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2138B1 - Button type vent apparatus - Google Patents

Button type ven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2138B1
KR100962138B1 KR1020080061557A KR20080061557A KR100962138B1 KR 100962138 B1 KR100962138 B1 KR 100962138B1 KR 1020080061557 A KR1020080061557 A KR 1020080061557A KR 20080061557 A KR20080061557 A KR 20080061557A KR 100962138 B1 KR100962138 B1 KR 100962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housing
rider
button type
tomography
ven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01588A (en
Inventor
이상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1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2138B1/en
Publication of KR20100001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5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2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21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262Openings in or on the vehicl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41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 B60H1/245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ventilation devices in the vehicle located in the ro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60H1/26Ventilating openings in vehicle exterior; Ducts for conveying ventilating air
    • B60H1/30Air sc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35Devices in the roof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인너 하우징(30)에 의해 로터(10)가 상방향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미끌어지면서 회전하여 단층부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단층부와 톱니부(3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벤트 장치가 소개된다. 이러한 벤트 장치는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 개폐 작동시킬 수 있어 편리하다.In the state in which the rotor 10 is pushed upward by the inner housing 30, the rider 14 rotates while sliding the slope of the tooth part 32 so that the fault part and the tooth part ( 32 introduces a vent device that is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Such a vent device is convenient because i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simple pressing operation.

벤트, 환기, 루프, 버튼 Vent, ventilation, loop, button

Description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BUTTON TYPE VENT APPARATUS}Button type vent device {BUTTON TYPE VENT APPARATUS}

본 발명은 밀폐된 실내 공간의 환기를 위해 사용되는 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누름 동작에 의해 간단히 개폐가 이루어지는 버튼식 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t device used for ventilation of the enclosed indoor spa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utton-type vent device that is opened and closed simply by a pressing operation.

차량과 같이 다수의 인원이 이용하는 밀폐 공간에 대한 환기는 필수적이다. 대형 차량의 경우 강제 환풍기를 설치하기도 하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시내 버스의 경우에는 주로 자연 환기용 벤트 장치가 설치된다.Ventilation in confined spaces used by multiple personnel, such as vehicles, is essential. In the case of large vehicles, forced ventilators may be installed, but the price is high, and in the case of city buses, ventilators for natural ventilation are mainly installed.

주지된 바와 같이 버스의 루프에 설치된 자연 환기용 벤트 장치는 승객이 직접 장치의 커버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려 실내 공기를 환기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자연 환기용 벤트 장치를 이용해 본 사람은 알겠지만 그 커버의 개폐가 여간 힘든 것이 아니다.As is well known, the vent device for natural ventilation installed in the roof of the bus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assenger directly pushes the cover of the device upward to ventilate the indoor air. Anyone who has used this natural ventilation vent device will know that opening and closing the cover is not difficult.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힘들이지 않고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 개폐 작동시킬 수 있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utton-type vent devic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effortlessly simple pressing.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는, 각 층이 일방향 슬로프를 갖는 단층부가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중공의 원통형 아우터 하우징; 상기 아우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둘레를 따라 톱니부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인너 하우징; 및 상기 인너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며, 환기구가 마련된 몸체 상부에 아우터 하우징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마련되고, 커버의 가장자리부 저면에는 복수 개의 라이더가 돌출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로터;을 포함한다.Venting device of the button ty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hollow cylindrical outer housing is a single-layer portion having a one-way slope of each layer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hollow cylindrical inner housing installed inside the outer housing and having teeth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hollow cylindrical rotor installed inside the inner housing and provided with a cover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provided with a ventilation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riders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edge portion of the cover.

특징적으로, 상기 라이더는 단층부와 톱니부 양쪽에 걸쳐 얹혀질 수 있도록 선단이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며, 인너 하우징에 의해 로터가 상방향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라이더가 톱니부의 슬로프를 미끌어지면서 회전하여 단층부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단층부와 톱니부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Characteristically, the rider has a length in the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rider can be mounted on both the fault and the tooth portion, and the rider rotates while sliding the slope of the tooth portion while the rotor is pushed upward by the inner housing. The tomographic portion and the tooth portion are arranged to be shif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y can be placed on the single layer portion.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아우터 하우징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단층부와 단층부 사이의 구간에서 돌출부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가 마련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and a stopper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to allow the protrusions to be seated in at least a section between the tomography part and the tomography part.

