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199B1 -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T-bar - Google Patents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T-ba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4199B1 KR100964199B1 KR1020080048060A KR20080048060A KR100964199B1 KR 100964199 B1 KR100964199 B1 KR 100964199B1 KR 1020080048060 A KR1020080048060 A KR 1020080048060A KR 20080048060 A KR20080048060 A KR 20080048060A KR 100964199 B1 KR100964199 B1 KR 1009641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nt
- ceiling
- fixing screw
- panel
- bent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8 plumb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1—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separate retain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04B9/24—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 E04B9/247—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with the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positioned on the upperside of, or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horizontal flang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or accessory means connected thereto by means of sliding or pivoting locking elements, held against the underside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T형 프레임에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수평부를 구비한 역T 형상의 T형 프레임과; 상기 수평부에 안착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끝단에서 수직절곡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절곡면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를 구비한 천장패널과; 상기 고정나사체결공을 통해 상기 T형 프레임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와; 상기 고정나사의 하측 단부가 통과하는 고정나사통과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에 수평 회동에 의하여 양측 단부가 삽·탈 되는 날개부가 구비된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의 고정나사통과공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의 하측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ceiling panel is installed, and in particular, in a panel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ceiling panel is installed in a T-frame fixed to the ceiling of a building, at least one fixing screw fastening hole is formed vertically, and An inverted T-shaped frame having horizontal portions formed on both lower sides of the vertical portion; A ceiling panel having a seating surface sea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a bent surface vertically bent at the end of the seating surface, a catching hole formed in the bent surface, and a horizontal pane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bent surface; A fixing screw which is screw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shaped frame through the fixing screw fastening hole; An elastic bar having a fixing screw passing hole through which the lower end of the fixing screw passe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extending downwardly bent to both sides, and having blade portions inserted and detached from both ends by horizontal rotation in the locking hole; And a fixing member fastened to a lower end of the fixing screw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fixing screw passing hole of the elastic bar.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천장 T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에 의하면, 천장패널 사이의 T형 프레임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를 이용해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용이하게 천장패널을 교체시공할 수 있어 유지관리의 용이성을 갖고,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뿐 아니라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원가 절감의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anel assembly structure of the ceiling T-bar frame construc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ceiling panel can be fastened and detached from the outside by using elastic bars installed to rotate horizontal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frame between the ceiling panels, If not, the ceiling panel can be easily replaced and maintained, and the maintenance is easy, and the ceiling panel is fixed by pressing the ceiling panel using elastic support to provide a firm fastening force and a simple structure, thereby reducing the cost.
T형 프레임, 천장패널, 고정나사, 탄성바 T-frame, ceiling panel, fixing screw, elastic bar
Description
본 발명은 천장패널 사이의 T형 프레임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로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용이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천장 T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nel assembly structure of the ceiling T-shaped bar frame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be easily fastened and separated from the outside by an elastic bar installed to rotate horizontally in the lower T-shaped frame between the ceiling panel.
최근 사용되고 있는 천장패널들은, 지하철 역사나 일반 건물의 로비 등에 설치하여 그 상층의 구조물, 배관, 배선 등을 은폐하거나, 천장을 미려하게 장식하기 위해 다양한 소재와 형태의 천장패널들을 사용하여 천장의 마감하는 시공을 하고 있다.Recently used ceiling panels are installed in the subway station or general building lobby to conceal the structure, plumbing and wiring on the upper floor, or to finish the ceiling using ceiling panels of various materials and shapes to decorate the ceiling beautifully. We are constructing.
이와 같은 천장패널들의 조립구조는, 천장에 고정되어 하부로 연장된 공지의 행거수단 및 고정수단 등으로 천장과 소정 거리를 갖도록 고정된 T형상 또는 그 밖의 형상의 종 방향 단부를 갖는 프레임들을 연결하여 틀을 만든다.Such assembling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s, by connecting the frame having a longitudinal end of the T shape or other shape fixed to the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eiling by a known hanger means and fixing means fixed to the ceiling extending downwards Make a frame.
