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698B1 -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698B1
KR100962698B1 KR1020080060708A KR20080060708A KR100962698B1 KR 100962698 B1 KR100962698 B1 KR 100962698B1 KR 1020080060708 A KR1020080060708 A KR 1020080060708A KR 20080060708 A KR20080060708 A KR 20080060708A KR 100962698 B1 KR100962698 B1 KR 1009626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module
sound
signal
c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0991A (ko
Inventor
이동훈
신호
장태수
피정훈
Original Assignee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60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698B1/ko
Publication of KR2010000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6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2Damping circuit arrangements for transducers, e.g. motional feedback circui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5/00Tone control or bandwidth control in amplifiers
    • H03G5/16Automatic control
    • H03G5/165Equalizers; Volume or gain control in limited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2Electronic adapt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to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04S7/303Tracking of listener position or orient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이 개시된다. 공연 관람을 위한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 사운드(sound)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사운드 입력 모듈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인 사운드 큐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큐(Cue) 실시 모듈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줄여 향상된 음압 이득을 갖는 보정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 상기 공연의 공연자 위치를 추적하여 산출된 상기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입력된 상기 보정 사운드 신호를 가공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위치 추적 모듈 및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상기 공연의 관람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은 공연 관람에 방해 되지 않고, 관람객이 효율적으로 공연 관람을 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운드, 영상, 비디오, 오디오, 전달, 공연

Description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Audial and Visual Information Transfer System for Audience}
본 발명은 연극, 뮤지컬, 음악회 등의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에게 시청각정보를 전달하는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문화에 대한 일반 대중들의 관심이 증대함에 따라, 음악회, 연극, 뮤지컬 등의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숫자도 증가하고 있다.
공연을 관람하게 되는 공연장은 대부분 층별로 많은 수의 좌석을 열과 행으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공연장의 뒷좌석에 앉은 관람객들에게는 공연 무대로부터 관람석까지의 거리가 멀고, 공연 무대와 관람석 사이에 앉아있는 다른 관람객들의 영향으로, 공연 실황이 제대로 전달되기 힘들다.
이에, 보다 효과적인 시각전달을 위하여, 공연 무대의 좌, 우 측에 프롬프터(prompter)를 설치하는 기술을 현재 사용하고 있으나 프롬프터의 크기가 작아 뒷좌석에 앉은 관람객에게 효과적으로 시각 정보가 전달되지 않으며, 공연을 방해 하 지 않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한다는 설치 장소 제약의 문제점이 있다.
청각 정보를 전달함에 있어서도, 뒷좌석의 관람객에는 효과적인 청각 정보의 전달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현재 공연장에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사용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공연 실황을 기록하는 방법으로는 제작사가 일반인이 관람하지 않는 공연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방법이나, 공연 중 고정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두 가지의 방법 모두 관람객의 선택에 의하여 형성된 시청각 정보를 저장할 수 없어, 관람객의 선택 권한이 무시되고 일방적인 촬영이 진행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시각 또는 청각 장애를 가진 관객뿐만 아니라, 일반 관객이 공연관람에 방해 받지 않고, 효과적으로 공연을 관람할 수 있는 비디오,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람객의 선택에 의하여, 획득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비디오,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연 관람을 위한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 사운드(sound)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사운드 입력 모듈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인 사운드 큐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큐(Cue) 실시 모듈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줄여 향상된 음압 이득을 갖는 보정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 상기 공연의 공연자 위치를 추적하여 산출된 상기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입력된 상기 보정 사운드 신호를 가공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위치 추적 모듈 및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상기 공연의 관람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사운드 큐가 입력되며, 상기 사운드 큐가 입력되면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동작 모듈을 더 포함 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추적 모듈은, 상기 사운드 큐 값 및 위치 추적 센서에 의한 추적 값을 기초로 상기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얻되, 상기 사운드 큐 값은 미리 설정된 상기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큐 실시 모듈에서 생성되어, 위치 추적 모듈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은, 각각 통과 대역이 상이한 네 개의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 중 인성(Human Voice)이 전달되는 주파수 영역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줄여 보정 사운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분배기(distributor); 