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19B1 -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 Google Patents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19B1
KR100966019B1 KR1020090039187A KR20090039187A KR100966019B1 KR 100966019 B1 KR100966019 B1 KR 100966019B1 KR 1020090039187 A KR1020090039187 A KR 1020090039187A KR 20090039187 A KR20090039187 A KR 20090039187A KR 100966019 B1 KR100966019 B1 KR 100966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opening
plate
side edge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주
Original Assignee
문승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승주 filed Critical 문승주
Priority to KR102009003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0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3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with a hinged closure member or with a pivoted closure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 E03F2005/0417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in the form of a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변의 지중에 설치되어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우·오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우·오수 받이의 상부 안착턱에 걸쳐지게 장착되어 상기 우·오수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 유입 시 자동 개방되고 유입 정지 시 자동 폐쇄되어 악취 및 해충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방취·방충 장치로서, 에지부를 통해 상기 상부 안착턱에 안착되는 상판부의 중앙부에 사각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 개구부의 네 모서리부에서 수직 하향되게 수직판부가 형성되되 길이가 긴 방향에 평행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제1 대향 수직판부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직선 형태이고 길이가 짧은 방향에 평행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제2 대향 수직판부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중앙부에 꼭지부를 갖고 양 외측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 모서리부를 갖는 산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각 경사 모서리부는 중간 인접 부위에서 높이가 변경되는 단차부를 통해 상기 단차부와 상기 꼭지부 간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상대적으로 보다 하향 돌출되어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에서 내측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수평되도록 낙하 방지판부가 형성되며 상기 낙하 방지판부의 외측 끝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상향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 절곡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일부 면적이 삭제되어 삭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삭제부의 형성 시 절단되는 부분이 반전 절곡되어 외측을 향하도록 반전 외향 절곡부가 형성되는 본체 틀; 및 상기 낙하 방지판부에 안착되어 상기 본 체 틀 내의 상기 사각 개구부 내의 양측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를 폐쇄하는 한 쌍의 사각 판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각기 하단부가 상기 제1 대향 수직판부보다 미세 돌출되고 상단부는 서로 접하거나 미세 이격되며 각기 길이가 짧은 방향에 평행되는 양측의 측단부 측 모서리부의 중간 인접 부위에는 내측을 향해 직선 홈 형태의 끼움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향 절곡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끼움 홈부를 중심으로 반분되는 상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작은 상단 함몰 변부로 형성되는 반면 반분되는 하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큰 하단 돌출 변부로 형성되어 결합 상태에서 상기 상단 함몰 변부가 상기 하향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단 돌출 변부는 상기 제2 대향 수직판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단부 측 모서리부에는 연장 판이 하면으로 접하도록 접혀져 접힘 중량 판부가 형성되는 개폐판; 을 포함한다.
따라서, 우·오수 및 하수의 유입 또는 유입 정지에 따른 자동 개폐, 하수 역류에 따른 자동 개방과 같은 필요되는 모든 기능을 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성은 극히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방취·방충 장치가 제공되므로, 대폭적인 제조 비용의 절감에 따라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우수, 오수, 받이, 하수구, 방취, 방충, 역류, 개폐

Description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BAD SMELL INTERCEPTING APPARATUS FOR RAIN WATER RECEIVER}
본 발명은 도로변 우·오수 받이의 입구 측에 장착되어 평상 시 하수의 악취나 벌레가 외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필요되는 다기능을 모두 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원활히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극히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제조성과 제조 비용의 절감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우·오수 받이가 콘크리트 구조물 등으로 지중에 매설되게 설치되어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우·오수를 집수하여 하수구로 흘러보냄으로써, 도로 상에 우·오수가 잔류하지 않도록 한다.
관련하여, 하수구나 우·오수 받이 내부에는 하수에 기인하는 악취 및 각종 해충이 발생되어 외부 유출됨으로써, 외부의 주변 환경을 불량하게 만든다.
따라서, 우·오수 받이의 입구 측에 추가 장착되어 우·오수가 유입 시에는 자동 개방되어 원활히 배출되도록 하다가 우·오수의 유입 정지 시점에서는 자동 폐쇄되어 악취 및 해충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방취·방충 장치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한 방취·방충 장치와 관련된 대표적인 선행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20-0361514호의 "하수구의 방취·방충장치"가 있다.
