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1247B1 -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 Google Patents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1247B1
KR100961247B1 KR1020100007554A KR20100007554A KR100961247B1 KR 100961247 B1 KR100961247 B1 KR 100961247B1 KR 1020100007554 A KR1020100007554 A KR 1020100007554A KR 20100007554 A KR20100007554 A KR 20100007554A KR 100961247 B1 KR100961247 B1 KR 100961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guardian
air passage
distance
gar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55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소정
Original Assignee
서소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소정 filed Critical 서소정
Priority to KR10201000075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124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1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124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8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 A63B71/081Body-protectors for players or sportsmen, i.e. body-protecting accessories affording protection of body parts against blows or collisions fluid-filled, e.g. air-fill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7Circuits therefor
    • G01R31/2608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bipolar transistors
    • G01R31/2616Circuits therefor for testing bipolar transistors for measuring noi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PURPOSE: A garment system for sensing crisis is provided, which can realize immediate and excellent state of crisis generation recognition function. CONSTITUTION: A garment system for sensing crisis comprises: an air passage(20) which is formed to one side of garment and physically expands the garment; an air injector(30) which automatically injects the air into the air passage; a communication module(50) including a space distance detection part sensing the separation distance of a protector and a person to be protected; and an air injection controller(100) injecting the air into the air passage.

Description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Garment System for Sensing Situation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본 발명은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보호자와 보호 대상자가 착용한 의복 내에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을 장착하고 통신 모듈에서의 거리 감지를 통해 일정 거리 이상 보호자와 보호 대상자가 떨어진 경우 의복에 형성된 공기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고 촉각을 통해 의복의 팽창 상태를 인지함으로써 복잡한 야외 환경에서도 쉽사리 보호 대상자가 이탈된 상태를 체득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 통로를 4 개의 방향으로 구획하여 보호 대상자가 이탈된 방향 측을 향한 공기 통로가 다른 공기 통로에 비하여 확장 팽창되도록 하여 보호 대상자가 위치한 방향까지 즉각적으로 알려주도록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mount a communication module that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a garment worn by a guardian and a guardian, and to separate a guardian and a guardian from a certain distance by detecting a distance from the communications module. In this case, by injecting air into the air passage formed in the garment and recognizing the state of expansion of the garment through the tactile sense, the subject is easily separated even in a complex outdoor environment, and the air passage is divided into four direction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in which an air passage directed toward the side of the separated side is expanded and expanded as compared to other air passages, so that the air passage is immediately notifi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protected person is located.

심신이 쇠약한 신체부자유자, 치매 노인 또는 아직 정서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어린아이는 보호자가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야 안전한 생활을 영위하게 될 가능성이 높다.Physically handicapped, demented elderly, or young children who have not yet developed emotionally are more likely to lead a safe life if their caregivers show constant interest.

특히, 치매 노인이나 어린이, 정식박약자의 경우 보호자와 야외로 나갔을 때 보호자에게 통보 없이 임의적으로 예상치 않은 경로로 이탈하는 경우가 많아 실종이 되거나 미아 발생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demented elderly, children, or those with formal weakness often go through the unexpected route without notice to the guardian when they go outside with the guardian, often missing or missing.

과학 기술, 특히 정보 통신이 발달된 현재에서도 미아, 실종자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해마다 그 건 수가 날로 증가하는 추세이다.Even in the days of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Mia and missing persons are constantly occurring, and the number of cases is increasing every year.

일반적으로 실종자가 발생하게 되는 이유를 고찰하면, 부모 등의 보호자와 어린아이 등의 보호대상자가 같이 있다가 보호대상자가 뛰어 노는 것을 방치하거나 인지하고 있지 못하다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 길을 잃은 보호대상자가 집을 찾지 못하거나 주소, 부모의 전화번호를 인지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경우 등이 있다 할 것이다.Considering the reasons for missing persons in general, if a guardian, such as a parent, and a child, such as a child, are present together and are left unattended or not aware of their playing, they are lost. May be caused by not being able to find a home or by not knowing the address or the parent's telephone number.

특히, 3 내지 7세의 어린아이 또는 자폐증 내지 정신박약자와 같은 지체부자유자는 걷거나 뛰어 놀 정도의 성장을 한 상태이고 자신이 관심이 있는 대상을 발견하였을 때 보호자의 존재를 망각하고 관심 대상에만 주의를 집중하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순간 보호자 역시 보호 대상자가 자신에게서 일정 거리 떨어져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할 때 급기야 길을 잃은 보호대상자가 미아 또는 실종 상태가 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children 3 to 7 years of age or people with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autism or mental retardation, have grown to walk or play, and when they find an object they are interested in, they forget the caregiver's presence and pay attention to only those interested. In many cases, the problem is that the caregiver gets lost or lost when he or she is not aware that the caregiver is a certain distance away.

따라서 보호자의 전화번호 및 집주소를 기억하도록 보호 대상자에게 사전적으로 위기상황 대처 내지 방지 교육을 수행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보호대상자가 보호자에게서 이탈하는 초기 상황에 즉각적으로 적절하게 대응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ducate the guardian in advance of the crisis situation or prevention prevention so that he / she remembers the guardian's telephone number and home address.However, it is important to immediately and appropriately respond to the initial situation in which the guardian leaves the guardian. something to do.

왜냐 하면 보호대상자가 이탈된 사실을 인지한 초기 시점 이후 경찰서 등에 안내되기 전까지 보호대상자가 차도를 걷거나 이동 중인 차량을 깨닫지 못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모르는 사람을 따라가는 등의 위험한 상황이 도래하게 될 개연성이 높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accidents such as following a person who is not aware of a vehicle walking or moving in a traffic accident and following a stranger until the time when they are informed of the departure. This is because there is a high probability.

현재 국내외 공개기술을 살펴보면,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 이격되었을 때 이러한 위기상황을 감지하거나 미아 방지를 위한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current public technology at home and abroad, it can be seen that a variety of technologies exist to detect such a crisis situation or to prevent the loss of children when the guardian and the subject ar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일 레로서, 보호 대상자에게 GPS 단말기를 소지하도록 하여 보호 대상자를 잃어버렸을 때 보호 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하는 제 1 기술, 블루투스 단말, RF 통신과 같은 근거리 통신 장치를 이용하여 보호자에게서 보호 대상자가 일정 거리 떨어졌을 때 시각적으로 램프를 발광하거나 청각적으로 경보음을 발생하는 제 2 기술, 어린이의 소지품에 어린아이의 기본 정보를 수록한 식별 인자를 부착하여 식별 인자의 인식 기능을 통해 어린아이의 집 주소 내지 전화번호를 파악하도록 하는 제 3 기술과 같은 것들이 존재하고 있다.For example, the protected person may have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uardian by using a short-range communication device such as a first technology, a Bluetooth terminal, or an RF communication that allows the protected person to carry a GPS terminal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protected person when the guardian is lost. A second technology that visually emits a lamp or generates an audible alarm when dropped, and attaches an identification factor containing basic information of the child to the belongings of the child, there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address of the child's home address or There are things like the third technique to try to identify a phone number.

