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916B1 -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916B1
KR100968916B1 KR1020090003756A KR20090003756A KR100968916B1 KR 100968916 B1 KR100968916 B1 KR 100968916B1 KR 1020090003756 A KR1020090003756 A KR 1020090003756A KR 20090003756 A KR20090003756 A KR 20090003756A KR 100968916 B1 KR100968916 B1 KR 100968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product
panel
holding memb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3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대웅
Original Assignee
(주)알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테크 filed Critical (주)알테크
Priority to KR1020090003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2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 B60R11/0235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splays, e.g. cathodic tubes of flat type, e.g. LC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1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record carriers apparatus, e.g. video recorders, tape players or CD p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1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latches, clips, clamps, stra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5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rotation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운송수단 등의 실내에 부착되어 휴대폰, 핸드폰, 엠피쓰리, 디엠비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해 후면 고정패널과 고정패널 하부에 연결되는 받침패널에 각각 또는 모두와 연결되는 협지부재가 상협하광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확장하고, 또 일정한 탄성을 발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두께 및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제한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도록 하고, 더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거치대, 휴대용 전자제품, 고정패널, 받침패널, 협지부재, 보조 압지부재, 진입 유도부재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HOLDER FOR MOBILE ELECTRONIC EQUIPMEN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운송수단 등의 실내에 부착되어 휴대폰, 핸드폰, 엠피쓰리, 디엠비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해 후면 고정패널과 고정패널 하부에 연결되는 받침패널에 각각 또는 모두와 연결되는 협지부재가 상협하광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확장하고, 또 일정한 탄성을 발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두께 및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제한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도록 하고, 더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제안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핸드폰, 엠피쓰리, 디엠비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은 현대인들에게 있어서는 없어서는 안 될 필수적인 휴대품으로 자리잡아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자동차를 운전하거나 차량에 탑승한 상태에서 휴대용 전자제품 을 거치하여 사용하기 위해 차량의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표면에 결합되는 다양한 방식의 거치대가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거치대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30357호(2007.03.16. 공개. 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 "차량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휴대전화기 안치장치"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861호(2000.06.15. 공개. 이하 '종래기술 2'라 함.) "휴대 전화기를 거치시킬 수 있는 거치대 구조"가 게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 1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협지부재에 대응하는 사이드 암은 서로 수평방향을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어 사이드 암 사이에 휴대전화기가 수용되어 각 사이드 암 내측면과 휴대전화기의 양측면이 접촉되는 경우에만 거치가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어,
각 사이드 암이 형성하는 수납공간보다 휴대전화기의 폭이 큰 제품의 경우에는 이를 수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종래기술 2의 경우에도 지지부 양측에 형성된 날개 모양의 형상적인 특징에 의하여 휴대폰의 폭이나 두께가 지지부의 날개 모양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보다 큰 제품의 경우에 역시 수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나 운송수단 등의 실내에 부착되어 휴대폰, 핸드폰, 엠피쓰리, 디엠비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해 후면 고정패널과 고정패널 하부에 연결되는 받침패널에 각각 또는 모두와 연결되는 협지부재가 상협하광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확장하고, 또 일정한 탄성을 발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두께 및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제한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도록 하고, 더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협지부재가 전협후광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두 협지부재가 이루는 간격을 점감시키는 보조 압지부재가 구비되어 협지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휴대용 전자제품이 거치대에서 분리되거나 이탈하여 떨어져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협지부재 상부에는 상광하협 형상을 이루는 진입 유도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협지부재의 상부에서 진입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납공간에 보다 쉽고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제공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 한다.
