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0286B1 -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0286B1
KR100960286B1 KR1020080061215A KR20080061215A KR100960286B1 KR 100960286 B1 KR100960286 B1 KR 100960286B1 KR 1020080061215 A KR1020080061215 A KR 1020080061215A KR 20080061215 A KR20080061215 A KR 20080061215A KR 100960286 B1 KR100960286 B1 KR 1009602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value information
pipeline
input value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350A (ko
Inventor
이성훈
김태형
박종화
박대의
김남철
Original Assignee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명공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명공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61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0286B1/ko
Priority to PCT/KR2008/006892 priority patent/WO2009157622A1/en
Publication of KR20100001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02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02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ometr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최초 입력값 정보와 얻고자 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탐색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파이프라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기 위한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수단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최종출력값지정수단의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수단과;
상기 펑션추출수단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기 위한 가중치참조수단과;
상기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 중에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과;
상기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 및 펑션나열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최초 입력값 정보 및 최종 출력값 정보를 설정하여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최초 입력값 정보까지의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자동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최초 입력값 정보와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탐색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파이프라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함으로써, 별도의 프로세스 설계없이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정보분석, 펑션, 입출력, 파이프라인, 역탐색.

Description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bio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auto - reverse design system and thereof.}
본 발명은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정보분석을 위한 정보처리 파이프라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최초 입력값 정보와 얻고자 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탐색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파이프라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기 위한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수많은 정보 데이터 분석 프로세스를 미리 구성하여 놓아야 하므로 이에 따른 분석 프로세스를 구축하기 위한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어서 빠른 시간 내에 원하는 출력 데이터를 생성할 수 없었으며, 데이터 분석방법을 모르는 일반 사용자는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어 아무나 출력 데이터를 획득할 수 없어 데이터 분석의 효율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정보 데이터베이스에 대하여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예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관련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분석 방법 및 프로세스들은 생물학 관련종사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생물학 관련종사자들이 해당 프로세스들에 관한 응용 지식이 필요하므로 이에 따른 프로그래밍 작업이 생명정보 연구보다 더 많은 시간 및 노력이 필요한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밖에 없었다.
따라서, 생물학관련종사자들이 프로그래밍 작업을 수행할 필요없이 손쉽게 생명정보학적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최종 자신이 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최초 입력값 정보가 적어도 한 개 이상 존재할 경우에 사용자가 최초 입력값 정보로 제시하는 데이터의 누락이 당연히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최초 입력값 정보를 프로세스에서 제시할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초 입력값 정보와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탐색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파이프라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의하여 얻고자 하는 파이프 라인이 생성되었을 경우에 최초 입력값 정보와 함께 필요한 정보가 존재할 수 있는데,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에서 누락된 경우의 다른 최초 입력값 정보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수단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 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 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최종출력값지정수단의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수단과;
상기 펑션추출수단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기 위한 가중치참조수단과;
상기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 중에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과;
상기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들의 정보와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 및 펑션나열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최초 입력값 정보 및 최종 출력값 정보를 설정하여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최초 입력값 정보까지의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자동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은,
최초 입력값 정보와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탐색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파이프라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함으로써, 별도의 프로세스 설계없이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최초입력값지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를 요청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입력해야할 정보를 전부 몰라도 이를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수단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최종출력값지정수단의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 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수단과;
상기 펑션추출수단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기 위한 가중치참조수단과;
상기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 중에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과;
상기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 및 펑션나열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최초 입력값 정보 및 최종 출력값 정보를 설정하여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최초 입력값 정보까지의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자동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펑션나열수단은,
최초입력값지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도시를 종료하는 파이프라인도시종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양상에 따라 상기 펑션나열수단은,
최초입력값지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추가최초입력값요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은,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의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계산부와,
상기 가중치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가중치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는,
출력값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펑션 및 해당 펑션에 부여된 가중치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값정보레코드와,
펑션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입력값 정보를 저장하는 펑션레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다른 양상에 따른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는,
출력값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펑션을 저장하는 출력값정보레코드와,
펑션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입력값 정보를 저장하는 펑션레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 방법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단계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단계와;
상기 지정된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각각의 펑션들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그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들과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단계와;
상기 자동펑션선택단계 및 펑션나열단계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단계와;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도시를 종료하는 파이프라인도시종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 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추가최초입력값요청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파이프라인도시종료단계는,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펑션나열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은,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190)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수단(110)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수단(120)과;
상기 최종출력값지정수단의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수단(130)과;
상기 펑션추출수단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기 위한 가중치참조수단(140)과;
상기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 중에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수단(150)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160)과;
상기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수단(170)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 및 펑션나열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18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최초 입력값 정보 및 최종 출력값 정보를 설정하여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최초 입력값 정보까지의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자동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최초 입력값 정보 및 최종 출력값 정보를 설정하여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최초 입력값 정보까지의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자동 탐색하여 이에 따른 파이프 라인을 자동으로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대한 설명에 앞서 용어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하도 록 한다.