및 상기 분배기에서 출력되는 최종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송수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일 수 있으며,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저장하는사운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자막 신호를 상기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자막 입력 모듈 상기 자막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인 비디오 큐를 생성하는 비디오 큐(Cue) 실시 모듈 현장 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하는 비디오 입력 모듈 상기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위치를 관람객 좌표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좌표 산출 모듈 상기 관람객 좌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관람객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현장 비디오 신호를 가공하여 가공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제어 모듈 상기 비디오 제어 모듈에서 출력된 가공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자막 신호가 입력되고, 통합되어 통합 비디오 신호로 출력되는 비디오 생성 모듈 및 상기 통합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며, 상기 통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비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디오 큐 실시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비디오 큐가 입력되는 순간부터, 상기 자막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된 자막 신호를 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동작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좌표 산출모듈은, 상기 관람객에 부착된 센서를 통하여 입력되는 상기 관람객 위치 정보의 좌표 행렬(transform matrix)변화량 산출하여, 상기 관람객 좌표 정보를 산출하는 오일러(Euler)방식을 사용하고, 상기 좌표 산출 모듈에서 산출되는 상기 관람객 좌표 정보는, 사원수(quaternion)로 변환되어 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합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비디오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디오 큐(Cue) 실시 모듈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비디오 큐를 생성하며, 상기 비디오 큐 실시 모듈이 자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하는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공연자의 위치 정보, 위치 추적 센서를 통해 얻어진 공연자의 위치 정보, 조명의 동작을 명령하는 조명 큐 값 및 비디오 추적에 의한 위치 추적 값을 통하여 비디오 큐 생성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각 또는 청각 장애를 가진 관람객뿐만 아니라, 일반 관람객이 공연관람을 하는 경우, 공연 관람에 방해 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공연 관람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관람객의 선택에 의하여 획득된 비디오, 오디오 정보를 저장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100)은, 사운드 입력 모듈(110), 사운드 큐(Cue) 실시 모듈(120), 사운드 동작 모듈(130),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140), 위치 추적 모듈(150), 송수신 모듈(160) 및 저장 모듈(17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입력 모듈(110)은 현장 사운드 신호를 입력받아,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즉,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을 통하여 전달될 현장 사운드 신호가 사운드 입력 모듈(110)을 통하여,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전체로 입력된다. 사운드 입력 모듈(110)에서 출력하는 현장 사운드 신호는 공연 무대에서 연주되는 음악 또는 연극 무대에서 공연하는 공연자의 목소리 등과 같은 라이브(live) 사운드 신호일 수 있으며, 미리 녹음된 사운드 신호가 역시 현장 사운드 신호로 사 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 상에서 현장 사운드 신호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 처음 입력되는 사운드 신호를 말하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현장 사운드 신호에는 다양한 종류의 사운드 신호가 포함될 수 있다.
사운드 큐(Cue) 실시 모듈(120)은 공연의 상황에 적합하게 자동 또는수동으로 사운드 큐를 생성한다. 사운드 큐는 현장 사운드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이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 사운드 큐는 상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사운드 큐 실시 모듈(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운드 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사운드 큐는 현장 사운드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으므로,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동작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운드 큐는 공연에서 현장 사운드 신호가 어느 시점에 출력되어야 할지를 결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운드 큐는 수동으로 공연 디렉터(director)에 의하여 생성되어 오디오 전달 시스템으로 입력되거나, 미리 사전에 현장 사운드 신호가 출력될 시점을 기록한 타임 코드(time code)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어 오디오 전달 시스템으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큐는 미리 설정된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공연이 시작되기 전, 사전에 공연 기획자들에 의하여 정해진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사운드 큐에 저장하여 이를 통하여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얻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입력 모듈(110)에서 출력되는 현장 사운드 신호 및 사운드 큐 실시 모듈(12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큐는 사운드 동작 모듈(130)로 입력될 수 있다. 사운드 동작 모듈(130)은 사운드 큐가 입력되면, 현장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140)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140)은 현장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현장 사운드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줄여 향상된 음압 이득을 갖는 보정 사운드 신호로 출력한다. 다이내믹 레인지는 가청 프로그램 레벨의 최대 변화로 정의되며, 특히 사운드 시스템에서는 시스템의피크 출력 레벨(Peak output level)과 전기 음향 잡음 레벨(electro-acoustic noise level) 사이의 차이 값과 동일하다. 현장 사운드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줄여 얻어진 보정 사운드 신호는, 현장 사운드 신호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음압 이득을 갖게 된다.
