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196B1 -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 Google Patents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196B1
KR100971196B1 KR1020030032041A KR20030032041A KR100971196B1 KR 100971196 B1 KR100971196 B1 KR 100971196B1 KR 1020030032041 A KR1020030032041 A KR 1020030032041A KR 20030032041 A KR20030032041 A KR 20030032041A KR 100971196 B1 KR100971196 B1 KR 100971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blade
inlet ring
air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2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9907A (ko
Inventor
황동우
김민수
이동원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32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196B1/ko
Publication of KR20040099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9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means of rotor construction or layout, e.g. unequal distribution of blades or v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에 관한 것으로, 공기의 유입시 와류에 의한 소음을 방지하고, 풍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은, 상부에 내/외기 유입구(11,12)가 그리고, 측부에는 송풍구가 각각 형성된 스크롤 형상의 송풍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송풍기 케이스 내부를 유입실(13)과 송풍실(14)로 구획하며, 그 저부에는 상기 송풍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40)의 블레이드(41)의 상단 내/외측 일부분을 감싸는 제1 및 제2가이드부(23,24)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인렛링의 제1 및 제2가이드부가 송풍팬의 블레이드들의 상단 내/외측을 감싸기 때문에 유입 공기가 블레이드와 인렛링 사이로 유입되지 않고, 블레이드들의 사이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팬의 안쪽으로 역류되지 않는다.
송풍장치, 블로어, 인렛링, 가이드

Description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INLET RING FOR VEHICLE BLOWER UNIT}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장치의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풍기 케이스, 13 : 유입실
14 : 송풍실, 20 : 인렛링
21 : 벨마우스, 22 : 수평부
23,24 : 가이드부, 40 : 송풍팬
41 : 블레이드,
본 발명은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의 유입시 소음을 저감하고, 풍량의 손실을 막을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자동차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자동차의 실내로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방하거나 난방하는 장치로서, 이 장치에는 자동차 실내외 공기를 도입하여 자동차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통상 자동차 공조장치용 송풍장치로는, 원통형 팬이 회전하면서 일으키는 원심방향의 공기유동으로 자동차 실내외 공기를 도입한 후, 이 공기를 냉,난방용 열교환기를 거쳐 차내로 송풍하는 원심식 송풍기가 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송풍장치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장치는, 상부에 내/외기 유입구(11,12)가 그리고, 측부에는 송풍구(미도시)가 각각 형성된 스크롤 형상의 송풍기 케이스(10)와, 상기 송풍기 케이스(1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이 내부를 유입실(13)과 송풍실(14)로 구분하기 위한 인렛링(20)과, 송풍기 케이스(10)의 내부에 내/외기 유입구(11,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내/외기 전환도어(30)와, 송풍기 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며 원주방향에 다수의 블레이드(41)가 구비된 원심식 송풍팬(40)과, 그리고, 송풍팬(40)을 구동하는 모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송풍장치는, 송풍팬(40)이 모터(5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자동차 실내/외기를 흡입하여 원심방향으로 유동시킴으로써 열교환기측으로 송풍한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송풍팬(40)의 회전력에 의해 공기가 벨마우스(21)를 통해 송풍팬(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송풍팬(40)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블레이드(41)들 사이의 공기유로를 통과한 후, 송풍구를 통하여 열교환기측으로 토출된다.
