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804B1 -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804B1
KR100966804B1 KR1020090125894A KR20090125894A KR100966804B1 KR 100966804 B1 KR100966804 B1 KR 100966804B1 KR 1020090125894 A KR1020090125894 A KR 1020090125894A KR 20090125894 A KR20090125894 A KR 20090125894A KR 100966804 B1 KR100966804 B1 KR 1009668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lar space
angle
space
display devi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승경숙
Original Assignee
이동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석 filed Critical 이동석
Priority to KR1020090125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8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8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8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 중앙에 원형공간(111)을 형성하고 원형공간(111)의 내주연에 메인래크(112)를 형성하되 원형공간(111)의 앞측과 상측을 개구하여 작동공간(114)을 형성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원형공간(111)에 삽입되어 밀착하는 회전구체(121)를 형성하고 몸체(110)의 메인래크(112)에 결합하는 메인래크(122)를 형성하되 회전구체(121)에 조절바(124)를 돌출시켜 몸체(110)의 작동공간(114)에 위치되게 하는 작동구(120), 및 상기 몸체(110)의 삽입공(115)에 결합하는 마감부재(130)로 구성하므로,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각도를 조절하고 세팅된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지지력을 직접 조절하여 알맞게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각도조절, 래크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angle controller for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다양한 물품이나 부재와 결합하여 원하는 각도로 정확하게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지지력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세팅된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도조절장치는 디스플레이장치나 각종 산업기기부재 또는 일반사무기기부재 및 가정용물품에 결합하여 그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편리하게 관찰하는 등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종래의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는 최초 각도를 조절하면 지나치게 뻑뻑하여 각도 조절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한 경우에는 지지력이 떨어져 세팅된 각도를 지속적 유지하지 못하고 가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최초에는 장기간 사용에 따른 지지력을 고려하여 각도조절이 매우 뻑뻑하게 제작되어 각도 조절에 따른 어려움과 불편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한 경우 지지력이 떨어져 디스플레이장치의 하중으로 인하여 세팅된 각도를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를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뿐만 아니라 정확하게 각도를 조절하고 세팅된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지지력으로 지속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를 유지하는 지지력을 직접 조절하여 알맞게 세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는 내부 중앙 원형공간을 형성하고 원형공간의 내주연에 메인래크를 형성하되 원형공간의 앞측과 상측을 개구하여 작동공간을 형성하고 저면에서 상향으로 삽입공을 형성하며 좌우면에 조절공을 형성하여 원형공간에 연통시키고 조절공에 조절볼트를 결합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원형공간에 삽입되어 밀착하는 회전구체를 형성하고 몸체의 메인래크에 결합되는 메인래크를 형성하되 회전구체에 조절바를 돌출시켜 몸체의 작동공간에 위치되게 하는 작동구, 및 상기 몸체의 삽입공에 결합하는 마감부재로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는 몸체의 원형공간에 작동구의 회전구체가 결합되어 회전구체에 돌출된 조절바를 상하전후로 조절하여 각도를 변환시키면, 맞물린 원형공간의 메인래크와 보조래크에 회전구체의 메인래크와 보조래크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변환되고 다시 견고하게 결합되어 세팅된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의 몸체에는 좌우측에 원형공간과 연통된 조절공의 조절볼트를 조이거나 풀어 조절볼트의 단부가 원형공간에 삽입된 회전구체의 좌우측을 적절하게 가압하도록 하여 원형공간의 메인래크와 보조래크에 회전구체의 메인래크와 보조래크의 결합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하중을 감안하여 알맞은 지지력과 정확한 각도로 세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지지력을 조절할 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에 상기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단면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100)는 내부 중앙에 원형공간(111)을 형성하고 원형공간(111)의 내주연에 메인래크(112)를 형성하되 원형공간(111)의 앞측과 상측을 개구하여 작동공간(114)을 형성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원형공간(111)에 삽입되어 밀착하는 회전구체(121)를 형성하고 몸체(110)의 메인래크(112)에 결합하는 메인래크(122)를 형성하되 회전구체(121)에 조절바(124)를 돌출시켜 몸체(110)의 작동공간(114)에 위치되게 하는 작동구(120)로 형성한다.