공연장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피커 시스템과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헤드폰 및 골전도 헤드폰은 사운드 전달 효율이 떨어지기에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140)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음원의 손실을 막고 증폭하여 정확히 전달하고자 현장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보정 사운드 신호로 출력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140)은 각각 통과 대역이 상이한 네 개의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151~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대역 통과 필터의 통과 대역은 주파수에 따라, Low, Lo-Mid, Hi-Mid, High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140)은 입력된 현장 사운드 신호를 주파수에 따라 4개 대역(Low, Lo-Mid, Hi-Mid, High)으로 구분된 대역 통과 필터(151, 152, 153, 154)에 통과시키며, 이때 각각 대역 통과 필터 통과 대역을 통과한 신호 각각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줄인다. 이때, 4개의 주파수 대역 중 High 대역은 자음 인식에 중요한 치찰음이 존재하는 대역일 수 있으며, Hi-Mid대역은 여성의 인성과 고음역 악기들의 소리, Lo-Mid대역은 남성의 인성과 중저음 악기들의 소리, Low 대역은 타악기의 저음이나 Sub-Woofer 효과음의 진동을 전달하는 대역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4개 대역의 다이내믹 레인지는 각각 실시간으로 조정(Realtime Compression)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공연에서 가장 중요한 대사나 음악연주를 상황에 맞게 효과적으로 강조하여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여 네 개의 대역 중 공연 관람에 가장 중요한 주파수 영역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집중적으로 줄여, 음압 이득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극 공연 같은 경우,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140)은 사람의 목소리에 의하여 전달되는 인성(human voice)범위 주파수 영역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집중적으로 줄여 얻어진 보정 사운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위치 추적 모듈(15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100)이 사용되는 공연의 공연자 위치를 추적하여 산출되는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현장 사운드 신호를 필터링(filtering) 등과 같은 가공 처리 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로 출력한다. 공연자의 위치 정보는 사운드 큐 실시 모듈(120)에서 생성된 사운드 큐에 의한 위치 추적값,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한 센서 위치 추적값을 바탕으로 그 결과를 비교하여 상호 보완하여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운드 큐 값에 미리 설정된 공연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될 수 있기에, 공연 전에 미리 정해져 사운드 큐에 포함되어 있던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현장 사운드 신호를 가공 처리 할 수 있다. 또한,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공연자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이를 기초로 현장 사운드 신호를 가공 처리할 수도 있다. 공연자에게 부착된 센서를 통하여 공연자의 위치를 감지 할 수도 있고, 비디오 카메라에 포함된 센서를 통하여 공연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방법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위치 감지 센서를 통하여 공연자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위치 추적 모듈(150)은 산출된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사운드 신호처리 모듈(140)로부터 입력된 보정 사운드 신호를 가공하여 입체감을 가진 최종 사운드 신호로 출력한다. 위치 추적 모듈(150)은 공연자의무대 위 움직임을 감지, 이를 반영하여 현장 사운드 신호를 가공(필터링과 같은) 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거리감 및공연자의 움직임에 따른 움직임 여부 등이 느껴져 공연자 바로 옆에서 공연을 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는 최종 사운드 신호를 얻을 수 있다.
