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801B1 -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 - Google Patents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801B1
KR100965801B1 KR1020080116135A KR20080116135A KR100965801B1 KR 100965801 B1 KR100965801 B1 KR 100965801B1 KR 1020080116135 A KR1020080116135 A KR 1020080116135A KR 20080116135 A KR20080116135 A KR 20080116135A KR 100965801 B1 KR100965801 B1 KR 100965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insole
selective
polyurethane gel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6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617A (ko
Inventor
김휘진
Original Assignee
유미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미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미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09/00000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9088182A2/ko
Publication of KR20090075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14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made of sponge, rubber,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에 있어서, 착용자 발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아치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 및 상기 인솔 본체의 상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퍼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하부면에 선택적 탈부착가능부재가 도포되어 있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에 있어서 어퍼의 하부면에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도포되어 있어,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솔에 탈부착이 가능한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면서도 물리적인 힘을 가할 경우 탈착이 가능하고, 또한 탈착된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 표면에 이물이 붙은 경우에도 물로 씻어 이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상기 어퍼를 인솔에 부착하고 탈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인솔(Insole), 플라스틱 인솔

Description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ATTACHED/DETACED-UPPER AND INSO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발바닥 형상에 따른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와 상기 인솔 본체의 상부면을 덮는 어퍼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하부면에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은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면서도 물리적인 힘을 가할 경우 탈착이 가능하고, 또한 탈착된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 상면에 이물이 붙은 경우에도 물로 씻어 이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상기 어퍼를 인솔에 부착하고 탈착할 수 있다.
흔히 깔창이라 불리는 인솔(insole)은 발바닥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을 이루어 가장자리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발의 하부를 감싸 신발을 신을 때 발이 편안하도록 한다. 또한, 보행시에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소재로 제조되어 발이 지면에 닿을 때 발생하는 충격의 일부를 흡수하여 발의 피로를 감소시키며 부상의 위험도 줄여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인솔의 소재는 용도에 따라 현재 사용가능한 모든 종류의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하고 있다. 이 중에서도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글래스파이버(glass fiber), 및 복합플라스틱 혼합체 등이 주로 사용된다. 복합플라스틱 혼합체란,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lyethlene terephtalate: PET)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나일론과 글래스파이버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형태를 일컫는다. 그러나 보행자가 플라스틱 인솔만을 착용하는 경우 탄성력이 약해 착화감이 떨어지고, 발바닥에 무리가 가게 되므로, 인솔 상부면에 탄성복원력이 뛰어난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등의 재료로 이루어진 어퍼(upper)를 덧붙여 사용한다. 종래에는 인솔과 어퍼가 보행시 신발 내에서 고정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인솔 상부면에 어퍼가 부착된 형태로 제공된다.
한편, 보행 시의 충격을 흡수하거나 인솔의 질감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인솔용 부재로는 네오프렌 고무(NR), 스틸렌부타디엔고무(SBR), 부타디엔고무(BR), 클로로프렌고무(CR) 등의 열가소성 고무(TPR, Thermoplastic Rubber)가 사용된다. 그러나 보행시 발의 앞부분 보다는 뒷부분에 더 많은 충격이 가해지게 되므로 열가소성 고무를 사용한 인솔은 장시간 착용하면 발뒤꿈치 부분에 무리가 가고, 인솔의 뒷부분이 내려앉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종래기술로 전후의 밀도가 다른 인솔을 이용하여 뒷축의 내려앉음을 방지하는 인솔을 개시하는 실용신안등록 제20-0428449호, 및 발뒤꿈치 부분에 완충용 쿠션을 추가한 발교정용 인솔덧신을 개시하는 실용신안등록 제20-0390153호 등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은 발뒤꿈치에 충격을 줄이고, 인솔의 뒷축이 내려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완충 쿠션을 추가한다거나, 발포수지를 추가하는 등, 다층 구조를 갖는 인솔을 개시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열가소성 고무를 재료로 하는 다층 구조의 인솔은 인솔 전체의 두께가 두꺼워져서 착화감이 떨어지고, 제조 시 불필요한 공정의 추가로 제조 공정 및 제조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압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탄성력이 없는 단일 소재를 사용하는 인솔은 발뒤꿈치에 지면과 닿는 충격이 정기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장기간에 걸친 보행시 피로감을 주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사용자가 의료용이나 교정용으로 발바닥 형상의 인솔을 착용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발에 적합하도록 발바닥 아치의 굴곡과 높이, 발바닥 길이, 족궁의 형상 등을 측정하여 주문 맞춤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주문 제작된 인솔은 고가이며 제작기간도 오래 소요된다.
