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607B1 -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607B1
KR100967607B1 KR1020080020283A KR20080020283A KR100967607B1 KR 100967607 B1 KR100967607 B1 KR 100967607B1 KR 1020080020283 A KR1020080020283 A KR 1020080020283A KR 20080020283 A KR20080020283 A KR 20080020283A KR 100967607 B1 KR100967607 B1 KR 10096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re
ferrite core
shiel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137A (ko
Inventor
김용업
Original Assignee
김혜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혜중 filed Critical 김혜중
Priority to KR1020080020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607B1/ko
Publication of KR20090095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98Shield material

Landscapes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시그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그날 케이블의 콘넥타 내측에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충진토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콘넥타 내측에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시그날 케이블은 존재하였으나, 페라이트 코아의 구조상 작업 공정 및 전자파 차폐 효과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과 같이 콘넥타 내측에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충진 시키게 되면, 케이블에 페라이트 코아를 별도 인서트 하는 공정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피복물 원자재를 상당히 절감시킬 수 있어, 원가 절약 측면에서도 상당히 경제적이다.
또한 페라이트 코아가 내장된 위치가 핀과 연결시키기 위하여 절연체가 벗겨진 심선 부위이므로, 기존의 케이블 콘넥타에 비하여 전자파 유입 차단 효과도 매우 뛰어나게 되는바, 신호선로인 9가닥의 심선이 분말형 코아에 전부 묻히게 되어 심선끼리의 간섭을 완전히 막아주게 되어 그 차폐 효과는 극대화된다.
또한, 충진시키는 공정을 행하는 시기가, 핀에 심선 등을 연결하고 실드캔에 금속제 쉘을 조립하는 등, 모든 공정이 끝난 후에 이루어지는 최종 작업 때 행하므로, 전체적인 매우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분말형이므로 실드 캔 내측이 꽉 채워지도록 충진시킬 수가 있어 유해전자파가 실드 캔을 통해 접지되기 때문에 기존의 내장형 페라이트 코아 보다 전자 파 차폐(EMI)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게 되는바, 특히 실험 결과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그 효과는 우수하게 나타났다.
케이블, 콘넥타, 페라이트 코아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signal cable of electronic machine}
본 발명은 전자기기 상호간을 연결하는 시그날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그날 케이블의 콘넥타 내측에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충진토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시그날 케이블의 콘넥타 구성을 살펴보면,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제 쉘(20) 내측에 절연체(30) 및 심선(40)이 연결된 핀이 내장되고, 상기 금속제 쉘(20) 후미에 실드 캔(11)이 부착되며, 이를 후드(70)로 또다시 감싼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시그날 케이블에는 외부로부터 필요없는 전자파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페라이트 코아가 부착되어 지는바, 종래에는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 페라이트 코아(80)를 케이블 외측에 삽입(인서트)하고 그 외주면(외피)을 PVC로 고정 본딩(Bonding) 함으로서 공정이 복잡해짐은 물로 외관상 보기도 흉하였으며, 또한 컴퓨터 본체를 설치할 경우 컴퓨터 본체 뒤로 케이블이 접속되므로 케이블에 장착된 원통형 페라이트 코아 때문에 케이블이 부드럽게 구부려지지 않아 본체 뒤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즉 핀(90)에 심선(4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심선을 감싸고 있는 편조나 알루 미늄 포일과 같은 각종 절연체 피복물을 모두 벗겨내야 함으로, 상기 부분이 유해 전자파 차단에 가장 취약한 부위이다.
따라서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페라이트 코아를 상기 피복물이 벗겨진 심선부위에 가깝게 위치시킬수록 차폐 효과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콘넥타 부위에 가깝게 위치시킨다고 페라이트 코아(80)를 콘넥타 바로 뒤에 부착하면, 전자기기 본체를 설치할 경우 케이블에 장착된 원통형 페라이트 코아 때문에 케이블이 부드럽게 구부려지지 않아 전자기기 본체 뒤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본 출원인이 개발한 실용신안등록 제101248호(페라이트코아 내장형 디서브 콘넥타 등이 있는바, 상기 발명은 도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디서브 금속제 쉘 내측에 페라이트 코아(81)를 내장시킴으로서, 종래 케이블에 원통형 페라이트 코아를 부착하는 것에 비하면 그 작업성은 매우 우수한 것임에는 틀림없으나, 페라이트 코아에 형성된 15개의 핀 홀에 핀을 관통시키다 보니 상당한 작업 공정성이 필요하여 조립비가 많이 소요되었고, 또한 pin 길이가 길어지다 보니 이를 감싸는 쉘도 커지게 되어 전체적으로 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페라이트 코아의 크기도 작을 수밖에 없어 최대한의 차폐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약간 미흡한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로는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실용신안 등록 제101248호 및 특허 출원 제 2007-21739호가 있다.
절연체(30)와 핀(90)이 내장된 금속제 쉘(20) 후미를 실드캔(11)으로 감싸고, 이를 다시 후드(70)로 감싸도록 한 콘넥타를 양단부에 갖는 시그날 케이블(10)에 있어서, 상기 콘넥타 실드캔(11)의 상면을 일정부분 절개하여 따내고, 상기 따낸 절개부(12)를 통하여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코아(13)를 집어넣음으로서 실드 캔(11) 내부를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13)로 충진시킨 후, 상기 절개부(12)는 알루미늄 금속제 테이프(14)로 막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넥타 내측에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충진 시킨 것이므로, 케이블에 페라이트 코아를 별도 인서트 함에 소요되는 피복물 원자재를 상당히 절감시킬 수 있어, 원자재 절약 측면에서도 상당히 경제적이다.