위치 추적 모듈(150)에서 출력된 최종 사운드 신호가 송수신 모듈(160)로 입력된다. 본 실시예에 다른 송수신 모듈(160)은 분배기(distributor, 161) 및 수신기(162)를 포함할 수 있다. 송수신 모듈로 입력된 최종 사운드 신호는 분배기(161)로 전달되어, 저장되고 분배기(161)에서 출력된 최종 사운드 신호는 각각 관람객의 좌석에 배치된 수신기(162)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공유기(161) 및 수신기(162)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유기(161) 및 수신기(162)는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을 사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통신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수신기(162)는 관람객이 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헤드셋 또는 골전도 헤드폰의 형태일 수 있으며, 수신기(162)를 착용 또는 소지한 관람객은 최종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여, 보다 현장감 있는 공연 관람을 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200)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200)의 구성도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200)은 자막 입력 모듈(210), 비디오 큐 실시 모듈(220), 비디오 동작 모듈(230), 좌표 산출 모듈(240), 비디오 제어 모듈(250), 비디오 생성 모듈(260), 비디오 출력 모듈(270), 비디오 저장 모듈(280) 및 비디오 입력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자막 입력 모듈(210)은 자막 신호를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200)으로 출력한다. 즉,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200)을 통하여 전달될 자막 신호가 자막 입력 모듈(210)을 통하여,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200) 전체로 입력된다. 자막 입력 모듈(210)에서 출력하는 자막 신호는 단순 공연의 대사뿐 아니라 공연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또한, 자막 신호는 그래픽 파일 또는 텍스트 파일 형태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자막 신호가 존재할 수 있다.
비디오 큐 실시 모듈(220)은 공연의 상황에 적합하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한다. 비디오 큐는 본 실시예에 따른 자막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 하는 신호이며, 이하 본 명세서에서 비디오 큐는 상기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비디오 큐 실시 모듈(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비디오 큐는 자막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비디오 큐 실시 모듈(220)에서 수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하는 것은, 공연의 디렉터(director)가 공연의 상황을 지켜보면서, 그 상황에 따라 큐 생성 시점을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비디오 큐 실시 모듈(220)에서 자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하는 것은, 비디오 큐에 의한 공연자의 위치 추적 값, 위치 추적 센서를 이용한 위치 추적 값 비디오를 이용한 추적에 의한 위치 추적 값 그리고 조명 큐를 참조하여 상호 보완하여 비디오 큐의 출력 시점이 결정될 수 있다. 비디오 큐에 의한 공연자의 위치 추적 값은 비디오 큐에 포함된 공연 전 미리 설정된 공연자의 위치 정보 값을 이용한 위치 추적 값을 말하며, 조명 큐는 각 공연의 장면 별로 조명이 언제, 어떻게 들어와야 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이를 기초로 어느 시점에 비디오 큐를 생성할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비디오 큐에 의한 공연자의 위치 추적 값, 위치 추적 센서를 이용한 위치 추적 값 비디오를 이용한 추적에 의한 위치 추적 값 그리고 조명 큐들의 값들을 상호 보완하여 비디오 큐 생성 시점을 결정하기 위하여, 유클리디언 디스턴스(Euclidean Distanc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네 개의 값 중 가장 근사값을 결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비디오 동작 모듈(230)은 비디오 큐 실시 모듈(220)에 의하여 생성된 비디오 큐가 입력되는 순간부터, 자막 입력 모듈(210)로부터 입력된 자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즉, 비디오 동작 모듈(230)은 비디오 큐 실시 모듈(220)에 의하여 생성된 비디오 큐에 의하여, 비디오 생성 모듈(260)로 자막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좌표 산출 모듈(240)은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위치를 좌표 정보로 변환하여 산출한다. 좌표 산출 모듈(240)에 의하여 산출된 관람객의 좌표 정보는 관람객의 시야 방향에서 현장 비디오 신호를 줌-인(zoom in)하여 출력하여 관람객에게 제공하는 등과 같이, 관람객의 위치에 상응하여 비디오 정보를 가공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좌표 산출 모듈(240)은 관람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관람객 좌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먼저 관람객에게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관람객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다음으로, 좌표 산출 모듈(240)은 오일러(Euler)방식을 사용하여 관람객 위치 정보의 좌표 행렬(Transform Matrix) 변화량을 산출하여 관람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관람객 좌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오일러 방식을 통하여 생성된 관람객 좌표 정보는 사원수(quaternion)로 변환되어, 비디오 제어 모듈(240)로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람객 좌표 정보를 사원수로 변환하여비디오 제어 모듈(240)로 전송하는 것은, 사원수로 변환하지 않고 전송하는 경우 회전 중에 두 개의 축이 일치되면서 회전이 정지하는 현상이 발생할 확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식은 일반적인 방법으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비디오 입력 모듈(290)은 카메라에 의하여 현장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는 모듈로, 현장 비디오 신호는 공연 실황을 담은 영상 정보일 수 있다. 이때, 비디오 입력 모듈(290)에 포함되는 카메라는 HD 카메라 일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카메라가 비디오 입력 모듈(290)에 포함될 수 있다. 비디오 입력 모듈(290)로 입력된 현장 비디오 신호는 후에 비디오 제어 모듈(250)로 출력된다.