상기 단층부는 2개의 층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는 단층부와 단층부 사이의 구간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메인 골부와 단층부의 층과 층 사이의 턱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서브 골부를 가질 수 있다.The tomography portion may have two layers, and the stopper may have a main valley portion that is offset from the interval between the tomography portion and the tomography portion, and a sub valley portion that is offset from the jaw between the layer and the layer of the tomography portion.

또한, 상기 서브 골부는 메인 골부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b valley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main valley.

또한, 상기 골부들 사이의 산부는 상단 모서리가 완만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aks between the valleys may be formed with a smooth upper edge or inclined.

또한, 상기 단층부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인너 하우징의 외면에는 가이드들 사이의 홈부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홈부 하단 측에는 돌출부의 지지를 위한 스토퍼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tomography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to be fitted in the groove portion between the guide, the lower end of the groove portion is provided with a stopper for supporting the protrusion do.

상술한 바와 같은 타입의 벤트 장치에 따르면, 인너 하우징을 상방향 밀어 올리는 간단한 누름 동작에 의해 개폐 작동되므로 사용이 편리하다.According to the vent device of the type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by a simple pressing operation of pushing up the inner housing is convenient.

또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될 수 있어 원가 절감 및 중량 감소가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it can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and weight.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Hereinafter, a vent device of a button ty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는 차량 루프용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1 and 2 show a vent device of a button type for a vehicle roof.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벤트 장치는 차량 루프(미도시)에 고정되는 아우터 하우징(20)의 내부에 커버(11: 도 5 참조)를 갖는 로터(10)가 설치되며, 아우터 하우징(20)과 로터(10) 사이에는 인너 하우징(30)이 설치된 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벤트 장치 닫힘 상태로서, 인너 하우징(30)을 밀어 올리면 로터(10)가 상방향 들려져 도 2와 같이 벤트 장치 열림 상태가 된다.1 and 2, the vent device is provided with a rotor 10 having a cover 11 (see FIG. 5) inside an outer housing 20 fixed to a vehicle roof (not shown). The inner housing 30 is provided between the rotor 20 and the rotor 10. 1 is a vent device closed state, when the inner housing 30 is pushed up, the rotor 10 is lifted upwards, and the vent device is opened as shown in FIG. 2.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벤트 장치의 각 구성요소를 살펴본다.3 to 5, each component of the vent device will be described.

도 3에서 보듯이, 아우터 하우징(20)은 상하가 개방된 중공의 원통형 형상의 몸체(21) 내측면에 상하 방향 길이를 갖는 복수 개의 가이드(22)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가이드(22)의 상단(上端)에는 단층부(22a,22b,22c)가 형성된다. 이 단층부는 하층(22a)과 상층(22c)이 각각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슬로프를 가짐)되며, 턱(22b)이 수직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대략 켜는 톱날의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층부가 2개의 층(1개의 턱)을 가지나, 3개의 층(2개의 턱)을 가질 수도 있다. 한편, 가이드(22) 하단부에, 가이드(22)에 대해 반경 방향 안쪽으로는 골구(24a,24c)와 산부(24b)를 갖는 스토퍼(24)가 마련(도 7 참조)된다.As shown in FIG. 3, the outer housing 20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guides 22 having vertical length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inner surface of a hollow cylindrical body 21 having a vertical opening. Single-layer portions 22a, 22b, and 22c are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22. The tomographic par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layer 22a and the upper layer 22c are inclined in one direction (having a slope), respectively,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jaw 22b is formed vertically, and has a shape of a roughly saw blade. In this embodiment, the monolayer has two layers (one tuck), but may have three layers (two tuck). On the other hand, a stopper 24 having ribs 24a and 24c and a hill 24b is provided radially inward with respect to the guide 22 at the lower end of the guide 22 (see FIG. 7).