상기 몸체(110)는 하면에서 상향으로 삽입공(115)을 형성하고 좌우면에 조절공(116)을 형성하여 원형공간(111)과 연통시키되 조절공(116)에 조절볼트(117)를 결합한다.
나아가 몸체(110)의 모서리부분에 체결공(118)을 형성하고 체결공(118)과 결합하는 체결볼트(119)를 구비한다.
여기서 몸체(110)에는 메인래크(112)의 좌우에 보조래크(113)를 각각 더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작동구(120)는 회전구체(121)의 좌우에 보조래크(123)를 형성하여 몸체(110)의 원형공간에 형성된 보조래크(113)에 결합되게 한다.
여기서 회전구체(121)의 돌출된 조절바(124)의 단부에는 체결공(125)을 형성하여 디스플레이장치 등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회전구체(121)는 몸체(110)의 원형공간(111)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하여 메인래크(112,122)와 보조래크(113,123)를 작동이 원활하도록 함과 동시에 메인래크(112,122)와 보조래크(113,123)의 상호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몸체(110)의 삽입공(115)에 결합하는 마감부재(130)를 더 구비하되 마감부재(130)의 상면을 원형홈(131)을 형성하여 회전구체(121)를 가이드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10)의 삽입공(115)을 통해 원형공간(111)에 작동구(120)의 회전구체(121)를 삽입함과 동시에 회전구체(121)에 돌출된 조절바(124)를 작동공간(114)에 위치되게 하고 삽입공(115)에 마감부재(130)를 삽입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이때 조절바(124)를 작동공간(114)에 위치되면, 원형공간(111)의 내주연에 형성된 메인래크(112)와 보조래크(113)에 회전구체(121)의 외주연에 형성된 메인래크(122)와 보조래크(123)가 자동으로 일치하게 되어 맞물린다.
따라서 조절바(124)를 상하전후로 조절하여 각도를 변환시키면, 맞물린 원형공간(111)의 메인래크(112)와 보조래크(113)에 회전구체(121)의 메인래크(122)와 보조래크(123)가 자체 탄성에 의해 원하는 각도로 변환되고 다시 견고하게 결합되어 세팅된 각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몸체(110)의 체결공(118)을 통해 체결볼트(119)로 하부의 받침대 등과 결합시키고 작동구(120)의 조절바(124) 체결공(125)에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결합하여 사 용한다.
여기서 필요에 따라 작동구(120)의 조절바(124)를 받침대 등에 결합하고 체결공(118)을 통해 체결볼트(119)로 디스플레이장치 등에 결합할 수 도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몸체(110)에는 좌우측에 원형공간(111)과 연통된 조절공(116)이 형성되고 조절공(116)에 조절볼트(117)가 결합되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조절볼트(117)를 조이거나 풀어 조절볼트(117)의 단부가 원형공간(111)에 삽입된 회전구체(121)의 좌우측을 적절하게 가압하도록 하여 자체탄성으로 회전구체(121)가 약간 타원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원형공간(111)의 메인래크(112)와 보조래크(113)에 회전구체(121)의 메인래크(122)와 보조래크(123)의 결합 정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지지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는 디스플레이장치 등의 하중을 감안하여 알맞은 지지력과 정확한 각도로 세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수시로 지지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단면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를 단면하여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각도조절장치 110 : 몸체
111 : 원형공간 112 : 메인래크
113 : 보조래크 114 : 작동공간
115 : 삽입공 116 : 조절공
117 : 조절볼트 118 : 체결공
119 : 체결볼트 120 : 작동구
121 : 회전구체 122 : 메인래크
123 : 보조래크 124 : 조절바
125 : 체결공 130 : 마감부재
131 : 원형홈

Claims (3)

