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9292B1 -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9292B1
KR100959292B1 KR1020067025719A KR20067025719A KR100959292B1 KR 100959292 B1 KR100959292 B1 KR 100959292B1 KR 1020067025719 A KR1020067025719 A KR 1020067025719A KR 20067025719 A KR20067025719 A KR 20067025719A KR 100959292 B1 KR100959292 B1 KR 100959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electronic device
logic
information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7389A (ko
Inventor
마르코 페르틸래
Original Assignee
노키아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키아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키아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07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7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과 연상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절차들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은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관한 결정들을 내리도록 태그와 연상된 정보의 이동 단말기 분석 및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의존하는 계층화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채용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외부 서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접속들을 한정함으로써, 전반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가속화하는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for enhancing service discovery at a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들의 단거리 통신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이동 단말기에서의 트랜스폰더 정보의 판독과 관련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 관한 것이다.
단거리 무선 통신 능력은 셀룰러폰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들, 페이저들 및 다른 이동 장치들과 같은 대단히 다양한 이동 디지털 장치들에서 점점 두드러지고 있다. 바코드 또는 다른 2차원(2D) 코드 기술들과 같은 기존의 기술들은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블루투스®, 적외선 따위와 같은 더 새로운 기술들에 자리를 물려주고 있다. 이동 단말기들에 필수적인 단거리 통신 판독기들을 장착함으로써, 상기 장치들은 이동 장치와 연관된 판독기/송수신기의 유형에 의존하여 이러한 단거리 통신 매체들을 통해 통신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갖는다. 그러한 판독기들이 장착된 장치들은 또한 태그(tag)들로서 언급되는 트랜스폰더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점점 더 많은 휴대용 디지털 장치들이 RFID 등등과 같은 단거리 무선 통신 수단들을 장착함에 따라, 상기 장치가 정 보 및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그러한 단거리 통신 매체의 일례는 RFID이며, 이는 통신을 위한 수단으로서 전자기 스펙트럼(electromagnetic spectrum)의 무선 주파수 부분에서의 전자기 또는 정전기 결합을 사용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들에 포함되어 있는 RFID 판독기들은 안테나 및 상기 안테나로부터 그리고 상기 안테나로 신호들을 수신 및 송신하는 송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송신되고 있는 RF 신호들은 상기 이동 단말기가 RFID 태그들과 접촉하고 있거나 RFID 태그들의 미리 결정된 근접 범위 내에 있을 때 RFID 태그들을 활성화한다. 일단 소정의 태그가 활성화될 경우에, 상기 태그는 상기 판독기로 다시 정보를 송신한다.
태그들이 일반적으로 활성적이거나 비-활성적으로 분류된다. 활성적인 태그들은 내부 전원을 지니지만, 비-활성적인 태그들은 어떠한 로컬 전원도 지니지 않고 상기 판독기에 의해 생성된 시변(time-varying) 전자기 RF 파에 의해 에너지를 공급받는다. 상기 비-활성적인 태그 시나리오에 있어서, RF 필드가 상기 태그와 연관된 안테나 코일을 통과할 때, 상기 코일 양단에 소정의 전압이 생성된다. 이러한 전압은 결국 상기 태그에 전력을 공급하여, 통상적으로 역산란(backscattering)으로서 언급되는 상기 판독기로의 정보의 태그의 복귀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동 단말기 장치들이 점점 더 많이 단거리 통신 판독기들을 장착함에 따라, 태그들이 점점 더 많이 보급되고 있으며, 각각의 태그는 아마도 가변적인 유형을 지닐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내용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태그 유형의 변화 및 상기 태그 상에 포함된 정보는 어느 하나의 특정 판독기가 모든 태그 유형들 및 태그 내용을 판독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단거리 통신 판독기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가 특정한 태그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판독기는 (a) 상기 태그가 이동 단말기와 관련이 있는지를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하며, 만약 상기 태그가 이동 단말기와 관련이 있는 경우에, (b) 어떤 정보/서비스들이 상기 태그와 연상(association)되어 있는지 그리고 상기 태그와 연상된 정보/서비스에 이르거나 액세스하는데 필요한 프로세스를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여야 한다.
그 외에도, 널리 보급된 태그들의 사용은 무수한 서비스 제공자들이 다른 여러 서비스를 제공하는 태그들을 배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웹사이트들, 짧은 메시지 서비스(SMS), 전화 서비스 등등과 같은 상기 태그들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들은 네트워크들에 대한 액세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태그들은 여러 경우에 태그에 보조적인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한 웹 브라우저 따위와 같은 관련 서비스의 개시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상기 태그들이 다수의 실체(entity)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에, 이러한 서비스들이 개시되게 하는 수단은 관련된 태그의 유형에 따라 변하게 된다.
현재에는, 이동 단말기들에서의 RF 태그 서비스 개시에 대한 독점적인 해결방안이 몇 가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들은 특정한 RF 태그들에 대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필요한 수단들을 장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전반적인 RF 태그 환경 중 단지 극히 낮은 비율로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개시를 제공하는 경향을 지닌다. 그 외에도, 그러한 시스템들은 이동 단말기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에 대하여 가입할 필요가 있는 것이 전형적이다.