비디오 제어 모듈(250)은 좌표 산출 모듈(240)에서 출력된 관람객의 좌표정보가 입력되며, 관람객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관람객 좌표 정보에 상응하도록 현장 비디오 신호를 선택 및 가공하여 가공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즉, 관람객의 좌표 정보에 따라, 그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카메라에 의하여 입력된 현장 비디오 신호를 가공하여, 가공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여기서, 관람객의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카메라는 관람객의 시야방향과 동일 범위 내에 위치한 카메라를 말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현장 비디오 신호를 가공하는 동작에는 줌인(zoom-in) 뿐 아니라, 트랙킹(tracking) 동작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가공 동작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가공 비디오 신호는 관람객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생성된다. 예를 들어, 관람객이 특정 장면을 가까이 보기 위하여 줌인 명령 신호를 입력하면, 명령 신호가 입력된 시점의 관람객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카메라에 의해 입력된 현장 비디오 신호를 확대한 가공 비디오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줌인 명령 신호에 의해 확대된 가공 비디오 신호는 카메라에 의하여 이미 촬영된 영상을 디지털 방식으로 줌을 하는 것으로, 이미 촬영된 일정 해상도의 영상을 그 해상도를 유지하면서, 특정 부분만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이외에도 카메라 자체에 포함되어 있는 렌즈에 의하여 광학적 방식으로 줌을 행할 수 있다.
비디오 생성 모듈(260)은 비디오 제어 모듈(250)에서 생성된 가공 비디오 신호 및 비디오 동작 모듈(230)에서 출력된 자막 신호를 실시간으로 통합하여, 통합 비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통합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출력 모듈(270)로 입력될 수 있으며, 관람객의 좌석에 배치된 표시부에 출력되어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관람객의 좌석에 배치되는 표시부는 투명 LCD 등 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가 표시부에 해당할 수 있다.
비디오 저장 모듈(280)은 비디오 생성 모듈(260)에서 출력된 통합 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기록 매체에 기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비디오 저장 모듈(270)에 의하여 통합 비디오 신호가 기록 매체에 기록 됨으로써, 관람객이 후에 이를 소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합 비디오 신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연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연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3에 도시된 공연 정보 전달 시스템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오디오 정 보 전달 시스템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을 포함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전술한 바 있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과 그 기능 및 작동 과정이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고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연 정보 전달 시스템(300)은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310) 및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320)를 포함한다.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310)는 사운드 입력 모듈(311), 사운드 큐(Cue) 실시 모듈(312), 사운드 동작 모듈(313),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314), 위치 추적 모듈(315) 및 송수신 모듈(316)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운드 입력 모듈(311)은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310)으로 현장 사운드 신호를 출력한다. 현장 사운드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공연 무대에서 연주되는 음악 또는 연극 무대에서 공연하는 공연자의 목소리 등과 같은 라이브(live) 사운드 신호일 수 있으며, 미리 녹음된 사운드 신호 역시 현장 사운드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운드 큐 실시 모듈(312)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사운드 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사운드 큐는 현장 사운드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사운드 입력 모듈(311)에서 출력되는 현장 사운드 신호 및 사운드 큐 실시 모듈(312)에서 출력되는 사운드 큐는 사운드 동작 모듈(313)로 입력된다. 사운드 동작 모듈(313)은 사운드 큐가 입력되면, 현장 사운드 신호를 사운드 신호 처리 모 듈(314)로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314)은 현장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현장 사운드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줄여 향상된 음압 이득을 갖는 보정 사운드 신호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314)은 각각 통과 대역이 상이한 네 개의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 151~15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특성을 조정하여 네 개의 대역 중 공연 관람에 가장 중요한 주파수 영역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집중적으로 줄여, 음압 이득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위치 추적 모듈(315)은 공연자 위치를 추적하여 산출되는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314)로부터 입력된 보정 신호를 필터링(filtering)등과 같이 가공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로 출력한다. 위치 추적 모듈(315)은 산출된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상응하여, 보정 사운드 신호를 가공하여 입체감을 가진 최종 사운드 신호로 출력한다.
