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5149B1 -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 Google Patents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149B1
KR100965149B1 KR1020090052344A KR20090052344A KR100965149B1 KR 100965149 B1 KR100965149 B1 KR 100965149B1 KR 1020090052344 A KR1020090052344 A KR 1020090052344A KR 20090052344 A KR20090052344 A KR 20090052344A KR 100965149 B1 KR100965149 B1 KR 100965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green
ground
golf course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2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산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산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산섬
Priority to KR1020090052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2Foundations, e.g. with drainage or heat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장 그린의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장 그린 시공시 그린의 선형을 유지하기 위해 경계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합성 수지재로 제조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켜 지반의 자연침하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골프장 그린의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골프장 그린을 위해 인조잔디 시공시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실시 잔디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지 보수가 간편한 그린 조성 공법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 그린, 경계 지지부재, 인공잔디

Description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Boundary Support Member Of Under Ground For Green Of Golf Cours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장 그린 시공시 그린의 선형을 유지하기 위해 경계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합성 수지재로 제조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켜 지반의 자연침하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골프장 그린의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골프장 그린을 위해 인조잔디 시공시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실시 잔디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지 보수가 간편한 그린 조성 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골프장의 그린 시공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인조 잔디를 사용하는 파크 골프장의 그린에 적용될 수 있다.
공간상의 제약이나 비용상의 부담이 발생하는 골프의 대중화를 위해 골프와 게이트볼이 결합한 가족형 레저 스포츠인 파크 골프가 도입되었고 남녀노소,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 누구나 손쉽게 즐길 수 있는 장점에 의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파크 골프장의 경우 그린 시공시 인조 잔디를 사용하고 있으며, 그린을 시공하기 위해 그린을 구분하고 선형을 유지하기 위한 경계 지지부재로 종래에는 목재 합판이 사용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그린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시공이 완료된 그린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도 1a와 같이 그린 경계에 목재 말뚝을 박고, 도 1b와 같이 상기 말뚝에 목재 합판을 횡으로 연결하여 경계 지지부재를 시공한 후, 도 1c와 같이 그린 내에 배수층을 시공하고, 도 1d와 같이 표토를 조성한 후, 도 1e와 같이 그린 상부에 인조잔디를 시공하였다.
그러나 목재로 시공시 시공 당시에는 선형을 유지할 수 있지만, 목재, 특히 합판은 압축 강도 및 인장 강도가 약하여 작은 지반 압력에 의해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으며, 지반의 자연 침하로 인해 경계부위가 돌출되고, 목재의 파손시 그린 지반이 붕괴되어 유지 보수 비용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목재 합판은 일정한 크기로 가공된 형태로 현장에서 맞물려 접합하여야하므로 접합부가 지나치게 많이 존재하여 시공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조잔디 시공시에도 도 2와 같이 경계부위를 벗어나는 부분에 대한 별도의 마무리 없이 경계부위를 벗어나는 부분 상에 단순히 흙을 덮어 마무리함으로 인해 우천시 토사의 유실이 심하여 그린의 선형을 유지하기 힘들고 인조잔디의 손실이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장 그린 시공시 그린의 선형을 유지하기 위해 경계부에 형성되는 지지부재를 합성 수지재로 제조함으로써 강도를 향상시켜 지반의 자연침하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골프장 그린의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리고 골프장 그린을 위해 인조잔디 시공시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실시 인조 잔디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유지 보수가 간편한 그린 조성 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는 그린 경계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어 그린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상기 경계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하부에 형성되어 지반에 삽입되는 말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말뚝부 사이에 지반 내력을 강화하기 위해 판형의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경계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경계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말뚝부는 금속 강관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계부재는 롤 형태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크기에 맞게 재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재는 PVC, PC, 아크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조성방법은 (a) 상기에서 설명한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를 그린 경계부에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그린 경계부 내부에 배수층, 지반층을 형성하고, 상부에 인공잔디를 조성하는 단계와 (c) 상기 그린 경계부를 벗어난 인공잔디를 말아서 상기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그린 경계부를 벗어난 인공잔디를 말아서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에 밀착하는 단계와 상기 밀착된 인공잔디를 고정부재 또는 경계부재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못, 볼트, 나사, 피스, 접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골프장 그린의 하부지반 경계 지 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방법은 강도를 향상시켜 지반의 자연침하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강우로 인한 토사의 유실시 인조 잔디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유지 보수가 간편한 탁월한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계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경계 지지부재는 그린 경계부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10)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와 연결되어 그린의 경계를 형성하는 경계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부재(10)는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상기 경계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110)와 상기 결합부 하부에 형성되어 지반에 삽입되는 말뚝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는 나사, 볼트, 못, 접착제 등의 결합수단에 의해 경계부재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말뚝부(120)는 지반내에 강하게 결합되기 위해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 금속 강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10)가 결합부(110)와 말뚝부(120)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결합부와 말뚝부 사이에 유격을 조절할 수 있는 유격 조절부(130)를 더 형성하여 시공후 지반 침하시 경계부위의 돌출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110)의 높이는 경계부재(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말뚝부(120)의 높이는 지반의 강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지반이 경질인 경우 말뚝부의 높이가 작아도 무방하나, 연질인 경우에는 지반 침하를 고려하여 높게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계부재(20)는 공장에서 일정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이 롤 형태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크기에 맞게 재단될 수 있다.