그런데, 제 1 기술의 경우 GPS의 오차 범위가 10 내지 100m에 달하여 골목길 내지 사람이 많은 번잡한 장소에서는 디테일하게 보호 대상자를 찾기 힘들 뿐 아니라 보호대상자가 이탈한 당시의 초기 대응책을 적절히 제시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고, 제 2 기술의 경우 특히 놀이공원과 같이 시끄러운 장소나 대낮과 같은 시점의 경우 경보음을 듣지 못하거나 램프 발광 상태를 인지하지 못하여 보다 직접적이고 확실하게 보호자가 보호대상자가 이탈된 초기 상황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제 3 기술의 경우 역시 보호대상자가 이탈된 초기 상태에 향후 교통사고 등의 위험을 방지하고자 신속하게 보호자가 보호대상자를 찾는 등으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라 할 수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irst technology, the error range of GPS reaches 10 to 100m, so it is difficult to find the details of the target in detail in alleys or crowded places, and it cannot adequately present the initial countermeasures at the time of the departure of the subject. In the case of the second technology, especially in a noisy place such as an amusement park or at a time such as daylight, an early situation in which a guardian is departed due to a lack of audible alarm or a failure to recognize a lamp is emitted. The third technology also provides a way for the guardian to respond quickly by searching for the protected person in order to prevent the risk of future traffic accidents in the initial state of the protected person. It can be done.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의 산물인 지능형 의복, 즉 스마트 웨어(smart ware)는 일생생활에 필요한 각종 디지털 장치들을 의복 속에 통합시킨 차세대 의류로서, 신 섬유 기술과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의류 제품이다.Intelligent clothing, a product of the ubiquitous era, or smart ware, is a next-generation garment that integrates various digital devices necessary for life, and is a clothing product incorporating new textile technology and digital technology.

현재 새로운 기술을 시도한 기능성 의류에 대한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의복이 존재하고 있는바, 특히 차세대 전자통신 기술이 접목되어 단순히 신체를 보호하는 과거의 단순 용도에서 현재에는 생체리듬 분석, 원거리 통신, 특수 임무 수행 기능과 같은 다채로운 기능을 제시하고 있는 상태이다.As the demand for functional clothing that has tried new technology gradually increases, various kinds of functional clothing exist. Especially, in the past simple use of the next generation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to protect the body, biorhythm analysis It is presenting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telecommunications, telecommunications, and special mission functions.

이러한 점에 근거하여, 보호자가 보호대상자를 관찰할 때 보호 대상자가 일정 거리 이탈된 상태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의복의 필요성이 제시될 수 있는바 특히 GPS 단말이나 휴대폰과 같은 장치는 보호 대상자의 신체에서 쉽사리 이탈이 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의복의 경우 보호 대상자의 신체에 밀착되어 있어 의복에 보호 대상자의 이탈 방지 수단을 장착할 경우 분실의 소지 없이 보다 확실하게 주어진 기능을 수행할 것이 예측이 된다.Based on this, when the guardian observes the guardian, the necessity of clothing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detecting the guardian being deviated by a certain distance may be suggested, especially a device such as a GPS terminal or a mobile phone. Although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it can be easily detached from the subject's body, clothing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bject's body, so if the garment is equipped with a means for preventing the subject's departure, it is expected that it will perform the given function more reliably without loss. do.

국내 특허공보를 살펴보면, 특허출원 제 10-2003-0019361호, 제 10-2004-0036556호, 제 10-2006-0089152호와 같이 의복에 미아 방지 수단을 부착한 기술이 존재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domestic patent publications, it can be seen that there exist technologies such as patent applications No. 10-2003-0019361, 10-2004-0036556, and 10-2006-0089152, which are attached with anti-loan means to clothing. .

그런데 상기 3가지 기술 모두 의복의 라벨과 같은 특정 부위에 아이의 부모에 대한 전화번호, 주소와 같은 정보를 암호 처리한 식별코드를 부착하여 아이를 발견한 제 3자가 특정 기관에 배치된 식별코드 판독장치를 통해 부모의 주소, 전화번호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앞서 언급한 제 3기술과 같이 미아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발생된 미아를 찾아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근본적이고 신속한 미아 발생 방지 기능을 제시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따른다.However, all three of these technologies attach identification codes that encode information such as phone numbers and addresses of parents of children on specific parts such as clothing labels, and read identification codes assigned to specific organizations by third parties who find children. It is made to check the address and phone number information of the parents through the device, which does not provide a way to quickly cope with the early stage of the outbreak like the third technology mentioned above, it is to find the already lost child Because they are in charge of this, the limitation is that they cannot provide a more fundamental and rapid prevention of missing children.

따라서 보다 신속하게 보호 대상자가 보호자를 이탈한 위기상황 발생 초기 당시부터 보호자가 그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되, 주의를 갖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시각 및 청각보다 가장 직접적인 자극을 제공하는 촉각에 자극을 주는 방법을 제시하여 위기상황 발생 초기 상황 당시 신속하게 위기상황 발생 사실 및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보호대상자의 이탈 감지 및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를 개발할 필요성이 제시되는 실정이라 하겠다.
Therefore, it allows the guardian to recognize the fact more quickly from the early stage of the crisis when the guardian has left the guardian, but it stimulates the sense of touch that provides the most direct stimulus than sight and hearing in the absence of attention. To develop a clothing system for detecting crisis situations by providing a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new and advanced protection subjects' departures. The need is presented.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호자와 보호대상자의 의복에 상호 통신 가능한 통신모듈을 장착하고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졌을 때 상기 통신모듈에서 위기상황 발생 신호를 생성하도록 하되, 위기상황 발생 신호를 통해 의복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여 팽창된 공기 통로가 보호대상자 및 보호자의 신체 부위를 자연스럽게 압박하도록 함으로써, 시끄러운 거리 및 현란한 불빛, 태양광이 있는 장소에서도 시각, 청각적 자극 부여보다 즉각적이고 우수한 위기상황 발생 인지 기능을 보호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 의복을 개발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intercommunicating the garment of the guardian and the guardian, and when the guardian and the guardian have fallen more than a certain distance, the crisis signal generated in the communication module Air in the air passages installed in the garment through a crisis signal, allowing the expanded air passages to naturally press on the part of the person and the caregiver's body, causing noisy streets, flashing lights, and sunlight. The main objective is to develop clothing that will provide caregivers with immediate and superior cognitive functioning of crisis occurrences, rather than visual and auditory stimuli.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호대상자와 보호자가 떨어진 거리에 따라 공기 통로에 주입되는 공기 밀도를 차등 처리하여 공기 패널의 팽창 정도에 따라 보호대상자의 근접 정도를 보호자가 알기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differentially process the density of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or so that the guardian can easily understand the proximity of the protector according to the degree of expansion of the air pane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호자에게서 이탈한 보호대상자가 위치한 방향을 안내하기 위하여 공기 통로를 정면, 배면, 좌측, 우측 구역으로 독립 구획하고 각 구역마다 방향을 설정하여 보호 대상자의 방향에 대응 설정된 특정 구역에 속한 공기 통로에 공기를 더 많이 주입하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parately partition the air passage into the front, back, left, right zones and to set the direction for each zone to guide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to be protected from the protector is set to correspond to the direction of the subject To inject more air into the air passages in the area.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추운 겨울철에 길을 잃은 보호대상자에게 공기 통로에 주입된 공기가 보온 기능을 제공하여 보호 대상자의 추위에 떨게 될 문제를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to the protected subject lost in the cold winter season to provide a warming function to tremble in the cold of the protected subjec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은,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각각 착용하는 의복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의복의 일 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함으로써 의복의 물리적 팽창을 수행하도록 하는 공기 통로; 상기 공기 통로의 단부에 연결된 관통로를 매개로 상기 공기 통로에 자동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장치; 통신 기능을 구비하되, 보호자와 보호대상자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이격 거리 감지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된 이격 거리 정보에 의하여 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보호자로부터 이격되어 경보 거리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상기 공기 주입 장치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공기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공기 주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clothing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consists of a garment worn by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or, respectivel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garment, the physical expansion of the garment b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An air passage to perform; An air inj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injecting air into the air passage through a through passage connected to an end of the air passage;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eparation distanc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ed object; Air to inject air into the air passage by transmitting a drive signal to the air inject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son to be protected has reached an alarm distance by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or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dist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including an injection control unit.