해당 기술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살펴 보면, 그 기능은, 하수(즉, 우·오수)를 하천으로 흘려 보내지 않는 평상 시에는 폐쇄되어 악취나 해충의 유출을 방지하다가 하수를 하천으로 흘려 보낼 때에는 개방되어 하수를 하천으로 흘려 보내고, 장마 또는 태풍과 같은 집중 호우 시에 하천의 수위가 하수구의 수위보다 높아져 하수가 역류 시에는 하수가 각 가정으로 역류되거나 방취·방충장치를 부상시켜 훼손시키지 않도록 개방된다.
그 구성은, 하수구(2)에 걸쳐지도록 상단부에 날개(11)가 형성되고 해당 날개(11)의 내측으로는 양측이 하 방향으로 좁아지는 프레임(12)을 형성하며 프레임(12)의 전, 후면에는 배출구(13)가 형성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프레임(12) 이면에 경첩(14)으로 결합되어 프레임(12)의 외측으로 회전 운동되고 중앙에는 유입구(23)가 형성되며 경첩(14)으로 결합된 상부 측에 무게추(22)가 결합되어 배출구(13)를 개폐하는 개폐판(20)과, 개폐판(20)의 이면에 힌지(34)로 결합되어 개폐판(20)과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에 의해 유입구(23)를 개폐하는 보조 개폐판(30)을 포함한다.
따라서, 그 작용은, 도로 상의 하수가 하수구(2)로 유입되지 않으면 하우징(10)의 프레임(12)에 형성된 배출구(13)에 경첩(14)으로 결합된 개폐판(20)은 무 게추(22)에 의해 배출구(13)를 폐쇄하여 하수구(2)의 악취나 해충이 외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다가, 이후 비가 오거나 도로 청소에 따라 도로 상에 하수가 발생되어 하수구(2)로 유입되면, 개폐판(20)이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과 무게에 의해 경첩(14)을 중심으로 프레임(12)의 외측으로 벌려짐에 따라 배출구(13)를 개방하여 도로 상의 하수가 원활히 하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며, 하수 유입이 중단되는 시점에서는 무게추(22)의 무게에 의해 개폐판(2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배출구(13)를 막게 되고, 한편 비가 많이 오는 장마나 집중 호우 시점에서 하천의 수위가 높아져 하천으로부터 역류하는 하수가 상승될 때(즉, 하천에서 역류하는 하수의 수압이 도로에서 유입되는 하수의 수압보다 높을 때)에는 역류하는 하수에 의해 개폐판(20)의 중앙에 힌지 결합된 보조 개폐판(30)이 역류하는 하수의 압력을 받아 힌지(24, 34)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폐판(20)에 형성된 유입구(23)를 개방하여 하수가 도로 위로 방출될 수 있어 역류하는 하수가 각 가정집이나 상가 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그 방취·방충장치가 부상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미설명한 도면 부호 15는 우·오수의 유입 시 함께 유입될 수 있는 담배꽁초, 각종 쓰레기 등의 협잡물을 걸러 하수구의 막힘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행자나 차량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거름망 형태로 맨 위에 구비되는 그레이팅(grating)이다.
나아가, 이와 같은 선행 기술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종래 기술들은 모두 기능이 동일하고, 구성이 다를 뿐이며, 그 구성도 대부분은 자동 개폐를 위하여 자중이나 스프링의 복원력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상의 선행 기술을 포함하는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실정이다.
첫째, 회전 작동을 위해 경첩(14)이나 힌지(34)를 이용하고 별도로 무게추(22)를 추가 이용하며 보조 개폐판(30)을 부가 이용하는 등, 그 구성이 매우 복잡함에 따라 제조성이 극히 불량하고 그에 따라 높은 제조 비용이 소요되며, 작동 시 작동 오류도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작동 오류와 관련하여, 특히 개폐판(20)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해당 상단부에 무게추(22)도 구비되므로, 무게가 매우 무거운 무게추(22)를 이용하여야만 도 3의 (a)와 같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개폐판(20)을 원활히 들어올려 자동 폐쇄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하수의 배출 시점에서는 무게추(22)의 무게를 이길 수 있을 만큼의 많은 양의 하수가 유입되지 않는 이상 개폐판(20)이 쉽게 개방되지 못하며, 그에 따라 도로 위나 그 개폐판(20)의 상부에 물이 고여 잔류할 수 있고 신속하게 배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개폐판(20)이 상단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 3의 (a)와 같이 수직되게 위치되므로 수직되는 개폐판(20)의 전 길이를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수구(2) 구조물이 상하로 길게 시공되어야 하므로, 하수구(2) 구조물의 축조 비용을 증가시키고, 이미 상하 길이가 짧게 축조된 하수구(2) 구조물에는 원활히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하수의 역류 시 보조 개폐판(30)이 개방되는데 여전히 개폐판(20)과 프레임(12)의 일부 부분은 역류하는 수압을 그대로 받게 되는 바 실제로는 하수 역 류에 따라 그 방취·방충장치가 부상되어 파손될 수 있다.