또한, 종래의 어퍼는 상부면에 상표나 문양들이 인쇄되거나, 색깔이 있는 천으로 처리되어 인솔 본체에 부착되어 있어 소비자의 취항, 용도에 따라 색깔이나 형태가 다양한 어퍼를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어퍼가 부착된 인솔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불편이 존재하였다.
이에 대한 개선예로, 어퍼(상판) 하단에 일반 접착제를 미리 바른 후 코팅지를 붙여 스티커형 어퍼를 제조하여, 어퍼를 인솔 상면에 부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코팅지를 제거하고 인솔에 바로 부착할 수 있는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10656호가 있다.
하지만, 상기 제20-0310656호에 따른 어퍼는 부착을 위한 것이고,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어퍼를 인솔에서 탈착하는 것이 가능할 수는 있지만, 인솔 상면에서 접착제를 깔끔하게 제거하기 힘들기 때문에 어퍼가 제거된 인솔의 상면이 고르지 못한 단점이 있다. 특히, 완전히 제거되지 않은 접착제 잔여물로 인하여 인솔 착용시 불편함뿐만 아니라, 심미적인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 탈착된 어퍼를 재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일반 스티커형 접착제는 일단 접착이 되면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하더라도, 탈착된 후 다시 접착력을 복원하지 못한다. 접착제와 결합한 물질을 제거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따라서, 접착제에 이물이 잔류하여 접착력을 잃게 된다.
한편, 시간이 경과하거나, 온도가 올라가면 접착제가 흘러내려, 발바닥에 불쾌감을 줄 정도로 피부에 접착할 수 있을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은: 착용자 발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가 위하여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아치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 및 상기 인솔 본체의 상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퍼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하부면에 선택적 탈부착가능부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택적 탈부착가능부재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물을 물로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적 탈부착가능부재는 폴리우레탄 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우레탄 겔의 경도는 30C 내지 35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메틸렌 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4,4'-diisocyanate: MDI)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솔 본체의 하부면의 발뒤꿈치 영역에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추가로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는 하부면에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도포되어 있어,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솔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물을 물로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는 폴리우레탄 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우레탄 겔의 경도는 30C 내지 35C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메틸렌 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 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히다.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및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로 인하여,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면서도 물리적인 힘을 가할 경우 탈착이 가능하고, 또한 탈착된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 상면에 이물이 붙은 경우에도 물로 씻어 이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상기 어퍼를 인솔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단단한 플라스틱 인솔 상면에 어퍼를 부착하여 착용감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소비자가 취향이나 용도 등에 따라 색깔, 형태 등을 달리하는 어퍼를 인솔 본체에 부착할 수 있다. 즉, 발등이 높아 다층 구조의 인솔을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나, 바닥면이 딱딱한 플라스틱 인솔을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 사용자는 기호에 따라 어퍼를 제거하거나 부착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및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아래의 도면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 실시예 중 부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실시예 중 이탈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10)은 발바닥 형상에 따른 인솔 본체(12)와 인솔 본체(12)의 상부면을 덮는 어퍼(11)를 포함한다.