본 발명에 따를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는 후면 고정패널; 상기 고정패널 하부에 연결된 받침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 또는 상기 받침패널, 또는 이들 모두와 연결되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탄성 협지(挾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한 쌍의 협지부재는 전협후광(前狹後廣)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협지부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면에는 두 협지부재가 이루는 간격을 점감시키는 보조 압지(壓持)부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협지부재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상부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을 이루는 진입 유도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에 의하여 차량이나 운송수단 등의 실내에 부착되어 휴대폰, 핸드폰, 엠피쓰리, 디엠비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납하기 위해 후면 고정패널과 고정패널 하부에 연결되는 받침패널에 각각 또는 모두와 연결되는 협지부재가 상협하광 형상으로 이루어져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공간을 확장하고, 또 일정한 탄성을 발휘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양한 크기, 두께 및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제한 없이 수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도록 하고, 더 나아가 그 구조가 간단하고 심플하여 생산성 및 경제성을 제고(提高)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협지부재가 전협후광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두 협지부재가 이루는 간격을 점감시키는 보조 압지부재가 구비되어 협지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에 수용되는 휴대용 전자제품이 거치대에서 분리되거나 이탈하여 떨어져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협지부재 상부에는 상광하협 형상을 이루는 진입 유도부재가 결합되어 있어 협지부재의 상부에서 진입하는 휴대용 전자제품을 수납공간에 보다 쉽고 용이하게 진입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의 협지부재가 고정패널과 받침패널과의 다양한 결합상태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의 보조 압지부재의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결합도 및 거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은 휴대폰, 핸드폰 등의 이동전화기와, 엠피쓰리, 디엠비 등의 휴대용 전자 및 전기기기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는
후면 고정패널(10); 상기 고정패널(10) 하부에 연결된 받침패널(20); 및 상기 고정패널(10) 또는 상기 받침패널(20), 또는 이들 모두와 연결되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탄성 협지(挾持)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에서, 상기 후면 고정패널(10)은
본 발명의 거치대(H)를 차량이나 운송수단 등의 실내에 고정하기 위한 장착홀더(1)와 연결되는 결합부(미도시)가 후방에 형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홀더(1)는 차량에 직접 결합되는 장착 플레이트(3)와, 상기 장착 플레이트(3)와 연결되는 연결부재(5)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5)는 상기 고정패널의 결합부(12)에 연결되는 대응결합부(미도시)와 힌지 결합방식에 의하여 연결되어 후면 고정패널(10)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 상기 고정패널의 결합부(미도시)는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대응결합부(미도시)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대응결합부(미도시)의 단부는 상기 결합부(미도시)의 삽입공에 삽입되 는 핀 형상이거나, 또는 삽입공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대응결합부(미도시)에 단부 외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5) 전방에는 체결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미도시)에는 나비 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상기 대응결합부(미도시) 외측면을 가압하여 상기 고정패널(10)의 특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에서, 상기 받침패널(20)은
상기 고정패널(10) 하부에 연결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패널(20)은 상기 고정패널(10)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협지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S)에 수용되는 휴대용 전자제품(PE)의 하단면을 받치게 되는데,
일반적인 휴대용 전자제품(PE)의 하단면에는 각종 데이터나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케이블 커넥터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H)에 휴대용 전자제품(PE)을 거치한 상태에서 곧 바로 케이블 커넥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받침패널(20) 하부에는 수용부(22)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에서, 상기 협지부재(30)는
상기 고정패널(10) 또는 상기 받침패널(20), 또는 이동 모두와 연결되고, 상협하광 형상을 이루면 한 쌍으로 형성되고,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협지부재(30)는 다양한 크기, 두께 및 형상을 갖는 휴대폰, 핸드폰 등의 이동전화기와 엠피쓰리, 디엠비 등의 휴대용 전자제품(PE)을 특별한 제한 없이 수용할 수 있는 수납공간(S)을 확보하기 위해 하부로 갈수록 수납공간(S)이 확장되는 상협하광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협지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S)은 그 하부에서 형성되는 하부 수납공간(S)에 따라 다양한 크기, 두께 및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PE)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한도가 결정되므로,
상기 협지부재(30)의 설계시 다양한 휴대용 전자제품(PE)의 최대 크기 및 두께, 형상 등을 고려하여 그 수납공간(S)을 최대로 확보하기 위한 수용한도로 결정하는 것이 바림직하다.
그리고 상기 협지부재(30)는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형성하기 위해 상기 협지부재(30)의 하부 일정부분과 상기 고정패널(10)의 하부 일정부분이 연결되거나(도 2의 (c) 참조) 또는 상기 협지부재(30)의 하단부가 상기 받침패널(20) 양측에 연결되거나(도 2의 (a) 참조) 또는 상기 협지부재(30)가 상기 고정패널(10)과 받침패널(20)에 동시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도 2의 (b) 참조)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협지부재(30)는 고정패널(10) 또는 받침패널(20) 또는 이들 모두에 협지부재(30)의 하부 일정부분이 연결되므로, 협지부재(30)가 탄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협지부재(30)는 전협후광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협지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S)에 수용되는 휴대용 전자제품(PE)이 전방으로 분리되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협지부재(30)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경우 협지부재(30)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되는 전협후광의 형상을 이루고 있어,
차량이나 운송수단 등의 운행 중 비포장도로나 과속 방지턱 등의 노면이 평탄하지 않은 장소를 지나는 경우 가해지는 일정한 충격에 의하여 차량이나 운송수 단이 흔들리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PE)이 전방으로 이탈되거나 분리되어 떨어져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위험을 방지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협지부재(30)에 의하여 휴대용 전자제품(PE) 전면의 좌우 모서리가 각 협지부재(30)의 내측면에 접촉하며 지지되고, 동시에 휴대용 전자제품(PE) 전면의 좌우 모서리 부분이 각 협지부재(3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협지부재(30)의 전후방향 폭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참조).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협지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S)에 수용된 휴대용 전자제품(PE)의 고정력을 보강하기 위해
상기 협지부재(30) 중 하나(도 3의 (b) 참조) 또는 둘 모두(도 3의 (c) 참조)의 내면에는 두 협지부재(30)가 이루는 간격을 점감시키는 보조 압지부재(40)가 구비된다.