도 4에서 보듯이, 인너 하우징(30)은 아우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며, 아우터 하우징 몸체(21)와 마찬가지로 몸체(31)가 상하가 개방된 원통형 구조를 갖는다. 인너 하우징 몸체(31)의 상단에는 둘레를 따라 자르는 톱니 형상의 톱니부(32)가 형성되며, 외면에는 가이드(22)와 동일한 개수(혹은 2배수도 가능하다)의 돌출부들(33)이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 돌출부들(33)은 상기 스토퍼(24: 도 8 참조)에 의해 걸림 고정(다만, 이 돌출부들이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의 홈부에 끼워지는 것은 아니다)되어, 인너 하우징(30)의 하방향 이동이 제한된다.As shown in FIG. 4, the inner housing 30 is installed inside the outer housing 20, and like the outer housing body 21, the body 31 has a cylindrical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The upper end of the inner housing body 31 is formed with a sawtooth-shaped teeth 32 cutting along the circumference, the outer surface is the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s 33 of the same number (or even double) as the guide 22 Formed along the direction. The protrusions 33 are locked by the stopper 24 (refer to FIG. 8) (but the protrusions are not fitted to the groove portion between the guide and the guide), so that the downward movement of the inner housing 30 is prevented. Limited.

도 5에서 보듯이, 로터(10)는 인너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되는 중공의 원통 형 몸체(13) 상부에 아우터 하우징(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가 마련되고, 커버(11)의 가장자리부 저면에는 복수 개의 라이더(14)가 돌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몸체(13) 상단부는 커버(11)의 지지를 위한 연결부(12)만을 남기고 모두 제거되어 남은 공간은 환기구(15)를 구성하게 된다. 한편, 라이더(14)는 하부의 끝날이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를 갖는 끌칼의 형상을 갖는다.As shown in FIG. 5, the rotor 10 is provided with a cover 11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20 on the hollow cylindrical body 13 installed inside the inner housing 30, and the cover 11.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por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riders 14 protrude. The upper part of the body 13 is removed while leaving only the connection part 12 for supporting the cover 11, and the remaining space constitutes the ventilation hole 15. On the other hand, the rider 14 has the shape of a chisel having a lower end edge in the radial direction.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벤트 장치의 주요 구성 요소간 결합 및 작동관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6 및 도 8 모두 벤트 장치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 즉, 인너 하우징(30)에 의해 로터(10)가 들려지고 있는 상태가 도시된 것이다.6 to 8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and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main components of the vent device. 6 and 8 illustrate a state in which the vent device is opened, that is, a state in which the rotor 10 is lifted by the inner housing 30.

라이더(14)는 아우터 하우징의 단층부와 인너 하우징의 톱니부(32) 양쪽에 걸쳐 얹혀져 있어, 인너 하우징(30)을 밀어 올리면 로터(10)가 상방향 들리게 되며(도 6 및 도 7 참조),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로터(10)의 환기구(15)를 통해 실내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벤트 장치 닫힘 상태에서 인너 하우징(30)은 돌출부(33)가 스토퍼(24)에 의해 지지 및 간섭되는데, 인너 하우징(30)이 상방향 밀어 올려져 돌출부(33)가 스토퍼(24)의 골부(24a,24c)로부터 벗어나면, 인너 하우징(30)은 아우터 하우징(20)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산부(24b)가 인너 하우징(30)이 스토퍼(24)에 의해 지지되는 저점으로부터 일정 높이(즉, 산부를 타고 넘어갈 수 있을 정도로 들려진 높이)까지 밀려 올라가기 전까지는 상하방향 이동만 가능하고, 회전 이동은 제한된다.The rider 14 is mounted on both the tomographic part of the outer housing and the teeth 32 of the inner housing so that the rotor 10 is lifted upward when the inner housing 30 is pushed up (see FIGS. 6 and 7). Accordingly, the outside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room through the vent hole 15 of the rotor 10. In the vent device closed state, the inner housing 30 supports and interferes with the protrusion 33 by the stopper 24. The inner housing 30 is pushed upward to raise the protrusion 33 so that the protrusions of the stopper 24 are exposed to each other. Departing from 24a and 24c, the inner housing 30 is rotatable in the outer housing 20. Only when the hill 24b is pushed up from the low point where the inner housing 30 is supported by the stopper 24 to the predetermined height (that is, the lifted height enough to ride over the hill), only the vertical movement is possible. Rotational movement is limited.