  1. 내부 중앙 원형공간(111)을 형성하고 원형공간(111)의 내주연에 메인래크(112)를 형성하되 원형공간(111)의 앞측과 상측을 개구하여 작동공간(114)을 형성하며 저면에서 상향으로 삽입공(115)을 형성한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좌우면에 조절공(116)을 형성하여 원형공간(111)에 연통시키며 조절공(116)에 조절볼트(117)를 결합하되 모서리부분에 체결공(118)을 형성하고 체결공(118)에 결합하는 체결볼트(119)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110)의 원형공간(111)에 삽입되어 밀착하는 회전구체(121)를 형성하고 몸체(110)의 메인래크(112)에 결합하는 메인래크(122)를 형성하되 회전구체(121)에 조절바(124)를 돌출시켜 몸체(110)의 작동공간(114)에 위치되게 하는 작동구(120)와, 상기 몸체(110)의 원형공간(111)과 작동구(120)의 회전구체(121)에 형성된 메인레크(112,122)의 좌우에 보조래크(113,123)가 형성되며, 상기 회전구체(121)의 돌출된 조절바(124)의 단부에는 체결공(125)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몸체(110)의 삽입공(115)에 결합하는 마감부재(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090125894A 2009-12-17 2009-12-17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KR1009668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94A KR100966804B1 (ko) 2009-12-17 2009-12-17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894A KR100966804B1 (ko) 2009-12-17 2009-12-17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804B1 true KR100966804B1 (ko) 2010-06-29

Family

ID=42370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894A KR100966804B1 (ko) 2009-12-17 2009-12-17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8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972U (ko) * 1990-01-09 1991-09-19
KR200268930Y1 (ko) * 2001-12-20 2002-03-18 김성보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20020068930A (ko) * 2001-02-23 2002-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KR20040017754A (ko) * 2002-08-23 2004-02-27 유정훈 카페트 및 카페트의 제조방법
KR200417754Y1 (ko) 2006-03-21 2006-06-02 백광이엔티(주) 차량용 거치대
US20080061210A1 (en) 2006-09-11 2008-03-13 Carnevali Jeffrey D Sheet music stan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1972U (ko) * 1990-01-09 1991-09-19
KR20020068930A (ko) * 2001-02-23 2002-08-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KR200268930Y1 (ko) * 2001-12-20 2002-03-18 김성보 차량용 모니터 거치대
KR20040017754A (ko) * 2002-08-23 2004-02-27 유정훈 카페트 및 카페트의 제조방법
KR200417754Y1 (ko) 2006-03-21 2006-06-02 백광이엔티(주) 차량용 거치대
US20080061210A1 (en) 2006-09-11 2008-03-13 Carnevali Jeffrey D Sheet music sta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925484S1 (en) Outdoor TV
USD534885S1 (en) Video entry-phone control board
USD587031S1 (en) Work bench cutting board
USD567625S1 (en) Cabinet handle
USD826297S1 (en) Manual heat press machine
USD879582S1 (en) Cabinet handle
USD880260S1 (en) Cooler divider and cutting board
JP3176019U (ja) 家具用挿入型連結部材
USD939309S1 (en) Screw extractor
USD913782S1 (en) Blind fastener sleeve
USD887459S1 (en) Refrigerator freezer appliance
USD880271S1 (en) Cabinet handle
USD926506S1 (en) Table
USD925308S1 (en) Utility tool
USD927295S1 (en) Screw
USD463134S1 (en) Offset handle lint roller
KR100966804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각도조절장치
USD948750S1 (en) Rooflight
USD516407S1 (en) Knob for an appliance
USD945814S1 (en) Appliance
USD942832S1 (en) Screwdriver handle
USD952855S1 (en) Bone screw
USD832960S1 (en) Divot repair tool
USD916703S1 (en) Adjustable groove masonry clamp
USD985318S1 (en) 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