이는 한 쌍의 협지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되는 하부 수납공간(S)은 다양한 크기, 두께 및 형상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PE)을 제한 없이 수용할 수 있도록 넓게 형성되므로,
비교적 그 크기가 작은 소형 휴대용 전자제품(PE)의 경우에는 협지부재(30) 만으로 고정력을 유지하는 것이 불안정한 상태에 놓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일정한 탄성을 갖는 보조 압지부재(40)가 휴대용 전자제품(PE)이 수납공간(S)에 수용된 후, 휴대용 전자제품(PE)의 양측면을 가압하여 고정력을 확보함으로써 휴대용 전자제품(PE)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휴대용 전자제품(PE)이 거치대(H)로부터 이탈하여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 압지부재(40)는 상기한 바와 같이 협지부재(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재료의 절감, 생산성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는 사항이다.
아울러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협지부재(30)에 의하여 형성되는 수납공간(S)에 수용되는 휴대용 전자제품(PE)은 상기 협지부재(30)의 상부을 통하여 아랫방향을 삽입되므로, 휴대용 전자제품(PE)의 수용을 보다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협지부재(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상부에는 상광하협 형상을 이루는 진입 유도부재(5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진입 유도부재(50)는 상기 협지부재(30) 상부에 연결되어 외측 방향 으로 절곡된 형태의 상광하협의 형상을 이루며,
이 경우 진입 유도부재(50)가 협지부재(30) 양단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부를 향해 벌어진 형상으로 휴대용 전자제품(PE)의 하단부가 먼저 진입 유도부재(50)에 접촉하게 되고, 삽입을 위해 일정한 힘을 가하는 경 휴대용 전자제품(PE)의 하단부가 진입 유도부재(50)를 타고 수납공간(S)에 보다 쉽고 용이하게 수용된다.
마찬가지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진입 유도부재(50)가 협지부재(30) 중 하나에 형성되는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이 수납공간(S)에 휴대용 전자제품(PE)을 쉽고 용이하게 수용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재료의 소비를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인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5의 (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H)의 협지부재(30) 일측에는 거치부재(6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거치부재(60)는 휴대용 전자제품(PE)과 함께 사용되는 이어폰, 헤드셋, 헤드폰 등을 거치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운행 중 이들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협지부재(30) 일측 외측면에는 슬리브(32)가 형성되고,
상기 거치부재 하단에는 상기 슬리브(32)에 슬라이드하며 삽입되는 슬라이드 판(62)과,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판(62) 상부에는 이어폰, 헤드셋, 헤드폰 등을 걸기 위해 벌어진 형태로 이루어진 걸림고리(6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협지부재(30)의 슬리브(32)와 상기 거치부재(60)의 슬라이드 판(62)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 차량의 운행 중 진동이나 흔들림에 의하여 상호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며,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거치부재(60)를 협지부재(30)의 슬리브(32)에서 분리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이어폰, 헤드셋, 헤드폰 등을 사용하지 아니하는 휴대용 전자제품(PE)의 경우 거치부재(60)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적응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의 협지부재가 고정패널과 받침패널과의 다양한 결합상태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의 보조 압지부재의 다양한 변형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협지부재와 거치부재의 결합도 및 거치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H : 홀더 PE : 휴대용 전자제품
S : 수납공간
1 : 장착홀더 3 : 장착 플레이트
5 : 연결부재
10 : 고정패널 12 : 결합부
20 : 받침패널 22 : 수용부
30 : 협지부재 32 : 슬리브
40 : 보조 압지부재
50 : 진입 유도부재
60 : 거치부재 62 : 슬라이드 판
64 : 걸림고리

Claims (4)

  1. 후면 고정패널(10);
    상기 고정패널(10) 하부에 연결된 받침패널(20); 및