다른 해결 방안들이 제공되어 왔지만 이동 단말기가 중앙 네트워크 서버와 링크된 것들이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태그를 판독하고, 태그 정보는 상기 서버에 전송되며, 상기 서버는 태그 정보를 복호화하려고 시도하고 차후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 다시 "해석된" 태그 정보를 전송한다. 이러한 해결방안들은 태그가 판독될 때마다 상기 이동 단말기 및 상기 서버 간의 접속 설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 전형적인데, 이는 불필요한 지연 시간들 및 네트워크 부하의 원인이 된다. 또한, 이러한 유형의 전용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개시 사이트들은 사용량별 과금(pay-per-use)을 기반으로 하여 구현되는 것이 전형적이며, 그 결과 비용이 그러한 해결방안들의 허용을 이동 단말기 사용자들에게 한정하는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그러므로, 향상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루틴들을 수행하기 위해 태그 내용을 해석 및 처리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및/또는 이동 단밀기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바람직한 방법은 접촉된 태그의 유형, 상기 태그에 의해 제공된 정보 또는 상기 태그 상의 정보의 포맷과는 무관하게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이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및/또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접촉되는 어느 한 태그 및 모든 태그들에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야 한다. 바람직한 방법들, 생성물들 및 이동 단말기들은 외부 서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접속을 한정하는 효율적인 디스커버 리를 제공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들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절차들을 향상시키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및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는 이동 단말기가 무선 주파수 식별(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적외선(Infrared; IR), 블루투스®, 바코드 또는 다른 2D 또는 3D 기호들과 같은 로컬 내용 소스로부터 통신을 수신할 경우에 권한이 부여된다. 특히, 본 발명은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관한 결정들을 내리도록 상기 통신과 연상된 내용의 이동 단말기 분석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의존하는 계층화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채용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외부 서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접속들을 한정함으로써, 전반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가속화하는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이 정의되어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로컬 내용 소소로부터 단거리 통신을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단거리 통신은 RFID 통신, IR 통신, 바코드 통신, 2D 또는 3D 기호 통신 따위를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단 상기 통신이 수신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수신된 내용이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과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이동 단말기 메모리에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내용이 대응하는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결정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속행한다. 상기 수신된 내용이 대응하는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통신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만약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는 단계 및/또는 일단 상기 서비스 소스로부터 획득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와 접촉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상기 서비스 소스를 결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소스와 관련된 정보를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소스와 관련된 정보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는 단계 및/또는 일단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용 제공자 소스들은 사전에 결정될 수도 있고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통신의 내용을 분석하는 단계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정보 요구들은 순차적인 순서로 상기 내용 소스 제공자들에게 송신될 수도 있고 상기 요구들은 동시에 송신될 수도 있다.
추가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사용자에게 타깃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단계 이전에 저장된 이동 단말기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 액세스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된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의 액세스 단계로 인해 상기 활성화된 서비스가 특정 사용자에게 타깃(target)이 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거나 상기 개시 명령어들을 결정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 메모리 내에 상기 개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러한 정보의 저장으로 인해 일단 차후의 통신들이 동일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경우에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저장된 명령어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이동 단말기들로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다른 이동 단말기들과 서비스 정보 및 명령어들을 공유할 수 있으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들은 또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개시를 신속히 처리할 목적으로 상기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정보의 통신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통신은 상기 단말기 사용자의 양도(bequest)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들 간에 서비스 정보를 전송하는 것 외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소스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실체들로부터 서비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서 구체화된다. 상기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로컬 내용 소스로부터 단거리 통신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단거리 송수신기 및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단거리 통신을 수신하는 처리기를 포함한다. 상기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는 또한 상기 처리기와 통신하며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수신된 내용이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과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는 인식 논리, 및 상기 수신된 내용 및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연상 논리로서, 상기 수신된 내용 및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할 경우에,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획득하도록 상기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채용하는 연상 논리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인식 논리 또는 상기 연상 논리에 의해 제공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출력 생성 논리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연상 논리는 상기 서비스가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전혀 지니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상기 인식 논리가 결정한 경우에 구현된다. 상기 인식 논리는 단거리 통신의 비트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트 패턴을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비트 패턴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수신된 내용이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단거리 통신이 부가적인 연상 논리 처리를 위한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지니는 지를 결정하는 분석 논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에 의해 처리된 단거리 통신들과 연상되는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정보의 저장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이러한 정보를 차후의 단거리 통신들에서 인식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단거리 통신들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전용 업데이트 논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가 수신된 단거리 통신들로부터 정보를 학습하고 저장할 수 있는 동일한 방식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가 보조 소스로부터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전용 업데이트 논리를 통해 그러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다. 그러한 보조 소스들의 예들에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 전용 서비스 제공자 및 다른 한 이동 단말기가 있다. 상기 전용 업데이트 논리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단거리 통신들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 및 저장함으로써 차후의 서비스 활성화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다른 한 수단을 제공한다.