다섯째, 그레이팅(20) 밑의 개폐판(120)이 역삼각 형태를 이루므로, 그레이팅(20)에서 미처 걸러지지 못한 각종 협잡물이 깊이가 깊은 개폐판(120)의 역삼각 꼭지부에 모여 추후 청소가 어렵도록 함과 아울러, 개폐판(120)이 그 위에 쌓이는 협잡물의 중량 부가에 의해 자동 개방되어 내부의 악취와 해충이 외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여섯째, 회전 작용을 위해 경첩(14)이나 힌지(34)를 이용하는 방식은 그 힌지 결합부에 녹, 부식 등이 발생되고 이물질이 끼임에 따라 얼마 지나지 않아 뻑뻑하게 되어 회전 작동이 불량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정리하면, 종래의 방취·방충장치는 구성이 매우 단순한 것은 그만큼 그 기능이 제한되어 하수 역류 시 등에 원활히 대응할 수 없고, 이상과 같이 필요되는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것은 그만큼 장치의 구성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매우 불량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우·오수 및 하수의 유입 또는 유입 정지에 따른 자동 개폐, 하수 역류에 따른 자동 개방과 같은 필요되는 모든 기능을 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성은 극히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어, 향상된 제조성과 제조 비용의 절감성 및 낮은 작동 오류 발생성을 제공할 수 있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에서 개폐판이 차지하는 상하 길이가 짧아 상대적으로 짧은 상하 길이를 갖는 하수구 구조물에도 원활히 장착될 수 있어, 하수구 구조물의 축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개폐판의 자동 폐쇄를 위해 상단부에 부가되는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볍게 구성될 수 있어 우·오수의 배출 시점에서 소량의 우·오수가 유입되더라도 원활히 배출할 수 있고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는, 도로변의 지중에 설치되어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우·오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우·오수 받이의 상부 안착턱에 걸쳐지게 장착되어 상기 우·오수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 유입 시 자동 개방되고 유입 정지 시 자동 폐쇄되어 악취 및 해충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방취·방충 장치로서, 에지부를 통해 상기 상부 안착턱에 안착되는 상판부의 중앙부에 사각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 개구부의 네 모서리부에서 수직 하향되게 수직판부가 형성되되 길이가 긴 방향에 평행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제1 대향 수직판부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직선 형태이고 길이가 짧은 방향에 평행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제2 대향 수직판부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중앙부에 꼭지부를 갖고 양 외측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 모서리부를 갖는 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 틀과; 상기 본체 틀 내의 사각 개구부 내의 양측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를 폐쇄하는 한 쌍의 사각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사각 판이 상기 본체 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진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틀의 제2 대향 수직판부는, 상기 각 경사 모서리부의 중간 인접 부위에서 높이가 변경되는 단차부로부터 상기 꼭지부 사이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상대적으로 타부위보다 하향 돌출되어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에서 내측을 향해 직각 절곡되어 수평되도록 낙하 방지판부가 형성되며, 상기 낙하 방지판부의 외측 끝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상향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 절곡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일부 면적이 삭제되어 삭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삭제부의 형성 시 절단되는 부분이 반전 절곡되어 외측을 향하도록 반전 외향 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판을 이루는 한 쌍의 사각 판은, 상기 낙하 방지판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기 하단부가 상기 제1 대향 수직판부보다 미세 돌출되고 상단부는 서로 접하거나 미세 이격되며 각기 길이가 짧은 방향에 평행되는 양측의 측단부 측 모서리부의 중간 인접 부위에는 내측을 향해 직선 홈 형태의 끼움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향 절곡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끼움 홈부를 중심으로 반분되는 상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작은 