한편, 골부는 메인 골부(24a)와 서브 골부(24c)를 구비한다. 서브 골부(24c)가 메인 골부(24a)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된다. 메인 골부(24a)는 대략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의 홈부(23) 라인과 매칭되며, 서브 골부(24c)는 대략 단층부의 턱(22b) 라인과 매칭된다. 다만, 이들은 서로 완전히 매칭되는 것이 아니고, 약간 어긋나게 매칭된다. 도 8을 참조하면, 골부(24a,24c)가 홈부(23) 라인이나 턱(22b) 라인 보다 오른쪽으로 약간 어긋나 있다. 이러한 이유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한편, 산부(24b)의 모서리는 완만하게 혹은 경사지게 형성된다. 회전하면서 산부(24b) 위를 지나는 인너 하우징(30)의 돌출부(33)가 골부(24a,24c)에 원활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valley includes a main valley 24a and a sub valley 24c. The sub valley 24c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main valley 24a. The main valley 24a approximately matches the line of the groove 23 between the guide and the guide, and the sub valley 24c approximately matches the line of the jaw 22b of the tomography. However, these are not completely matched with each other, but are slightly mismatched. Referring to FIG. 8, the valleys 24a and 24c are slightly shifted to the right than the groove 23 line or the tuck 22b line. This reason is mentioned later. On the other hand, the edge of the peak 24b is formed to be gentle or inclined. This is to allow the protrusions 33 of the inner housing 30 to be smoothly seated on the valleys 24a and 24c while rotating.

도 9의 (a),(b),(c)에는 상기 로터(10)의 라이더(14), 아우터 하우징(20)의 단층부, 인너 하우징(30)의 톱니부(32)가 각각 상징 도형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상징 도형을 이용하여 버튼 타입 벤트 장치의 개폐 구조를 살펴본다.9A, 9B, and 9C, the rider 14 of the rotor 10, the tomography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20, and the tooth portion 32 of the inner housing 30 are symbolic figures, respectively. Expressed as The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the button-type vent device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ymbol figure.

먼저, 앞서 설명된 도면들과 함께, 도 10a 내지 도 10h를 참조하여 벤트 장치 열림 과정을 살펴본다.First, the vent device open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A to 10H.

도 10a는 벤트 장치 닫힘 상태의 도면이다. 라이더(14)는 제1가이드(22-1)와 제2가이드(22-2) 사이의 제1홈부(23-1)를 통해 톱니부(32)에 얹혀져 지지된다. 인너 하우징(30)은 돌출부(33)가 스토퍼(24)의 메인 골부(24a)에 안착되어 하방향 및 좌우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된다. 주목해야 할 것은, 라이더(14)의 선단은 톱니부(32)의 골부에 안착되는 것이 아니라 산부와 골부 사이의 슬로프에 놓여진다는 것이다. 단층부와 톱니부(32)가 약간씩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스토퍼(24)의 메인 골부(24a)와 홈부(23)가 서로 어긋나게 매칭되어 있기 때문이다.10A is a view of the vent device closed state. The rider 14 is supported on the toothed portion 32 through the first groove portion 23-1 between the first guide 22-1 and the second guide 22-2. The inner housing 30 has a protrusion 33 seated on the main valley portion 24a of the stopper 24 to restrict movem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tip of the rider 14 is not seated in the valleys of the teeth 32 but lies on the slope between the peaks and valleys. This is because the tomographic part and the toothed part 32 are slightly offset from each other, and the main valley portion 24a and the groove part 23 of the stopper 24 are matched with each other.

도 10a의 상태에서, 인너 하우징(30)을 밀어 올리면 톱니부(32)에 의해 지지 되는 라이더(14)가 서서히 상방향 이동(도 10b 참조)한다. 이때, 라이더(14)는 제1홈부(23-1)에 끼워져 있어 좌우 방향 움직임이 제한되며, 인너 하우징(30)은 메인 골부(24a)에 위치한 돌출부(33)가 산부(24b)에 간섭되어 있어 좌우 방향 움직임이 제한된다.In the state of FIG. 10A, when the inner housing 30 is pushed up, the rider 14 supported by the teeth 32 gradually moves upward (see FIG. 10B). At this time, since the rider 14 is fitted into the first groove 23-1, the horizontal movement of the rider 14 is limited, and the inner housing 30 has the protrusion 33 located at the main valley 24a interfering with the hill 24b. There is limited movement from side to side.