펑션이란 이미 검증된 모듈로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며, 프로그램에 의하여 작성되어 진다.
본 발명의 파이프라인을 형성하는 최소의 단위이며, 하나 이상의 펑션들에 의하여 파이프라인이 구성된다.
파이프라인이란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지칭하며, 하나 이상의 펑션들에 의하여 구성되고 사용자가 바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입력값 정보란 펑션에 입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하며, 출력값 정보란 펑션에 의하여 출력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도 2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입력값 정보는 부호 10, 40을 의미하며, 펑션이란 부호 20, 50을 의미하며 출력값 정보란 부호 30, 60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펑션(20)의 펑션명이 'GetFASTA'이며, 수행하는 기능은 쥐의 유전자 아이디를 입력받아 해당하는 서열을 Genbank 데이터베이스(생명정보제공데이터베이스의 일종임)에서 추출하는 기능이라고 한다면, GetFASTA(20)의 입력값(10) 정보는 쥐의 유전자 아이디이며 출력값(30) 정보는 입력값(10) 정보에 해당하는 쥐의 유전자 서열이 된다.
상기와 같이 정의되는 다른 하나의 펑션의 예는 'RunBlastToRefseq(50)'로서 이의 기능으로는 쥐의 유전자 서열을 입력받아 Refseq 데이터베이스(생명정보제공데이터베이스의 일종임)에서 인간의 유사한 유전자 서열을 출력하는 기능으로서 입력값(40) 정보는 쥐의 유전자 서열이 되며, 출력값(60) 정보는 해당 입력값 정보에 해당하는 인간의 유전자 서열이 된다.
상기와 같이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에 의해 특정 펑션에 해당하는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정의하여 이를 저장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190)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 있는 정보란 시스템 설계자에 의하여 정의된 정형화된 형태의 정보를 의미하며, 정보는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포함하고 있다.
정보의 예를 들자면, "명함"이란 정보에는 속성으로 " 이름, 전화번호, 주소, 이메일" 등이 있을 수 있으며, 각 데이터 값으로 " 홍길동, 02-222-1111,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111번지, honggd@abc.co.kr"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좀 더 쉽게 설명하자면, 친구의 이름을 찾아주는 펑션이 있다고 가정할 때 해당 펑션(20)의 입력값(10)의 속성은 '사람이름, 한 명'이고, 출력값(30)의 속성은 '사람이름, 여러명'이라 정의하고, 사람의 주소를 찾아주는 펑션이 있다고 가정할 때 해당 펑션(50)의 입력값(40)의 속성은 '사람이름, 여러명'이고, 출력값(60)의 속성은 '주소, 여러개'라 정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입출력값 속성을 참조하여 상기 파이프라인형성수단을 통해 펑션(20)의 출력값(30)과 펑션(50)의 입력값(40)의 속성이 동일하므로 상기 펑션(20)과 펑션(50)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이 형성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과 다수의 입력값과 출력값 및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축적하는 기능을 상기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에 서 수행하게 되며, 수행된 결과를 본 발명의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컴퓨터 단말기에 사용자가 입력한 최초 입력값 정보에서 최종 출력값 정보에 이르기까지의 파이프 라인을 생성하여 사용자가 파이프라인을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출력값정보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출력값정보 레코드는 출력값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펑션 및 해당 펑션에 부여된 가중치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출력값 정보와 펑션명 및 가중치의 레코드 형태를 알 수 있으며, 펑션명과 가중치는 각각 적어도 한 개 이상이 존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펑션추출수단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대하여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기 위한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출력값 정보에 의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펑션과 각각의 펑션에 부여된 가중치를 참조하여 사용빈도가 높은 펑션(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펑션선택수단(150)에 의해 자동으로 선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160)에 의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펑션나열수단(170)에 전달하여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들과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여 이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파이프라인도시수단(180)을 통해 파이프 라인을 도시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가중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사용자가 이용하면서 발생되는 사용빈도수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중요도에 따라 임의로 정의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펑션명의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펑션명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입력값 정보를 가지는 펑션명 레코드의 형태를 알 수 있다.