인솔 본체(12)는 착용자 발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아치 지지부(15)를 포함한다. 아치 지지부(15)는 보행 시 착용자의 발바닥을 받쳐주며, 하중을 지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인솔 본체(12)는 용도에 따라 현재 사용가능한 모든 플라스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다. 예를 들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PP), 글래스파이버, 및 복합플라스틱 혼합체 등이 주로 사용된다. 복합플라스틱 혼합체는,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lolyethlene terephtalate: PET)를 혼합하여 사용하거나, 나일론과 글래스파이버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도면에 예시된 인솔 본체(12)는 발가락부터 발뒤꿈치 전체의 형상에 따른 풀컵(full cup)의 3/4 정도에 해당되는 3/4컵(3/4 cup)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퍼(11)는 3/4컵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기호나 편의에 따라 자유롭게 풀컵 어퍼로 제작될 수 있다.
인솔 본체(12)는 플라스틱 금형 기술로 제조한다. 일반적인 플라스틱 성형방법은 매우 다양하나, 대략 열거하면 사출성형, 압축성형, 트랜스성형, 열성형, 블 로우성형, 필름 블로잉, 압출성형, 카렌더링 및 파이버 스피닝 등으로 분류된다. 이 중에서 사출성형, 압축성형, 트랜스터 성형 및 회전 성형은 성형품을 성형하기 위해 막혀있는 금형, 즉 두 금형이 닫혀 있는 사이에 형성된 캐비티(cavity, 공간) 내에 플라스틱 재료를 밀어 넣고 성형하는 방법이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를 혼합하여 또는 나일론 계열을 사출성형하여 발바닥 형상의 3/4컵 인솔 본체(12)를 제조한다.
한편, 어퍼(11)는 플라스틱 소재의 인솔 본체(12)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푹신푹신한 쿠션감을 제공한다. 따라서, 어퍼(11)의 소재로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EVA(Ethylene Vinyl Acetate), 라텍스 등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충격완화소재가 사용된다.
어퍼(11)의 소재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하여 충격완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재로 당업자가 채용할 수 있는 여하한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여기에 예시된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로, 시트 형상이나 발포하여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을 사용하여 발바닥 형상의 3/4컵 어퍼(11)를 제조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3/4컵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폴리우레탄 대신에 신발이나 인솔에 주로 사용되는 EVA를 사용하여 폴리우레탄 보다 무게가 가벼운 어퍼를 제조할 수도 있다. EVA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종류의 시트 상태의 EVA를 붙여서 시트 형태로 만든 후 두께에 맞게 잘라 다 층구조의 EVA를 사용한다.
한편, 어퍼(11)의 하부면에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가 도포되어 있다.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는 플라스틱 소재인 인솔 본체(12)에 강하게 부착되고, 어퍼(11)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11)를 인솔 본체(1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는, 예를 들어 접착제, 접착수단, 접착기구 등 탈착을 가능하게 하는 여하한의 수단을 의미하고, 반드시 반영구적인 탈착기능만을 제공하는 접착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는 플라스틱과 같이 표면이 매끄러운 재질에만 선택적으로 부착 및 이탈이 가능하며,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재질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질의 인솔 본체(12)에는 강한 접착력을 갖지만, 사람의 피부에는 접착력을 갖지 않는다.
반영구적으로 부착 상태와 이탈 상태를 제공할 수 있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로,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폴리우레탄과 경화제를 섞어 접착력을 조절할 수 있는 폴리우레탄 겔이 사용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폴리우레탄과 경화제를 섞으면 겔 상태로 되면서 점성을 띄게 되고, 이를 조절하여 부착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탈착이 가능한 접착력을 갖는 폴리우레탄 겔이 된다.
특히, 어퍼(11)가 인솔본체(12)로부터 이탈된 경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의 상면에 이물, 예를 들어 먼지 등이 붙을 수 있다. 하지만, 폴리우레탄 겔 은 내수성이 강하므로 물에 씻어도 접착력에 변화 없이 원래의 접착력으로 복원되며, 이물만 제거되는 특성을 갖는다.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가 도포된 어퍼(11)는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진 인솔 본체(12)에는 강하게 부착되어 보행시 고정된 위치를 제공할 수 있고, 동시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가 도포된 어퍼(11)는 본 발명에 따른 인솔 본체(12)뿐만 아니라, 여하한의 플라스틱 재질의 인솔에 모두 부착되고 이탈될 수 있다.
