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144B1 -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144B1
KR100970144B1 KR1020070080357A KR20070080357A KR100970144B1 KR 100970144 B1 KR100970144 B1 KR 100970144B1 KR 1020070080357 A KR1020070080357 A KR 1020070080357A KR 20070080357 A KR20070080357 A KR 20070080357A KR 100970144 B1 KR100970144 B1 KR 100970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in film
film battery
portable
battery charger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5761A (ko
Inventor
남상철
박호영
임영창
이기창
최규길
박기백
황호성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0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144B1/ko
Publication of KR20090015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5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0Printed batteries, e.g. thin film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6Power conversion systems, e.g. maximum power point trac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에 대한 발명으로, 휴대가 가능한 노트북PC, 휴대폰, 휴대 가능한 태양전지 등을 통해 박막 전지를 충전시키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이다. 이러한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로 인해, 박막전지를 어디서나 간편하게 충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인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통신포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박막 전지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와 연결되고 박막 전지의 충전단자와 연결이 가능하여 박막 전지를 충전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PORTABLE THIN FILM BATTERY CHARGER}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예를 들어 노트북 PC, 휴대폰 등)의 전원을 통해 박막 전지를 충전할 수 있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에 대한 발명으로, 특히 USB 또는 다른 경로로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등을 포함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연결시키는 것, 또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햇빛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에 대한 발명이다.
박막전지는 기본적인 전지의 구성 요소를 박막화하여 두께를 얇게 만든 전지를 의미한다. 박막전지는 전지를 구성하기 위한 기판(substrate), 양극 전류집전체(cathode current collector), 양극(cathode), 고체 전해질(solid electrolyte), 음극(anode), 음극전류집전체(anode current collector) 및 보호막(packaging)으로 구성되며, 고체 전해질이란 것을 제외하면 기존 벌크 전지와 거의 동일하다. 전류집전체는 박막전지를 외부의 회로나 부하에 연결시키기 위한 금속 전도체로, 전류집전체와 박막전지 외부에 노출된 충전단자가 연결되는 경 우가 있고, 전류집전체가 바로 외부로 노출되어 충전단자가 되는 경우가 있다.
박막전지의 장점으로는 두께가 얇기 때문에 초소형, 초경량 등 소형화가 가능하여 스마트카드 등에도 쓸 수 있다는 점과 고체 전해질의 경우 전도성이 액체보다 낮아 자가 방전이 매우 적다는 점 및 고체 전해질이므로 진동 및 충격에 강할 뿐 아니라 리튬전지임에도 불구하고 폭발위험성이 거의 없을 정도로 안전성이 매우 높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박막전지는 시간이 지날수록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다.
그런데, 박막전지가 비록 자가 방전이 적어 오래 쓸 수는 있으나, 충전 없이 영구적으로 쓸 수는 없으므로, 박막전지의 용도에 따라 박막전지를 다른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해 충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 박막전지의 장점 및 특성을 고려하면 보통 휴대가능한 장치에 부착되므로, 박막전지의 충전을 휴대가 불가능한 물체로부터 하는 것은 박막전지의 장점인 편리함 및 휴대가능성을 떨어뜨리므로 문제가 있다.
자가 방전이 매우 적은 박막전지의 충전은, 소요전력량이 매우 적은 디바이스에 주로 쓰이므로 충전이 보편화 되어있지는 않다. 하지만, 박막전지의 활용성이 증가하면 할수록 전력량이 큰 시스템에도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박막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고정된 콘센트 등을 통해 박막전지를 충전해야 한다면, 휴대용 시스템에 주로 부착되는 박막전지를 사용하는 데에 큰 불편으로 남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노트북 PC, 휴대전화, 태양전지 등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인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박막 전지에 인가하는 전압 또는 전류를 일정하게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제어부와 연결되고 박막 전지의 충전단자와 연결이 가능하여 박막 전지를 충전하는 연결부, 그리고 전원공급부, 제어부, 연결부를 둘러싸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또한, 전원공급부는 통신포트, 휴대전화 충전포트, 직류 어댑터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이 가능하여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압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부는 정전류를 인가할지 정전압을 인가할지에 대한 판단을 위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발생부, 일정전류를 발생하는 정전류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가 제어하는 목표를 변경할 수 있는 스위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휴대용 전자 기기와 연결시 기억 장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와 연결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케이스 겉면에는 태양전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가 방전이 매우 적은 박막전지의 충전은, 소요전력량이 매우 적은 디바이스에 주로 쓰이므로 충전이 보편화 되어있지는 않다. 하지만, 박막전지의 활용성이 증가하면 할수록 전력량이 큰 시스템에도 추가될 가능성이 높다. 이 때, 박막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고정된 콘센트 등을 통해 박막전지를 충전할 필요없이,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이용해서 이동하면서 충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노트북 PC, 휴대전화, 휴대가능한 태양전지 등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1b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용 박막전지용 충전기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을 이용해서 충전이 가능해야 하는데, 이러한 휴대용 기기에는 USB포트로 연결이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PMP 등과, 휴대전화, 태양 전지 등이 있다. 따라서,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도 1a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10)는 전원공급부(11), 스위치부(12), 연결부(13)을 포함한다.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10)의 전원공급부(11)는 전력을 전송받기 위한 구조로,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 휴대전화의 충전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핀 커넥터(11b), DC 어댑터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 휴대전화의 충전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핀 커넥터(11b), DC 어댑터와 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c) 모두를 구비한다.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의 경우 USB규격에 따라, 전원선(VBUS), 그라운드(GND), D+ ,D- 로 4개의 선이 구비되어 있다. 전원선(VBUS) 및 그라운드(GND)는 전원을 공급하고, D+와 D-는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선이다. 박막전지의 충전시에는 5V의 전압이 공급되는 전원선(VBUS) 및 그라운드(GND)를 사용하면 충분하다. 핀 커넥터(11b)는 휴대전화의 충전포트와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휴대전화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하며, DC 어댑터와 연결이 가능한 연 결부재(11c)는 어댑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다.