앞에서 예를 든 것과 같이, 'GetFASTA'의 출력값 정보가 쥐의 유전자 서열이고, 'RunBlastToRefseq'의 입력값 정보가 쥐의 유전자 서열이므로 'GetFASTA'의 출력값 정보는 'RunBlastToRefseq'의 입력값 정보가 될 수 있으므로 즉, 'GetFASTA'의 후행 펑션이 'RunBlastToRefseq'가 되고, 'GetFASTA'와 'RunBlastToRefseq'는 상기 펑션나열수단의 처리에 의하여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거쳐 하나의 파이프라인으로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통해 나타낸 파이프 라인의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 출력값(95) 및 최초 입력값(70) 정보를 최종출력값지정수단(120) 및 최초입력값지정수단(110)에 의해 지정하게 된다.
그러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역 탐색을 자동으로 수행하게 되는데, 최종출력값(95) 정보와 관련된 펑션(90)을 펑션추출수단(130)에 의해 추출하게 된다.
상기 추출된 펑션(90)의 입력값들(91,94)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출력값으로 하는 펑션을 추출하여 펑션나열수단에 의해 나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입력값들(91,94)의 정보와 같은 출력값 정보들(91,94)이 존재하여 자동으로 파이프라인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특정 펑션(92)의 입력값 정보(80)를 출력값 정보로 가지는 펑션(81,82)이 두 개가 존재한다면 가중치참조수단을 통해 펑션추출수단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즉, 특정 펑션(92)의 입력값 정보(80)를 가지는 펑션1(81)과 펑션2(82)가 존재할 경우에 가중치를 참조하게 되는데 특정 펑션(92)의 입력값 정보를 가지는 펑션1(81)의 가중치는 "50"이고, 특정 펑션(92)의 입력값 정보를 가지는 펑션2(82)의 가중치는 "300"이라는 것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참조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펑션선택수단(150)을 통해 상기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 중에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특정 펑션(92)의 입력값 정보(80)를 가지는 펑션2(82)를 자동적으로 선택또는 사용자에게 제시하게 되는 것이다.
즉, 가중치를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으나, 가중치를 활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인터랙티브(대화식으로)하게 사용자에게 제시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가중치를 주는 방법으로는 본 발명의 예에서는 활용도 혹은 사용자가 임의의 규정을 줄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으나, 그 외에 최근 제작된 펑션, 파이프라인끼리의 최단거리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가중치계산부를 통해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의 가중치를 계산하여 자동펑션선택부를 통해 계산된 가중치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파이프 라인을 도시함에 있어서 파이프 라인이 종료되는 시점을 알아야 파이프 라인을 종료하게 되는데 이는 파이프라인도시종료부를 통해 최초입력값지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70)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도시를 종료하게 되는 것이다.
최초 입력값 정보로부터 파이프 라인을 형성하는 것보다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역으로 탐색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탐색에 소요되는 비용 및 노력이 적게 드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역 탐색하는 이유는 순행 탐색의 경우에는 원하지 않는 경로로 진행할 수 있는데, 이때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지 못한다면 다른 경로를 모색해야 하므로 이에 따라 소요되는 비용 및 노력이 높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나, 역 탐색의 경우에는 얻고자 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역으로 탐색할 경우에 중간에 다른 경로로 탐색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어 이에 따른 최종 입력값 정보까지 최단 경로로 탐색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되어 소 요되는 비용 및 노력이 순행 탐색보다 적은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간단한 예를 들자면, 미로찾기의 경우에 최종출구를 모르는 상태에서 최종출구를 찾는 과정보다 최종출구를 알고 있는 상태에서 역으로 입구를 찾아가는 것이 훨씬 쉽게 찾을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특히, 다수의 독립된 입력값으로부터 소수의 출력값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역탐색은 순행 탐색보다 그 효과를 크게 발휘하는데 도 5에 제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입력값이 소수의 출력값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훨씬 유리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호 71 및 72가 입력값으로 필요함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최종 출력값 정보를 알고 있으며, 최초 입력값 정보를 알고 있으나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최초 입력값 정보까지 진행되는 파이프 라인 중 사용자가 미처 제시하지 못한 최초 입력값 정보가 누락될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도 5에서는 누락되는 최초 입력값 정보인 도면 부호"71,72"로 정의하고 있다.
