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447B1 - A moving weight case - Google Patents

A moving weight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4447B1
KR100964447B1 KR1020080032601A KR20080032601A KR100964447B1 KR 100964447 B1 KR100964447 B1 KR 100964447B1 KR 1020080032601 A KR1020080032601 A KR 1020080032601A KR 20080032601 A KR20080032601 A KR 20080032601A KR 100964447 B1 KR100964447 B1 KR 100964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net
side frame
pilla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26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107211A (en
Inventor
곽인근
Original Assignee
곽인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인근 filed Critical 곽인근
Priority to KR1020080032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4447B1/en
Publication of KR20090107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7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44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1/00Tennis nets or accessories for tennis or like games, e.g. volley-ball
    • A63B61/003Nets for tennis or like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2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large-room or outdoor sporting games
    • A63B71/023Supports, e.g. poles
    • A63B2071/026Supports, e.g. poles stabilised by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vetment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야외에서 운동경기를 위한 네트를 설치하거나 광고 및 간판, 중량물을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eight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weight box that can be used to install a net for a sports event or to install advertising and signboards, heavy objects in the open air using a protruding pillar.

이러한 본 발명은 네트(31)의 네트 고정선(32)을 운동경기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기둥(18)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In the present invention, the net fixing line 32 of the net 31 is provided on the pillar 18 at a predetermined height capable of playing sports.

바닥 연결대(15)를 연결한 바닥 프레임(12)의 상측에서 길이가 긴 2면에 측면 프레임(13)을 연결하고 길이가 짧은 2면에 사이드 프레임(40)을 연결하여 측면 프레임(13)과 사이드 프레임(40)의 상부 연결대(16)를 연결한 상부 프레임(14)과;The side frame 13 is connected to the long side of the bottom frame 12 to which the bottom connecting rod 15 is connected, and the side frame 13 is connected to the short side of the side frame 13. An upper frame 14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ng rod 16 of the side frame 40;

상기 상부 연결대(16)를 관통하여 바닥 연결대(15)의 하부 고정대(17)에 설치하며 상부 연결대(16)의 하측에 설치한 상부 고정대(20)에 연결하여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한 기둥(18)과;A column connecting the net fixing line 32 by connecting the net fixing line 32 by penetrating the upper connecting unit 16 and installing the lower fixing unit 17 of the bottom connecting unit 15 and connecting to the upper fixing unit 20 installed below the upper connecting unit 16. (18);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내부에 중량물(3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avy material 30 is installed in the bottom frame 12.

중량 함, 네트, 기둥, 너트 Weight, net, pillar, nut

Description

이동식 중량 함{A moving weight case}A moving weight case

본 발명은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야외에서 운동경기를 위한 네트를 설치하거나 광고 및 간판, 중량물을 이동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중량 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weight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weight box that can be used to install a net for a sports event or to install advertising and signboards, heavy objects in the open air using a protruding pillar.

테니스,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과 같은 운동 경기는 주로 야외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며, 야외 활동이 많아지는 계절이 오면 많은 사람이 야외에서 이와 같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기게 된다.Sports events such as tennis, foot ball, badminton, volleyball, etc. are mainly performed outdoors, and when the season of outdoor activities increases, many people enjoy such various sports outdoors.

그러나 상기와 같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기기 위해서는 공과 네트 및 기구 등을 준비해야만 하는 것이며, 공과 기구 등은 개인적으로 준비하는 것이어서 준비가 간편하고, 대부분 어느 정도의 운동경기를 즐기거나 할 줄 아는 경우에는 준비되어 있는 것이 현실이다.However, in order to enjoy a variety of sports such as above, you have to prepare a ball, net, and equipment, and the preparation of the ball and equipment is easy to prepare because it is personally prepared. It is a reality.

이와 함께 야외 활동에서 테니스와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과 같은 운동경기를 하기 위해서는 네트를 설치해야 하지만 별도의 고정식 기둥이 설치된 곳이 아니면 네트를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되므로 주변의 나무와 기구 등을 이용하여 네트를 설치하지만, 이러한 네트의 설치가 쉽지 않아 운동경기를 즐기는 것이 매우 어려웠다.In addition, in order to play sports such as tennis, football, badminton and volleyball in outdoor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install the net, but it i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net unless a separate fixed pillar is installed. Although the net was installed, it was very difficult to install the net, so it was very difficult to enjoy sports.