추가로, 본 발명은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에서 구체화된다. 상기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터-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렁어들이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단거리 통신과 관련된 서비스가 이동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지를 결정하는 제1 명령어들, 및 상기 단거리 통신의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서비스가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지는지를 결정하는 제2 명렁어들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명령어들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일단 상기 서비스가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나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제3 명령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 간의 연상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상기 서비스 소스를 결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제4 명령어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서비스 디스커버리의 단거리 통신 향상을 위한 시스템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의 단거리 통신 향상을 위한 시스템은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로컬 내용 소스, 상기 로컬 내용 소스로부터 송신된 내용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 단말기, 정보를 판독하는 송수신기와 통신하는 처리기 및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개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서비스가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지를 결정하는 인식 논리, 트랜스폰더 정보가 저장된 서비스 정보와 연상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연상 논리 및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출력 생성 논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들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대한 다중 도메인 접근방법을 제공한다. 제1 도메인은 단거리 통신과 연상된 서비스가 사전에 디스커버링되었고, 활성화되었으며 그리고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되었는지를 결정하도록 이력 데이터의 분석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한다. 제2 도메인은 통신 내에서 시퀀스들을 결정하기 위한 단거리 통신의 분석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와 상기 시퀀스와의 연상을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제공한다. 제3 도메인은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알려져 있지 않으며 상기 연상 프로세스가 성공적이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가 미리 결정된 서비스 소스들과 접촉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외부 서버들과의 불필요한 접속들을 한정함으로써, 전반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가속화하는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이 일반적인 표현으로 설명되었지만, 지금부터는 반드시 비례해서 도시될 필요가 없는 첨부도면들이 참조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및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 능력들을 합체한 이동 단말기를 블록 선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를 구현하는 이 동 단말기를 블록 선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들에 의해 구현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루틴에서의 다수의 도메인들을 도메인 선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 의해 구현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를 블록 선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활성화를 흐름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지금부터 본 발명이 본 발명의 일부이지만 모든가 아닌 실시예들이 도시된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여러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으며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오히려 이러한 실시예들은 이러한 개시내용이 적용가능한 법적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원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 번호들은 동일 요소들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개시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을 제공한다. 예를 들면 RFID 판독기가 장착되는 것과 같은 단거리 통신 능력을 지니는 이동 단말기들은 다수의 트랜스폰더, 다시 말하면 태그들로부터의 트랜스폰더 통신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RFID 단거리 통신 외에도, 이동 단말기들에는 블루투스® 송수신기들, 적외선 판독기들, 바코드 판독기들 또는 다른 유형의 2D 또는 3D 기호 판독기들이 장착되 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통신들 대부분은 상기 통신 내에 포함된 정보를 유리하게 획득하기 위한 서비스의 개시 및 활성화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들은 인터넷 웹 사이트들에의 접속, 짧은 메시징 서비스(Short Messaging Service; SMS) 메시지들의 송신, 전화통화들의 개시 등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동 전화,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 따위와 같은 이동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개시를 위한 효율적이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에는 단거리 통신 능력들을 지니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 통신 네트워크(100)가 예시되어 있다. 대체로, 그러한 이동 단말기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유리하게 획득한다. 개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단말기 및 방법 실시예들은 주로 이동 통신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지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이동 통신 환경 내에서 그리고 이동 통신 환경 외에서 다양한 다른 애플리케이션들과 연관지어 채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에는 무선 단거리 통신 능력들이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단말기는 근접 트랜스폰더(14)로 신호들을 송신하고 근접 트랜스폰더(14)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는 단거리 통신 송수신기의 일부로서의 안테나(12) 및 내부 단거리 통신 송수신기(18)가 장착된 전자 장치(16)를 포함한다. 여기서 알 수 있겠지만, 상기 전자 장치들 및 트랜스폰더들은 다수의 다른 단거리 통신 기법들 중 어느 하나의 단거리 통신 기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다수의 다른 공지된 장치들 및 트랜스폰터들 중 어느 하나의 공지된 장치 및 트랜스폰더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거리 통신 기법은 RFID, 블루투스®, 적외선,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바코드, 2D 또는 3D 기호 따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장치(16)는 다른 이동 단말기들을 포함하는 다수의 다른 장치들, 및 무선 액세서리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들, 페이저들, 랍톱 컴퓨터들 및 다른 유형의 전자 시스템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트랜스폰더들은, 예컨대, 무선 주파수 인식(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태그들, 바코드들 따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셀룰러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능력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셀룰러 네트워크는 단거리 통신에 포함되는 서비스들을 개시 및 액세스하도록 의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인터넷 웹 사이트들에 접속할 수도 있고, SMS 메시지들을 송신 또는 수신할 수도 있으며 전화 통화들을 하거나 받을 수 있는 따위를 수행하도록 의지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 안테나(12)가 기지 사이트 또는 기지국(BS)(20)으로부터 신호들을 수신하고 기지 사이트 또는 기지국(BS)(20)으로 신호들을 송신한다. 