상단 함몰 변부로 형성되는 반면 반분되는 하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큰 하단 돌출 변부로 형성되어 결합 상태에서 상기 상단 함몰 변부가 상기 하향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단 돌출 변부는 상기 제2 대향 수직판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단부 측 모서리부에는 연장 판이 하면으로 접하도록 접혀져 접힘 중량 판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향 절곡부는, 상방 노출되는 각부 부분의 일부 면적이 삭제되어 형성되는 삭제 각부를 구비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양측 개폐판의 상단부 간에는 폭발성 가스의 외부 유출을 위한 미세한 개방 틈새가 형성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단차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하향 돌출부는, 상기 개폐판의 두께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오수 및 하수의 유입 또는 유입 정지에 따른 자동 개폐, 하수 역류에 따른 자동 개방과 같은 필요되는 모든 기능을 보다 우수한 성능으로 실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성은 극히 단순하게 이루어지는 방취·방충 장치가 제공되므로, 대폭적인 제조 비용의 절감에 따라 시공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즉, 종래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의 경우 하수의 역류시 개방 자체가 불가능하거나, 보조개폐판이 개방될 수 있는 구조라하더라도 하수 역류에 따른 수압이 상방향으로 개방될 수 없는 개폐판과 프레임까지 가해지게 되어 방취·방충장치가 파손될 수 있는 것인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르게 되면 우·오수의 유입시에는 그 수압이 각 개폐판을 눌러주도록 작용되면서 각 개폐판을 즉시 개방시킴으로써 배수가 빠른 시간내에 이루어질 수 있고, 하수가 역류할 때에도 그 압력이 오로지 각 개폐판을 상방향으로 밀어주도록 작용되면서 손쉽게 각 개폐판을 상방향으로 개방시켜줌으로써 하수가 원활히 역류될 수 있음은 물론 하수의 역류에 따른 압력에 의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또한, 종래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의 경우에는 개폐판을 본체 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경첩이나 힌지 등 고가의 부품이 필요한 것이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본체 틀의 하부측 모서리 부위를 길게 형성하고 이를 직각 절곡한 후 절곡된 부위로부터 상향절곡부와 하향절곡부를 각각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개폐판에는 상향절곡부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홈부를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하기만 하면 경첩이나 힌지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없이도 본체 틀과 각 개폐판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구성이 매우 단순함은 물론 이를 제작하기 위한 제작공정이 매우 간편해지며, 고가의 부재가 필요없어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판의 자동 폐쇄를 위해 상단부에 부가되는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벼우므로, 그만큼 우·오수의 배출 시점에서 소량의 우·오수도 원활히 배출할 수 있으면서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음으로써 도로 상의 침수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판이 개방된 상태에서 상하 길이가 짧아 상대적으로 상하 길이가 짧은 우·오수 받이에도 원활하게 장착될 수 있으므로, 우·오수 받이의 축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르면, 폐쇄 상태에서 개폐판의 깊이가 낮으므로 해당 개폐판 위에 쌓이는 각종 협잡물에 대한 청소가 용이할 수 있고, 또한 양측 개폐판의 상단부 사이에 개방 틈새가 형성되어 내부의 폭발성 가스가 배출될 수 있어 폭발 위험성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그것을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그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그 본체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8은 그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작용들을 설명하는 도면들이고, 도 9는 그 상황별 작용들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100)는 도로변의 지중에 통상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축조되어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우·오수를 집수하여 배수하는 우·오수 받이(10)의 입구 측에 장착되어 자동 개폐 작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로로부터 우·오수가 유입 시에는 자동 개방되어 원활히 하부 측으로 배출되도록 하다가, 우·오수의 유입이 정지되는 시점에서는 자동 폐쇄되어 내부의 악취 및 해충의 외부 유출을 막고, 또한 하수가 역류 부상 시에는 자동 개방되어 역류되는 하수를 통과시킨다.