또한, 상기 제어 모듈은, 주변 소음량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소음 측정 센서에서 입력된 소음 측정 수치에 따라 경보 거리를 자동적으로 차등 조절하는 자동 세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nois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mbient noise, and an automatic setting unit for automatically differentially adjusting an alarm distance according to the noise measuring value input from the noise measuring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더불어, 상기 제어 모듈은, 주변 소음량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소음 측정 센서에서 입력된 소음 측정 수치에 따라 경보 거리를 자동적으로 차등 조절하는 자동 세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further comprises a nois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mbient noise, the automatic setting unit for automatically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alarm distance according to the noise measurement value input from the noise measuring sensor; Characterized in that.

추가적으로, 상기 공기 통로는, 의복의 특정 방향에 따라 복수 개로 독립 구획되어 있되, 각각에 특정 방향이 세팅되어 있는 공기 통로 블록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신 모듈은, 보호자가 착용한 의복에 보호대상자의 이격 방향을 감지하여 전달하는 이격 방향 감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격 방향 감지부에서 전달받은 보호대상자의 이격 방향에 해당하는 것으로 세팅되어 있는 특정 공기 통로 블록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이격 방향 안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ir passage is formed in an air passage block having a plurality of independent compartments according to a specific direction of the garment, each of which is set in a specific direc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the clothing worn by the guardian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paration direction sens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and transmit a separation direction, wherein the control module is configured to inject air into a specific air passage block set to correspond to the separation direction of the protected person received from the separation direction sensing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clothing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보호자에서 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때 공기 통로의 팽창에 의한 촉각 자극에 의하여 그 위기상황 발생 사실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시각 및 청각에 비하여 확실하고 즉각적으로 보호대상자의 이격 상황을 경보할 수 있도록 하고,1) When the target person is separated from the guardian by a tactile stimulus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air passage, the guardian can quickly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occurrence of the crisis. To alert you to the situation,

2) 시끄러운 장소에서는 소음량에 따라 보호대상자와 이격되어 있을 때 공기 통로를 팽창시키는 경보 거리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2) In noisy places, it can automatically adjust the alarm distance to inflate the air passages when it is spaced from the person to be protected according to the noise level.

3) 보호 대상자와 이격된 거리의 원근 수치에 따라 공기 통로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차등 조절할 수가 있을 뿐 아니라,3)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can be differential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value of the distance away from the person being protected.

4) GPS와의 연동을 통해 보호 대상자의 위치 및 방향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4) By linking with GPS, you can visually display the location and direction of the person being protected.

5) 공기 통로를 의복에서 특정 방향을 갖는 것으로 세팅하여 복수 개로 구획한 다음, 보호 대상자의 이격 방향에 따라 해당 방향에 속한 특정 공기 통로 부위에 공기를 주입하여 보호자가 보호 대상자의 이격 방향을 신속하게 파악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5) The air passage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ieces by setting the air passage as having a specific direction on the garment, and the guardian promptly moves the space of the subject to be protected by injecting air into a specific air passage part belonging to the corresponding direction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the protection target. It has the effect of grasp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통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대한 기본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통로 블록이 의복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투시 사시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principle of a garment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rment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n air passage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 chart showing the basic process for the crisis detection gar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assag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garment illustrative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of the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원리를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chematic principle of a garment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시스템은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가 각각 착용하는 것으로서 보호자에서 보호 대상자가 특정 거리 이상 이격되어 있을 때 이를 위기상황으로 인식하여 보호자 및 보호 대상자가 착용한 의복(10)에 형성된 공기 통로(20)에 자동적으로 공기를 주입하여 촉각 자극에 의하여 위기상황을 보호자(보호 대상자도 포함)가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다.As can be seen from Figure 1, the clot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worn by the guardian and the protector, respectively, when the guardian is spaced over a certain distance from the guardian recognizes this as a crisis situation and the clothing worn by the guardian and the guardian The air is automatically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20 formed in the 10 so that the guardian (including the person to be protected) detects a crisis situation by tactile stimulation.

본 발명에서 보호자는 보호대상자를 감시, 관찰하는 사람을 의미하고 보호 대상자는 보호자로부터 관찰을 받는 사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보호자는 예를 들어 간호사, 간호조무사, 부모, 간병인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보호 대상자는 치매 노인, 어린아이, 신체는 정상적이나 지능이 발달하지 못한 자폐증/정신지체자 등의 지체부자유자 등이 있을 수가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guardian means a person who monitors and observes a guardian, and a guardian means a person who is observed by a guardian, for example, a guardian may be divided into a nurse, a nurse assistant, a parent, a caregiver, and the like. The subjects of protection may include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young children, and people with physical retardation, such as autism / mental retardation, in which the body is normal but does not develop intelligence.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garment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시스템은 보호자 및 아이가 동시에 착용하여 통신 모듈(50)에 의하여 상호 통신이 가능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 공기 통로(20), 공기 주입 장치(30), 통신 모듈(50), 제어 모듈(100)을 구비하고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ure 2, the cloth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guardian and the child is worn at the same time ca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y the communication module 50, basically the air passage 20, air injection device 30, The communication module 50 and the control module 100 are provid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의복에 어어 터널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n air tunnel is formed in the gar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공기 통로(20)는 의복(10)의 특정 소재, 즉 내피 또는 외피(물론, 내외피의 구분 없이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 경우라도 상관이 없다)의 고른 면적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제 1 원단(21)과 제 2 원단(22) 사이에서 특정 형상(구형 내지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 스페이스를 의미하는 것이다. The air passage 20 is formed over an even area of a specific material of the garment 10, that is, an inner skin or an outer skin (or, of course, a single material without any distinction between the inner and outer skins), and the first fabric 21 ) Means a space formed to have a specific shape (a shape such as spherical to elliptical) between the second fabric 22 and the second fabric 22.

도 3에서는 공기 통로(20)가 의복(10)의 내피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피, 단일 소재 등의 다양한 의복(10) 구성 내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In FIG. 3, the air passage 20 is formed on the inner skin of the garment 10. However, the air passage 2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garment 10 configurations such as an outer shell and a single material.

여기서 제 1 원단(21)과 제 2 원단(22)은 공지되어 있는 웰딩 필름을 매개로 접합을 할 수가 있다.Here, the first fabric 21 and the second fabric 22 can be bonded through a known welding film.

더불어 제 1 원단(21)과 제 2 원단(22)은 멀티 레이어로 라미네이팅(laminating) 처리되거나 방수 처리되는 것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서의 제 1,2 원단(21,22)의 재질 또는 제 1,2 원단(21,22)의 접합 기술은 특정한 프로세스에 국한되지 않고 의복(10)의 용도 별, 기능별로 다양한 공정과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fabric 21 and the second fabric 22 may be laminated or waterproofed in a multi-layered material, or the material of the first and second fabrics 21 and 22 or the first fabri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technology of the two fabrics 21 and 22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rocess, and various processes and materials may be used for each purpose and function of the garment 10.