상기 기지국은 이동 전화 교환국(mobile switching center; MSC; 22)과 같은 네트워크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요소들을 포함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의 일부이다. 통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 의해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는 또한 기지국, 이동 전화 교환국 및 인터워킹 기능(BMI; 24)으로서 또한 언급될 수 있다. 동작시,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MSC)은 상기 단말기가 통화들을 하거나 받을 경우에 상기 단말기로부터 그리고 상기 단말기로 통화들 및 메시지들을 경로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MSC)은 또한 상기 단말기가 통화에 관련될 경우에 랜드라인 트렁크(landline trunk)들에의 접속을 제공한다. 더욱이,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MSC)은 서버 GTW(server gateway; 26)에 연결될 수 있지만, 반드시 서버 GTW(26)에 연결될 필요가 없다.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MSC)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도시권 통신 네트워크(MAN), 및/또는 광역 통신 네트워크(WAN)와 같은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MSC)은 상기 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될 수 있거나, 상기 시스템이 (도시된 바와 같은) GTW(26)를 포함할 경우에,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MSC)이 상기 GTW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예를 들면, 상기 이동 전화 교환국(MSC)이 상기 GTW에 연결되고, 상기 GTW가 인터넷(28)과 같은 WAN에 연결된다. 또한, 처리 요소들(예컨대, 개인용 컴퓨터들, 서버 컴퓨터들 따위)과 같은 장치들이 인터넷을 통해 상기 단말기(10)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처리 요소들은 원 서버(origin server; 30)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처리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단거리 통신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개시를 구현하는 이동 단말기를 블록 선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는 단거리 통신들을 송신 및 수신하도록 동시에 동작하는 안테나(12) 및 단거리 송수신기(40)를 포함한다. 상기 송수신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중앙 처리 유닛(CPU; 42)과 통신함으로써, 수신된 통신들이 상기 송수신기로부터 그러한 처리기로 전달되게 하며 송신될 통신들이 상기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송수신기로 전달되게 한다. 그 외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는 셀룰러 네트워크 송수신기(44)와 같은 네트워크 송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송수신기는 상기 안테나와 상기 중앙 처리 유닛과 통신하며 셀룰러 네트워크 통신들과 같은 네트워크 통신들을 송신 및 수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수신된 단거리 통신과 연상된 서비스를 디스커버링(discovering)하며 상기 디스커버링된 서비스를 개시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46)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중앙 처리 유닛(CPU; 42) 및 단거리 통신의 내용들을 판독 및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거리 통신 모듈(48)과 통신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 상기 중앙 처리 유닛(CPU) 및 상기 단거리 통신 모듈은 실제로 다목적 마이크로처리기와 같이 하나의 유닛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는 상기 처리기(42)와 통신하는 메모리(50) 및 저장 유닛들(52)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메모리 유닛(50)은 상기 처리기의 동작에 의지되는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인 것이 전형적이다. 상기 저장 유닛은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46)에 의해 의지되는 전용 메모리이다. 이 때문에, 상기 저장 유닛은 서비스 연상(service association)과 관련된 이전에 판독된 비트 패턴들 및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중앙 처리 유닛(CPU)을 통해 상기 저장 유닛에 액세스하여, 단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된 태그의 내용들이 공지된 서비스와 연상되는지를 결정하거나 상기 태그의 콘텐츠의 일부분이 인식가능한지를 결정한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중앙 처리 유닛(CPU)과 통신하며 상기 내용과 연상된 단거리 통신 내용 및 서비스들을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54)를 포함하는 것이 전형적이다.
본 발명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다수의 계층화된 도메인들로 예시될 수 있으며, 각각의 도메인은 단거리 통신과 연상된 서비스를 디스커버링 및 개시하는 프로세스를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서비스 디스커버리 루틴에서 다수의 도메인의 개관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단말기 도메인(60)에서, 상기 방법은 단말기 저장 장치에 의존하여 통신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인식한다. 단말기 메모리가 상기 서비스 및 대응하는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포함할 경우에, 서비스가 개시된다. 단말기 도메인이 상기 서비스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 로컬 도메인(70)은 상기 통신의 내용이 상기 서비스를 디스커버링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로컬 도메인에서는, 상기 태그의 콘텐츠가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결정하도록 분석되며 상기 시퀀스들은 서비스 디스커버리가 가능한지를 결정하도록 연상된다. 상기 로컬 도메인이 상기 서비스 및 개시 명령어들을 결정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80)은 하나 이상의 사전에 정의된 내용 서비스 제공자들과 접촉함으로써 서비스 및 개시 명령어들을 결정하도록 구현된다.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서비스 유형과 같은 로컬 도메인에서 결정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내용 서비스 제공자들을 선택한다. 예를 들면, 상기 로컬 도메인에서의 내용 분석 결과, 상기 서비스가 웹-서비스이지만 특히 상기 서비스를 디스커버링할 수 없는 것(즉, 액세스될 정확한 웹-서비스를 핀포인팅(pinpointing)할 수 없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네트워크 도메인은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사전에 정의된 웹-서비스 내용 서비스 제공자들과 접촉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에서 실행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46)를 블록 선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독립형 논리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처리기 장치와 같은 다른 한 다기능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RFID 판독기(100)와 같은 단거리 송수신기로부터의 단거리 통신들의 형태로 입력들을 수신한다. 여기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도 4의 실시예가 RFID 판독기를 예시하고 있지만, 바코드 판독기, 적외선 판독기, 블루투스® 판독기 따위와 같은 다른 판독기들이 또한 가능하며 본원 명세서에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 내에 있다는 것이다.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인식 논리(110), 분석 논리(120), 연상 논리(130) 및 출력 생성 논리(140)를 포함한다.