라이더(14)가 상방향 이동하여 제1홈부(23-1)로부터 빠져 나오게 되면(도 10b → 도 10c), 라이더(14)는 자중에 의해 톱니부(32)의 슬로프를 타고 우측 방향으로 이동(즉, 로터가 우측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얻게 됨)하면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골부 저점에 도달하면 라이더(14)는 톱니부(32)를 밀어 인너 하우징(30) 또한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낙하되도록 한다(도 10d 참조). 한편, 도 10c의 상태에서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타고 이동하여 인너 하우징(30)에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라이더(14)가 제1홈부(23-1)로부터 빠져나올 때까지는 톱니부(32), 즉 인너 하우징(30)의 회전이 제한되어야 하므로, 메인 골부(24a)의 깊이는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When the rider 14 moves upward and exits from the first groove 23-1 (FIG. 10B → FIG. 10C), the rider 14 moves on the slope of the teeth 32 by its own weight and moves to the right. (Ie, the rotor gains rotational force in the right direction) and falls. Then, when the rider 14 reaches the valley bottom of the teeth 32, the rider 14 pushes the teeth 32 so that the inner housing 30 also rotates in the right direction so as to fall down (see FIG. 10D). ).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ove the rider 14 on the slope of the teeth 32 in the state of Figure 10c to provide a rotational force to the inner housing 30, at least the rider 14 from the first groove (23-1) Until the exit of the tooth 32, that is, the rotation of the inner housing 30 should be limited, the depth of the main valley 24a should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is matter.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낙하하는 라이더(14)는 단층부의 하층(22a)에 안착(도 10e 참조)되어 하층(22a)의 슬로프를 따라 미끄러지며(도 10f 참조), 이후 단층부의 턱(22b)에 걸려 이동을 멈추게 된다. 한편, 라이더(14)가 하층(22a) 슬로프를 미끌어지는 동안, 라이더(14)는 톱니부(32)를 우측 방향으로 밀면서 끌고 가며(도 10e 내지 도 10g 참조), 라이더(14)가 턱(22b)에 걸려 이동을 멈춘 후에도, 인너 하우징(30)은 돌출부(33)가 스토퍼(24)에 의해 지지될 때까지 우측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낙하를 계속한다(도 10h 참조).The rider 14, which falls while rotating in the right direction, rests on the lower layer 22a of the tomography portion (see FIG. 10E), slides along the slope of the lower layer 22a (see FIG. 10F), and then to the jaw 22b of the tomography portion. It stops moving. On the other hand, while the rider 14 slides the slopes of the lower layer 22a, the rider 14 drags the teeth 32 while pushing the teeth in the right direction (see FIGS. 10E to 10G), and the rider 14 has a jaw ( Even after stopping by the movement 22b), the inner housing 30 continues to fall while rotating to the right until the projection 33 is supported by the stopper 24 (see FIG. 10H).

도 10h는 벤트 장치 열림 상태의 도면으로 돌출부(33)는 스토퍼(24)의 서브 골부(24c)에 안착되는데, 이때, 단층부와 톱니부(32)가 약간씩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스토퍼(24)의 서브 골부(24c)와 단층부의 턱(22b)이 약간씩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다. 그리고, 서브 골부(24c)가 메인 골부(24a)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인너 하우징(30)은 도 10a의 상태 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하게 된다. 푸시 버튼으로 생각하면, 버튼(인너 하우징에 해당)이 눌려져 있는 상태이다. 한편, 산부(24b) 모서리는 완만하게 혹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돌출부(33)가 골부(24a,24c) 안쪽으로 손쉽게 안착되도록 한다.10H is a view of the vent device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protrusions 33 are seated on the sub valleys 24c of the stopper 24, where the tomographic portions and the toothed portions 32 are slightly offset from each other, and correspondingly, The sub valley 24c of the stopper 24 and the jaw 22b of the tomographic portion are slightly shifted from each other. And since the sub valley part 24c is arrange | positioned in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main valley part 24a, the inner housing 30 will be located slightly upper than the state of FIG. 10A. Think of it as a push button, the button (corresponding to the inner housing) is pressed. On the other hand, the edge of the peak 24b is formed to be smooth or inclined, so that the protrusion 33 is easily seated into the valleys 24a and 24c.