공기 통로(20)는 의복 착용자(보호자, 보호대상자 모두 포함)에게 촉각적으로 공기 통로(20)가 팽창되었다는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나, 그렇다고 구명용 조끼와 같이 과장되게 팽창되어 오히려 착용감을 저해할 필요까지는 없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 직경을 가졌을 때 과장되게 부풀어 오르지 않을 정도의 일정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바, 도 3에 도시된 정도 수준으로 공기 통로(20)가 팽창되어도 착용 부위 전반에 대해 사용자가 공기 통로(20)의 팽창 상태를 인지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할 수 있고, 더불어 특정 패턴 처리가 되어 촉각 인지 기능 이외에 보온 기능으로서도 충실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후술할 공기 주입 장치(30)와 하나의 관통로(40)를 매개로 연결이 되도록 하여 장치의 간소화를 추구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The air passage 20 mainly aims to make the wearer (including both a protector and a protector) tactilely aware of the state in which the air passage 20 has been inflated. It is not necessary to impair the fit and is formed to have a constant diameter so as not to exaggerate when the maximum diameter as shown in Figure 3, the air passage 20 to the level shown in Figure 3 Even if it is expanded, it may be sufficient for the user to recognize the expansion state of the air passage 20 over the entire wearing portion, and in addition, a specific pattern treatment may be performed to perform a faithful purpose as a warming function in addition to the tactile perception function. At the same time, the air injection device 30 to be described later and one through-path 40 to be connected through the simplification of the device further It is made to be possible.

본 발명에서의 공기 통로(20)는 보호자 내지 보호대상자에게 촉각에 의하여 위기상황이 발생하였음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공기 주입으로 인한 공기 통로(20)의 팽창에 의하여 사용자가 착용한 신체 부위 전반에 걸쳐 일정 수준의 압박을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시각적, 청각적 인지력이 떨어지는 시끄럽고 밝은 곳에서도 즉각적으로 의복 내 공기 통로(20)가 팽창하였다는 사실을 쉽사리 촉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air passage 20 i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for the guardian or the target person to recognize that a crisis situation has occurred by the touch, that is, the user by the expansion of the air passage 20 due to the air injection By applying a certain level of pressure throughout the worn body part, it is possible to easily tactilely recognize that the air passage 20 in the garment immediately expands in a bright and bright place where visual and auditory cognition is poor. Provide the function.

물론 공기 통로(20) 내의 공기는 촉각 인지 기능 이외에 보온 기능, 충격 보호 기능, 수면 부상 기능(즉, 수면 위로 떠올라 물에 빠진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구조 기능)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특히 잦은 외부 충격을 받는 행위를 수행하는 의복 착용자를 보호하기 위한 충격 완화 내지 흡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우선적으로 한다. 하지만, 특히 추운 겨울철에 보호대상자가 보호자를 잃어버리게 되었을 경우에는 촉각 인지 기능은 물론 충실한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즉, 공기의 온기 함유력에 의하여 외부의 찬 공기가 쉽사리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미치지 못하도록 보온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는 것이다.Of course, the air in the air passage 20 may provide a thermal insulation function, a shock protection function, and a surface injury function (that is, a rescue function to rescue a person drowning on the water) in addition to the tactile perception function, but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riority to provide a shock mitigation or absorption function to protect a garment wearer performing an external shock action. However, especially in the case of a cold winter, when the target person loses the guardian, the tactile cognitive function and the faithful warming function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warmth content of the air may perform a warm function so that external cold air does not easily reach the skin of the user.

또한, 공기 통로(20)가 내피에 형성되어 있을 때 이를 '공기 통로 패널'이라 명명할 수 있는데, 공기 통로 패널은 외피 내에 탈부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외피의 일 측에 지퍼 등에 의하여 개폐가 가능한 개폐부를 형성하고 이러한 개폐부를 개방한 다음 외피 내 공간에 공기 통로 패널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when the air passage 20 is formed in the endothelium, it may be referred to as an 'air passage panel', and the air passage panel may be detachably mounted in the outer shell. In other words,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zipper or the like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shel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opened so that the air passage panel can be moun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shell.

이 때, 외피 내 공간에는 공기 통로 패널을 고정할 수 있도록 특정 모서리 부위에 고리를 형성할 수가 있고 이에 상응하여 공기 통로 패널의 모서리 부위에도 스트링을 마련하여 고리에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In this case, a loop may be formed at a specific corner portion in order to fix the air passage panel in the inner space, and a string may also be provided at the corner portion of the air passage panel so as to be easily fastened to the loop.

이는 여러 종류의 의복에서 공기 통로(20)가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하여 궁극적으로 의복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으로서, 특정 의복(10)에서만 공기 통로(20)가 장착되어 있게 될 경우 위기상황 감지 기능을 할 수 있는 의복(10)의 개수가 극히 제한되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모든 의복에 위기상황 감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단을 장착하지 않는 이상 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allow the air passage 20 to be more easily and conveniently mounted in various kinds of garments and ultimately maximize the utility of the garment, so that the air passage 20 is mounted only in the specific garment 10. Since the number of garments 10 that can perform a crisis detection function is extremely limited, it is practical to solve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function properly unless all the clothes are equipped with a means for performing the crisis detection function. will be.

또한 도면에서는 점퍼 형태의 의복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이용되는 의복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의, 여름에 착용하는 얇은 옷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공기 통로의 사이즈를 줄이되 의복 착용자가 공기 통로가 부푼 상태를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공기 통로에 주입되는 공기 밀도를 증가하도록 한다.
In addition, although jumper-type gar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garments used in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thin clothes worn at the bottom and summer. Increase the density of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s so that the passages are easily noticed.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 장치(30)는 공기 통로(20)과 연결되어 있는 관통로(40)를 매개로 공기 통로(20)에 자동으로 공기를 주입(또는 배출 기능을 병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후술할 제어 모듈(100)의 구동 신호에 의하여 구동이 되며 장치의 내구성 보장을 위하여 의복(10)의 일 측에 방수 처리가 되어 있는 상태로 장착되도록 한다. The air injection devic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automatically inject air (or in parallel with the discharge function) to the air passage 20 via the through passage 40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20. As it provides, it is driven by the drive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o be mounted in a state that is waterproofed on one side of the garment 10 to ensure the durability of the device.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기 주입 장치(30)는 자동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것은 기본으로 하는바, 예를 들어 압축 공기의 순간 팽창에 의한 1회용 순간 공기 주입 장치, 외기와 유통하여 외기의 공기를 임시 저장하여 펌프 작용에 의하여 자동으로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장치 등의 다양한 종류가 이용될 수 있겠으나, 하기에서는 예시적으로 펌프 구동 방식에 의하여 구현되는 공기 주입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Air injection device 30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automatic control is based on, for example, disposable instant air injection device by the momentary expansion of the compressed air, the outside air in circulation with the outside air Various kinds of apparatuses, such as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by a pump action by temporarily storing the pump, may be used. Hereinafter, an air injector implemented by a pump driving method will be described.

다만, 하기에서 설명되는 공기 주입 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기본적인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현재 공지되어 있는 다양한 자동 공기 주입 장치가 이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owever, the basic id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ir injecting apparatus described below, and various known automatic air injecting apparatuses may be used.

구체적으로, 공기 주입 장치(30)는 구동부(31), 컨트롤부(32), 전원 공급부(33)를 구비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air injection device 30 includes a drive unit 31, a control unit 32, and a power supply unit 33.