전원공급부(11)에서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회로 등의 제어부(미도시)가 이를 제어하여 연결부(13)로 공급한다. 연결부(13)은 박막전지의 양극과 음극으로 구성되어 있는 양극전류집전체 및 음극전류집전체에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인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연결부(13)에 인가되는 전압 및 흐를 수 있는 전류를 제어한다.
제어부(미도시)는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정전압부를 구비한다. 정전압부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회로를 구성할 수 있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박막전지의 용량이 작은 경우에는 일정 전압을 인가하는 것만으로도 충전이 가능하므로 정전압부만을 통해 제어부가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박막전지의 용량이 큰 경우는 정교한 방식으로 충전하기 위해서 일정 전류를 흘려보낼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전압이 기준 전압 이하일 경우는 일정 전류를 연결부로 흘려보내고 기준 전압 이상일 경우는 과충전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 전압을 연결부에 인가한다. 이러한 경우 정전압부 외에 정전류를 인가할지 정전압을 인가할지에 대한 판단을 위한 기준전압발생부 및 일정 전류를 인가하는 정전류부가 추가적으로 제어부에 구비된다. 전류 및 전압의 제어 또는 미세조정은 제어부(미도시)내에 장착된 가변저항(미도시)을 이용하여 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스위치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스위치부(1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미도시)가 제어하는 목표(목표전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박막 전지의 경우, 용도가 다양해짐에 따라, 용량도 다양해지고, 사용자가 고속충전을 할지 저속충전을 할지 선택할 필요성도 생긴 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위치부(12)를 조작하면, 그에 따라 제어부(미도시)에서 사용자가 의도한 양만큼의 전류를 연결부(13)로 흘려보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충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연결부(13)는 박막전지의 충전단자와 연결이 가능하고 전원공급부(11) 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박막전지를 충전시킨다. 이 때 공급받는 전원은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일정 전류 또는 일정 전압으로 제한된다.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10)는 선택적으로, flash 메모리 등의 메모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메모리부(미도시)는 전원공급부(11) 중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와 연결되어 있고, 이는 전원공급부(11)에서 전원선(VBUS) 및 그라운드(GND)가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는 것과 별도로 전원선(VBUS), 그라운드(GND), D+ ,D- 모두가 메모리부(미도시)와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메모리부를 통해, USB 규격에 따라 연결된 노트북, PMP 등의 전자기기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이러한 USB연결을 이용한 메모리부(미도시)는 공지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노트북 등 USB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기기장치, 휴대전화, 태양전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박막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공지의 USB 메모리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b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박막전지 충전기는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 휴대전화의 충전포트와 연결이 가능한 핀 커넥터(11b)가 드러나 있고, 스위치부(12) 및 연결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막는 케이스(103)가 있으며, 케이스(103)에 태양전지(미도시)를 붙여 충전기 외부로부터의 전원 공급 없이 박막전지의 충전이 가능한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가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의 일 예이다.
도 2a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가 노트북 컴퓨터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박막전지에 충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원공급부(도 1a에서 11) 중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는 노트북(100)과 USB 방식으로 연결되어 있고, 제어부(미도시)는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일정 전류 또는 일정 전압으로 제어한다. 스위치부(12)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어부(미도시)가 제어하는 목표(목표전류 또는 목표전압)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한다. 연결부(13)는 박막전지의 양극전류집전체 및 음극전류집전체와 연결되어 제어부(미도시)가 제어한 전원을 박막전지에 공급한다.