이를 사용자에게 요청해야지 사용자가 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할 수 있게 되므로 추가최초입력값요청부를 통해 최초입력값지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를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최종 출력값 정보로 철수가 해당하는 반 인원 중 수학 점수가 몇등인지를 알고 싶어서, 사용자가 최초 입력값 정보로 철수의 반 인원 만 제시할 경우에 상기 추가최초입력값요청부에 의해 철수의 수학 점수를 요청하게 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 방법의 흐름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 방법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단계(S100)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단계(S110)와;
상기 지정된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단계(S120)와;
상기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각각의 펑션들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그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단계(S130)와;
상기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단계(S140)와;
상기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들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단계(S150)와;
상기 자동펑션선택단계 및 펑션나열단계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단계(S160)와;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도시를 종료하는 파이프라인도시종료단계(S1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최초입력값지정수단(110)에 의해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S100)하게 되며, 최종출력값지정수단(120)에 의해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게 된다.
상기 지정된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추출수단(130)에 의해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S120)하여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들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게 되는데, 해당 펑션의 입력값들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이 여러 개 존재할 경우에 자동펑션선택수단에 의해 상기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각각의 펑션들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그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S130)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해당 펑션의 입력값들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게 되는데 해당 펑션의 입력값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가 하나일 경우에도 가중치는 계산되지만 여러개가 존재하지 않으 므로 자동적으로 연결되게 되며, 추후 새로운 펑션이 존재할 경우에도 가중치를 계산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하여 파이프 라인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이 자동적으로 선택되면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정보를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160)에 의해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S140)하여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들의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펑션나열수단(170)을 통해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S150)한 후 자동펑션선택단계 및 펑션나열단계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파이프라인도시수단(180)에 의해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S160)하게 된다.
이때,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도시를 종료(S170)하게 된다.
즉, 판단 기준을 최초 입력값 정보가 입력값 정보인지를 확인하여 동일하다면 파이프 라인 도시를 종료하게 되며, 동일하지 않는다면 펑션나열단계로부터 다시 반복하여 파이프 라인을 도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추가최초입력값요청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을 통해 정보 분야에서 획득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이를 이용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제시할 수 있으며, 생명정보 분야 이외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성하고 있는 다른 분야에서도 당업자라면 누구나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 원리를 통해 최초 입력값 정보와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역탐색하여 용이하게 프로세스를 자동 설계하기 위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으며, 최종 출력값 정보를 알고 있을때 최초 입력값 정보가 적어도 한 개 이상 누락될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를 분석하여 사용자에게 요청할 수 있으므로 이에 따른 정확한 프로세스 설계가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은,
최초 입력값 정보와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면 가중치를 이용하여 자동으 로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탐색하여 파이프라인을 형성하여 형성된 파이프라인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함으로써, 별도의 프로세스 설계없이 자동으로 파이프 라인을 형성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해당 정보분석 분야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전체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속성저장수단의 처리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출력값 정보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펑션명의 레코드 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의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통해 나타낸 파이프 라인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방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최초입력값지정수단
120 : 최종출력값지정수단
130 : 펑션추출수단
140 : 가중치참조수단
150 : 자동펑션선택수단
160 :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
170 : 펑션나열수단
180 : 파이프라인도시수단

Claims (9)

  1. 입출력값을 정의하여 펑션 및 각 펑션의 입력값과 출력값의 속성을 저장하여 보관하는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수단과;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수단과;
    상기 최종출력값지정수단의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수단과;
    상기 펑션추출수단에서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기 위한 가중치참조수단과;
    상기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 중에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에 의하여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과;
    상기 해당펑션입력값추출수단에 의해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와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수단과;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 및 펑션나열수단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 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최초 입력값 정보 및 최종 출력값 정보를 설정하여 최종 출력값 정보로부터 최초 입력값 정보까지의 파이프 라인을 역으로 자동 탐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나열수단은,