구동부(31)는 구동 모터의 구동으로 공기 펌프를 작동하여 용적변화에 따른 압력 발생을 유도함으로써 대기 중 공기가 압축 상태로 공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저장된 압축 공기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거쳐 배출구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관통로(40)로 배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이러한 공기 펌프는 구동 모터의 역 방향(reverse) 구동 방식에 의하여 공기 흡입기로서의 기능을 겸비하여 상기 공기 주입 방식과 반대의 프로세스로서 공기 통로(20)에 주입되어 있는 공기를 배출하도록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The driving unit 31 operates the air pump by driving the driving motor to induce pressure generation according to the volume change, thereby storing the air in the compressed state in the air storage unit, and the stored compressed air controls the flow of the solenoid valve. The air pump discharges the compressed air to the through passage 40 through the discharge port, and the air pump has a function as an air inhaler by a reverse driving method of the drive motor, opposite to the air injection method. It also performs a function to discharge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20 as a process of.

이러한 공기 펌프는 신속한 공기 주입 능력이 일정 수준으로 보장되어야 하는바, 구명용 조끼에 적용된 펌프까지는 아니라도 공기 주입 속도를 일정 수준 이상 보장함으로써 의복 착용자가 쉽사리 공기 통로가 부푼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se air pumps require a certain level of rapid air injection capability, which ensures that the air intake rate is above a certain level, not even the pump applied to the life jacket, so that the wearer can easily detect the bulging of the air passages. .

컨트롤부(32)는 제어 모듈(100)의 제어 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부(31)를 제어하는 역할은 물론 후술할 제어 모듈(100)의 별도 제어 신호에 의하여 구동 모터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공기 통로(20)에 주입되는 공기 밀도 내지 공기량을 컨트롤하도록 한다. The control unit 32 serves to control the driving unit 31 according to the input of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100 as well as by adjusting the rotational amount of the drive motor by a separat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100 to be described later. To control the density of the air injected to the passage 20 to the amount of air.

전원 공급부(33)는 배터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고, 교체 및 충전이 가능한 방식을 취하고 있다.
The power supply 33 is more preferably made of a battery, and takes the form of replacement and charging.

본 발명에 따른 통신모듈(50)은 보호자가 착용한 의복(10)과 보호대상자가 착용한 의복(10) 사이에서 상호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통신 모듈(50)은 근거리 통신을 제공할 수 있는 RF 단말기, 블루투스 통신기와 같은 것이 사용될 수도 있으나 원거리 통신을 보장하여 행여 보호대상자가 보호자와 멀리 떨어지게 되더라도 원활한 상호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차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The communication module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erform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clothing 10 worn by the guardian and the clothing 10 worn by the protector, and the communication module 50 may provide short-range communication. It may be used such as an RF terminal, a Bluetooth communicator can be used, but it would be more desirable in terms of ensuring a long distance communication so that even if the protected person is away from the guardian to perform a smooth mutual communication function.

더불어, 보호자와 보호대상자의 1:1 다이렉트 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별도의 기지국을 이용하여 통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be based on 1: 1 direct communication between the guardian and the subject of protection, or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using a separate base station.

구체적으로, 통신모듈(50)은 이격거리 감지부(51) 및 이격 방향 감지부(52)를 포함하고 있다.Specifically, the communication module 50 includes a separation distance detecting unit 51 and a separation direction detecting unit 52.

이격거리 감지부(51)는 보호자와 보호대상자 사이의 이격거리를 체크하는 것으로, 1:1 다이렉트 통신 신호의 세기 내지 후술할 GPS 모듈(55)과의 연동 관계 또는 특정 기지국에서 전달되는 신호의 세기(감도)에 의하여 거리 측정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The separation distance detecting unit 51 check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otector and the person to be protected, and the strength of the signal transmitted from a specific base station or the interworking relationship with the GPS module 55 to be described later or the strength of the 1: 1 direct communication signal. It is possible to measure distance by (sensitivity).

이격 방향 감지부(55)는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을 때 보호자를 기준으로 보호대상자가 이격되어 있는 방향을 신호 방향을 감지하여 자체 판단하거나 아니면 후술할 GPS 모듈(55)과 연동하여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paration direction detecting unit 55 detect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ject is separated based on the guardian when the guardian and the subject are separated by a certain distance, and detects the signal direction or interlocks with the GPS module 55 to be described later. Detect.

이격 방향 감지부(52)는 동서남북(또는 전후좌우)에 대한 기본 4 방향은 물론, 8방향, 12 방향 등으로 기본적인 방향 안내는 물론 보다 디테일한 방향 안내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The separation direction detection unit 52 has a function of selectively performing basic direction guidance as well as more detailed direction guidance function in 8 directions, 12 directions, etc. as well as basic 4 directions for east, west, north and south (or front, rear, left and right). It is also possible.

본 발명에 따른 GPS 모듈(55)은 특히 보호자에게 보호대상자의 현재 위치 및 이격 방향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공지된 바와 같이 GPS 위성과 연동되어 보호자 및 보호대상자를 링크 처리한 다음 보호자를 기준으로 보호대상자가 떨어진 거리는 물론 방향을 안내할 수 있는 기능을 수반하도록 하며, 상기 통신모듈(50)과 연계되어 통신모듈(50)의 기능을 보조하는데 활용되도록 한다.
In particular, the GPS module 55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a function of guiding a guardian's current location and a direction of separation to the guardian. As is well known, the GPS module 55 links the guardian and the guardian by interworking with a GPS satellite. As a reference, the protected subject is accompanied by a function of guiding a direction as well as a distance away, and is used to assist the function of the communication module 50 in connection with the communication module 50.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의복 시스템의 기본적 동작 원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4 is a flow chart schematically showing the bas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gar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모듈(100)은 상기 통신모듈(50)에 의하여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특정 거리 이상으로 떨어진 상태를 감지한 경우 공기 주입 장치(30)를 구동시켜 공기 통로(20)에 공기를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110), 조작부(120), 거리 세팅부(130), 공기 주입 제어부(140)를 구비하고 있으며, 추가적으로는 진동 발생부(150), 공기 밀도 증감 처리부(160), 위치 디스플레이부(170), 이격 방향 안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modu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or are separated by a specific distance or more by the communication module 50, the control module 100 drives the air injection device 30 to supply air to the air passage 20. As a function of injecting, the display panel 110, the operation unit 120, the distance setting unit 130, and the air injection control unit 140 are provided, and in addition, 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50 and the air density are provided. It may include a sensitization processing unit 160, a position display unit 170, the separation direction guide unit 180.

우선, 제어 모듈(100)은 외부로 노출된 의복(10)의 일 측에 디스플레이 패널(110) 및 조작부(120)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First, the control module 100 may include a display panel 110 and an operation unit 120 on one side of the garment 10 exposed to the outside.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특히 보호자의 의복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서, 위치 디스플레이부(170)의 기능에 의하여 상기 GPS 모듈(55)로부터 수신한 보호대상자의 위치정보를 지도와 매핑(mapping)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display panel 110 is particularly preferably mounted on the guardian's clothing. The display panel 110 map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received from the GPS module 55 by a function of the location display unit 170 to map it. Perform a visual display function.

또한 조작부(120) 역시 보호자의 의복(10)에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바, 특정 개수의 키(key)를 구비하여 후술할 수동 세팅수단(131)에 의하여 사용자가 요망하는 특정 거리 설정에 의하여 공기 주입 장치(30)의 구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소 이격 거리를 입력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ration unit 120 is also mounted on the garment 10 of the protector, and includes a specific number of keys, and the air is set by the user by a specific distance setting desired by the manual setting means 13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t is possible to input a minimum separation distance that allows the injection device 30 to be driven.