인렛링(20)은 내부에 벨마우스(21)를 갖는 환형으로 이루어져 송풍기 케이스(10)에 횡방향으로 설치됨으로서 송풍기 케이스(10)를 유입실(13)과 송풍실(14)로 구분하면서 공기가 유입실(13)에서 송풍실(14)로 원활히 유입되도록 안내하고, 송풍실(14)에 유입된 공기가 유입실(13)로 역류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통해 인렛링(20)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도 2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블레이드(41)의 상단이 내경측이 낮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경우 인렛링(20)은 블레이드(41)와 일정 간격을 두고 블레이드(41)와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때, 인렛링(20)의 내경측 단부는 블레이드(41)의 형상을 따라 수직 수평으로 절곡되어 블레이드(41)와 인렛링(20)의 내주연 사이에는 수평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인렛링(20)은 공기의 원활한 유입 및 역류방지만을 목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그 구조상 인렛링(20)과 블레이드(41)의 사이의 간격이 수평을 향하여 개구되어 송풍실(14)에 유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블레이드(41)의 상단과 인렛링(20)의 사이 간격으로 쉽게 유입될 수 있으며, 이 간격 내에서 와류가 발생됨에 따라 이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고, 공기 손실에 따른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공기를 원활하게 유입하는 한편 유입된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면서 공기의 유입시 소음을 저감하고, 풍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은, 자동차 송풍장치용 케이스에 설치되어 이 케이스 내부를 유입실과 송풍실로 구획하며, 원주방향에 다수의 블레이드가 구비된 원심식 송풍팬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에 있어서,
상기 인렛링은 그 내경측 단부에 상기 블레이드들의 내경측 벽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이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렛링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외경측 벽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는 제2가이드부가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는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인렛링의 제1가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측벽을 감싸 그 단부와 블레이드의 사이에 하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 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에서 사용된 부호와 동일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20)은, 내부에 벨마우스(21)를 갖는 환형으로 이루어지며, 자동차 송풍장치용 케이스(10) 내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어 송풍기 케이스(10) 내부를 상측의 유입실(13)과 하측의 송풍실(14)로 구분하고, 송풍기 케이스(10) 내부에 설치되는 송풍팬(40)의 블레이드(41) 상측에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면서 블레이드(41)들의 상단 내/외측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20)은, 블레이드(41)의 상측에 블레이드(41)의 상단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22), 이 수평부(22)의 내경측 단부에서 블레이드(41)의 내측벽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23) 및 이 수평부(22)의 도중 저면에서 블레이드(41)의 외측벽 상단 일부분을 일정간격을 두고 감싸도록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및 제2가이드부(23,24)는 블레이드(41)의 배열을 따라 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블레이드(41)과 인렛링(20)은 블레이드(41) 상단부와 인렛링(20) 수평부(22) 사이 간극(t)과 블레이드(41) 측면과 인렛링(20)의 제1가이드(23) 사이의 간극(t)이 동일한 간극을 유지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2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하고 설명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블레이드의 형상에 따라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는 것이다.
즉, 블레이드(41)의 상단이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 인렛링(20)의 제1가이드부(23)는 블레이드(41)의 형상을 따라 계단형으로 절곡되면서 하단부는 블레이드(41)의 내측 벽면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블레이드(41)의 상단보다 하측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인렛링(20)의 제1가이드부(23)와 블레이드(41) 사이의 개구부는 하측을 향해 개구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송풍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송풍팬(40)이 모터(50)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이 회전력에 의해 공기가 벨 마우스(21)를 통해 송풍팬(40)의 축방향으로 유입되면서 원심력에 의해 송풍팬(40)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된 블레이드(41)들 사이의 공기유로를 통과한 후, 송풍구를 통하여 열교환기측으로 토출된다.
유입실(13) 내의 공기는 송풍팬의 회전력에 의해 송풍실(14)로 유입되면서 인렛링(20)의 제1가이드(23)의 안내를 받게 된다. 이때, 제1가이드부(23)가 블레이드(41)의 형상을 따라 형성되면서 블레이드(41)의 상단을 감싸기 때문에 송풍실(14)에 유입된 공기는 블레이드(41)의 상단과 인렛링(20) 사이의 간격으로 유입되지 않고 블레이드(41)들 사이의 공기유로를 통해 토출된다.
