, 35…돌출부재, 36…개구, 37…측벽, 37a…개구, 37b…두꺼운 벽, 39…측벽, 39a…개구, 48…동체부, 49…저부, 50…보관유지부재, 51…테두리, 52…돌출부, 53…홈, 54…개구부, 70…및 고정핀, 70…고정 핀, 71…테두리, 72…돌출부재, 73…개구부, 90…부직포, 95…고정핀, 96…꼬치형 부재, 97…고정핀.One… Stereoscopic end device, 10... Foundation structure, 11... Potted member holding hole, 20... Potted member, 30...
Claims (7)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49558 | 2008-06-06 | ||
JP2008149558A JP2009291147A (en) | 2008-06-06 | 2008-06-06 | Three-dimensional flower bed device and method for forming three-dimensional flower be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7214A KR20090127214A (en) | 2009-12-10 |
KR100971227B1 true KR100971227B1 (en) | 2010-07-20 |
Family
ID=41539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27511A KR100971227B1 (en) | 2008-06-06 | 2009-03-31 | Apparatus of cubic flower bed,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009291147A (en) |
KR (1) | KR10097122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5494015B (en) * | 2015-12-31 | 2018-04-20 | 辛集市美人榆农副产品有限公司 | It is a kind of to climb the removable liana art shapes method of skeleton cultivation with prefabricated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75143U (en) * | 1986-11-05 | 1988-05-19 | ||
KR20040017456A (en) * | 2002-08-21 | 2004-02-27 | 하현영 | Four seasons flower tower having pot grove for planting flower pot |
JP2006034114A (en) * | 2004-07-22 | 2006-02-09 | Takami Ito | Three-dimensional flower bed-forming base frame |
US20060150477A1 (en) | 2005-01-12 | 2006-07-13 | Mayer Brian J | System for the care and protection of plants with roots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4880334A (en) * | 1972-02-08 | 1973-10-27 | ||
JPS63116045U (en) * | 1987-01-22 | 1988-07-26 | ||
JPH0420198Y2 (en) * | 1987-05-27 | 1992-05-08 | ||
JPH0332774U (en) * | 1989-08-09 | 1991-03-29 | ||
JP4022484B2 (en) * | 2003-02-26 | 2007-12-19 | 丸和バイオケミカル株式会社 | Nursery pot |
-
2008
- 2008-06-06 JP JP2008149558A patent/JP2009291147A/en active Pending
-
2009
- 2009-03-31 KR KR1020090027511A patent/KR100971227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75143U (en) * | 1986-11-05 | 1988-05-19 | ||
KR20040017456A (en) * | 2002-08-21 | 2004-02-27 | 하현영 | Four seasons flower tower having pot grove for planting flower pot |
JP2006034114A (en) * | 2004-07-22 | 2006-02-09 | Takami Ito | Three-dimensional flower bed-forming base frame |
US20060150477A1 (en) | 2005-01-12 | 2006-07-13 | Mayer Brian J | System for the care and protection of plants with roo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09291147A (en) | 2009-12-17 |
KR20090127214A (en) | 2009-12-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79263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ing in arid environments | |
KR20130134662A (en) | Continuous water supply available flowerbeds | |
KR101103585B1 (en) |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 |
JP3076904B2 (en) | Cultivation method and cultivation apparatus for potted ornamental plants and dendritic plants | |
KR100971227B1 (en) | Apparatus of cubic flower bed, and method of formation thereof | |
US6581329B1 (en) | Device for promoting growth from seed to plant | |
KR101669621B1 (en) |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 |
CN103141326B (en) | Breathable plant cultivation container | |
KR101594419B1 (en) | Gabion type planting structure | |
CN203152106U (en) | Air-permeable plant cultivating container | |
KR101313866B1 (en) | System planting pot | |
JP3689352B2 (en) | Auxiliary equipment for cultivation containers | |
JP6460942B2 (en) | Tree planting device and method for installing planting device | |
KR102377902B1 (en) | A self watering flowerpot | |
KR101014627B1 (en) | Flowerpot | |
CN206024752U (en) | Rich and honored bamboo breeding device | |
KR101653557B1 (en) | Bio-degradable sub-irrigation plant container on sterile land | |
KR100931643B1 (en) | Compressed molding vegetal coir box | |
KR20160035429A (en) | The fixing holder for flowerpot | |
US20080236039A1 (en) | Plant growing container with internal water reservoir | |
KR101470925B1 (en) | Cultivation methods of Plants using spagnum | |
KR102411454B1 (en) | Plant Cultivation Apparatus with Isolation Member | |
KR101416587B1 (en) | Apparatus for cultivating plant at high position | |
KR101392111B1 (en) | Water supply apparatus for flowerpot | |
KR101418477B1 (en) | Apparatus for plant using wasted tire of airpla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