최종 사운드 신호는 송수신 모듈(316)로 입력된다. 송수신 모듈(316)로 입력된 최종 사운드 신호는 분배기(미도시)로 전달되어, 저장되고 분배기(미도시)에서 출력된 최종 사운드 신호는 각각 관람객의 좌석에 배치된 수신기(미도시) 및 후술할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320)의 비디오 출력 모듈(327)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공유기(미도시) 및 수신기(미도시)를 포함하는 송수신 모듈(316)은 블루투스(blue tooth)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 할 수 있다.
공연 정보 전달 시스템(300)에 포함된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320)은 자막 입력 모듈(321), 비디오 큐 실시 모듈(322), 비디오 동작 모듈(323), 좌표 산출 모듈(324), 비디오 제어 모듈(325), 비디오 생성 모듈(326), 비디오 출력 모듈(327), 비디오 저장 모듈(328) 및 비디오 입력 모듈(329)을 포함할 수 있다.
자막 입력 모듈(321)은 자막 신호를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출력한다. 자막 입력 모듈(321)에서 출력하는 자막 신호는 공연의 대사 또는 공연의 정보일 수 있으며, 그래픽, 텍스트 파일의 형태일 수 있다.
비디오 큐 실시 모듈(322)은 공연의 상황에 적합하게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한다. 비디오 큐 실시 모듈(322)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비디오 큐는 자막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비디오 동작 모듈(323)은 비디오 큐 실시 모듈(322)에 의하여 생성된 비디오 큐가 입력되는 순간부터, 자막 입력 모듈(321)로부터 입력된 자막 신호를 출력한다.
좌표 산출 모듈(324)은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위치를 좌표 정보로 변환하여 산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좌표 산출 모듈(324)이 관람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관람객 좌표 정보를 얻기 위하여, 먼저 관람객에게 부착된 센서를 이용하여 관람객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오일러(Euler)방식을 사용하여 관람객 위치 정보의 좌표 행렬(Transform Matrix) 변화량을 산출하여 좌표 산출 모듈(324)은 관 람객의 위치를 나타내는 관람객 좌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오일러 방식을 통하여 생성된 관람객 좌표 정보는 사원수(quaternion)로 변환되어, 비디오 제어 모듈(325)로 전송된다.
비디오 입력 모듈(329)은 공연 실황을 담은 현장 비디오 신호를 비디오 카메라를 통하여 입력 받아, 비디오 제어 모듈(325)로 출력할 수 있다.
비디오 제어 모듈(325)은 좌표 산출 모듈(324)에서 출력된 관람객 좌표 정보가 입력되며, 관람객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관람객의 좌표 정보에 상응하도록 현장 비디오 신호를 선택 및 가공하여 가공 비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즉, 관람객의 좌표 정보에 따라, 그 좌표 정보에 상응하는 카메라에 의하여 입력 받은 현장 비디오 신호를 가공하여 가공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가공 비디오 신호는 관람객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생성된다.
비디오 생성 모듈(326)은 비디오 제어 모듈(325)에서 생성된 가공 비디오 신호 및 비디오 동작 모듈(323)에서 출력된 자막 비디오 신호를 실시간으로 통합하여, 통합 비디오 신호로 출력한다.