참고로, 우·오수 받이(10)는 내부에 사각 집수공(12)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이며, 상단부에는 상부 안착턱(14)이 형성되어 그 상부 안착턱(14)에 대해 우·오수의 유입 시 함께 유입될 수 있는 각종 협잡물을 거르면서 보행자나 차량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통상의 그레이팅(20)이 안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취·방충 장치(100)도 우·오수 받이(10)의 상부 안착턱(14)에 걸쳐지도록 장착되며, 그것이 먼저 안착된 후 그 위에 그레이팅(20)이 안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취·방충 장치(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취·방충 장치(100)는, 에지부를 통해 우·오수 받이(10)의 상부 안착턱(14)에 안착되는 사각 상판부(112)의 중앙부에 사각 개구부(114)가 형성되고 사각 개구부(114)의 네 모서리부에서 수직 하향되게 수직판부(116)가 형성되며 네개의 수직판부(116)는 기본적으로 동일 길이이되 길이가 긴 방향에 평행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두개의 제1 대향 수직판부(116-1)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직선 형태이고 길이가 긴 방향에 직교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두 개의 제2 대향 수직판부(116-2)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중앙부에 꼭지부를 갖고 양 외측부로 갈수록 직선되게 경사지는 경사 모서리부(116a)를 갖는 산 모양으로 형성되며 각 경사 모서리부(116a)는 중간 인접 부위에서 높이가 변경되는 단차부(116a-1)를 가져 해당 단차부(116a-1)를 중심으로 단차부(116a-1)와 꼭지부 간에 해당하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하향 돌출되는 하향 돌출부(116a-2)로 형성되고 하향 돌출부(116a-2)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에서 내측을 향해 수직 절곡되어 수평되도록 낙하 방지판부(118)가 형성되며 낙하 방지판부(118)의 외측 끝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상향 절곡부(118a)가 형성되고 상향 절곡부(118a)로부터 내측으로 조금 이격되는 면적 부분은 삭제되어 삭제부(118b)로 형성되며 삭제부(118b)의 형성에 따라 절단되는 부분이 외측을 향하도록 반전 절곡되어 반전 외향 절곡부(118c)가 형성되는 본체 틀(110)과, 본체 틀(110) 내의 사각 개구부(114) 내의 양측에 삽입 안착되어 해당 사각 개구부(114)을 폐쇄하는 한 쌍의 사각 판의 것으로 안착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제1 대향 수직판부(116-1)보다 미세 돌출되고 각기 그 길이가 짧은 방향에 따른 양측 측단부 측 모서리부의 중간 인접 부위에는 내측을 향하는 직선 홈 형태로 끼움 홈부(120a)가 형성되고 해당 끼움 홈부(120a)를 중심으로 반분되는 상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작은 상단 함몰 변부(120b)로 형성되는 반면 반분되는 하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큰 하단 돌출 변부(120c)로 형성되며 상단부 측 모서리부에는 연장되는 판이 하면에 접하도록 완전히 접혀져 접힘 중량 판부(120d)가 형성되고 결합 시 각기 본체 틀(110)의 낙하 방지판부(118)에 안 착되되 그 끼움 홈부(120a)가 상향 절곡부(118a)에 끼워져 결합되며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그 끼움 홈부(120a)를 중심으로 반분되는 상단부 측은 낙하 방지판부(118)에 접하도록 안착됨과 아울러 반분되는 하단부 측은 경사 모서리부(116a)에 접한 후 외측으로 보다 돌출되며 작용 시 상향 절곡부(118a)에 끼워진 끼움 홈부(120a)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개폐되되 개방을 위한 회전 시에는 상단부가 외측을 향해 회전되고 폐쇄를 위한 회전 시에는 역으로 상단부가 내측을 향해 회전되며 그 개방 회전은 반전 외향 절곡부(118c)에 접촉될 때까지 실행되고 그 폐쇄 회전은 그 접힘 중량 판부(120d)의 중량에 의해 실시되는 개폐판(120)을 포함한다.