상기 인식 논리(110)는 상기 단거리 통신에서의 비트 패턴이 인식가능한지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비트 패턴의 인식은 상기 비트 패턴을 연상된 이동 단말기 저장 데이터베이스(300) 내에 저장된 비트 패턴들을 비교함으로써 결정된다. 상기 저장 데이터베이스들은 상기 비트 패턴과 연상된 서비스들을 개시할 필요가 있는 이전에 판독된 비트 패턴들 및 관련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상기 비트 패턴이 "인식"된 경우에, 상기 인식 논리는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수행한 다음에 대응하는 서비스 개시에 대한 필요한 절차들을 개시하도록 상기 출력 생성 논리(140)와 통신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단 인식 논리가 상기 비트 패턴이 인식가능한 것으로, 다시 말하면, 상기 서비스가 "디스커버링(discovering)"되는 것으로 결정한 경우에, 상기 출력 생성 논리는 서비스 개시, 즉 웹 페이지를 검색하고, 짧은 메시징 서비스(SMS) 메시지를 송신하며, 전화 통화를 하는 따위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인식 논리의 기능들은 상기 단말기 도메인에서 수행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단지 상기 인식 논리가 매치(match)를 발견하지 못할 경우에만 수행되는 분석 논리(120)는 단말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통신 및 정보의 내용들 간의 유사성들을 결정하도록 단거리 통신에 걸쳐 획득된 태그의 내용들에 대한 더 철저한 분석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가적인 분석은 상기 단거리 통신과 연상된 서비스(들)를 통찰할 수 있는 비트 패턴 내에서 하나 이상의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발견하려고 한 것이다. 따라서, 분석 논리는 상기 비트 패턴을 시퀀스들로 파싱(parsing)하며 상기 시퀀스들을 연상된 이동 단말기 저장 데이터베이스(52)에 저장된 인식가능한 시퀀스들과 비교한다.
하나 이상의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이 결정된 경우에, 상기 분석 논리(120)는 상기 연상 논리(13)와 통신한다. 상기 연상 논리는 상기 분석 논리의 결과들을 파싱하고 상기 분석 논리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를 디스커버링하기 위한 결정들을 내린다. 그 외에도, 상기 연상 논리는 상기 저장 데이터베이스(300)들과 통신하여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에 대한 저장에 소정의 연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한다. 상기 인식 논리가 상기 비트 패턴을 인식할 수 없지만 상기 분석 논리가 서비스 유형 및 서비스 식별자(ID)와 같은 하나 이상의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결정할 경우에, 상기 연상 논리는 상기 서비스 유형의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활성화하고 서비스 ID와 접촉함으로써 상기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디스커버링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분석 논리가 서비스 유형, 즉 웹- 서비스에 대한 인식가능한 시퀀스 및 서비스 ID, 즉 아크메 사(Acme Company)에 대한 인식가능한 시퀀스를 결정할 경우에, 상기 연상 논리는 웹 브라우저를 활성화하며 Acme Company의 웹 사이트와 접촉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출력 생성 논리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상 논리가 상기 통신에서 상기 서비스를 디스커버링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상기 출력 생성 논리에 제공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를 개시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단거리 통신에서 상기 서비스를 결정하기 위한 전용 서비스 제공자와 접촉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전용 서비스 제공자들은 상기 서비스 제공자들 중 한 서비스 제공자가 태그와 연상된 서비스를 디스커버링할 수 있을 때까지 미리 결정된 순차적인 순서로 접촉된다. 전용 서비스 제공자들의 접촉은 네트워크 도메인에서 수행된다. 상기 네트워크 도메인은 전용 서비스 제공자들이 전용 서비스 제공자들과 접촉하기 위한 순차적인 순서 또는 어느 전용 서비스 제공자들이 접촉되어야 하는 지를 결정하도록 서비스 유형 또는 서비스 ID와 같은 로컬 도메인에서 획득된 정보를 사용할 수 있다. 로컬 도메인이 그러한 정보를 렌더링(rendering)할 수 없는 경우에, 네트워크 도메인은 전용 서비스 제공자들과 접촉하기 위한 미리 결정된 순차적인 순서에 의존한다.