블레이드(41)들 사이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블레이드(41) 외측의 제2가이드(24)에 의해 블레이드의 안쪽으로 역류하지 않고 송풍구를 향해 흐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에 의하면, 상단부가 단차지게 형성된 블레이드의 상측에 설치된 계단형 제1가이드가 송풍실에 유입되는 공기의 와류 생성을 방지하여 공기가 블레이드와 인렛링 사이로 역류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와류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지 않고, 유입되는 모든 공기가 손실없이 열교환기측으로 공급되어 풍량을 증대할 수 있으므로 열교환효율을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자동차 송풍장치용 케이스(10)에 설치되어 이 케이스 내부를 유입실(13)과 송풍실(14)로 구획하며, 원주방향에 다수의 블레이드(41)가 구비된 원심식 송풍팬(40)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입을 안내하는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20)에 있어서,
    상기 인렛링 일측에는 그 내경측 단부에 상기 블레이드들의 내경측 벽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도록 블레이드들의 내경측 벽의 상단보다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1가이드부(23)가 구비되고, 상기 인렛링 타측에는 상기 블레이드의 외경측 벽의 상단 일부분을 감싸는 제2가이드부(24)가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부는 계단형으로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인렛링의 제1가이드부는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을 따라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상단측벽을 감싸 그 단부와 블레이드의 사이에 하측을 향해 개구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인렛링에는 상기 블레이드(41)의 상단에 대해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되는 수평부(22)가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40) 상단부와 그 수평부(22) 사이의 간극(t)은 상기 블레이드(40) 측면과 제1가이드(23) 사이의 간극(t)과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2. 삭제
  3. 삭제
KR1020030032041A 2003-05-20 2003-05-20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KR100971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41A KR100971196B1 (ko) 2003-05-20 2003-05-20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2041A KR100971196B1 (ko) 2003-05-20 2003-05-20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07A KR20040099907A (ko) 2004-12-02
KR100971196B1 true KR100971196B1 (ko) 2010-07-20

Family

ID=37377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2041A KR100971196B1 (ko) 2003-05-20 2003-05-20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1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54041B (zh) * 2012-11-20 2015-09-02 石狮市通达电机有限公司 离心式鼓风机及包含该种离心式鼓风机的空调机
KR20210031183A (ko) * 2019-09-11 2021-03-19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블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KR20220033370A (ko) * 2020-09-09 2022-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팬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593A (en) 1980-02-25 1981-09-17 Hitachi Ltd Blower
JPS6460799A (en) * 1987-08-28 1989-03-07 Matsushita Refrigeration Centrifugal blower
KR20000032407A (ko) * 1998-11-14 2000-06-15 신영주 다익송풍기
KR20010001076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창문형 에어컨의 터보팬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593A (en) 1980-02-25 1981-09-17 Hitachi Ltd Blower
JPS6460799A (en) * 1987-08-28 1989-03-07 Matsushita Refrigeration Centrifugal blower
KR20000032407A (ko) * 1998-11-14 2000-06-15 신영주 다익송풍기
KR20010001076A (ko) * 1999-06-01 2001-01-05 구자홍 창문형 에어컨의 터보팬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9907A (ko) 2004-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3218B2 (en) Centrifugal blower unit
KR20050038710A (ko) 송풍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CN104343727B (zh) 离心送风机及包括该离心送风机的车用空调装置
KR20040104772A (ko) 터보팬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KR100633572B1 (ko) 팬 및 이를 구비한 송풍기 유닛
JP2010084701A (ja) 送風装置
KR100971196B1 (ko) 자동차 송풍장치용 인렛링
JP5304719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送風ユニット
KR101211520B1 (ko) 자동차 공기조화장치용 송풍장치
KR10170366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
JP2755317B2 (ja) 送風機
JP2011252478A (ja) 多翼遠心ファ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車両用空調装置
CN112928849B (zh) 电机风罩、电机
CN109562670B (zh) 送风装置、车辆用空气调节装置
JP6340225B2 (ja) 遠心ファン
JP2006298180A (ja) ブロワモータ冷却構造
KR1017147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유닛
JPH07208396A (ja) 遠心式送風機
JP609850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21971B1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JP2004190535A (ja) 遠心式送風機及び空調装置用の送風機
KR100550597B1 (ko) 다익송풍기
KR20140007579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KR101692221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구조
CN215523417U (zh) 吸油烟机用的降噪装置及应用有该降噪装置的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