거리 세팅부(130)는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이격되어 있을 때 공기 주입 장치(30)를 구동하기 위한 최소 거리, 즉 일명 '경보 거리'를 설정하도록 하는 것으로, 다시 말해 거리 세팅부(130)에서 설정된 경보 거리 이상으로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이격되어 있음을 상기 통신모듈(50)에서 감지하였을 때 공기 주입 장치(30)의 구동이 시작되어 공기 통로(20)를 팽창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distance setting unit 130 is to set the minimum distance for driving the air injection device 30, that is, 'alarm distance' when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or is spaced apart, that is, in the distance setting unit 130 When the communication module 50 detects that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or are separated from the set alarm distance, the driving of the air injection device 30 is started to expand the air passage 20.

상기 거리 세팅부(130)는 크게 수동 세팅 수단(131)과 자동 세팅 수단(132)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distance setting unit 130 is largely composed of a manual setting means 131 and an automatic setting means 132.

수동 세팅 수단(131)은 보호자가 직접 상기 조작부(120)를 통해 자신이 요망하는 경보 거리를 입력하여 저장 처리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호대상자의 위치 특성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보호자의 경험칙에 의존하여 보호자가 직접 경보 거리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성을 제공한다.The manual setting means 131 provides a function of allowing a guardian to directly input and store an alarm distance desired by the guardian through the operation unit 120. The rule of thumb of a guardian who knows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guardian better than anyone else. Reliability provides the convenience of allowing the guardian to set the alarm distance directly.

자동 세팅 수단(132)은 외부 환경에 따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지표에 의하여 경보 거리를 자동으로 설정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외부 환경의 변이를 판단하는 파라미터를 '소음'으로 설정하고 있다.The automatic setting means 132 automatically sets the alarm distance according to an indicator set in advance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ameter for determining the variation of the external environment is set to 'noise'.

즉, 시끄럽거나 북적거리는 장소(예를 들어, 교통수단 정거장, 놀이공원 등)에서는 특히나 보호대상자가 조금만 떨어져도 그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는 전제 조건을 설정하고 소음이 크고 작은 경우에 따라서 경보 거리를 조절하도록 한다.That is, in noisy or bustling places (e.g. transportation stops, amusement parks, etc.), the precondition is tha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target even if the protection person is a little away. Do it.

이를 위해, 자동 세팅수단(132)은 소음 측정 센서(135)를 구비하고 있으며 소음 측정 센서(135)에서 측정된 소음량에 따라 경보 거리를 좁거나 아니면 길게 자동으로 세팅 처리할 수가 있다. 세팅 방식은 연구 결과에 따라 복잡한 장소에서 발생하는 소음량에 따라서 보호자가 주의력을 잃게 된다는 실험 결과를 기준으로 하여 책정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o this end, the automatic setting means 132 is provided with a noise measuring sensor 135 and can automatically process the setting of the alarm distance narrow or long depending on the amount of noise measured by the noise measuring sensor 135. The setting method should be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 that the guardian loses attention according to the amount of noise generated in the complicated place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공기 주입 제어부(140)는 상기 통신 모듈(50)에서 감지한 이격거리가 경보 거리에 이르렀을 경우 상기 공기 주입 장치(30)를 구동하여 공기 통로(20)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공기 통로(20)를 일정 수준으로 팽창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보호자는 물론 보호대상자의 공기 통로(20)를 동시에 팽창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When the separation distance detected by the communication module 50 reaches the alarm distance, the air injection control unit 140 injects air into the air passage 20 by driving the air injection device 30 to thereby supply the air passage 20. It expands to a certain level.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set to expand the air passage 20 of the protector as well as the protector at the same time.

이러한 기능에 의하여 보호자는 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 자신과 떨어지게 될 때 이를 의식하지 못한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자신이 착용한 의복에서의 공기 통로(20)가 팽창됨으로 인하여 신체의 압박을 받도록 함으로 즉각적으로 촉각 인지에 의하여 보호대상자를 찾을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할 수가 있다.
By this function, the guardian is immediately aware of tactile sensation by causing the body to be pressurized by the expansion of the air passage 20 in the clothing worn by the guardian immediately in a situation where the guardian is not aware of the distance from the guardian. It can provide a property that enables the search for a protected person.

진동 발생부(150)는 공기 주입 장치(30)가 공기 배출 기능까지 수행하고 있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50)에서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경보 거리에 이를 정도로 이격된 경우를 감지하였을 때 일정 주기에 따라 상기 공기 주입 장치(30)가 공기를 주입하고 배출하는 구동을 반복하도록 하여 마치 공기 통로(20)에서 진동이 발생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When the air injector 30 performs the air discharge function, the vibration generator 150 detects a case in which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or are spaced apart to reach an alarm distance in the communication module 50 at a predetermined period. Accordingly, the air injection device 30 repeats the driving of injecting and discharging air to provide an effect as if vibration is generated in the air passage 20.

이러한 진동 발생부(150)는 공기 통로(20)의 진동에 의하여 보다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보호자의 촉각을 자극하도록 하여 보호대상자가 경보 거리에 이를 정도로 떨어져 있음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vibration generating unit 150 serves to prompt the guardian's tactile sense more promptly and directly by the vibration of the air passage 20 so as to recognize that the subject is far enough to reach the alarm distance.

공기 밀도 증감 처리부(160)는 상기 통신모듈(50)의 이격 거리감지부(51)와 연동이 되어 경보 거리보다 보호대상자가 멀어지게 되는 경우 멀어지는 거리 수치에 따라 공기 통로(20)에 주입되는 공기 밀도를 증가하고 반대로 보호대상자가 보호자에게서 가까워질수록 공기 통로(20)에 주입되는 공기 밀도를 감소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The air density increase / decrease processing unit 160 is interlocked with the distance detecting unit 51 of the communication module 50 so that the air density is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20 according to the distance value when the protection target is farther away than the alarm distance. And increase and decrease the density of the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20 as the subject gets closer to the guardian.

이러한 공기 밀도 증감 처리부(160)에 의하면, 경보 거리 이후 보호대상자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지 아니면 가까워지고 있는지 여부를 보호자의 신체에 제공하는 촉각의 변화에 따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호대상자가 가까워지고 있을 경우에는 보호자의 심리적 안정을 찾도록 하거나 보호대상자가 계속 멀어지게 되는 경우에는 보다 신속하게 후속 대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air density increase and decrease processing unit 160, whether the subject is moving in a direction away from or after the alarm distance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sense of touch provided to the body of the guardian, the subject is getting closer. In some cases, it may be necessary to fin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the guardian or to follow up more quickly in the event that the guardian continues to move away.

위치 디스플레이부(170)는 상기 GPS 모듈(55)과 연동하여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보호자의 의복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The position display unit 170 is linked with the GPS module 55 to display the posi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on the display panel 110 mounted on the garment of the protector.

이로 인하여, 보다 정확하게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하여 시행착오 없이 보호대상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찾을 수 있도록 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가 있다.
As a result, the guardian can more accurately track the location of the guardian, thereby providing a basis for quickly finding the guardian's location without trial and error.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통로 블록이 의복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투시 사시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ir passage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garment as an example.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 통로(20)가 하나의 내피 또는 외피에서 하나의 패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5의 변형된 실시예를 보아 알 수 있듯이 공기 통로(20)가 복수 개로 구획되어 독립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air passages 20 are formed in one pattern in one endothelial or outer shell, but as can be seen from the modified embodiment of FIG. 5, the air passages 20 are divided into a plurality. It can also be set independently.