이러한 결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동식으로 기둥(지주)을 설치한 후 기둥에 네트(31)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구가 제안된 바 있으나, 기둥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팩을 지면에 박아 끈을 이용하여 기둥을 고정한 후 네트를 설치하여 운동경기를 즐기게 된다.In order to prevent this defect, a mechanism has been proposed that can be used by installing a net (31) on a pillar after installing the pillar (holding) in a movable manner. After fixing the net will be installed to enjoy athletics.

그러나 이와 같이 기둥을 팩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운동경기를 즐기는 과정에서 충돌하거나 공에 의해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네트의 설치상태가 쉽게 변형되어 네트를 다시 설치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팩과 연결한 끈으로 인하여 운동경기를 즐기는 것이 매우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process of enjoying a sporting event in the state of fixing the pillars with a pack as described above, if the impact is caused by the ball,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net is easily deformed, and it is very difficult to re-install the net. It was a very uncomfortable fault to enjoy sports.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며, 내부에 중량물을 설치한 후 기둥을 이용하여 네트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이동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drawback, and to install a net after using a heavy object to easily install the net to be used to move.

본 발명은 기둥의 돌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기둥과 그 상측을 이용하여 광고 및 간판이나 중량물을 걸어 놓는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column freely so that i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hanging advertising and signs or weight using the column and its upper side.

본 발명은 중량물을 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소정의 크기로 접어서 보관 및 사용이 편리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se a heavy object as water, and to fold to a predetermined size for the purpose of convenient storage and use.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사각형의 함을 만들고, 양쪽 측면과 하측 및 상측을 가리며,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양쪽에서 네트를 설치하여 야외에서 이동식으로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floor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frame in a prefabricated box to make a rectangular box, covering both sides and the lower and upper sides, using a protruding pillar to install the net from both sides to move variously outdoors It is characterized by allowing you to enjoy athletics.

본 발명은 기둥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광고 및 간판으로 사용하거나 기둥의 상측에 샌드백과 같은 중량물을 걸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column can be freely adjusted to be used as advertisements and signs or to hang heavy objects such as sandbags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분리하는 경우 소정의 크기로 축소되어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중량물을 사용하여 함이 충격에도 설치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because it is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when the separation is possible to store and mov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 of heavy materials to keep the installation stable even in the impact.

본 발명은 중량물이 물을 저장할 수 있는 포대형으로 성형하고, 물을 제거하는 경우 두께가 얇아지며, 접어서 가방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보관과 이동이 용이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eight is molded into a bag that can store water, and when the water is removed, the thickness becomes thin, so that it is easy to store and move by being easily folded and stored in a ba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닥 프레임과 세로 프레임 및 상부 프레임을 조립식으로 결합하여 사각형의 함을 만들고, 양쪽 측면과 하측 및 상측을 가리며, 돌출되는 기둥을 이용하여 양쪽에서 운동경기에 맞는 네트를 간편하게 설치하여 야외에서 이동식으로 다양한 운동경기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uch, the present invention combines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nd the upper frame in a prefabricated manner to form a square box, covering both sides, the lower side and the upper side, using a protruding pillar to easily install a net suitable for sports events on both sides It will allow you to enjoy a variety of sports in the open air.

본 발명은 기둥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옥외 광고 및 간판으로 사용하거나 기둥의 상측에 샌드백과 같은 중량물을 걸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용도 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used to various purposes because it can be used as outdoor advertising and signboard by fre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olumn or can be used by hanging heavy objects such as sandbags on the upper side of the column.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므로 분리하는 경우 소정의 크기로 축소되어 하나의 가방에 삽입하여 보관 및 이동이 가능하고, 중량물을 사용하여 함이 충격에도 설치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installed in a prefabricated manner so that when separated to be reduced to a predetermined size can be stored and moved by inserting into a single bag, the use of heavy materials to keep the installation stable even in the impact can be used conveniently To make it possible.