    상기 고정패널(10) 또는 상기 받침패널(20), 또는 이들 모두와 연결되고,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탄성 협지(挾持)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지며,
    상기 한 쌍의 협지부재(30)는 전협후광(前狹後廣)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내면에는
    두 협지부재(30)가 이루는 간격을 점감시키는 보조 압지(壓持)부재(40)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지부재(30) 중 하나 또는 둘 모두의 상부에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상을 이루는 진입 유도부재(50)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KR1020090003756A 2009-01-16 2009-01-16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KR100968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56A KR100968916B1 (ko) 2009-01-16 2009-01-16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3756A KR100968916B1 (ko) 2009-01-16 2009-01-16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916B1 true KR100968916B1 (ko) 2010-07-14

Family

ID=42645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3756A KR100968916B1 (ko) 2009-01-16 2009-01-16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91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22B1 (ko) 2010-12-03 2011-06-10 주식회사 유레트 이동통신기기용 거치대의 제조방법
KR101905466B1 (ko) * 2018-04-17 2018-10-08 김지은 휴대용품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746U (ko) * 1999-04-13 1999-07-05 이상기 차내핸드폰용고정지지대
KR200204245Y1 (ko) * 2000-06-13 2000-11-15 주식회사엠씨엔 탁상용 핸드폰걸이
KR200210300Y1 (ko) 2000-08-07 2001-01-15 기한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거치대
KR20020004245A (ko) * 2000-07-04 2002-01-16 윤종용 개선된 콤 필터
KR20020010300A (ko) * 2000-07-29 2002-02-04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클럭 테스트 장치
US20040198304A1 (en) 2002-07-17 2004-10-07 Chin-Yang Wang Fasten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2746U (ko) * 1999-04-13 1999-07-05 이상기 차내핸드폰용고정지지대
KR200204245Y1 (ko) * 2000-06-13 2000-11-15 주식회사엠씨엔 탁상용 핸드폰걸이
KR20020004245A (ko) * 2000-07-04 2002-01-16 윤종용 개선된 콤 필터
KR20020010300A (ko) * 2000-07-29 2002-02-04 박종섭 반도체 소자의 클럭 테스트 장치
KR200210300Y1 (ko) 2000-08-07 2001-01-15 기한전자주식회사 휴대폰용 거치대
US20040198304A1 (en) 2002-07-17 2004-10-07 Chin-Yang Wang Fasten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22B1 (ko) 2010-12-03 2011-06-10 주식회사 유레트 이동통신기기용 거치대의 제조방법
KR101905466B1 (ko) * 2018-04-17 2018-10-08 김지은 휴대용품 휴대용 자외선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63226A1 (en) A bracket with sound boxes for a tablet electronic device
KR100968916B1 (ko) 휴대용 전자제품 거치대
CN206031604U (zh) 一种电动车用手机固定充电支架
KR100832226B1 (ko) 운전대에 착탈 가능한 노트북 컴퓨터 거치대
JP2012175696A (ja) 携帯機器ホルダ
KR20180137857A (ko) 충전기능이 탑재된 핸드폰 거치대
GB2516752A (en) Electric device
KR20190056224A (ko) 차량용 핸드폰 충전 거치대와케이스
KR20130006987U (ko) 이륜차용 휴대기기 거치부재
CN211821384U (zh) 可折叠移动终端支架
CN210041375U (zh) 一种带有抽拉式手机支撑架的tws蓝牙耳机充电盒
CN201039139Y (zh) 手提电话架与无线耳塞机组合装置
CN210490956U (zh) 一种高实用性推拉支架
CN206528413U (zh) 支撑组件以及车载无线路由器组件
CN202783534U (zh) 一种使用于自行车的手机充电固定座
CN107148183B (zh) 固定组件及具有该固定组件的电子设备
TWM429231U (en) Universal mobile phone charger
KR20120003948U (ko) 휴대 전화 케이스
CN205005121U (zh) 一种新型车载手机架
CN217037242U (zh) 一种用于手机的隐形支架套件
CN219498978U (zh) 一种移动无线充电器
CN212056484U (zh) 平板电脑支架
CN210927184U (zh) 一种多功能无线充电器
CN214368700U (zh) 一种平板电脑支架
CN208198291U (zh) 具有软胶凸柱的通用型支撑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