기본적으로, 본체 틀(110)과 개폐판(120)은 공히 방식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서 슈퍼 갈바륨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체 틀(110) 상의 제1 대향 수직판부(116-1)는 상판부(112)에서 사각 개구부(114)를 절단하여 형성함에 따라 절단되는 부분이 수직 절곡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제2 대향 수직판부(116-2)는 상기한 제1 대향 수직판부(116-1)와 같이 사각 개구부(114)의 절단 형성에 따라 절단되는 부분이 수직 절곡되는 것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다르게 별도로 제조된 후 그 연장되는 단부들이 제1 대향 수직판부(116-1)와 상판부(112)에 대해 겹쳐진 상태에서 용접되는 방식 등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제2 대향 수직판부(116-2) 상의 경사 모서리부(116a), 단차부(116a-1), 하향 돌출부(116a-2), 낙하 방지판부(118), 상향 절곡부(118a), 삭제부(118b) 및 반전 외향 절곡부(118c)는 판을 절단하거나 절곡 가공하는 것에 의해 간단히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다르게 제2 대향 수직판부(116-2)에 부가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낙하 방지판부(118), 상향 절곡부(118a), 삭제부(118b) 및 반전 외향 절곡부(118c)의 부분은 별도로 개별 제조된 후 용접 등으로 부가 결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삭제부(118b)의 절단 형성에 따라 절단되는 부분을 반전 절곡하여 반전 외향 절곡부(118c)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삭제부(118b)를 구지 형성하지 않고 반전 외향 절곡부(118c) 만을 적절히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개폐판(120)의 상단부 측 모서리부에서 접혀져 형성되는 접힘 중량 판부(120d)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부의 전 길이를 통해 형성되지 않고 일부 길이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폐판(120)의 상단부를 접어 간단히 접힘 중량 판부(120d)를 형성하여 작동 시 해당 접힘 중량 판부(120d)의 중량에 의해 자동 폐쇄가 실시되도록 하는데, 그다지 무게가 무겁지 않도록 접힘 중량 판부(120d)를 형성하여도 자동 폐쇄가 원활히 실시될 수 있는 이유는, 종래와 같이 개폐판(120)이 수직을 넘어가는 정도까지 과다하게 개방되지 않고 도 8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을 넘어가지 않는 약간 경사진 정도까지만 개방되기 때문에 상단부에 그다지 큰 중량을 부가하지 않아도 원활히 닫힐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판을 간단히 접어 종래의 무게추(22)에 대응되는 요소를 형성한다는 것은 막대한 제조 비용의 절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그 접힘 중량 판부(120d)의 중량이 작은 만큼 우·오수의 유입 시점에서는 그 유입량이 적어도 개폐판(120)이 원활히 개방될 수 있어, 도로나 그 개폐판(120) 상에 물이 고이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도 있다.
우·오수 받이(10)는 통상 직사각 평면 형상을 가지며, 그에 대응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방취·방충 장치(100)도 직사각 평면 형상을 가지는데, 정사각이 아닌 직사각 형상임을 고려할 때, 개폐판(120)은 경사지는 상하 방향으로는 길이가 짧고 좌우 방향으로는 길이가 길게 구비되는 것이 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그 개방에 따라 차지하는 상하 길이를 줄일 수 있어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측의 개폐판(120)은 폐쇄된 상태에서 산 모양을 이루되 깊이가 충분히 얕아 그 위에 쌓이는 각종 협작물의 청소 작업도 매우 용이하게 실시되도록 할 수 있다.
나아가, 양측 개폐판(120)이 서로 만나는 상단부 간에는 미세한 개방 틈새(g)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그와 같이 개방 틈새(g)가 형성되면, 비록 내부 악취가 조금 유출될 수는 있으나 하수에 기인하여 내부 발생되는 폭발성 가스가 원활하게 상방 배출될 수 있어 폭발성 가스가 내부에 모여져 폭발되는 폭발 사고의 발생을 원활히 차단할 수 있다.
상기한 상향 절곡부(118a)는 개폐판(120)의 회전 작용 시 개폐판(120)이 하부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상향 절곡부(118a)는 그 상방 노출되는 각부 부분이 일부 면적 삭제되어 삭제 각부(118a-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해당 삭제 각부(118a-1)는 그 상향 절 곡부(118a)와 개폐판(120)이 이루는 깊은 부분에 쌓이는 외부 협작물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회전 작동이 뻑뻑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 사람의 접촉에 따른 상해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그 작용에 대해 이하 도 8과 도 9를 참조로 설명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본체 틀(110)에 대해 개폐판(120)이 결합을 이루어 개폐판(120)에 의해 사각 개구부(114)가 폐쇄되는 상태에서는 개폐판(120)의 끼움 홈부(120a)를 중심으로 하여 반분되는 상단부 측은 에지부의 하면을 통해 낙하 방지판부(118)의 상면에 밀착되고, 한편 반분되는 그 하단부 측은 에지부의 상면을 통해 제2 대향 수직판부(116-2)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에 밀착되며, 또한 개폐판(120)의 하단부 측 에지부는 제1 대향 수직판부(116-1)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에 밀착됨으로써, 사각 개구부(114)를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다.
그 폐쇄 상태에서 개폐판(120)의 끼움 홈부(120a)를 중심으로 반분되는 하단부 측은 제1 대향 수직판부(116-1) 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한편 개폐판(120)의 끼움 홈부(120a)를 중심으로 반분되는 상단부 측의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하향 돌출부(116a-2)의 내측에 위치된다.