이후, 상기 프레임들로 이루어진 틀 내부에 소정 판 형상의 천장패널을 안착시키는 방법으로 천장의 마감시공을 하고 있다.Thereafter, the ceiling is finished by a method of seating a ceil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plate shape in a frame made of the frames.
상기 T형상 또는 그 밖의 종 방향 단부 형상을 갖는 프레임은, 지하철 역사 의 천장과 같이 외풍이 많이 발생 되는 곳이나 진동, 충격이 빈번히 발생하는 곳에 설치할 경우, 천장패널이 위치가 변경되는 사례가 빈번하여 일일이 천장패널을 다시 교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When the frame having the T shape or other longitudinal end shape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lot of drafts occur, such as the ceiling of subway station, or where vibration or shock occurs frequently, the ceiling panel is frequently changed in position. There was an inconvenience of having to recalibrate the ceiling panel.
또한, 천장패널이 풍압 등에 이탈될 경우 낙하에 의한 파손 및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In addition, when the ceiling panel is separated from the wind pressure, etc., there was a risk of breakage and safety accidents caused by falling.
때문에,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장패널의 상층 구조물에 고정클립을 설치하여 천장패널을 탄력 지지하는 방법들을 사용하였다. 또한, 천장패널의 하부를 통해 나사, 볼트 등을 체결하여 상층 지지구조물에 천장패널을 고정하는 방법들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by using a fixing clip on the upper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was used a method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eiling panel. In addition, a method of fastening the ceiling panel to the upper support structure by fastening screws, bolts, etc.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panel is also widely used.
그러나 천장패널의 상층 지지구조물을 통해 고정수단을 설치하는 방법은, 천장패널의 상층 지지구조물에 고정수단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체결 및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웠다. 특히, 석고와 같이 강도가 약한 천장패널을 분리할 경우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However,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fixing means through the upper support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is very difficult to fasten and detach the ceiling panel from the outside because it is installed as a fixing means on the upper support structure of the ceiling panel. In particular, when the ceiling panel is weak strength, such as gypsum is inevitably broken.
때문에, 상기와 같은 천장패널 고정 방법은, 천장의 누수 보수와 덕트, 통신선로, 전기선로 등과 같은 배관 및 배선의 유지관리가 수시로 이루어지는 장소에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Therefore, the ceiling panel fixing method described above is not suitable for use in places where water leak repair of the ceiling and maintenance of piping and wiring such as ducts, communication lines, and electric lines are frequently performed.
또한, 천장패널의 하부를 통해 나사, 볼트 등을 체결하는 방법은, 천장패널 의 외부로 나사, 볼트 등이 노출될 뿐 아니라 천장패널을 분리한 후 다시 체결할 때 체결 부위에 자국이 남게 되어 천장의 미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of fastening screws, bolts, etc. through the lower part of the ceiling panel not only exposes the screws, bolts, etc. to the outside of the ceiling panel, but also marks on the fastening part when the ceiling panel is detached and then retightened. There is a problem that spoils the aesthetic sense of
게다가, 천장패널의 체결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이 많이 걸려 유지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다.In addition, it took a lot of time to fasten and detach the ceiling panel, there was a difficulty in maintenanc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외부에서 쉽게 천청용 패널의 체결 및 분리를 이룰 수 있는 기술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technology capable of providing a fastening force and at the same time easily fastening and detaching the ceiling panel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천장패널 사이의 T형 프레임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를 이용해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천장패널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원가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천장 T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by using the elastic bar installed to be horizontally rotated in the lower T-shaped frame between the ceiling panel to quickly fasten and detach the ceiling panel from the outside, even if not skilled easily from the outside The ceiling panel can be fastened and detached for easy maintenance, and the ceiling panel can be fixed by pressing the ceiling panel with elastic support to provide a firm fastening force. The purpose is to provide a panel assembly structure of the metho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T형 프레임에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 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수평부를 구비한 역T 형상의 T형 프레임과; 상기 수평부에 안착된 안착면과, 상기 안착면의 끝단에서 수직절곡된 절곡면과, 상기 절곡면에 형성된 걸림공과, 상기 절곡면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를 구비한 천장패널과; 상기 고정나사체결공을 통해 상기 T형 프레임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와;상기 고정나사의 하측 단부가 통과하는 고정나사통과공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에 수평 회동에 의하여 양측 단부가 삽·탈 되는 날개부가 구비된 탄성바; 및 상기 탄성바의 고정나사통과공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의 하측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nel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ceiling panel is installed on the T-shaped frame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t least one fixing screw fastening hole is formed vertically,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portion An inverted T-shaped frame having a horizontal portion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A ceiling panel having a seating surface seated on the horizontal portion, a bent surface vertically bent at the end of the seating surface, a catching hole formed in the bent surface, and a horizontal panel portion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bottom of the bent surface; A fixed screw screw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shaped frame through the fixing screw fastening hole; a fixing screw passing hole through which a lower end of the fixing screw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and is bent downwardly to both sides to extend An elastic bar having a wing portion in which both end portions are inserted and removed by horizontal rotation in the engaging hole; And a fixing member fastened to a lower end of the fixing screw extending downward through the fixing screw passing hole of the elastic bar.