도 2b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가 휴대전화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핀 커넥터(11b)는 휴대전화 충전포트(101) 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이는 제어부(미도시)에 연결된다. 본 발명인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에서, 도 2a는 USB연결이 가능한 연결부재(11a)를 통해 노트북에서 전원을 공급받았다면, 도 2b는 핀 커넥터(11b)를 통해 휴대전화에서 전원을 공급받는다는 것에 차이가 있 다.
도 2c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가 휴대가능한 태양전지, 특히 케이스 외면에 설치된 태양전지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는 케이스(103)가 있으며, 케이스(103) 외면에는 태양전지(104)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태양전지(104)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어댑터 등 연결장치를 통해 제어부(미도시)로 공급된다.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 박막전지를 충전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구비할 필요없이, 단지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햇빛에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도 박막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USB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전자기기, 휴대전화, 어댑터 연결이 가능한 휴대용 태양 전지 등 휴대가 가능한 전자기기들을 통해 박막전지를 충전할 수 있다.
도 1a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b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가 휴대용 전자기기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의 일 예이다.

Claims (7)

  1.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박막 전지의 용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일정 전압 또는 일정 전류로 전원을 박막 전지로 인가하는 제어부;
    제어부와 연결되고 박막 전지의 충전단자와 연결이 가능하여 박막 전지를 충전하는 연결부; 그리고
    전원공급부, 제어부, 연결부를 둘러싸는 케이스;
    케이스의 외면에 부착되며, 전원공급부와 연결되어 박막 전지를 충전시키는 태양전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정전압을 인가하는 정전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4.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정전류를 인가할지 정전압을 인가할지에 대한 판단을 위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전압발생부, 일정전류를 발생하는 정전류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70080357A 2007-08-09 2007-08-09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KR100970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357A KR100970144B1 (ko) 2007-08-09 2007-08-09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357A KR100970144B1 (ko) 2007-08-09 2007-08-09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761A KR20090015761A (ko) 2009-02-12
KR100970144B1 true KR100970144B1 (ko) 2010-07-14

Family

ID=40685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357A KR100970144B1 (ko) 2007-08-09 2007-08-09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1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400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알앤디아이 휴대폰 충전기
JP2004260909A (ja) 2003-02-25 2004-09-16 Canon Inc 多入力電源の充電装置
JP2005245062A (ja) 2004-02-24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式電動工具セット
KR20060113069A (ko) * 2005-04-29 2006-11-02 목봉현 박막전지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의 휴대용 재충전 시스템구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5400A (ko) * 2002-09-19 2004-03-24 주식회사 알앤디아이 휴대폰 충전기
JP2004260909A (ja) 2003-02-25 2004-09-16 Canon Inc 多入力電源の充電装置
JP2005245062A (ja) 2004-02-24 2005-09-08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制御装置及び充電式電動工具セット
KR20060113069A (ko) * 2005-04-29 2006-11-02 목봉현 박막전지를 이용한 모바일기기의 휴대용 재충전 시스템구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5761A (ko) 2009-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6279B2 (en) Power receiving device, controller thereof,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power feed system
US11677260B2 (en) Managing power in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multiple batteries
KR101504104B1 (ko) 역 로컬 데이터 전송 접속을 통하여 전력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8450979B2 (en) Power adapter with internal battery
EP2495845B1 (en) Load current dependent reduction of charge battery current
US11955821B2 (en) Managing power in a portable device comprising multiple batteries
US20150067362A1 (en) Adaptive Integral Battery Pack and Voltage Regulator
CN110546846B (zh) 包括双向充电调节器的混合电池组
US9088163B2 (en) Secondary battery pack
US20100301674A1 (en) Control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13853722B (zh) 电力电路以及包括电力电路的电子装置
CN103840525A (zh) 移动存储电源
US20210376643A1 (en) Adaptive Power Systems and Techniques
KR20190043422A (ko) 배터리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력 시스템
KR20190051341A (ko) 체결 인식 기능을 갖춘 배터리 팩
FI20196123A1 (en) MODULAR POWER SUPPLY SYSTEM AND BACKPACK
US20110241602A1 (en) Power supply device
US11218002B2 (en) Battery system comprising real-time clock to which power is supplied internally, and power supply circuit for real-time clock
CN104734298A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0970144B1 (ko) 휴대용 박막전지 충전기
KR20160046111A (ko) 어댑터가 내장되어 있고 충전 편의성이 향상된 디바이스
KR200446304Y1 (ko) 유에스비 포트로의 충방전이 가능한 태양광 충전기
CN109149709A (zh) 电子设备
EP4322367A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structure for minimizing power loss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of battery
KR101453929B1 (ko) 휴대용 충전 장치 및 그의 충/방전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