즉, 공기 통로(20)는 의복(10)의 고른 면적에 걸쳐 형성되어 있되 의복(10)을 특정 면적으로 구획한 복수 개의 구역(area) 내에 형성이 되어 있고, 이와 같이 특정 면적을 가진 의복(10)의 독립 구역 내에 공기 통로(20)가 형성되어 있는 구조를 공기 통로 블록(air path block)(25)이라 명명한다.That is, the air passage 20 is formed in a plurality of areas that are formed over an even area of the garment 10, and the garment 10 is partitioned into a specific area. The structure in which the air passage 20 is formed in the independent zone of 10 is called an air path block 25.

공기 통로 블록(25)은 예를 들어 의복(10)의 전체 구역에서 왼쪽 어깨 구역, 오른쪽 어깨 구역, 전면 몸통 구역, 후면 몸통 구역과 같이 구획 처리한 다음 각 구역이 4개 방향(전후좌우)을 표시하도록 세팅 처리하고 이와 같이 구획 처리(grouping)되어 있는 복수 개의 구역에 특정한 형상으로 패터닝(patterning)되어 있는 공기 통로(20)를 형성한 것이다. The air passage block 25 is partitioned, for example, in the entire section of the garment 10, such as the left shoulder section, the right shoulder section, the front torso section, and the rear torso section, and each section has four directions (front, rear, left and right). The air passage 20 patterned in a specific shape is formed in a plurality of zones which are set to be displayed and grouped in this manner.

이 경우, 공기 주입 장치(30)와 공기 통로 블록(25)을 연결하는 관통로(40)는 하나의 공기 주입 장치(30)를 통해 복수 개의 공기 통로 블록(25)에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브랜치(branch)를 구비한 분기형 관통로 구조로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through passage 40 connecting the air injection device 30 and the air passage block 25 may inject air into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blocks 25 through one air injection device 30. 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branched passageway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branches.

관통로(40)의 특정 지점, 즉 각각의 분기 지점의 입구 측에는 관통로(40)를 개폐할 수 있는 체크 밸브(6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It is possible to form a check valve 60 capable of opening and closing the through passage 40 at a specific point of the through passage 40, that is, at the inlet side of each branch point.

체크 밸브(check valve)(60)는 공기 통로(20)에 일정량의 공기 주입이 완료되었을 때 공기가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통로(40)를 차단(폐쇄)함과 더불어 공기 통로(20)에서 공기를 배출하고자 할 때 관통로(40)를 개방 처리하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체크 밸브(60)는 제어 모듈(100)의 제어 신호(특히 이격 방향 안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하여 특정 상황에서 개폐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를 위해 제어모듈(100)과 체크 밸브(60)는 유선 처리되어 제어모듈(100)의 제어 신호를 체크 밸브(60)에 전달하도록 한다. The check valve 60 blocks the air passage 20 to block the air passage 20 so as to prevent the air from leaking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is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20. When the air is to be discharged from the through passage 40 serves to open the process, this check valve 60 is opened and closed in a specific situation by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100 (particularly the control signal of the separation direction guide) For this purpose, the control module 100 and the check valve 60 are wired to transmit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module 100 to the check valve 60.

체크 밸브(60)는 각각의 공기 통로 블록(25)을 연결하는 관통로(40)마다 설치되거나 아니면 분기형으로 이루어진 관통로(40)에서는 분기 지점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여 각 관통로(40)의 분기를 구분하여 제어할 수가 있다.The check valve 60 may be provided at each of the through passages 40 connecting the respective air passage blocks 25 or may be formed at the branch points in the through passages 40 formed in the branched form. The branch of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이와 같이 공기 통로 블록(25)이 복수 개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최소 개수의 공기 주입 장치(3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와 같이 예를 들어 1개의 공기 주입 장치(30)를 통하여 복수 개의 공기 통로 블록(25)을 적절하게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상술한 체크 밸브(60)의 개폐 제어가 공기 주입 장치(30)에서 공기를 주입/배출하는 과정과 연동되어야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이를 위해 본 발명에 구비된 제어 모듈(100)의 이격 방향 안내부에서 이러한 체크 밸브(60)의 개폐 기능과 개별적인 공기 통로 블록(25)의 공기 주입 및 배출 기능을 상호 연동 처리하도록 한다.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air passage blocks 25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o have a minimum number of air injectors 30. Thus, for example, a plurality of air via one air injector 30 is provided. In order to control the passage block 25 independently and appropriately, it is important that the above-described control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heck valve 60 should be linked with the process of injecting / exhausting air from the air injection device 30. In the spaced direction guide of the control module 100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ning and closing function of the check valve 60 and the air injection and discharge function of the individual air passage block 25 are interlocked.

이처럼 공기 통로 블록(25)을 복수 개로 설정하는 이유는 각 개별 공기 통로 블록(25)이 특정 방향을 지칭할 수 있는 안내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for setting the plurality of air passage blocks 25 as described above is to allow each individual air passage block 25 to serve as a guide that can refer to a specific direction.

제어 모듈(100)에 추가적으로 구비된 이격 방향 안내부(180)는 상기 통신모듈(50)의 이격 방향 감지부(52)로부터 보호대상자가 이격된 방향을 파악하였을 때 보호자의 위치와 연동하여 보호자로부터 이격된 방향에 해당하는 특정 공기 통로 블록(25)에 공기 주입 장치(30)의 구동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separation direction guide part 180 additionally provided in the control module 100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of the guardian when the subject of the protection is detected from the separation direction detection unit 52 of the communication module 50. The air is injected into the specific air passage block 25 corresponding to the spaced direction by driving the air injection device 30.

예를 들어, 공기 통로 블록(25)이 왼쪽 팔 부위, 오른쪽 팔 부위, 전면 몸통 부위, 후면 몸통 부위로 이루어져 있을 때, 각 공기 통로 블록(25)은 특정 방위를 표시하는 기능을 가져, 전면 몸통 부위의 공기 통로 블록(25)이 팽창하면 보호대상자가 전방 지점에 위치하였다는 사실을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air passage block 25 is composed of a left arm portion, a right arm portion, a front torso portion, and a rear torso portion, each air passage block 25 has a function of indicating a specific orientation, so that the front torso When the air passage block 25 of the site expands, it is made aware of the fact that the subject is located at the front point.

이 때, 이격 방향 안내부(180)는 전방과 좌측 중간 지점에 보호대상자가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는 전면 및 좌측 부위의 공기 통로 블록(25)을 동시에 팽창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에서 잠시 언급한 바와 같이 공기 통로 블록(25)의 방향은 특정 개수에 국한되지 않고 디테일하게 분류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space direction guide unit 180 may expand the air passage block 25 at the front and the left side at the same time when the protection target is located at the front and the left middle point, and as mentioned above for a while Likewise, the direction of the air passage block 25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number but may be classified in detail.