통합 비디오 신호는 비디오 출력 모듈(327)로 입력되어, 관람객의 좌석에 배치된 표시부로 출력,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통합 비디오 신호 이외에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310)에서 출력된 최종 사운드 신호도 비디오 출력 모듈(327)로 입력되어, 통합 비디오 신호와 함께 관람객에게 출력할 수 있다. 이때, 관람객의 좌석에 배치되는 표시부는 투명 LCD 등 일 수 있으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종류가 표시부에 해당할 수 있다.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320)에서 출력되는 통합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310)에서 출력되는 최종 사운드 신호는 저장 모듈(328)로 입력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저장 된다. 이와 같이, 저장 모듈(328)에 의하여 통합 비디오 신호 및 최종 사운드 신호가 기록 매체에 기록 됨으로써, 관람객이 후에 이를 소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통합 비디오 신호 및 최종 사운드 신호가 기록되는 기록 매체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및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실제 구현예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수신기를 나타낸 예시도 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비디오 출력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수신기는 사용자 즉, 관람객의 귀에 부착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수신기는 블루투스 통신을 사용하여,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서 입체감있게 생성된 최종 사운드 신호를 수신 받을 수 있다. 블루투스 이외에도, 무선 통신, 유선 통신 어느 것이라도 최종 사운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방법이라면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수신부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수신기는 골전도 헤드폰, 일반적인 헤드폰 및 이어폰 등 어느 형태이더라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출력 모듈은 고글(goggle)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고글 형태로 제작된 비디오 정보 출력 모듈은 고글의 렌즈 부분에 부착된 표시부에서 통합 비디오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출력 모듈은 관람객의 좌석 앞에 투명 LCD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람객의 좌석 앞의 테이블에 매몰된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비디오 정보 출력 모듈은 이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 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연 정보 전달 시스템의 구성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수신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의 비디오 출력 모듈을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사운드 입력 모듈210: 자막 입력 모듈
120: 사운드 큐(Cue) 실시 모듈 220: 비디오 큐(Cue) 실시 모듈
130: 사운드 동작 모듈 230: 비디오 동작 모듈
140: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 240: 좌표 산출 모듈
150: 위치 추적 모듈 250: 비디오 제어 모듈
160: 송수신 모듈 260: 비디오 생성 모듈
270: 비디오 출력 모듈

Claims (16)

  1. 공연 관람을 위한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현장 사운드(sound)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사운드 입력 모듈;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인 사운드 큐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사운드 큐(Cue) 실시 모듈;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의 다이내믹레인지(dynamic range)를 줄여 향상된 음압 이득을 갖는 보정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
    공연자 위치를 추적하여 산출된 상기 공연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입력된 상기 보정 사운드 신호를 가공하여 최종 사운드 신호로 출력하는 위치 추적 모듈; 및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상기 공연의 관람객에게 전달하기 위한 송수신 모듈을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 및 상기 사운드 큐가 입력되며, 상기 사운드 큐가 입력되면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를 출력하는 사운드 동작 모듈을 더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추적 모듈은,
    사운드 큐 값 및 위치 추적 센서에 의한 추적 값을 기초로 상기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얻되,
    상기 사운드 큐 값은 미리 설정된 상기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운드 큐 실시 모듈에서 생성되어, 상기 위치 추적 모듈로 입력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은,
    각각 통과 대역이 상이한 네 개의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 처리 모듈은,
    상기 현장 사운드 신호 중 인성(Human Voice)이 전달되는 주파수 영역의 다이내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줄여 보정 사운드 신호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하는 분배기(distributor) 및
    상기 분배기에서 출력되는 최종 사운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모듈은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사운드 신호를 저장하는 사운드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10.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에 있어서,
    자막 신호를 상기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으로 출력하는 자막 입력 모듈;
    상기 자막 신호의 출력 시점을 결정하는 신호인 비디오 큐를 생성하는 비디오 큐(Cue) 실시 모듈;
    현장 비디오 신호를 입력 받아 출력하는 비디오 입력 모듈;
    공연을 관람하는 관람객의 위치를 관람객 좌표 정보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좌표 산출 모듈;