본 발명은 천장패널 사이의 T형 프레임의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로 외부에서 천장패널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한 발명으로,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쉽고 빠르게 천장패널을 교체시공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to fasten and detach the ceiling panel from the outside with an elastic bar installed to rotate horizontally in the lower portion of the T-frame between the ceiling panel, even if you are not skilled, can easily and quickly replace the ceiling panel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Is easy.
또한,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함은 물론 단순한 구조이기 때문에 원가 절감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because it is a simple structure as well as providing a secure fastening force by fixing the ceiling panel by pressing the elastic support force.
게다가, 탄성바가 길이를 갖는 일자 형태를 갖기 때문에 하부에서 바라볼 때 잠금 및 풀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bar has a straight shape having a length, there is an effect of confirming whether the locking and unlocking when viewed from the bottom.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 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T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고정나사와 탄성바 및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준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준 도면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anel assembly structure of the ceiling T-shaped bar fram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crew according to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xing screw and an elastic bar and a fixing member according to Figure 1, 4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Figure 1 from the side,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Figure 1 from the bottom.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T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는, 건축물의 천장에 고정되는 T형 프레임에 천장패널이 설치되는 패널 조립구조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110a)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110)와, 상기 수직부(11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수평부(120)를 구비한 역T 형상의 T형 프레임(100)과; 상기 수평부(120)에 안착된 안착면(210)과, 상기 안착면(210)의 끝단에서 수직절곡된 절곡면(220)과, 상기 절곡면(220)에 형성된 걸림공(220a)과, 상기 절곡면(22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230)를 구비한 천장패널(200)과; 상기 고정나사체결공(110a)을 통해 상기 T형 프레임(100)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나사체결되는 고정나사(300)와; 상기 고정나사(300)의 하측 단부가 통과하는 고정나사통과공(420)이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220a)에 수평 회동에 의하여 양측 단부가 삽·탈 되는 날개부(430)가 구비된 탄성바(400); 및 상기 탄성바(400)의 고정나사통과공(420)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300)의 하측 단부에 체결되는 고정부재(410);가 구비된다.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panel assembly structure of the ceiling T-shaped bar frame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nel assembly structure in which the ceiling panel is installed on the T-frame fixed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An inverted T-
상기 T형 프레임(100)은 상호 연결에 의해 틀을 이루며, 천장에 고정된 공지의 행거수단(미도시) 및 고정수단(미도시) 등에 의해 천장과 거리를 갖는 상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T형 프레임(100)은 암·수 대응 연결 방법뿐 아니라 공지의 나사 및 볼트 등 다양한 체결 방법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T-
상기 T형 프레임(100)은 종 방향 단부가 역T 형상을 갖는 것으로, 하나 이상의 고정나사체결공(110a)이 수직으로 형성된 수직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부(110)의 하부 양측에 수평부(120)가 연장 형성된다.The T-