이와 같이 이격 방향 안내부(180) 및 방향 표시가 되어 있는 공기 통로 블록(25)에 의하면, 보호자가 보호대상자의 이격 방향까지 촉각 자극에 의하여 즉각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보호대상자를 찾기 위한 신속한 대처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In this way, according to the space direction guide portion 180 and the air passage block 25 marked with the direction, the guardian can immediately know by the tactile stimulus up to the spaced direc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so as to quickly find a person to be protected. It provides a property that allows it to be performe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기상황 감지용 스마트 웨어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smart situation detection smart we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의복 60: 체크밸브
20: 공기 통로 100: 제어모듈
25: 공기 통로 블록 110: 디스플레이 패널
30: 공기 주입 장치 120: 조작부
31: 구동부 130: 거리 세팅부
40: 관통로 131: 수동 세팅수단
50: 통신 모듈 132: 자동 세팅 수단
51: 이격거리 감지부 135: 소음 감지 센서
52: 이격방향 감지부 140: 공기 주입 제어부
55: GPS 모듈 150: 진동 발생부
10: clothing 60: check valve
20: air passage 100: control module
25: air passage block 110: display panel
30: air injection device 120: operation unit
31: drive unit 130: distance setting unit
40: through passage 131: manual setting means
50: communication module 132: automatic setting means
51: separation distance detection unit 135: noise detection sensor
52: separation direction detection unit 140: air injection control unit
55: GPS module 150: vibration generating unit

Claims (7)

보호자와 보호대상자가 각각 착용하는 의복을 포함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으로서,
의복의 일 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의복의 물리적 팽창을 수행하도록 하는 공기 통로;
상기 공기 통로의 단부에 연결된 관통로를 매개로 상기 공기 통로에 자동으로 공기를 주입하는 공기 주입 장치;
통신 기능을 구비하되, 보호자와 보호대상자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는 이격 거리 감지부를 포함하는 통신모듈;
상기 통신모듈로부터 전달된 이격 거리 정보에 의하여 보호대상자가 일정 거리 이상으로 보호자로부터 이격되어 경보 거리에 이른 것으로 판단되었을 때 상기 공기 주입 장치에 구동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공기 통로에 공기를 주입하도록 하는 공기 주입 제어부를 포함하는 제어 모듈;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
A clothing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including clothing worn by a guardian and a guardian,
An air passage formed at one side of the garment to perform physical expansion of the garment by injecting air;
An air injection device for automatically injecting air into the air passage through a through passage connected to an end of the air passage;
A communication module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including a separation distance detecting unit for detecting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ed object;
Air to inject air into the air passage by transmitting a drive signal to the air inject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person to be protected has reached an alarm distance by being separated from the protector by more than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distanc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Clothing control system for detecting a crisi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control module including an injection control unit.
제 1항에 있어서,
GPS 위성과 연동되어 보호자에게 보호대상자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안내하는 GPS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GPS 모듈에서 전달받은 보호대상자의 위치 및 방향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And a GPS module linked to a GPS satellite to guide the guardian to the guardian's loca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The control module,
And a display panel for visually displaying the position and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person to be protected received from the GPS modul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복수 개의 키(key)를 구비한 조작부를 포함하며,
보호자에 의한 상기 조작부의 키 조작에 의하여 상기 경보 거리를 세팅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세팅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It includes an operation unit having a plurality of keys,
And a manual setting unit for setting the alarm distance by key operation of a control unit by a protect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주변 소음량을 측정하는 소음 측정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소음 측정 센서에서 입력된 소음 측정 수치에 따라 경보 거리를 자동적으로 차등 조절하는 자동 세팅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Further equipped with a noise measuring sensor for measuring the amount of ambient noise,
And an automatic setting unit for automatically differentially adjusting an alarm distance according to a noise measurement value input from the noise measurement sens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이격 거리 감지부에서 전달받은 보호자와 보호대상자의 이격 거리의 원근량에 따라, 상기 공기 통로에 주입되는 공기량을 차등 조절하는 공기 밀도 증감 처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And an air density increase and decrease processing unit for differentially adjusting the amount of air injected into the air passage according to the distance of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guardian and the protector received from the separation distance detecting unit. Garment system fo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보호대상자가 보호자로부터 경보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있을 때, 상기 공기 주입 제어부를 가동하되, 상기 공기 주입 장치에서 상기 공기 통로로 공기를 주입하는 구동과 배출하는 구동을 일정 주기로 반복하도록 하여 상기 공기 통로가 반복적으로 팽창 및 수축하도록 하는 진동 발생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기상황 감지용 의복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trol module,
When the person to be protected is separated from the guardian by more than the alarm distance, the air injection control unit is operated, and the ai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air injecting and discharging the air from the air injecting device to the air passage at regular intervals Apparatus for detecting a crisis situ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vibration generating unit for repeatedly expanding and contracting.
삭제delete
KR1020100007554A 2010-01-27 2010-01-27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KR10096124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54A KR100961247B1 (en) 2010-01-27 2010-01-27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54A KR100961247B1 (en) 2010-01-27 2010-01-27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1247B1 true KR100961247B1 (en) 2010-06-07

Family

ID=42369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554A KR100961247B1 (en) 2010-01-27 2010-01-27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1247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11B1 (en) * 2010-12-14 2011-02-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ial pressurizing smart-wear system for preparing against collision accident by mobile
KR101031173B1 (en) 2011-01-31 2011-04-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ation smart wear system for exercise aid using air frame pattern
KR101040673B1 (en) 2010-12-14 2011-06-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ial pressurizing smart-wear system for preparing against collision accident by mobile
KR20220148619A (en) * 2021-04-29 2022-11-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Worker protection system using safety clothing based on magnetic fiber
KR102532684B1 (en) * 2022-10-12 2023-05-17 주식회사 제이케이윈드엔지니어링 Construction Site Real-Time Weather Observation And Warning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76B1 (en) 2006-08-30 2008-01-31 김명한 Shoe for stray chil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9776B1 (en) 2006-08-30 2008-01-31 김명한 Shoe for stray child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611B1 (en) * 2010-12-14 2011-02-24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ial pressurizing smart-wear system for preparing against collision accident by mobile
KR101040673B1 (en) 2010-12-14 2011-06-10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ial pressurizing smart-wear system for preparing against collision accident by mobile
KR101031173B1 (en) 2011-01-31 2011-04-2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Aeration smart wear system for exercise aid using air frame pattern
KR20220148619A (en) * 2021-04-29 2022-11-07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Worker protection system using safety clothing based on magnetic fiber
KR102491081B1 (en) * 2021-04-29 2023-01-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Worker protection system using safety clothing based on magnetic fiber
KR102532684B1 (en) * 2022-10-12 2023-05-17 주식회사 제이케이윈드엔지니어링 Construction Site Real-Time Weather Observation And War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1247B1 (en) Garment system for sensing emergency
CN105632101B (en) A kind of anti-tumble method for early warning of human body and system
EP3416146B1 (en) Human body condition and behaviour monitoring and alarm system
AU2018100192A4 (en) Location Sensitive Article Conditional Separation Alert System
CN104705921A (en) Bluetooth intelligent infant guarding and positioning bracelet and positioning method thereof
CN104504623B (en) It is a kind of that the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cene Recognition are perceived according to action
ES2293225T3 (en)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AND CONTROL.
US7782191B2 (en) Portable alarm apparatus for warning persons
US20060148423A1 (en) Systems for locating and identifying victims of manmade or natural disasters
US20080139899A1 (en) Remote Monitoring System For Alzheimer Patients
US20010050613A1 (en) Personal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4041363A2 (en) Angeleye
CN106933157A (en) A kind of wheelchair safety monitoring assembly and monitoring method
CN204670518U (en) Blue-tooth intelligence child monitoring and location bracelet
CN206453322U (en) Old man's intelligent slippers of Prevention of fall and alarm integrated
CN108091108A (en) A kind of paddle alarming method and wearable device based on wearable device
JP2014007533A (en) Wanderer position management system
CN106236029A (en) Child's body-temperature monitoring device
CN108482616A (en) A kind of multi-functional watertight suit
CN205514557U (en) Healthy sign guardianship of ring type, alarm
CN105996698A (en) Intelligent carpet
Dabir et al. GPS and IOT equipped smart walking stick
CN205003738U (en) Healthy management system of self -service community
CN106683338A (en) Electronic monitor with sensor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monitor
CN106707954A (en) Intelligent bathroom nurs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