충격완화소재로 이루어진 어퍼(11)의 하면에 EVA용 접착제를 사전도포한 후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를 도포한다.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는 어퍼(11)의 하면에 강력하게 부착되어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도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는 상기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12)에 부착된 후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탈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취향이나 기능적인 요구에 따라 다양한 어퍼를 하나의 인솔에 제공할 수 있고, 또한 탈착, 부착을 반복하더라도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는 접착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어퍼를 상기 인솔에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폴리우레탄 겔로 이루어진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는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상부에 안정적으로 접착이 가능하고, 또한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쉽게 탈착이 가능하다. 즉, 어퍼는 강한 접착력으로 인솔 상면에 부착될 수 있어서, 탈부착 가능한 어퍼라 하더라도 보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고 고정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어퍼를 교체할 필요가 있는 경우, 예를 들어 어퍼가 마모되었거나, 기능에 따른 교체를 원하거나, 취향에 따른 교체를 원하는 경우에 언제든지 손쉽게 어퍼를 플라스틱 인솔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더불어, 어퍼를 인솔로부터 제거하더라도 폴리우레탄 겔이 인솔 표면에 남지 않고, 부착하기 전과 같은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취향이나, 기능에 따라 다수의 어퍼를 구비하여 하나의 플라스틱 인솔에 적용할 수 있고, 상기 어퍼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일 실시예로, 폴리올(Polyol)과 메틸렌 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4,4'-diisocyanate: MDI)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고속혼합하여 접착성을 갖는 겔 형상의 폴리우레탄을 얻는다. MDI의 비율에 따라 상이한 경도와 접착도를 갖는 폴리우레탄 겔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경화제 및/또는 촉매제를 첨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MDI 대신에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때, 폴리올과 TDI의 혼합비율은 100:20 내지 100:30 중량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적인 경화제 및/또는 촉매제를 첨가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 혼합 비율 중 MDI 또는 TDI의 비율이 20 중량비 보다 작은 경우에는 접착력이 더 강해질 수는 있지만, 접착력이 너무 강한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탈착 가능부재(13)로서 기능하기 어렵다.
한편, 상기 혼합 비율 중 MDI 또는 TDI의 비율이 30 중량비 보다 큰 경우에는 접착력이 감소되므로 플라스틱 소재의 인솔 상면에 안정적인 위치를 제공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의 경도는 30C 내지 35C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도는 인솔경질 고무, 경질 플라스틱 및 에보나이트 등의 경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고무/플라스틱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고무/플라스틱 경도계로 널리 알려진 아스카 사(ASKER 社)의 고무/플라스틱 경도계를 통해 측정한 값이다.
어퍼의 상부면에 원하는 상표, 문양등을 인쇄하거나, 색깔이 있는 천을 부착할 수 있고, 어퍼의 바닥면에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3)로 폴리우레탄 겔을 도포한다. 폴리우레탄 겔은 서로 상이한 특성을 가진 두 종류의 폴리우레탄과 경화제를 섞어서 겔 상태로 만들어 접착력을 띄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서, 어퍼 하부면에 본드를 칠하고 폴리우레탄 겔을 얇게 도포하면 폴리우레탄 겔의 일 측면은 어퍼 소재에 영구적으로 부착된다. 또한, 폴리우레탄 겔을 인솔 본체의 하부면의 발바닥 뒤꿈치 영역에 도포한다. 이후, 폴리우레탄 겔의 타 측면을 플라스틱 인솔 본체에 물리적으로 부착시킬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3b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10)의 하부면의 발뒤꿈치 영역에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14)를 도포하면, 인솔 본체(12)에 대하여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강한 접착 력을 갖기 때문에 영구적으로 인솔 본체(12)에 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10)이 신발에 부착되어 고정된 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퍼(11)와 인솔 본체(12)가 3/4컵을 이용하는 경우라도, 어퍼(11)를 떼어내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인솔 본체(12) 보다 어퍼(11)의 길이를 약간 더 길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의 접착력을 측정하기 위한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폴리 에테르 블랙 아미드(Poly Ether Black Amides)로 이루어진 Pebax 7033 grade의 플라스틱 시편의 단위면적 20 mm × 155mm 상에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를 손으로 접착시킨 후 탈착시키는 방법을 통하여 접착력을 측정하였다. 하중 수치가 높을 수록 하중 시편에 대한 정확도가 높아지므로, 접착면적을 고정하여 실험하였다.