    상기 관람객 좌표 정보가 입력되며, 상기 관람객에 의하여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상기 현장 비디오 신호를 가공하여 가공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비디오 제어 모듈;
    상기 비디오 제어 모듈에서 출력된 가공 비디오 신호 및 상기 자막 신호가 입력되고, 통합되어 통합 비디오 신호로 출력되는 비디오 생성 모듈; 및
    상기 통합 비디오 신호가 입력되고, 상기 통합 비디오 신호가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는 비디오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큐 실시 모듈에 의하여 생성된 비디오 큐가 입력되는 순간부터, 상기 자막 입력 모듈로부터 입력된 자막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동작 모듈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산출모듈은,
    오일러(Euler) 방식으로 상기 관람객에 부착된 센서를 통하여 입력되는 관람객 위치 정보의 좌표 행렬(transform matrix) 변화량을 산출하여 상기 관람객 좌표 정보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산출 모듈에서 산출되는 상기 관람객 좌표 정보는,
    사원수(quaternion)으로 변환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비디오 신호를 저장하는 비디오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하는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큐(Cue) 실시 모듈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상기 비디오 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큐 실시 모듈이 자동으로 비디오 큐를 생성하는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 공연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비디오 큐, 위치 추적 센서를 통해 얻어진 공연자의 위치 정보, 조명의 동작을 명령하는 조명 큐 값 및 비디오 추적에 의한 위치 추적 값을 통하여 비디오 큐 생성 시점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KR1020080060708A 2008-06-26 2008-06-26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KR1009626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08A KR100962698B1 (ko) 2008-06-26 2008-06-26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708A KR100962698B1 (ko) 2008-06-26 2008-06-26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91A KR20100000991A (ko) 2010-01-06
KR100962698B1 true KR100962698B1 (ko) 2010-06-11

Family

ID=41811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708A KR100962698B1 (ko) 2008-06-26 2008-06-26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6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0637A (zh) * 2012-11-06 2013-03-13 陈亮 一种电声产品与音像播放设备的交互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80554B (zh) * 2012-10-26 2016-09-21 中国人民解放军空军航空医学研究所 一种方位监测系统
KR101551252B1 (ko) 2014-02-19 2015-09-09 (주)케이시크 음향조명기기의 밸런스 조절 제어 방법
KR101695432B1 (ko) * 2016-08-10 2017-01-23 (주)넥스챌 무대 공연을 위한 방위각 생성 및 방위각 음상 정보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409B1 (ko) 2003-07-31 2005-03-14 류재길 공연장 좌석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이용한 영상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2409B1 (ko) 2003-07-31 2005-03-14 류재길 공연장 좌석에 설치되는 모니터를 이용한 영상처리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0637A (zh) * 2012-11-06 2013-03-13 陈亮 一种电声产品与音像播放设备的交互系统
CN102970637B (zh) * 2012-11-06 2015-11-25 陈亮 一种电声产品与音像播放设备的交互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0991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1273B1 (en) Video camera controlled surround sound
EP2268012B1 (en) Display device with object-oriented stereo coordinate sound output
KR100678929B1 (ko) 다채널 디지털 사운드 재생방법 및 장치
KR101777639B1 (ko) 음향 재생을 위한 방법
WO2017061218A1 (ja) 音響出力装置、音響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1032186B (zh) 用录音来产生幻像三维声音空间的方法及装置
US8630428B2 (en) Display device and audio output device
CN109391895B (zh) 调整固体电影屏幕上的音频图像的感知提升的系统和方法
WO1995022235A1 (fr) Systeme de reproduction visuelle et sonore
JP2010206451A (ja) カメラ付きスピーカ、信号処理装置、およびavシステム
JP2010206451A5 (ko)
JP5844995B2 (ja) 音響再生装置および音響再生プログラム
KR100962698B1 (ko) 공연 관람을 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정보 전달 시스템
US20220345845A1 (en) Method, Systems and Apparatus for Hybrid Near/Far Virtualization for Enhanced Consumer Surround Sound
JP2645731B2 (ja) 音像定位再生方式
Maempel The virtual concert hall—A research tool for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audiovisual room perception
CN104303523B (zh) 将多声道音频信号转换为双声道音频信号的方法和设备
JP5369852B2 (ja) 映像音声入出力システム
KR101695840B1 (ko) 라우드니스 기반의 디지털 tv 음량 자동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40011A1 (en) Directional Sound Recording and Playback
JP5326332B2 (ja) スピーカ装置、信号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830675A (zh) 用于使媒体内容的观看者效果信号与媒体内容的媒体信号同步的方法和系统
JP2011155500A (ja) モニタ制御装置及び音響システム
JP3104348B2 (ja) 収録装置、再生装置、収録方法および再生方法、および、信号処理装置
JP2007221599A (ja) スピーカ装置、駆動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駆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