또한 콘넥타 내측에 위치한 핀들이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에 완전히 파묻히게 되므로 기존의 케이블 콘넥타에 비하여 전자파 유입 차단 효과도 매우 뛰어나게 되는바, 특히 실험 결과 주파수 대역이 높을수록 전자파 차폐(EMI) 효과는 훨씬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충진시키는 공정을 행하는 시기가, 핀에 심선 등을 연결하고 실드캔에 금속제 쉘을 조립하는 등, 모든 공정이 끝난 후에 이루어지는 최종 작업때 행하므로, 전체적인 공정이 매우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말형이므로 실드 캔 내측이 꽉 채워지도록 충진시킬 수가 있어, 기 존의 내장형 페라이트 코아 보다 전자파 차폐 효과가 월등하다.
절연체(30)와 핀(90)이 내장된 금속제 쉘(20) 후미를 실드캔(11)으로 감싸고, 이를 다시 후드(70)로 감싸도록 한 콘넥타를 양단부에 갖는 시그날 케이블(10)에 있어서, 상기 콘넥타 실드캔(11)의 상면을 일정부분 절개하여 따내고, 상기 따낸 절개부(12)를 통하여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코아(13)를 주입하므로서 실드 캔(11) 내부를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13)로 충진시킨 후, 상기 절개부(12)는 알루미늄 금속제 테이프(14)로 막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케이블(10)에 있어 가장 큰 특징은 첫째, 절연체(30) 및 심선(40)이 연결된 핀(90)을 감싸 보호하는 실드 캔(11) 내측에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충진시키도록 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품으로서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내장시키는 실드 캔(11)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실드 캔(11)은 이음매가 전혀 없는 통체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이와 같은 통체형 실드캔은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한 특허 출원 제2007-21739호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것은 간략히 설명하는 바이다.
즉, 종래에는 실드 캔의 경우 상부캡과 하부캡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를 조립하여 제작함으로서 제작에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이고 차폐의 효율성에도 한계가 있었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실드 캔은 이음매가 전혀 없는 하나의 통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 및 차폐 효과에 있어서 그 효율성을 월등히 뛰어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는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충진시키는 것이므로, 분말이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이와 같은 통체형 실드 캔이 그 적용에 아주 적절하다 할 것이다.
다음으로 페라이트 코아에 대하여 설명하는 바이다.
원래, 핀(90)에 심선(40)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심선을 감싸고 있는 각종 절연체 피복물(편조, 알루미늄 포일 등)을 모두 벗겨내야 함으로, 상기 부분이 유해 전자파 차단에 가장 취약한 부위이다.
따라서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는 페라이트 코아를 상기 절연체가 벗겨진 심선 부위에 가깝게 위치시킬수록 차폐 효과는 커지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1처럼 원통형 페라이트 코아(80)를 케이블 외측에 삽입하고 그 외주면(외피)을 PVC로 고정 본딩(Bonding) 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으므로 페라이트 코아를 콘넥타에 가깝게 위치시킬 수가 없었다.
즉, 콘넥타 부위에 가깝게 위치시킨다고 페라이트 코아(80)를 콘넥타 바로 뒤에 부착하면, 전자기기 본체(컴퓨터)를 설치할 경우 케이블에 장착된 원통형 페라이트 코아 때문에 상기 부위가 부드럽게 구부려지지 않아 전자기기 본체 뒤로 일정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고자 도6과 같이 콘넥타의 실드 캔 내측에 페라이트 코아(81)를 내장토록 하는 구성이 개발되었는바, 이와 같은 구성은 본 출원인이 출원한 실용신안 등록 제101248호에 잘 나타나 있으며, 본 발명 또한 이와 같은 맥락에서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은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콘넥타 실드캔(11)의 상면을 일정부분 절개하여 따내고, 상기 따낸 절개부(12)를 통하여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코아(13)를 주입하므로서 실드캔(11) 내부를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13)로 충진시킨 후, 상기 절개부(12)는 알루미늄 금속제 테이프(14)로 막아 밀폐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기에 있어,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코아(13)를 충진시키는 공정은, 핀에 심선 등을 연결하고 실드캔(11)에 금속제 쉘(20)을 조립하는 등, 모든 공정이 끝난 후에 이루어지는 최종 작업 때 행하여진다.
따라서, 콘넥타 부위를 조립함에 있어서, 모든 작업 공정은 페라이트 코아가 없는 상태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난해한 공정이 보다 더 쉽게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코아(13)를 충진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실드캔(11)의 상면에 형성된 절개부(12)를 통하여 분말을 흘러들어가게 하며, 상기 분말을 집어 넣을 시 기계적으로 가볍게 진동으로 흔들어 주면, 실드 캔 속 내부가 페라이트 코아 분말로 꽉 차도록 충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분말을 실드 캔 내부에 충진 시킨 후, 실드 캔의 절개부(12)는 금속제 테이프(14)를 붙여 막아버리면 모든 공정이 끝나게 되어 전체적으로 쉽게 페라이트 코아를 실드 캔 내측에 내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 시그날 케이블은 콘넥타 내측에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를 충진시키도록 한 것으로, 기존의 케이블에 비하여 전자파에 대한 차페 효과가 매우 뛰어나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은 충분하다 할 것이다.
도1은 종래 케이블의 부분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케이블의 부분 분해도로서, 테이프를 붙이기 전의 사시도..
도3은 본 발명 케이블의 부분 분해도로서, 테이프를 붙인 후의 사시도.
도4는 케이블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콘넥타의 단면도로서,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가 충진되기 이전의 단면도.
도5는 케이블의 일측 단부에 부착된 콘넥타의 단면도로서,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가 충진된 상태의 단면도.
도6은 종래 케이블의 콘넥타 단면도.