일단, 손으로 접착시킨 후, 24시간 동안 상온에 방치한 후, NIKE 실험 방법(G80 WB adhesion)을 통하여 Instron 5566 (Bluehill NIKE version) 장치를 사용하여 100 mm/min의 속도로 탈착시켰다. 접착력을 측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이 없으므로, 실제 신발 제조 업계에서 흔히 사용하는 방법을 채용하였으며, 실험은 Framas Korea Asan Lab.에 의뢰하였다.
우선, 실시예 1 및 2는 경도 30C를 갖는 폴리우레탄 겔을 도포한 어퍼, 실시예 3 및 4는 경도 35C를 갖는 폴리우레탄 겔을 도포한 어퍼이다. 한편, 비교예 1 및 2는 경도 40C를 갖는 폴리우레탄 겔을 도포한 어퍼이다.
상기 측정된 경도는 인솔 경질 고무, 경질 플라스틱 및 에보나이트 등의 경도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고무/플라스틱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으로, 고무/플라스틱 경도계로 널리 알려진 아스카 사(ASKER 社)의 고무/플라스틱 경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이다. 즉, 30C는 C type 30을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비교예 1 및 2에 대한 최대 하중, 평균 접착력, 및 연신을 표 1에 도시하였다. 또한, 늘어나는 정도를 나타내는 연신(mm)에 따른 하중/폭(Kgf/cm)를 도 4에 도시하였다.
[표 1]
접착력 (Kgf/cm)
최대 하중 최대하중/폭 평균 접착력 연신(mm)
실시예 1 2.367 1.183 0.84~1.24 170
실시예 2 2.486 1.243
실시예 3 1.577 0.788 0.5~0.8 150
실시예 4 1.613 0.806
비교예 1 1.155 0.577 0.28~0.57 123
비교예 2 0.879 0.439
도 4 및 상기 표 1로부터, 경도의 차이에 따라 접착력의 차이가 난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경도가 낮은 실시예 1, 2가 가장 높은 접착력인 0.84 내지 1.24 (Kgf/cm)의 평균 접착력을 나타낸다. 즉, 실시예 1 및 2의 경우 경도가 낮아서 표면 장력이 낮고, 연신률이 170 mm 정도로 높기 때문에, 시편과 접착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반면, 비교예는 평균 0.28 내지 0.57 (Kgf/cm)의 접착력을 나타내고, 연신률도 123 mm 정도 낮다.
즉, 경도가 약 30C 내지 35C 인 폴리우레탄 겔을 선택적 탈부착 가능 부재로 사용하여, 플라스틱 소재의 인솔본체에 대한 접착력을 높이면서,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및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로 인하여,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에 안정적으로 접착되면서도 물리적인 힘을 가할 경우 탈착이 가능하고, 또한 탈착된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 상면에 이물이 붙은 경우에도 물로 씻어 이물을 쉽게 제거할 수 있어 반영구적으로 상기 어퍼를 인솔에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실시예 중 부착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실시예 중 이탈된 형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와 비교예 1 및 2의 접착력을 비교한 그래프.