일단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10)가 상기 서비스 및 상기 서비스에 대한 개시 명령어들을 디스커버링한 경우에, 상기 논리는 상기 인식 논리(110)에 의한 차후의 인식을 위해 상기 이동 단말기 저장 데이터베이스(52)에서의 서비스 및 대응하는 개시 명령어들을 캐싱(caching) 또는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서비스 개시 방법을 흐름도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러한 프로세스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판독기가 단거리 통신을 통해 획득된 태그의 내용들을 판독하는 단계(400)에서 개시된다. 단계(41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 및 상기 태그의 내용들에 대응하는 개시 명령어들을 인식하는지에 대한 결정이 내려진다. 이러한 결정은 상기 인식 논리에 의해 달성되며, 이러한 인식 논리는 상기 통신의 비트 패턴을 결정하고 소정의 매치(match)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도록 상기 비트 패턴을 단말기 저장 장치에 저장된 비트 패턴들과 비교한다. 상기 서비스가 알려져 있고 개시 명령어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질 경우에, 단계(42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대응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한다. 서비스 활성화는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의 출력 생성 논리 부분에 의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서비스가 알려져 있는 것으로 판단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옵션 단계(430)에서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 이전에 사용자 콘텍스트 및/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결정하도록 단말기 저장 장치와 통신한다. 상기 추가적인 사용자 콘텍스트 또는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더 많이 타깃이 될 수 있게 한다. 이 때문에, 단계(430)에서 결정된 어떠한 사용자 콘텍스트 및/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라도 특정 사용자를 위해 상기 서비스를 고객화(customization)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식 논리가 상기 서비스를 인식할 수 없는 경우에, 즉, 상기 통신의 비트 패턴이 단말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 단계(440)에서는 상기 통신의 내용의 부가적인 분석이 수행된다. 상기 통신의 내용의 부가적인 분석은 상기 분석 논리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분석 논리는 전반적인 비트 패턴을 인식가능 한 시퀀스들로 파싱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단 상기 분석 논리가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결정한 경우에는, 단계(450)에서,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이 서비스 유형 또는 서비스 제공자와 같은 서비스 정보와 연상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도록 연상 프로세스가 상기 연상 논리에 의해 수행된다. 만약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이 저장된 정보에 대한 상기 시퀀스들의 비교를 기반으로 하여 서비스 정보와 성공적으로 연상된다면, 단계(460)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게 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통신의 내용을 상기 서비스 소스에 제공하게 되며 상기 서비스 소스는 상기 통신의 내용에 대응하는 서비스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응답하게 된다.
일단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한 경우에, 단계(470)에서는, 상기 단말기가 대응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게 된다. 서비스 활성화는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의 출력 생성 논리 부분에 의해 달성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서비스 소스와의 접촉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옵션 단계(480)에서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 이전에 사용자 콘텍스트 및/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결정하도록 단말기 저장 장치와 통신한다. 상기 추가적인 사용자 콘텍스트 또는 프로파일 정보는 상기 서비스가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에게 더 많이 타깃이 될 수 있게 한다. 이 때문에, 단계(480)에서 결정된 어떠한 사용자 콘텍스트 및/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라도 특정 사용자에 대해 상기 서비스를 고객화(customization)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상 프로세스가 상기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서비스 정보와 연상시킬 수 없는 경우에, 단계(490)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대응하는 서비스를 결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사전에 정의된 전용 서비스 제공자들과 통신하게 된다. 단 계(500)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단계(460)에서 서비스 소스와 접촉할 수 있게 하는 정보를 접촉된 서비스 제공자로부터 수신하게 된다. 일단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한 경우에, 단계(470)에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대응하는 서비스를 활성화하게 된다. 몇몇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서비스 소스와의 접촉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옵션 단계(480)에서 상기 서비스의 활성화 이전에 사용자 콘텍스트 및/또는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결정하도록 단말기 저장과 통신하게 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원격 이동 단말기들로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일단 이동 단말기가 서비스 및 적합한 개시 명령어들을 디스커버링한 경우에, 상기 이동 단말기는 그러한 정보를 다른 이동 단말기들과 공유할 수 있는데,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들은 또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개시를 신속히 처리할 목적으로 상기 정보를 저장한다. 그러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및 개시 명령어들의 공유로 인해, 서비스 디스커버리가 (이하에서 설명되겠지만) 단말기 도메인에 한정될 확률이 높아짐으로써, 서비스 및 서비스 개시를 결정하도록 서비스 소스들의 접촉이 한정된다. 상기 서비스 정보의 통신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통신은 디스커버링하는 이동 단말기 사용자의 양도(bequest)시에 또는 상기 원격 단말기 사용자의 양도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들 간에 서비스 정보를 전달하는 것 외에도, 상기 이동 단말기는 특정 형태의 무선 통신인 것이 전형적인 서비스 정보를 서비스 소스들 또는 다른 네트워크 실체들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거리 통신 트랜스폰더들(즉, 태그들)과 연상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절차들에 대한 향상들을 제공하는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 및 이동 단말기들을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서비스 디스커버리에 관한 결정들을 내리도록 태그와 연상된 정보의 이동 단말기 분석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이력 정보에 의존하는 계층화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의사결정 프로세스를 채용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외부 서버들에 대한 불필요한 접속들을 한정하고, 그럼으로써 전반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 프로세스를 가속화하는 효율적인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여러 변형예 및 다른 실시예는 이러한 발명이 위에서 언급된 설명들 및 이와 관련된 도면들에서 제시된 교시들의 이점을 지니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숙련된 자에게 구상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이해하여야 할 점은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변형예들 및 다른 실시예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게끔 의도된 점이라는 것이다. 특정 용어들이 본원 명세서에서 사용되고 있지만, 그러한 특정 용어들은 단지 일반적이며 설명적인 의미로 사용된 것이며, 제한할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 아니다.