도 11a 내지 도 11f를 참조하여 벤트 장치 닫힘 과정을 살펴본다.A vent device closing proces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1A through 11F.

도 11a는 벤트 장치 열림 상태의 도면(도 10h에 대응)이다. 인너 하우징(30)을 밀어 올리면 라이더(14)는 상방향 이동(도 11b 참조)하게 되는데, 이때, 라이더(14)의 선단은 톱니부(32)의 슬로프 상에 위치한다. 상방향 이동하는 라이더(14)가 턱(22b)을 벗어나게 되면,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타고 우측 방향으로 미끌어지면서 낙하(도 11c 참조)하며, 이후 상층(22c)의 슬로프를 타고 우측 방향으로 미끌어진다(도 11e 및 도 11f 참조). 이때, 라이더(14)는 톱니부(32)를 우측 방향으로 밀면서 끌고 간다(도 11d 내지 도 11e 참조).11A is a view of the vent device open state (corresponding to FIG. 10H). When the inner housing 30 is pushed up, the rider 14 moves upwardly (see FIG. 11B), wherein the tip of the rider 14 is located on the slope of the teeth 32. When the upwardly moving rider 14 leaves the jaw 22b, the rider 14 slides on the slope of the teeth 32 and slides in the right direction (see FIG. 11C), and then the upper layer 22c Slip along the slope to the right (see FIGS. 11E and 11F). At this time, the rider 14 pulls the teeth 32 while pushing the teeth 32 in the right direction (see FIGS. 11D to 11E).

도 11f(도 10a에 대응)에서 보듯이, 라이더(14)는 단층부의 상층(22c) 슬로프를 타고 미끌어진 후, 제2가이드(22-2)와 제3가이드(22-3) 사이의 제2홈부(23-2)를 따라 낙하한다. 즉, 로터(10)가 낙하하여 환기구(15)가 닫힌 벤트 장치 닫힘 상 태가 된다. 인너 하우징(30)의 돌출부(33)는 메인 골부(24a)에 안착된다.As shown in FIG. 11F (corresponding to FIG. 10A), the rider 14 slides along the upper layer 22c slope of the tomographic portion, and then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guide 22-2 and the third guide 22-3. 2 Fall along the groove 23-2. That is, the rotor 10 is dropped and the vent device 15 is closed, the vent device is closed. The protrusion 33 of the inner housing 30 rests on the main valley 24a.

한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인너 하우징의 돌출부는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의 홈부에 끼워질 수 있다. 이 경우, 인너 하우징은 가이드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만 할 뿐 회전되지 않으며, 로터만 회전하면서 벤트 장치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인너 하우징이 상하 방향 이동만 하므로, 가이드와 가이드 사이에서 돌출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마련되면 족할 뿐, 앞서의 실시예 처럼 메인 및 서브 골부가 필요하지 않다. 물론, 가이드나 스토퍼를 이용하는 대신 어떠한 방법에 의해서든, 인너 하우징이 아우터 하우징 내에서 상하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족하다. 다만, 이러한 실시예에 따른 벤트 장치는, 인너 하우징이 회전되지 않으므로, 단층부의 슬로프를 이동하는 라이더가 인너 하우징에 의해 간섭(도 10e 및 도 11d의 상황에서 간섭이 발생될 수 있음)되어 개폐 작동이 원활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프링을 이용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인너 하우징이 라이더 보다 빠르게 낙하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Meanwhile, as another embodiment, the protrusion of the inner housing may be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between the guide and the guide. In this case, the inner housing is not rotated only by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and only the rotor is rotated to open and close the vent device. In addition, since the inner housing only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 stopper for supporting the protrusion between the guide and the guide is sufficient, and the main and sub valleys are not required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Of course, instead of using a guide or a stopper, it is sufficient that the inner housing is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in the outer housing by any method. However, in the ve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inner housing is not rotated, the rider moving the slope of the tomographic part is interfered by the inner housing (interference may occur in the situations of FIGS. 10E and 11D), and thus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performed. This may not be smooth.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use the spring or otherwise to make the inner housing fall faster than the rider.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이 이해될 필요가 있다.Whil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may vary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 장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은 닫힘 상태, 도 2는 열림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1 and 2 are views showing a v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closed state, Figure 2 shows an open state,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아우터 하우징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the outer housing shown in FIGS. 1 and 2 separately;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인너 하우징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inner housing shown in FIGS. 1 and 2 separately;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로터를 별도로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the rotor shown in FIGS. 1 and 2 separately;

도 6은 도 2에서 A-A로 표시된 선을 따라서의 절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ndicated by A-A in FIG.