본 발명은 중량물을 포대(자루)형태의 대형 및 소형의 크기로 성형한 후 물을 넣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을 제거하면 얇게 되거나 접어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여 간편하게 이동 및 가방에 보관하는 것이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water after molding the heavy material into a large and small size in the form of a bag (bag), and when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keep thin or folded when water is removed, so that it can be easily moved and stored in a bag. It is easy to store.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파이프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여 용접하거나 나사식으로 조립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이동식 중량 함(10)을 형성하는 것으로 바닥 프레임(12)의 각 방향 선단에서 상측으로 길이가 긴 방향으로 측면 프레임(13)을 설치하고, 측면 프레임(13)의 양쪽으로 사이드 프레임(40)을 그리고 상측에서 상부 프레임(14)을 연결 스크류(14a)를 통해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사각형의 함을 설치한다.The movable weight box 10 is formed by cutting a rectangular or square pipe in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welding or screwing it together. The frame 13 is installed, and the side frame 4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13, and the upper frame 14 is formed in a prefabricated manner through the connecting screw 14a.

상기 바닥 프임(12)과 상부 프레임(14)은 측면 프레임(13)과 사이드 프레임(40)에 연결 스크류(14a)를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으로 측면 프레임(13) 과 사이드 프레임(40)에는 너트(27)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조립되도록 하였다.The bottom frame 12 and the upper frame 14 are assembled to the side frame 13 and the side frame 40 by using a connecting screw 14a to the side frame 13 and the side frame 40. The nut 27 was installed to be assembled from the outside.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상측에는 바닥판(23)을 설치하고 상부 프레임(14)의 상측에는 상부판(25)을 설치하는 것이며, 측면 프레임(13)의 외측에는 측면판(24)을 사이드 프레임(40)의 외측에는 사이드판(41)을 대고 통상의 스크류를 이용하여 소정의 간격에서 조립하는 것이다.The bottom plate 23 is installed above the bottom frame 12, and the top plate 25 is installed above the upper frame 14, and the side plate 24 is disposed outside the side frame 13. The side plate 41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frame 40 and assemb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using a conventional screw.

상기 바닥판(23)과 상부판(25)은 기둥 관통구(18a)를 형성하여 기둥(18)이 관통되도록 하였으며, 바닥판(23)과 상부판(25)은 경첩(25a)을 설치하여 접어서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The bottom plate 23 and the top plate 25 to form a column through-hole 18a to allow the pillar 18 to pass through, and the bottom plate 23 and the top plate 25 by installing a hinge 25a It was possible to fold and store.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중앙에서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바닥 연결대(15)를 형성하여 그 상측으로 양쪽에 하부 고정대(17)를 용접하여 기둥(18)의 하측 선단을 대고 하부 고정볼트(19)를 관통시켜 하부 너트(19a)로 연결하며, 상부 프레임(12)의 중앙에서 한 방향으로 치우치는 위치에 상부 연결대(16)를 형성하여 그 하측으로 양쪽에 상부 고정대(20)를 용접하여 기둥(18)을 관통시켜 상부 고정볼트(21)를 관통시켜 상부 너트(22)로 연결하여 기둥(18)이 외측에서 소정의 높이로 설치되도록 한다.The bottom connecting rod 15 is formed at a position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bottom frame 12, and the lower fixing member 17 is welded to both sides thereof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18 to fix the lower fixing bolt 19. ) To pass through the lower nut (19a), the upper connecting rod (16) is formed at a position biased in one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12) and welds the upper fixing bracket (20) on both sides under the pillar ( 18) to penetrate the upper fixing bolt 21 to connect to the upper nut 22 so that the pillar 18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outside.

상기 기둥(18)은 내부에 사각홀(18a)을 형성하고 네트(31)를 설치하여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할 위치에 연결 고리(28)를 설치한다.The pillar 18 forms a square hole 18a therein and installs a net 31 to install a connection ring 28 at a position to connect the net fixing line 32.

상기 연결 고리(28)는 미리 용접하거나 통상적인 너트를 용접하여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도 6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 구멍(26)을 천공하고 관통구멍(26)의 양쪽이나 4방향으로 용접 구멍(26a)을 천공한다.The connecting ring 28 may be pre-welded or welded with a conventional nut, but as shown in FIGS. 6 to 8, the through-hole 26 is drilled and both or four sides of the through-hole 26 are provided. The welding hole 26a is drilled in the direction.

상기 관통 구멍(26)의 내부에는 너트(27)를 고정하고 나사 구멍(11a)을 천공한 너트 설치대(11)를 삽입하여 용접 구멍(26a)을 이용 용접에 의해 너트 설치대(11)를 용접 구멍(26a)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nut holder 11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through hole 26 by inserting the nut holder 11 having the screw hole 11a drilled therein, and the nut holder 11 is welded by welding using the welding hole 26a. To (26a).