첨언하면, 본체 틀(110) 상의 단차부(116a-1)에 의해 형성되는 하향 돌출부(116a-2)는 개폐판(120)의 두께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이상과 같은 폐쇄 상태에서 개폐판(120)이 직선된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폐쇄 상태가 유지되다가 외부로부터 우·오수가 유입되거나 하수의 역류 유입 시점에서는 유입압을 받아 개폐판(120)이 회전되어 개방되게 되며, 즉 양측의 개폐판(120)의 상단부가 서로 이격되도록 회전되어 개방됨으로써 도 8의 (b)와 같이 결국 개방된 상태에서 세개의 개방 공간을 통해 우·오수나 하수가 원활히 통과될 수 있다.
이때, 개폐판(120)의 개방은 해당 개폐판(120)이 반전 외향 절곡부(118c)에 접촉되어 걸릴 때까지 실시되며, 과회전이 방지된다.
물론, 하수의 역류 유입 시에는 폐쇄되어 있는 상태에서 개폐판(120)의 하단부 측 에지부가 제1 대향 수직판부(116-1)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에 걸리므로 그 하수의 역류압이 개폐판(120)의 상단부로 작용되어 동일하게 개방된다.
이와 같이 개방되었다가, 우·오수나 하수의 유입이 정지되는 시점에서는 유입압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접힘 중량 판부(120d)가 제공하는 중량에 의해 개폐판(120)이 자동으로 역방향 회동되어 닫힌다.
이상, 상기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단지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시킴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인지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의 작용들을 설명하는 단면도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상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를 하부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의 분리된 상태에 대한 분리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의 본체만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의 결합된 상태를 일부 절단하여 작용들을 설명하는 도면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가 우·오수 받이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황별 작용들을 설명하는 단면도들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우·오수 받이 12 : 사각 집수공
14 : 상부 안착턱 20 : 그레이팅
100 : 방취·방충 장치 110 : 본체 틀
112 : 상판부 114 : 사각 개구부
116 : 수직판부 116-1 : 제1 대향 수직판부
116-2 : 제2 대향 수직판부 116a : 경사 모서리부
116a-1 : 단차부 116a-2 : 하향 돌출부
118 : 낙하 방지판부 118a : 상향 절곡부
118a-1 : 삭제 각부 118b : 삭제부
118c : 반전 외향 절곡부 120 : 개폐판
120a : 끼움 홈부 120b : 상단 함몰 변부
120c : 하단 돌출 변부 120d : 접힘 중량 판부
g : 개방 틈새

Claims (3)

  1. 도로변의 지중에 설치되어 도로 상에서 발생되는 우·오수를 집수하여 배출하는 우·오수 받이의 상부 안착턱에 걸쳐지게 장착되어 상기 우·오수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 유입 시 자동 개방되고 유입 정지 시 자동 폐쇄되어 악취 및 해충의 외부 유출을 차단하는 방취·방충 장치로서, 에지부를 통해 상기 상부 안착턱에 안착되는 상판부의 중앙부에 사각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사각 개구부의 네 모서리부에서 수직 하향되게 수직판부가 형성되되 길이가 긴 방향에 평행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제1 대향 수직판부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직선 형태이고 길이가 짧은 방향에 평행되도록 양측에서 서로 대향되는 제2 대향 수직판부는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중앙부에 꼭지부를 갖고 양 외측부로 갈수록 경사지는 경사 모서리부를 갖는 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본체 틀과; 상기 본체 틀 내의 사각 개구부 내의 양측에 삽입 안착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를 폐쇄하는 한 쌍의 사각 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사각 판이 상기 본체 틀에 회전가능하게 각각 연결되어 상기 사각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판으로 이루어진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본체 틀의 제2 대향 수직판부는, 상기 각 경사 모서리부의 중간 인접 부위에서 높이가 변경되는 단차부로부터 상기 꼭지부 사이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가 상대적으로 타부위보다 하향 돌출되어 하향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향 돌출부의 하단부 측 모서리부에서 내측을 향해 직각 절곡되어 수평되도록 낙하 방지판부가 형성되며, 상기 낙하 방지판부의 외측 끝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상향 절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향 절곡부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는 일부 면적이 삭제되어 삭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삭제부의 형성 시 절단되는 부분이 반전 절곡되어 외측을 향하도록 반전 외향 절곡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개폐판을 이루는 한 쌍의 사각 판은, 상기 