도 7은 도 2에서 가이드만을 남기고 아우터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outer housing is removed leaving only a guide in FIG. 2;

도 8은 도 6에서 인너 하우징과 로터를 제거하여 아우터 하우징 만을 별도로 나타낸 도면,FIG. 8 is a view illustrating only the outer housing by removing the inner housing and the rotor from FIG. 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벤트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들을 도형으로 상징화한 것으로, (a)는 로터의 라이더, (b)는 아우터 하우징의 단층부, (c)는 인너 하우징의 톱니부를 표현하며,9 is a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main components of the ven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is a rider of the rotor, (b) a single layer of the outer housing, (c) the teeth of the inner housing Express,

도 10a 내지 도 10h는 도 9에 도시된 상징 도형을 이용하여 벤트 장치가 닫힘 상태에서 열림 상태로 되기까지 주요 구성요소들 간의 작동관계를 표현한 도면,10A to 10H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using the symbol figure shown in FIG. 9;

도 11a 내지 도 11f는 도 9에 도시된 상징 도형을 이용하여 벤트 장치가 열림 상태에서 닫힘 상태로 되기까지의 주요 구성요소들 간의 작동관계를 표현한 도면이다.11A to 11F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operation relationship between main components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using the symbol figure shown in FIG. 9.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로터 11: 커버10: rotor 11: cover

14: 라이더 15: 환기구14: Rider 15: Vent

20: 아우터 하우징 22: 가이드20: outer housing 22: guide

22a: 하층 22b: 턱22a: lower layer 22b: jaw

22c: 상층 23: 홈부22c: upper layer 23: groove

24: 스토퍼 24a: 메인 골부24: stopper 24a: main valley

24b: 산부 24c: 서브 골부24b: obstetrics 24c: subgol

30: 인너 하우징 32: 톱니부30: inner housing 32: tooth part

33: 돌출부33: protrusion

Claims (6)