상기 연결 고리(28)에 형성한 나사축(29)을 관통 구멍(26)에 조립하여 나사 구멍(11a)을 관통한 후 너트(27)에 나사식으로 조립되도록 한다.The screw shaft 29 formed in the connecting ring 28 is assembled to the through hole 26 to penetrate through the screw hole 11a and to be assembled to the nut 27 in a screw type.

상기 너트 설치대(11)는 기둥(18)의 필요한 위치에 따라 다수 개 설치할 수 있는 것이며, 기둥(18)을 더 높이기 위해서는 사각홀(18a)에 새로운 기둥을 조립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The nut mounting base 11 can be installed in plurality according to the required position of the column 18,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column 18 is to assemble a new column in the square hole (18a) to adjust the height.

상기 이동식 중량 함(10)의 바닥판(23) 상측에는 내부에 물이나 모래, 흙 등으로 채워진 중량물(30)을 공급하거나 돌, 벽돌 등을 공급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것이다.The bottom plate 23 of the movable weight box 10 is to be fixed so as not to move by supplying a heavy material 30 filled with water, sand, soil, or the like inside or by supplying stones, bricks, and the like.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2곳에는 바퀴(33)를 설치하여 간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Two places of the bottom frame 12 were installed to allow the wheel 33 to move easily.

상기 중량물(30)은 주로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중량물(30)의 양족으로 입구(33)를 형성하고, 입구(33)의 선단을 나사돌기(35)의 안쪽과 고정 부재(34)를 이용하여 고정한 후 뚜껑(36)을 나사돌기(35)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 heavy material 30 mainly uses water, and forms the inlet 33 at both ends of the heavy material 30, and uses the inner end of the screw protrusion 35 and the fixing member 34 at the front end of the inlet 33. After fixing the cap 36 was to be coupled to the screw projection (35).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조립식으로 설치하기 위하여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가방에 각 부품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보관되며,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de up of such a configuration is stored in a separate state in each bag in a bag having a predetermined size to be prefabricated, it is easy to transport and storage.

이동식 중량 함(1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할 장소로 운반하여 바닥 연결 대(15)와 바닥 프레임(12)을 연결한 코너 부분의 4방향에서 2방향에 측면 프레임(13)을 나머지 2방향에 사이드 프레임(40)을 설치하고 바닥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4)의 연결부분에 미리 용접한 너트(27)와 관통하도록 구멍을 천공하여 연결 스크류(14a)로 4방향에서 조립식으로 연결한다.In order to use the mobile weight box 10, the side frame 13 is positioned in two directions in four directions of the corner portion connecting the floor connecting rod 15 and the bottom frame 12 to the place to be used, and the side frame 13 in the remaining two directions. The frame 40 is installed, and a hole is drilled through the nut 27 welded in advance to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bottom frame 12 and the upper frame 14 to be prefabricated in four directions with the connecting screw 14a.

상기 바닥 프레임(12)의 상측에는 바닥판(23)을 상부 프레임(14)의 상측에는 상부판(25)을 조립하여 외주연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에서 통상적인 스크류를 이용하여 조립한다.The bottom plate 23 is assembl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frame 12, and the top plate 25 is assembled on the top of the top frame 14, and assembled using a conventional screw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상기 측면 프레임(13)의 양쪽에는 측면판(24)을 사이프 프레임(40)의 양쪽에는 사이드판(41)이 외주연을 따라서 소정의 간격에서 통상적인 스크류를 이용하여 조립한다.Side plates 24 on both sides of the side frame 13 and side plates 41 on both sides of the sipe frame 40 are assembled using conventional screws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상부 프레임(14)의 상부 연결대(16)와 상부판(25)과 바닥판(23)의 기둥 관통구(18a)에 기둥(18)을 관통시켜 바닥 연결대(15)에서 하부 고정대(17)의 사이에 놓고 하부 고정볼트(19)가 하부 고정대(17)와 기둥(18)을 관통하여 하부 너트(19a)로 고정하며, 상부 연결대(16)의 상부 고정대(20) 사이에 놓고 상부 고정볼트(21)가 상부 고정대(20)와 기둥(18)을 관통하여 상부 너트(22)로 고정한다.The column 18 is penetrated through the upper connecting rod 16 of the upper frame 14 and the column through hole 18a of the upper plate 25 and the bottom plate 23 so that the lower fixing unit 17 of the lower connecting plate 15 The lower fixing bolt 19 passes through the lower fixing member 17 and the pillar 18 to be fixed with the lower nut 19a, and is placed between the upper fixing member 20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16 and the upper fixing bolt ( 21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fixture 20 and the pillar 18 and is fixed with the upper nut 22.