Claims (1)

  1. 절연체와 핀이 내장된 금속제 쉘 후미를 실드캔(11)으로 감싸고, 이를 다시 후드(70)로 감싸도록 한 콘넥타를 양단부에 갖는 시그날 케이블(10)에 있어서, 상기 콘넥타 실드캔(11)의 상면을 일정부분 절개하여 따내고, 상기 따낸 절개부(12)를 통하여 분말 형태의 페라이트 코아(13)를 집어 넣어 실드 캔(11) 내부를 분말형 페라이트 코아(13)로 충진시키고, 상기 절개부(12)는 테이프(14)로 막아 밀봉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KR1020080020283A 2008-03-05 2008-03-05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KR10096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283A KR100967607B1 (ko) 2008-03-05 2008-03-05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283A KR100967607B1 (ko) 2008-03-05 2008-03-05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37A KR20090095137A (ko) 2009-09-09
KR100967607B1 true KR100967607B1 (ko) 2010-07-05

Family

ID=41295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283A KR100967607B1 (ko) 2008-03-05 2008-03-05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60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60Y1 (ko) * 1993-12-17 1996-08-28 혜성전자공업 주식회사 페라이트 코아 내장형 디서브 콘넥타
JP2001110253A (ja) * 1999-10-12 2001-04-2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高周波伝送用同軸ケーブル、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460Y1 (ko) * 1993-12-17 1996-08-28 혜성전자공업 주식회사 페라이트 코아 내장형 디서브 콘넥타
JP2001110253A (ja) * 1999-10-12 2001-04-20 Hitachi Kokusai Electric Inc 高周波伝送用同軸ケーブル、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137A (ko) 2009-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88464B2 (en) Signal cable of electronic machine
US20160043500A1 (en) Connector
CN204118373U (zh) 电连接器
JP2004119047A (ja) 防油水性を備えた電磁波シールド構造
KR101301982B1 (ko) 방수형 리셉터클 커넥터
JP2011028853A (ja) モールドコネクタ
JP2018082588A (ja) プロテ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KR100967607B1 (ko)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JP5802010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シールド構造
KR100950221B1 (ko) 전자기기용 시그날 케이블
CN206908050U (zh) 一种射频电缆屏蔽接头
JP2001185891A (ja) ノイズ除去フィルタの取り付け構造
CN205911504U (zh) 屏蔽壳体组合及其线缆连接器
CN205429634U (zh) 一种防水配电盒
JP7365006B2 (ja) ワイヤハーネス
CN207588109U (zh) 一种usb母端连接器
JP6141094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シールド構造
CN108780968B (zh) 一种连接器接口及移动终端
US5775948A (en) Electrical connector
US9419384B1 (en) Connec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cable
CN213782322U (zh) 连接线束和电子设备
JP2018160316A (ja) コネクタ
WO2020066546A1 (ja) 配線部材
WO2023119804A1 (ja) ワイヤハーネス
CN206991919U (zh) 用于高效吸附和过滤的净水机上的变压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