상기 고정나사체결공(110a)은 T형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고정나사(300)가 나사 체결되면서 통과될 수 있도록 수직부(110)의 상·하부에 관통 형성된 것으로, 상기 고정나사체결공(110a)이 형성되는 수직부(110)의 외부에 고정나사체결공(110a)의 직경 만큼 수직부(110)의 외부로 돌출된 돌출부(110b)가 형성된다.The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10a) is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즉, 돌출부(110b)는 T형 프레임(100)의 수직부 두께가 얇은 것을 감안해 고정나사체결공(110a)이 형성될 수 있는 직경을 확보하여 고정나가(300)가 T형 프레임(100)의 수직부(110)에 용이하게 나사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한편, 고정나사체결공(110a)의 내부 면에 나사를 형성시키는 것이 고정나사(300)를 체결할 때 높은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만, 고정나사체결공(110a)의 내부 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나사(300)의 외부에 형성된 나사가 고정나사체결공(110a)의 내부 면과 긴밀하게 밀착되면서 나사체결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forming the screw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screw fastening hole (110a) is preferable because it can provide a high fastening force when fastening the
뿐만 아니라, T형 프레임(100)의 수직부(110)는 중간 부분이 양측으로 분할된 판으로 형성시킴으로써, 고정나사체결공(110a)의 상부를 통해 고정나사(300)가 진입될 때 수직부(110)의 중간 부분이 벌어지면서 고정나사(300)가 상기 T형 프레임(100)의 하부로 용이하게 통과되도록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천장패널(200)은 석고, 합성수지, 금속 등 다양한 재질이 사용될 수 있으며, 천장을 마감하기 위해 소정 넓이와 형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The
상기 천장패널(200)은 T형 프레임(100)의 수평부(120)에 안착 되는 안착면(210)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면(210)의 끝단에서 수직 절곡된 절곡면(220)이 형성되는데, 상기 절곡면(22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공(220a)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면(220)의 하단에서 수평연장되는 수평패널부(230)가 구비된다.The
상기 수평패널부(230)는 절곡면(22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진 일체형으로 제작될 수 있지만,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진 분리형으로 제작되어 부착하는 방식에 의해 결합 될 수도 있다.The
전술된 고정나사(300)는 T형 프레임(100)의 고정나사체결공(110a)을 통해 나 사 체결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나사(300)의 하측 단부가 T형 프레임(100)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되도록 수직으로 고정된 상태가 된다.The above-mentioned
즉, T형 프레임(100)의 하부로 소정길이 연장된 고정나사(300)의 하부에 후술 될 탄성바(400)가 축 체결되어 수평 회동 될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상기 탄성바(400)는 탄성력을 갖는 금속제 및 합성수지재 등을 이용하여 상·하로 얇은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나사(300)의 하부에 중앙이 축 체결되도록 중앙에 고정나사통과공(420)이 형성된다.The
또한, 탄성바(400)는 양측으로 하향 절곡 연장되며 상기 걸림공(220a)에 수평 회동에 의하여 양측 단부가 삽·탈 되는 날개부(43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한편 고정나사통과공(420)을 통해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300)의 하측 단부에는 고정부재(410)가 체결된다.The
상기 고정나사통과공(420)은 고정나사(100)의 외부 나사와 맞물리지 않고 수평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고정나사(100)와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xing screw through
고정부재(410)는 천장패널(200)의 하부에 노출된 상태로 고정되는 것으로,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고정나사(300)의 하측 단부에 체결되기 때문에, 구 형상 또는 보석 형상 등과 같이 주위 미관을 해치지 않고 미려함을 느낄 수 있는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날개부(430)는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이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1절곡 부(430a)가 형성되고, 상기 제1절곡부(430a)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2절곡부(430b)가 형성된다.The
다음에, 상기 제2절곡부(430b)로부터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3절곡부(210c)가 형성되고, 상기 제3절곡부(210c)로부터 다시 경사지게 상향 절곡된 제4절곡부(210d)가 형성된다.Next, a third bent part 210c bent obliquely upward from the
또다시, 상기 제4절곡부(210d)로부터 경사지게 하향 절곡된 제5절곡부(210e)가 형성된다.Again, a fifth bent portion 210e bent obliquely downward from the fourth bent portion 210d is formed.