그러면 기둥(18)은 하부 고정대(17)와 상부 고정대(20)에서 각각 고정되므로 일직선으로 세워진 상태가 된다.Then, the pillars 18 are fixed in the lower holder 17 and the upper holder 20, respectively, so that they are in a straight line.

이와 같이 기둥(18)이 양쪽에 위치하도록 이동식 중량 함(10)을 설치한 후 바닥판(23)의 상측으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중량물(30)을 설치하여 이동식 중량함(10)이 외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As such, after installing the movable weight bin 10 so that the pillars 18 are located at both sides, the movable weight bin 10 moves by an external force by installing one or several heavy weights 30 on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23. It is not to be.

중량물(30)은 물을 채워 놓거나, 흙이나 모래 등을 채워 놓을 수 있으며, 돌이나 벽돌 등과 같은 것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The heavy material 30 may be filled with water, or filled with soil or sand, and may be used as a stone or a brick.

상기 중량물(30)은 포대(자루)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물을 사용하는 경우 뚜껑(36)을 열어 입구(33)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한 후 뚜껑(36)을 나사돌기(35)에 고정시켜 물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므로 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담을 수 있게 되고, 이동에 의한 중량물(30)로 사용이 용이하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물을 제거하면 얇은 형태로 되어 접는 것이 가능하므로 가볍고 작아 가방에 보관과 이동이 편리한 것이다.Since the heavy material 30 is formed in a bag (sack) form, when water is used, the lid 36 is opened to open the inlet 33 to supply water, and then the lid 36 is fixed to the screw protrusion 35. Si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charge of water, it is possible to contain water quickly and simply, easy to use as a weight 30 by moving, and when not in use, it is possible to fold the thin form by removing the water, so it is light and small It is convenient to store and move in a bag.

이와 같이 기둥(18)을 설치한 상태에서 테니스, 족구, 배드민턴, 배구 등과 같은 다양한 운동경기를 하기 위해서 네트(31)를 설치하는 것으로, 네트 고정선(32)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네트 설치대(11)를 용접 고정한 위치에 형성한 관통 구멍(26)에 연결 고리(28)의 나사축(29)을 나사식으로 결합하여 나사 구멍(11a)을 관통한 후 너트(27)에 고정되도록 하여 돌출 고정된 연결 고리(28)에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하여 네트(31)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net 31 is installed in order to perform various sports such as tennis, foot ball, badminton, volleyball, and the like. The screw shaft 29 of the connecting ring 28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6 formed at the welded position to penetrate the screw hole 11a, and then fixed to the nut 27 to protrude and fix the connection. By connecting the net fixing line 32 to the ring 28, the net 31 can be easily installed.

상기와 같이 네트(31)를 설치한 후에는 다양한 운동경기를 할 수 있으며, 기둥(18)의 높이가 낮은 경우, 기둥(18)에 새로운 기둥을 조립식으로 설치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기둥(18)의 상측에 샌드백과 같은 운동기구를 설치하여 사용하거나, 실외에 설치하는 간판이나 광고판, 아치물 등 다양한 물품을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net 31 as described above can be a variety of sports, if the height of the pole 18 is low, by installing a new pole prefabricated to the pole 18, the height can be adjusted, the pole ( 18) It can be used to install sports equipment such as sandbags on the upper side, or to fix various items such as billboards, billboards, arches, etc. to be installed outdoors.

본 발명은 야외에서 이동식으로 안정되게 네트를 설치하여 테니스와 배드민턴, 족구, 배구 등의 운동경기를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the net in a stable and portable in the open air so that you can enjoy sports games such as tennis, badminton, football, volleyball to the fullest.