*** 도면부호의 설명 ***
10: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11: 어퍼
12: 인솔 본체
13, 14: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
15: 아치 지지부

Claims (13)

  1.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에 있어서,
    착용자 발의 아치 부분을 지지하가 위하여 상방향으로 만곡 돌출된 아치 지지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플라스틱 재료의 인솔 본체; 및
    상기 인솔 본체의 상부면에 탈부착이 가능한 어퍼를 포함하며,
    상기 어퍼 하부면에 선택적 탈부착가능부재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선택적 탈부착가능부재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물을 물로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탈부착가능부재는 폴리우레탄 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의 경도는 30C 내지 35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메틸렌 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methylene diphenyl 4,4'-diisocyanate: MDI)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toluene diisocyanate: TDI)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7. 제 1 항 및 제3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솔 본체의 하부면의 발뒤꿈치 영역에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추가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퍼 탈부착 가능한 인솔.
  8.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에 있어서,
    상기 어퍼는 하부면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가 도포되어 있어, 신발 내부에 삽입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인솔의 상면에, 또는 신발의 내부 표면 상에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며,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이물을 물로 제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
  9. 삭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적 탈부착 가능부재는 폴리우레탄 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의 경도는 30C 내지 35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메틸렌 디페닐 4,4'-디이소시아네이트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겔은 폴리올과 톨루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100:20 내지 100:30 중량비로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적 탈부착 가능 어퍼.
KR1020080116135A 2008-01-04 2008-11-21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 KR100965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0002 WO2009088182A2 (ko) 2008-01-04 2009-01-02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1320 2008-01-04
KR1020080001320 2008-0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617A KR20090075617A (ko) 2009-07-08
KR100965801B1 true KR100965801B1 (ko) 2010-06-24

Family

ID=4133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6135A KR100965801B1 (ko) 2008-01-04 2008-11-21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8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653B1 (ko) 1994-05-12 2003-02-19 헌츠만 아이씨아이 케미칼스, 엘엘씨 물또는습윤고형질로부터오염물질을제거하는방법
KR200310656Y1 (ko) 2002-09-23 2003-04-18 권정효 상판 교환식 신발깔창
KR200384325Y1 (ko) 2005-02-14 2005-05-13 비에이치코리아 주식회사 발 교정용 신발깔창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4653B1 (ko) 1994-05-12 2003-02-19 헌츠만 아이씨아이 케미칼스, 엘엘씨 물또는습윤고형질로부터오염물질을제거하는방법
KR200310656Y1 (ko) 2002-09-23 2003-04-18 권정효 상판 교환식 신발깔창
KR200384325Y1 (ko) 2005-02-14 2005-05-13 비에이치코리아 주식회사 발 교정용 신발깔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617A (ko) 2009-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593B2 (en) Sole structure with tiered plate assembly for an article of footwear
EP3315040B1 (en) Article of footwear having a midsole with multiple portion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915598B2 (en) Insole with arch spring
JP4859149B2 (ja) 調整可能支持帯
US8800170B1 (en) Footwear insole system
US8813391B1 (en) Footwear with insole system
US8776399B2 (en) Shoe insole
CA2807642C (en) Insole pad for footwear
US9833040B2 (en) Footwear and insole system
US20030172548A1 (en) Key hole midsole
MX2007000549A (es) Suela de calzado.
US20200029653A1 (en) Insole for relieving plantar facsiitis pain
EP3649881A1 (en) Shoe, in particular a sports shoe
KR100965801B1 (ko)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
WO2009088182A2 (ko) 탈부착 가능한 어퍼 및 이를 포함하는 인솔
CN218418644U (zh) 一种具备高弹性的注塑鞋
KR100933531B1 (ko) 하이힐용 인솔, 및 하이힐에 사용되는 미끌림 방지 수단
KR20110010638U (ko) 하이힐용 충격흡수 패드
WO2016133994A1 (en) Slipp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slipper
NZ527904A (en) Insole with arch sp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