경계부재(20)가 목재인 경우 강도가 낮아서 롤 형태로 제조가 불가능하지만, 합성수지재는 인장 및 압축 강도가 높아서 롤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롤 형태의 경계부재를 현장에서 한 번의 이음 시공만으로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다수 개의 경계부재를 조합하기 위해 다수 번의 이음 시공을 행해야하는 시공상의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과 같이 고정부재의 결합부(110)와 말뚝부(120)사이에 지반 내력을 보강하기 위한 판형의 보강재(14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재(140)는 경계부재(20)와 동일한 합성 수지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부재(20)의 두께는 그린의 크기와 지역의 환경 등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두께가 지나치게 얇을 경우 강도가 떨어지고, 지나치게 두꺼울 경우 그린 경계에서의 굴곡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0.2 ~ 2mm 범위에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재는 PVC, 플라스틱(PC), 아크릴 등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고정부재에 경계부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재(10)는 결합부(110)에 경계부재(20)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삽입홈에 경계부재(20)를 삽입하여 일체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재(10)와 경계부재(20)를 일체로 제작할 경우 그린 시공시 고정부재(10)를 지반에 고정하고 이웃하는 경계부재(20)를 이음 시공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완료될 수 있으므로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경계부재(20)는 충분한 인장력을 가진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므로 고정부재(10)를 지반에 고정한 후에도 자유롭게 굴곡시켜 그린 경계의 선형에 맞게 장착할 수 있다.
상기 경계부재(20)가 삽입홈에 삽입된 후 체결수단에 의해 경계부재(20)를 상기 고정부재(10)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은 못, 피스, 나사, 볼트, 접착제 등 통상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경계 지지부재를 이용한 그린 조성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린 조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그린 조성방법은 먼저, 그린 경계에 경계 지지부재를 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부재(10)를 그린 경계에 일정 간격으로 지반에 설치한다. 상기 고정부재(10)는 결합부(110)와 말뚝부(120)로 분리구성되고, 상기 말뚝부(120)를 지반에 박아서 고정부재를 고정 설치한다.
이어서, 경계부재(20)를 그린 경계의 선형에 따라 배치하여 고정부재의 결합부(120)에 고정한다.
여기서, 경계부재(20)는 충분한 인장강도를 구비한 연성재질이므로 자유로운 굴곡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그린의 형상이 기하학적 형상이라 하더라도 경계에 맞게 시공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와 경계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된 경우 고정부재(10)를 지반에 고정하고 인접 경계부재를 이음 시공하는 것만으로 경계 지지부재의 시공이 간편하게 완료될 수 있다.
만일, 경계부재(20)가 롤 형태로 제조된 경우 그린 경계의 선형에 따라 전체를 한번에 둘러서 재단한 후, 이음 시공 만으로 더 간편하게 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계 지지부재에 대한 시공이 완료되면 그린 경계 내부에 배수층(310)을 형성한다.
여기서, 배수층(310)은 우수 등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 혼합 골재를 사용하여 경계내부를 충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25mm의 혼합골재를 사용하였다.
한편, 상기 경계부재(20)에는 배수층의 높이를 정확하게 시공하기 위한 배수층 기준선을 마킹할 수 있으며, 상기 기준선까지 배수층(310)을 충진함으로써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후, 배수층(310) 상에 인공잔디(40)를 시공하기 위한 표토(320)를 충진한 후 지반을 다진다. 일반적으로 표토로 왕사가 사용될 수 있다.
지반 다짐이 완료되면 그린 경계내에 인공잔디(40)를 시공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인공잔디가 시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공잔디(40)는 그린을 덮을 수 있을 정도로 그린보다 크게 설치하고, 그린 경계를 벗어나는 인공잔디 부분을 경계부재(20)에 밀착하여 말아서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한다. 이를 위해, 경계 지지부재가 설치된 그린 경계 외쪽에 표토를 채우지 않은 상태에서 시공하여야 한다.
여기서, 상기 인공잔디 부분은 경계부재(20) 또는 고정부재(10)에 못, 피스, 볼트, 나사, 접착제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단단히 고정한다.