본 발명은 기둥의 높이를 조절하여 샌드백과 같은 중량물을 설치하거나, 옥외용 간판과 광고판과 같은 상업용으로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column to install a heavy material such as sandbags, or to be used in a variety of commercial applications such as outdoor signs and billboards.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정면도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는 본 발명의 기둥 상측을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xing the upper column sid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는 본 발명의 기둥 하측을 고정한 상태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xed state of the lower colum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은 본 발명의 기둥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pilla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한 분리상태 단면도Figure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ion state of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은 본 발명의 도 6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Figur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nstallation state of Figure 6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본 발명에 네트를 설치한 상태의 정면도9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 net is install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분의 분리 사시도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은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분의 분리 단면도1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 는 본 발명의 프레임에 대한 연결부분의 조립 단면도12 is an assembled cross sectional view of the connecting portion for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은 본 발명의 중량물에 대한 주요 부분의 분리 사시도Figure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we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이동식 중량 함 11 : 너트 설치대10: removable weight bin 11: nut mounting

11a : 나사 구멍 12 : 바닥 프레임11a: screw hole 12: bottom frame

13 : 측면 프레임 14 : 상부 프레임13: side frame 14: upper frame

15 : 바닥 연결대 16 : 상부 연결대15: bottom connector 16: upper connector

17 : 하부 고정대 18 : 기둥17: lower holder 18: pillar

19 : 하부 고정볼트 19a : 하부 너트19: lower fixing bolt 19a: lower nut

20 : 상부 고정대 21 : 상부 고정볼트20: upper fixture 21: upper fixing bolt

22 : 상부 너트 23 : 바닥판22: upper nut 23: bottom plate

24 : 측면판 25 : 상부판24: side plate 25: top plate

26 : 관통 구멍 26a : 용접 구멍26 through hole 26a welding hole

27 : 너트 28 : 연결 고리27: nut 28: connecting ring

30 : 중량물 31 : 네트30: weight 31: net

32 : 네트 고정선 33 : 입구32: Net fixed line 33: Entrance

34 : 고정 부재 35 : 나사돌기34: fixing member 35: screw projection

36 :뚜껑 40 : 사이드 프레임36: lid 40: side frame

41 : 사이드판41: side plate

Claims (4)

네트(31)의 네트 고정선(32)을 운동경기할 수 있는 소정의 높이로 기둥(18)에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In attaching the net fixing line 32 of the net 31 to the pillar 18 at a predetermined height which can be exercised, 바닥 연결대(15)를 연결한 바닥 프레임(12)의 측면에서 길이가 긴 2면에 측면 프레임(13)을 설치하고 길이가 짧은 2면에 사이드 프레임(40)을 설치하여 측면 프레임(13)과 사이드 프레임(40)의 상측에 상부 연결대(16)를 연결한 상부 프레임(14)을 설치하여 상기 바닥 프레임(12)과 상부 프레임(14)의 측면에 측면 프레임(13)과 사이드 프레일(40)을 연결하며,On the side of the bottom frame 12 to which the floor connecting rod 15 is connected, the side frame 13 is installed on two long sides and the side frame 40 is installed on two short sides. An upper frame 14 having an upper connecting rod 16 connected to an upper side of the side frame 40 is installed to the side frame 13 and the side frame 40 on the side of the bottom frame 12 and the upper frame 14. Connect the 상기 상부 연결대(16)를 관통하여 바닥 연결대(15)의 하부 고정대(17)에 설치하고 상부 연결대(16)의 하측에 설치한 상부 고정대(20)를 연결하며 네트 고정선(32)을 연결한 기둥(18)과;A column which connects the upper fixing line 20 installed in the lower fixing unit 17 of the lower connecting unit 15 through the upper connecting unit 16 and installed below the upper connecting unit 16 and connected the net fixing line 32. 18; 상기 바닥 프레임(12)에는 바닥판(23)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23)의 상측으로 중량물(30)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The bottom frame 12 is installed on the bottom plate 23, the weight of the mobil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heavy material 30 to the upper side of the bottom plate (23). 제 1항에 있어서, 바닥 프레임(12)에는 바닥판(23)을 설치하고 측면 프레임(13)의 양쪽 방향에는 측면판(24)을 사이드 프레임(40)에는 사이드판(41)을 설치하며, 상부 프레임(14)에는 상부판(25)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According to claim 1, The bottom frame 12 is provided with a bottom plate 23, the side plate 24 in both directions of the side frame 13 is installed in the side frame 40 side plate 41, Removable weight bin,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frame 14 is installed on the upper plate (25). 제 1항에 있어서, 기둥(18)은 한 부분에 관통 구멍(26)을 설치하고 그 양쪽으로 용접 구멍(26a)을 형성하여 사각홀(18a)의 내부에 너트(27)를 설치한 너트 설치대(11)를 삽입하여 용접구멍(26a)에서 너트 설치대(11)를 용접 고정하여 연결 고 리(28)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2. The nut mounting stan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illar (18) has a through hole (26) formed in one portion and a weld hole (26a)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nd the nut (27) is provided inside the square hole (18a). (11) by inserting a welding ring (11) in the welding hole (26a) by welding to move the weigh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ng ring 28 is installed. 제 1항에 있어서, 중량물(30)은 물을 저장하는 것이며, 양쪽으로 형성한 입구(33)와 나사돌기(35)를 고정 부재(34)로 고정하여 뚜껑(36)으로 나사돌기(35)와 결합하고, 물을 제거하면 얇게 접는 것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중량 함.According to claim 1, the heavy material 30 is to store water, and fixing the inlet 33 and the screw projection 35 formed on both sides with the fixing member 34, the screw projection 35 with the lid 36 Combined with a removable weight bin, it is possible to fold thin when removing water.
KR1020080032601A 2008-04-08 2008-04-08 A moving weight case KR1009644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601A KR100964447B1 (en) 2008-04-08 2008-04-08 A moving weight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2601A KR100964447B1 (en) 2008-04-08 2008-04-08 A moving weight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211A KR20090107211A (en) 2009-10-13
KR100964447B1 true KR100964447B1 (en) 2010-06-16