Claims (6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서비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로컬 내용 소소로부터의 단거리 통신을 수신하고;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액세스하여 상기 수신된 내용이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과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며;
    상기 수신된 내용이 대응하는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 것으로 상기 전자 장치가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내용이 대응하는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상기 단거리 통신의 내용을 분석하여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聯想; association)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획득하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일단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서비스 소스로부터 획득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에 정보 요구를 송신하여 하나의 서비스 소스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서비스 소스와 관련된 정보를 상기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상기 서비스 소스와 관련된 정보의 수신에 따라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은,
    일단 상기 전자 장치가 상기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고 상기 서비스 소스로부터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39.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에 정보 요구를 송신하여 서비스 소스를 결정하는 것은 상기 단거리 통신의 내용을 분석하는 것의 결과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을 결정하여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에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것은 제1의 사전에 정의된 내용 제공자 소스에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사전에 정의된 내용 제공자 소스에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것은 상기 제1의 사전에 정의된 내용 제공자 소스가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결정하는데 성공적이지 않을 경우에 제2의 사전에 정의된 내용 제공자 소스에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의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위한 방법.
  42.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서비스에 관한 내용을 포함하는 로컬 내용 소스로부터의 단거리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단거리 송수신기;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
    상기 단거리 송수신기로부터 상기 단거리 통신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처리기; 및
    상기 처리기와 통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서비스와 관련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된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수신된 내용이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과 대응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식 논리,
    상기 수신된 내용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상기 수신된 내용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연상 논리로서, 상기 수신된 내용이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전혀 지니지 않는 것으로 상기 인식 논리가 결정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연상 논리, 및
    상기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도록 구성되는 출력 생성 논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단거리 통신이 부가적인 연상 논리 처리를 위한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지니는 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분석 논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 논리는 상기 단거리 통신의 비트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트 패턴을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비트 패턴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지를 결정하도록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에 의해 처리된 단거리 통신들과 연상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서비스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들을 수신하고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전용 업데이트 논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업데이트 논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전용 서비스 제공자 및 원격 전자 장치로 이루어진 그룹의 한 멤버로부터 서비스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48.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를 고객화(customization)하도록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전에 액세스되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
  49. 단거리 통신이 가능한 전자 장치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포함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생성물이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단거리 통신 관련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이 상기 전자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된 서비스에 대응하는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지를 결정하는 제1 명령어들; 및
    상기 단거리 통신의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서비스가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지는지를 결정하는 제2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0. 제49항에 있어서, 제2 명령어들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서비스 소스와 접촉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1.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일단 상기 서비스가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제3 명령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2. 제49항에 있어서, 제3 명령어들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더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3.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은,
    상기 내용 및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이 내려진 경우에 서비스 소스를 결정하도록 하나 이상의 내용 제공자 소스들로 정보 요구를 송신하는 제4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
  54. 서비스와 관련된 내용을 포함하는 단거리 통신을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소스; 및
    상기 소스로부터 송신된 내용을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전자 장치로서, 상기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개시를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를 구현하는 처리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수신된 내용이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과 대응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한 인식 논리,
    상기 수신된 내용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하는지를 결정하고, 만약 상기 수신된 내용 및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정보 간의 연상이 존재할 경우에, 상기 저장된 서비스 정보를 이용하여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획득하는 연상 논리로서, 상기 수신된 내용이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전혀 지니고 있지 않은 것으로 상기 인식 논리가 결정함에 응답하여 활성화되는 연상 논리, 및
    상기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는 출력 생성 논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상기 단거리 통신이 부가적인 연상 논리 처리를 위한 인식가능한 시퀀스들을 지니는지를 결정하는 분석 논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6.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인식 논리는 상기 단거리 통신의 비트 패턴을 분석하고 상기 비트 패턴을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비트 패턴들과 비교함으로써 상기 서비스가 상기 전자 장치에 저장된 서비스 개시 명령어들을 지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7.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에 의해 처리된 단거리 통신과 연상된 서비스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8.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디스커버리 논리는 서비스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들을 수신하고 관련된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전용 업데이트 논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전용 업데이트 논리는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자, 전용 서비스 제공자 및 원격 전자 장치로 이루어진 그룹의 한 멤버로부터 서비스들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들을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0.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 프로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서비스를 고객화(customization)하도록 상기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전에 액세스되는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KR1020067025719A 2004-05-12 2005-05-09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KR1009592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44,194 US7493082B2 (en) 2004-05-12 2004-05-12 Methods,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for enhancing service discovery at a mobile terminal