    최초입력값지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도시를 종료하는 파이프라인도시종료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나열수단은,
    최초입력값지정수단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추가최초입력값요청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 스 설계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펑션선택수단은,
    가중치참조수단에 의해 참조되는 각각의 펑션들의 가중치를 계산하기 위한 가중치계산부와,
    상기 가중치계산부를 통해 계산된 가중치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는,
    출력값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펑션 및 해당 펑션에 부여된 가중치 정보를 저장하는 출력값정보레코드와,
    펑션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입력값 정보를 저장하는 펑션레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는,
    출력값 정보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펑션을 저장하는 출력값정보레코드와,
    펑션에 따른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입력값 정보를 저장하는 펑션레코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7.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초입력값지정단계와;
    프로세스를 설계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얻고자하는 최종 출력값 정보를 지정하기 위한 최종출력값지정단계와;
    상기 지정된 최종 출력값 정보와 관련된 펑션을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기 위한 펑션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되는 각각의 펑션에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에서 해당 펑션의 가중치를 참조하여 각각의 펑션들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계산하여 그 중 가중치가 가장 높은 펑션을 자동으로 선택하기 위한 자동펑션선택단계와;
    상기 선택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를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해당펑션입력값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해당 펑션의 입력값 정보들과 같은 정보를 갖는 다른 펑션의 출력값 정보들 및 해당 출력값 정보를 갖는 펑션들을 상기 펑션입출력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나열하는 펑션나열단계와;
    상기 자동펑션선택단계 및 펑션나열단계에 의하여 자동으로 선택되거나 나열된 펑션들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도시하는 파이프라인도시단계와;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파이프라인의 도시를 종료하는 파이프라인도시종료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을 경우에 최종 출력값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최초 입력값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추가최초입력값요청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 방법.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라인도시종료단계는,
    최초입력값지정단계에 의해 사용자가 분석할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최초입력값 정보가 추출되지 않았을 경우에 펑션나열단계를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 방법.
KR1020080061215A 2008-06-26 2008-06-26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 KR1009602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215A KR100960286B1 (ko) 2008-06-26 2008-06-26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
PCT/KR2008/006892 WO2009157622A1 (en) 2008-06-26 2008-11-21 Bio information analysis process auto - reverse design system an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215A KR100960286B1 (ko) 2008-06-26 2008-06-26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350A KR20100001350A (ko) 2010-01-06
KR100960286B1 true KR100960286B1 (ko) 2010-06-07

Family

ID=4144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215A KR100960286B1 (ko) 2008-06-26 2008-06-26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0286B1 (ko)
WO (1) WO20091576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35904A1 (ko) * 2011-09-08 2013-03-14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생명 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EP4063469A4 (en) * 2019-11-20 2023-08-30 Tianjin University REVERSE DESIGN DEVICE FOR GASIFICATION PROCESS AND PROCED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25324B2 (en) * 2002-10-31 2007-05-29 Src Computers, Inc. Multi-adaptive processing systems and techniques for enhancing parallelism and performance of computational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7622A1 (en) 2009-12-30
KR20100001350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2169B1 (ko) 정보 분석프로세스 추천 설계시스템 및 방법
CN108153800B (zh) 信息处理方法、信息处理装置以及记录介质
Hsu et al. Collaborative and Structural Recommendation of Friends using Weblog-based Social Network Analysis.
CN102262641B (zh) 网络查询中的在线手写识别系统和方法
CN110971659A (zh) 推荐消息的推送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462084A (zh) 基于多个查询提供搜索细化建议
US8775423B2 (en) Data mining across multiple social platforms
JP5373870B2 (ja) 予測装置、予測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82169B2 (en) Recommending form fragments
US10599760B2 (en) Intelligent form creation
US9558245B1 (en) Automatic discovery of relevant data in massive datasets
EP2963575A1 (en) Data analysis device and method therefor
JPWO2014109388A1 (ja) テキストマイニング装置、テキストマイニングシステム、テキストマイニング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523007A (zh) 用户感兴趣信息确定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0096512A (zh) 题库建立方法、装置、学习设备及存储介质
KR100960286B1 (ko) 파이프라인 역 탐색을 이용한 프로세스 설계시스템 및 방법
JP2019086940A (ja) 関連スコア算出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2988784B (zh) 数据查询方法、查询语句生成方法及其装置
CN113590756A (zh) 信息序列生成方法、装置、终端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2014532942A (ja) ソーシャルページのトリガー
Pegoraro et al. Resolving uncertain case identifiers in interaction logs: A user study
US20190220388A1 (en) Boundary search test support device and boundary search test support method
CN111125332A (zh) 计算词的tf-idf值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357765A (zh) 数据搜索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CN114881521A (zh) 业务评估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