한편, 상기 탄성바(400)는 상기 형상에 한정하지 않고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이 적어도 한번 이상으로 하향 절곡되고, 양측 단부에서 적어도 한번 이상 상향 절곡된 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양측이 타원형으로 하향 되되, 양측 단부에서 경사지게 상향 절곡 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both sides of the elliptical downward from the cen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formed to be bent upwardly inclined at both ends.
아울러, 상기 탄성바(400)는 양측 단부 길이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테이퍼부(200b)가 양측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테이퍼부(200b)는 중앙으로부터 길이방향 양측의 전·후 방향 중 일단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 테이퍼부(200b)는 양측이 각각 대응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tapered portion 200b may be formed at one en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of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enter, but the tapered portion 200b may be formed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s on both sides thereof.
이와 같이, 테이퍼부(200b)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탄성바(400)를 역으로 수평 회동시켜 천장패널(200)의 걸림공(220a)에서 분리시킬 때 탄성바(400)의 테이퍼부(200b)가 걸림공(220a)의 단부에 걸리지 않고 용이하게 빠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As such, the reason for forming the tapered portion 200b is that the tapered portion 200b of the
또한, 탄성바(400)를 수평으로 회동시킬 때 천장패널(200)의 안착면(210)과 날개부(430)의 양측 단부가 밀착되는데, 이때 탄성바(400)의 양측 단부가 중심으로 탄성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가압 되면서 탄성바(400)가 용이하게 회동 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when the
이하, 본 발명의 설치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installation proced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T형 프레임(100)의 상부로부터 고정나사체결공(110a)을 통해 고정나사(100)를 수직으로 관통되게 나사 체결하고, T형 프레임(100)의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100)의 하측 단부를 탄성바(400)의 고정나사통과공(420)에 끼운다.First, the
이때, 상기 탄성바(400)의 하부로 연장된 고정나사(100)의 하측 단부에 고정부재(410)를 체결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10)를 고정나사의 하측 단부에 체결하면 고정부재(410)의 상측 단부에 탄성바(400)가 걸려 하부로 빠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At this time, the
따라서, 상기 탄성바(400)가 고정나사(100)에 축 체결되어 T형 프레임(100)의 하부에서 수평으로 회동 될 수 있도록 설치가 완료된다.Therefore, the
이하, 본 발명의 작동순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al sequ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탄성바(400)의 종 방향을 T형 프레임(100)의 종 방향으로 회동시켜 놓은 후, T형 프레임(100) 양측의 수평부(120)에 천장패널(200)의 안착면(210)을 안착시킨다.As shown in FIGS. 4 and 5, first,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이후, 탄성바(400)를 직각 또는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회동시켜 날개부(430)의 양측 단부를 양측의 안착면(210)에 형성된 걸림공(220a)에 삽입시킨다. 이때 날개부(430)에 형성된 제2절곡부(430b)의 하부 면이 상기 걸림공(220a)의 하부단에 걸린 상태가 된다. 즉 탄성바(400)의 날개부(430)가 안착면(210)을 하부로 가압하여 천장패널(200)을 고정한 상태가 된다. Thereafter, the
이와 같이, 상기 탄성바(400)가 고정나사(100)를 중심으로 수평으로 회동 되어 상기 천장패널(200)의 절곡면(220)에 형성된 걸림공(220a)에 직각으로 걸리게 된다.In this way, the
다시 말해, 탄성바(400)가 천장패널(200)을 하부로 가압하는 상태가 됨으로써, 천장패널(200)의 안착면(210)이 T형 프레임(100)의 양측 수평부(120)와 밀착된 상태로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천장패널(200)이 T형 프레임(100)에 유동 없이 고정된다.In other words, the
결과적으로, 천장패널(200) 사이의 T형 프레임(100) 하부에서 수평 회동 되도록 설치된 탄성바(400)를 이용해 외부에서 천장패널(200)을 신속히 체결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숙련자가 아니더라도 외부에서 용이하게 천장패널(200)을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어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탄성 지지력을 이용해 천장패 널(200)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고정하여 견고한 체결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조로 원가 절감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천장 T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by fastening and detaching the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is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not of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장 T형바 프레임 공법의 패널 조립구조의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nel assembly structure of a ceiling T-bar fram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ation according to FIG.