낙하 방지판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각기 하단부가 상기 제1 대향 수직판부보다 미세 돌출되고 상단부는 서로 접하거나 미세 이격되며 각기 길이가 짧은 방향에 평행되는 양측의 측단부 측 모서리부의 중간 인접 부위에는 내측을 향해 직선 홈 형태의 끼움 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향 절곡부에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끼움 홈부를 중심으로 반분되는 상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작은 상단 함몰 변부로 형성되는 반면 반분되는 하단부 측에 해당하는 측단부 측 모서리부는 상대적으로 돌출 정도가 큰 하단 돌출 변부로 형성되어 결합 상태에서 상기 상단 함몰 변부가 상기 하향 돌출부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하단 돌출 변부는 상기 제2 대향 수직판부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단부 측 모서리부에는 연장 판이 하면으로 접하도록 접혀져 접힘 중량 판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 절곡부는,
    상방 노출되는 각부 부분의 일부 면적이 삭제되어 형성되는 삭제 각부를 구비하고,
    폐쇄 상태에서 상기 양측 개폐판의 상단부 간에는 폭발성 가스의 외부 유출을 위한 미세한 개방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하향 돌출부는,
    상기 개폐판의 두께에 상응하는 상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KR1020090039187A 2009-05-06 2009-05-06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KR1009660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87A KR100966019B1 (ko) 2009-05-06 2009-05-06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9187A KR100966019B1 (ko) 2009-05-06 2009-05-06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019B1 true KR100966019B1 (ko) 2010-06-24

Family

ID=42370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9187A KR100966019B1 (ko) 2009-05-06 2009-05-06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0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42B1 (ko) 2009-06-04 2011-06-16 권혁중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4270U (ko) 1975-02-19 1976-08-20
JPH022977U (ko) * 1988-06-09 1990-01-10
JP2002201704A (ja) 2000-10-25 2002-07-19 Sokun Imoto 排水桝
KR200423927Y1 (ko) 2006-05-30 2006-08-11 전봉상 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04270U (ko) 1975-02-19 1976-08-20
JPH022977U (ko) * 1988-06-09 1990-01-10
JP2002201704A (ja) 2000-10-25 2002-07-19 Sokun Imoto 排水桝
KR200423927Y1 (ko) 2006-05-30 2006-08-11 전봉상 오수받이의 악취차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2442B1 (ko) 2009-06-04 2011-06-16 권혁중 가변 조립식 악취차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5383Y1 (ko) 오물 및 악취 차단 기능을 갖는 그레이팅
KR100957464B1 (ko) 빗물받이 집수정용 덮개 장치
US6821053B2 (en) Water flow responsive barrier for gutters and storm drains with rotary actuator
KR100935102B1 (ko)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 차단장치
KR101652055B1 (ko) 우수받이
KR101558325B1 (ko) 악취방지 및 해충의 유입과 하수의 역류를 방지하는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KR100941371B1 (ko) 집수정용 악취방지 차단 및 배수가 용이한 차단장치
KR100961152B1 (ko) 악취방지 빗물받이
KR100681845B1 (ko) 도로의 배수박스구조
KR20090007395U (ko) 그레이트용 거름망 설치구조
KR100966019B1 (ko) 하수구의 우·오수 받이용 방취·방충 장치
KR100558709B1 (ko) 오염방지 청소기능을 갖는 교량용 집수장치
KR200416118Y1 (ko) 우, 오수받이.
KR200361514Y1 (ko) 하수구의 방취·방충장치
KR102354746B1 (ko) 청소차에 의해 청소가 가능한 맨홀 악취 차단 장치
KR101291639B1 (ko) 악취가 방지되는 우수받이용 거름망
KR100758603B1 (ko)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한 도로노면 측구의 티형 확장우수받이
KR200318205Y1 (ko) 도로 집수정
KR200228281Y1 (ko) 빗물받이 집수정의 악취방지 덮개
KR102524324B1 (ko) 하수구용 그레이팅
KR101181401B1 (ko) 도로 또는 교량 배수로의 집수구 그래이팅
KR200461233Y1 (ko) 차단판을 구비한 악취차단장치
KR20090108277A (ko) 배수트랩
KR101841998B1 (ko) 악취 역류 방지판이 구비된 그레이팅 구조체
KR102608976B1 (ko) 담배 꽁초를 포함하는 이물질 수거 및 제거가 간편한 그레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0113

Effective date: 2010053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