각 층이 일방향 슬로프를 갖는 단층부(22a,22b,22c)가 내측면에 소정간격으로 배치된 중공의 원통형 아우터 하우징(20);A hollow cylindrical outer housing 20 in which single-layer portions 22a, 22b, and 22c each layer has a one-way slope are dispos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an inner side thereof; 상기 아우터 하우징(20) 내부에 설치되며 상단에 둘레를 따라 톱니부(32)가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인너 하우징(30); 및A hollow cylindrical inner housing (30) installed inside the outer housing (20) and having teeth (32) formed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And 상기 인너 하우징(30) 내부에 설치되며, 환기구(15)가 마련된 몸체(13) 상부에 아우터 하우징(20)의 상부를 덮는 커버(11)가 마련되고, 커버(11)의 가장자리부 저면에는 복수 개의 라이더(14)가 돌출 형성된 중공의 원통형 로터(10);을 포함하며,The cover 11 is installed inside the inner housing 30 and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housing 20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dy 13 on which the ventilation hole 15 is provided, and a plurality of covers ar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of the cover 11. It includes; a hollow cylindrical rotor 10 protruding riders 14, 상기 라이더(14)는 단층부와 톱니부(32) 양쪽에 걸쳐 얹혀질 수 있도록 선단이 반경 방향으로의 길이를 가지며, 인너 하우징(30)에 의해 로터(10)가 상방향 밀어 올려진 상태에서 라이더(14)가 톱니부(32)의 슬로프를 미끌어지면서 회전하여 단층부 상에 놓여질 수 있도록, 단층부와 톱니부(32)는 서로 어긋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The rider 14 has a length in a radial direction so that the rider 14 can be mounted on both the tomographic part and the tooth part 32, and the rotor 10 is pushed upward by the inner housing 30. A button type vent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ault portion and the tooth portion 32 are arranged to be offse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rider 14 can slide and slide on the slope of the tooth portion 3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너 하우징(30)의 외면에 복수 개의 돌출부(33)가 형성되며, 아우터 하우징(20)의 내측면에는 적어도 단층부와 단층부 사이의 구간에서 돌출부(33)가 안착될 수 있는 스토퍼(2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protrusions 33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30,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housing 20, the protrusions 33 are to be seated in at least a section between the tomographic portion and the single layer portion. Button type v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24 is provided.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층부는 2개의 층(22a,22c)을 가지며, 상기 스토퍼(24)는 단층부와 단층부 사이의 구간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메인 골부(24a)와 단층부의 층과 층 사이의 턱(22b)에 대해 어긋나게 배치된 서브 골부(24c)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tomography portion has two layers (22a, 22c), the stopper 24 is between the layer and the layer of the main valley portion 24a and the tomography portion that is offset against the section between the tomography portion and the tomography portion. The button type venting device characterized by having the sub valley part 24c arrange |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jaw (22b) of thi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서브 골부(24c)는 메인 골부(24a) 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The vent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sub valley part (24c) is provid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main valley part (24a).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골부들 사이의 산부(24b)는 상단 모서리가 완만하거나 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4. The button type vent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peaks (24b) between the valleys are formed with a smooth or inclined top edg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층부는 상하 방향의 길이를 갖는 가이드(22)의 상단에 마련되며, 상기 인너 하우징(30)의 외면에는 가이드들 사이의 홈부(23)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돌출부(33)가 형성되며, 홈부(23) 하단 측에는 돌출부(33)의 지지를 위한 스토퍼(2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튼 타입의 벤트 장치.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tomography portion is provided on the upper end of the guide 22 having a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housing 30 a plurality of protrusions (33) to be fitted into the groove portion 23 between the guides Is formed, the button type v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pper 24 for supporting the protrusion 33 is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portion (23).
KR1020080061557A 2008-06-27 2008-06-27 Button type vent apparatus KR1009621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7A KR100962138B1 (en) 2008-06-27 2008-06-27 Button type ven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557A KR100962138B1 (en) 2008-06-27 2008-06-27 Button type vent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88A KR20100001588A (en) 2010-01-06
KR100962138B1 true KR100962138B1 (en) 2010-06-10

Family

ID=41811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557A KR100962138B1 (en) 2008-06-27 2008-06-27 Button type ven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2138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0695A (en) 1965-04-30 1965-11-30 Sterling Faucet Company Push-button drain valve
US7387290B2 (en) 2005-08-05 2008-06-17 Cheng-Chung Wang Self locking air nozz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20695A (en) 1965-04-30 1965-11-30 Sterling Faucet Company Push-button drain valve
US7387290B2 (en) 2005-08-05 2008-06-17 Cheng-Chung Wang Self locking air nozz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588A (en)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68665B2 (en) Folded tube supply cassette
JP6206200B2 (en) Storage cases such as seals
EP2826410A1 (en) Vacuum cleaner
JP6280086B2 (en) Movable handrail for stairs
KR101398127B1 (en) Automatically opening apparatus
KR100962138B1 (en) Button type vent apparatus
KR20190002649A (en) Sealing device for sliding doors
KR20150003844U (en) Container
CN109588973A (en) Outer pot and pressure cooker
WO2016090335A1 (en) Cassette for dispensing pleated tubing
CN103958805B (en) Fail-safe handle for flat contact type window
JP5098088B2 (en) Slide operation device
JP5295692B2 (en) Soundproof sash with automatic opening and closing
CN103938952B (en) Lid locking opening device and parcel tray
CN102894857A (en) Drive device of electric curtain
KR102320185B1 (en) Automatic wine opener
JP6007403B2 (en) Air vent
CN201927105U (en) Supporting device for opening money detectors
KR101237097B1 (en) a tray unlocking apparatus
CN105101933A (en) Strip grabber
JP6533674B2 (en) Operation code device
CN203766578U (en) Opening device for vehicle-mounted ashtray
CN217400674U (en)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opening and closing system
CN217396350U (en) Locking structure for lifting type cup stand
HU231326B1 (en) Drive force transmission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