도 3은 도 1에 따른 고정나사와 탄성바 및 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xing screw and the elastic bar and the fixing member according to FIG.
도 4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준 도면.4 shows a side view of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FIG. 1;
도 5는 도 1에 따른 작동상태를 저면에서 보여준 도면.Figure 5 shows the operating state according to Figure 1 from the bottom.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T형 프레임 110… 수직부100...
110a… 고정나사체결공 110b… 돌출부110a... Fixing screw tightening 110b. projection part
120… 수평부 200… 천장패널120...
210… 안착면 220... 절곡면210... Seating
220a… 걸림공 230... 수평패널부220a...
300… 고정나사 400… 탄성바300... Fixing
410... 고정부재 420... 고정나사통과공410 ... fixing
430... 날개부 430a… 제1절곡부430 ...
430b… 제2절곡부 430c… 제3절곡부430b...
430d… 제4절곡부 430e… 제5절곡부430d...
431... 테이퍼부431 tapered section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8060A KR100964199B1 (en) | 2008-05-23 | 2008-05-23 |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T-b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8060A KR100964199B1 (en) | 2008-05-23 | 2008-05-23 |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T-ba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1907A KR20090121907A (en) | 2009-11-26 |
KR100964199B1 true KR100964199B1 (en) | 2010-06-17 |
Family
ID=41604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8060A KR100964199B1 (en) | 2008-05-23 | 2008-05-23 |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T-ba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41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62662B1 (en) * | 2022-10-28 | 2024-05-03 | 이승원 | Wind lock for tea ba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99115U (en) * | 1989-01-26 | 1990-08-07 | ||
JPH0375211U (en) * | 1989-11-24 | 1991-07-29 |
-
2008
- 2008-05-23 KR KR1020080048060A patent/KR10096419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99115U (en) * | 1989-01-26 | 1990-08-07 | ||
JPH0375211U (en) * | 1989-11-24 | 1991-07-2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1907A (en) | 2009-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882789B1 (en) | A point-fixed curtain wall hanging system | |
CN201193371Y (en) | Single-cable porefree point supporting glass curtain wall system | |
KR20090017280A (en) | Open joint assembly of building facing panel | |
KR101548905B1 (en) | Metal Ceiling Fixture Reinforced for Separation Prevention | |
KR20160149652A (en) | Building exterior building exterior fasteners and fixing methods using them | |
KR100964199B1 (en) |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T-bar | |
JP2008031696A (en) | Eaves | |
JP4886724B2 (en) | Architectural exterior louver | |
JP4914161B2 (en) | Vertical beam mounting structure | |
KR100964198B1 (en) |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ceiling using bar | |
KR20150088967A (en) | Flooring support used on keel | |
KR100987820B1 (en) | The panel connection structure for frame method to make ceiling c-bar | |
KR20190064814A (en) | Damping bracket and ceiling finish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 |
JP2006028863A (en) | Device for mounting sheet on temporary building | |
KR200451130Y1 (en) | bracket for fixing a door frame and window frame | |
KR20100010367U (en) | Pipe hangers of building | |
JP5516843B2 (en) | 3-way panel connection structure and metal fittings | |
JP4255407B2 (en) | 取 付 け Mounting structure | |
KR200405489Y1 (en) | Fabricated wall | |
KR20100119021A (en) | Construction method of ceiling panel hanger | |
JP2002054227A (en) | Installing structure of under surface covering plate | |
EP2196590B1 (en) | Suspended ceiling structure connected to a construction element and method of mounting a construction element to a suspended ceiling structure | |
JP6718700B2 (en) | External wall decorative material mounting structure | |
JP7321739B2 (en) |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and Low Exterior Wall Materials | |
KR200476757Y1 (en) | Prefabricated parti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7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12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3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