Family

ID=4153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2601A KR100964447B1 (en) 2008-04-08 2008-04-08 A moving weight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444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840B1 (en) 2023-04-13 2023-11-03 곽인근 Non-welding fixing member for each pip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09721A1 (en) * 2009-11-25 2011-09-01 Goody Products, Inc. Ultrasonic Hair Dryer
CN116077907A (en) * 2022-12-30 2023-05-09 广西民族师范学院 Portable dish volleyball training is with block convenient to adjust and carr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76U (en) 1984-06-25 1986-01-22 正昌 森山 Tennis practice net
JPS61151766U (en) 1985-03-11 1986-09-19
KR200329936Y1 (en) 2003-07-07 2003-10-17 우종선 Available landowner structure by various kinds sporting goods
KR20050103138A (en) * 2004-11-16 2005-10-27 정한근 The supporter of the net in the ball-g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776U (en) 1984-06-25 1986-01-22 正昌 森山 Tennis practice net
JPS61151766U (en) 1985-03-11 1986-09-19
KR200329936Y1 (en) 2003-07-07 2003-10-17 우종선 Available landowner structure by various kinds sporting goods
KR20050103138A (en) * 2004-11-16 2005-10-27 정한근 The supporter of the net in the ball-g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840B1 (en) 2023-04-13 2023-11-03 곽인근 Non-welding fixing member for each pip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7211A (en) 2009-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62865B2 (en) Multi-purpose portable lay-down post and fencing system
US20040159280A1 (en) Pylon
KR100964447B1 (en) A moving weight case
US8500074B1 (en) Bicycle storage tree
US20050023513A1 (en) Multi-purpose portable lay-down fence
CN104411373B (en) Football pitch
KR200367705Y1 (en) stadiums system for sports game
US20150020859A1 (en) System for Creating Decorative Arches and Columns
US20140026454A1 (en) Frames and frame systems for portably supporting indicia-bearing media
CN210247657U (en) Ecological flower planting device
CN201132049Y (en) Liftable basketball stand
WO2005024763A1 (en) Placard supporter
CN206468104U (en) A kind of landscape fence
US20150105185A1 (en) Portable physical activity panels
ES1063607U (en) Flexible support to place a network with publicity next to the football porterias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KR200341656Y1 (en) Net set for a ball game
IT201900005162A1 (en) FENCED MULTI-PURPOSE FIELD, AS WELL AS METHOD AND KIT FOR THE REALIZATION OF THE SAME
KR101534072B1 (en) A swing practice device
JP3193914U (en) Continuous flag and net winding type mobile storage and storage machine
KR100578285B1 (en) The supporter of the net in the ball-game
WO2014162028A1 (en) Advertising vehicle for football goals and the like
CN101134135A (en) Liftable basketball stands
IT201900005168A1 (en) MULTI-PURPOSE SPORTS FIELD WITH BOUNCING FENCE
KR200357985Y1 (en) The supporter of the net in the ball-game
JP3150962U (en) Tennis volley exercis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