이어서, 그린 경계 외곽 부분에 표토를 채운후 지반을 다져서 그린 시공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인공잔디 시공을 통해 토사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폭우 등에 의해 지반이 유실된다 하더라도 선형을 유지하고, 인공잔디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그린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시공이 완료된 그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계 지지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형태의 경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8a의 고정부재에 경계부재가 결합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그린 조성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공잔디가 시공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Claims (10)

  1. 상기 그린 경계부에 막대 형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경계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하부에 형성되어 지반에 삽입되는 말뚝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롤 형태의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현장에서 크기에 맞게 재단되고,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 결합 고정되어 그린의 경계부를 수직으로 둘러싸는 판 형상의 경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말뚝부 사이에
    지반 내력을 강화하기 위해 판형의 보강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경계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와 경계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말뚝부는
    금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재는
    PVC, PC, 아크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8. (a) 상기 그린 경계부에 막대 형상으로 일정 간격마다 형성되고, 합성수지재로 제조되어 경계부재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 하부에 형성되어 지반에 삽입되는 말뚝부를 포함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결합부와 결합 고정되어 그린의 경계부를 수직으로 둘러싸는 판 형상의 경계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를 그린 경계부에 형성하는 단계와;
    (b) 상기 그린 경계부 내부에 배수층, 지반층 형성하고, 상부에 인공잔디를 조성하는 단계와;
    (c) 상기 그린 경계부를 벗어난 인공잔디를 말아서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에 밀착하고, 상기 밀착된 인공잔디를 고정부재 또는 경계부재에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d) 상기 그린 경계부 외부의 지반을 채우고 다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그린 조성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못, 볼트, 나사, 피스, 접착제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그린 조성 방법.
KR1020090052344A 2009-06-12 2009-06-12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KR100965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44A KR100965149B1 (ko) 2009-06-12 2009-06-12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2344A KR100965149B1 (ko) 2009-06-12 2009-06-12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149B1 true KR100965149B1 (ko) 2010-06-23

Family

ID=42370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2344A KR100965149B1 (ko) 2009-06-12 2009-06-12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1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89U (ko)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비지피 골프장 경계 말뚝용 색상 표시 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5431U (ko) * 1980-02-26 1981-09-24
JPH04180780A (ja) * 1990-11-16 1992-06-26 Echo Sangyo:Kk パターゴルフコースの構築施工方法
KR200232632Y1 (ko) 2001-02-24 2001-09-2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흙막이 울타리
KR100659727B1 (ko) 2006-09-1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용 흙막이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25431U (ko) * 1980-02-26 1981-09-24
JPH04180780A (ja) * 1990-11-16 1992-06-26 Echo Sangyo:Kk パターゴルフコースの構築施工方法
KR200232632Y1 (ko) 2001-02-24 2001-09-28 (주)신명건설기술공사 흙막이 울타리
KR100659727B1 (ko) 2006-09-12 2006-12-20 (주)종합건축사사무소동우건축 건축용 흙막이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0289U (ko) 2016-07-19 2018-01-29 주식회사 비지피 골프장 경계 말뚝용 색상 표시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62531A1 (en) Device for forming post sleeves and related methods
US11401724B2 (en) Below grade fluid containment
KR100965149B1 (ko) 골프장 그린용 하부지반 경계 지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그린 조성 공법
KR101041694B1 (ko) 배수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US20100229485A1 (en) System for collecting seepage water in buildings
KR101727688B1 (ko) 조적이 용이한 흙 벽돌 구조 및 흙 벽돌 조적 공법
US9790647B2 (en) Artificial turf edging system and method
CN201183962Y (zh) 玻璃纤维增强塑料模块式检查井
KR100440091B1 (ko) 블록식 옹벽의 축조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102194293B1 (ko) 옹벽구조물
CN207331399U (zh) 一种海绵城市配套用新型铺设砖
US20100101179A1 (en) Structural reinforcement system for concrete structures
KR100600500B1 (ko) 암거 가설용 튜브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암거 시공방법
JP4807624B2 (ja) 水の圧力を利用した建物の不同沈下修正工法
CN205276147U (zh) 一种波纹钢管涵洞洞口
US11959232B2 (en) Artificial turf edging system and method
KR102451553B1 (ko) 흙막이 판부재
KR101589287B1 (ko) 식생용 호안블록의 결속구조
CN210975424U (zh) 一种新型组合式导水沟结构
US20230009162A1 (en) Pool or other below grade fluid containment
KR100993505B1 (ko) 조립식 식생 방음벽 담장용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2608696B1 (ko) 균열 노면 또는 침하 지반 보수용 보강틀 및 그 보강틀을 이용한 균열 노면 또는 침하 지반 보수 방법
KR101047896B1 (ko) 비대칭 h빔 연결재를 갖는 누수방지 및 조립편의성을 위한 조립식 수로
KR100465921B1 (ko) 토목 및 도로공사에서 하수관 안전용 보강장치
JPH0216820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