US10/844,194 2004-05-12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292A Division KR20090014208A (ko) 2004-05-12 2005-05-09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389A KR20070007389A (ko) 2007-01-15
KR100959292B1 true KR100959292B1 (ko) 2010-05-26

Family

ID=3531005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719A KR100959292B1 (ko) 2004-05-12 2005-05-09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KR1020087030292A KR20090014208A (ko) 2004-05-12 2005-05-09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30292A KR20090014208A (ko) 2004-05-12 2005-05-09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93082B2 (ko)
EP (1) EP1745663B1 (ko)
KR (2) KR100959292B1 (ko)
CN (1) CN1973563B (ko)
WO (1) WO2005112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40053B2 (en) * 2004-10-13 2012-03-20 Siemens Enterprise Communications Gmbh & Co. Kg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comprising RFID functions and associated method
US7894771B2 (en) * 2005-10-10 2011-02-22 Electronics And Telecommunci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for selecting desired item information in mobile terminal
US8010621B2 (en) 2005-10-11 2011-08-30 Nokia Corporation Offline webpage activated by reading a tag
CN1976246A (zh) * 2005-11-28 2007-06-06 国际商业机器公司 允许移动设备预订和获取服务的方法、装置及移动设备
US7817044B2 (en) * 2005-11-30 2010-10-19 Intel Corporation RFID enabled multiband antenna
US20070141997A1 (en) * 2005-12-15 2007-06-21 Symbol Technologies, Inc.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antenna integration techniques in mobile devices
US7613426B2 (en) * 2005-12-20 2009-11-03 Microsoft Corporation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US8559350B2 (en) 2005-12-20 2013-10-15 Microsoft Corporation Mechanism to convey discovery information in a wireless network
US8478300B2 (en) 2005-12-20 2013-07-02 Microsoft Corporation Proximity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networks
US10681151B2 (en) 2006-05-15 2020-06-0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Notification framework for wireless networks
US20070264991A1 (en) * 2006-05-15 2007-11-15 Microsoft Corporation Services near me: discovering and connecting to available wireless services utilizing proximity discovery
US8395478B2 (en) * 2006-10-30 2013-03-12 Broadcom Corporation Secure profile setting in a shared device
US8681691B2 (en) 2007-07-25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Base station initiated proximity ser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US7974574B2 (en) * 2007-07-25 2011-07-05 Microsoft Corporation Base station initiated proximity service discovery and connection establishment
KR101478144B1 (ko) * 2007-12-27 2015-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알에프아이디 통신 방법
US9105031B2 (en) 2008-02-22 2015-08-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uthentication mechanisms for wireless networks
US20120047228A1 (en) * 2009-05-07 2012-02-23 Shady Hassan Sayed Hassan Aly Method for delivering tag based services
US20120221600A1 (en) * 2009-11-30 2012-08-30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 Decision Recommendation in a Network
US8731583B2 (en) * 2010-01-04 2014-05-20 Alcatel Lucent Interactive ID system using mobile devices
EP2392932B1 (en) * 2010-06-03 2014-12-03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verifying a device under test
DE102011103740A1 (de) * 2011-05-31 2012-12-06 Smartrac Ip B.V. Verfahren und Anordnung zum Bereitstellen und Verwalten von mit RFID-Datenträgern verknüpften Informationen in einem Netzwerk
US8942623B2 (en) 2011-12-02 2015-01-27 Qualcomm Incorporated Reducing NFC peer mode connection times
US9510292B2 (en) * 2012-03-13 2016-11-29 Qualcomm Incorporated Limiting wireless discovery range
US9054750B2 (en) 2012-04-23 2015-06-0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RF discovery for peer mode communications
US8923761B2 (en) * 2012-05-17 2014-12-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FC RF discovery loop tuning based on device sensor measurements
US9351144B2 (en) * 2012-06-04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improving NFC RF discovery based on detection of other RF activity
US9112930B2 (en) * 2012-10-26 2015-08-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pdating services during real-time communication and sharing-experience sessions
WO2015009097A1 (en) * 2013-07-18 2015-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service discovery in a wireless environment
US10698930B2 (en) * 2013-08-22 2020-06-30 Sensoriant, Inc. Assignment of application (apps) and relevant services to specific locations, dates and times
US10771936B2 (en) 2013-08-22 2020-09-08 Sensoriant, Inc. System and method of creating abstractions of real and virtual environments and objects subject to latency constraints
US10289742B2 (en) 2013-08-22 2019-05-14 Sensoriant, Inc.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the problem of discovering relevant services and applications that are available over the internet or other communications network
US9215570B2 (en) * 2013-11-07 2015-12-15 Paypal, Inc. Beacon content propagation
JP6374666B2 (ja) * 2014-02-19 2018-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US10824440B2 (en) 2014-08-22 2020-11-03 Sensoriant, Inc. Deriving personalized experiences of smart environ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2305A1 (en) * 2002-06-26 2004-01-01 Nokia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network connections via wireless device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20040087273A1 (en) * 2002-10-31 2004-05-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ata items for service reques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8250098A (en) 1997-09-26 1999-04-23 Johan Schlasberg A message information system
JP4541465B2 (ja) * 1998-09-10 2010-09-08 ミルストーン トランスファー エージー、エル.エル.シー. 電子タグ、電子タグ識別システム
US6651053B1 (en) 1999-02-01 2003-11-18 Barpoint.Com, Inc. Interactive system for investigating products on a network
ES2296609T3 (es) 1999-02-01 2008-05-01 Neomedia Technologies, Inc. Sistema interactivo para buscar productos en una red.
US6611673B1 (en) * 1999-07-12 2003-08-26 Oliver T. Bayley Radio frequency-controlled telecommunication device
AU2057801A (en) 2000-01-04 2001-07-16 Chippo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cessing information and services on a computer network
DE60113831T2 (de) 2000-05-22 2006-03-16 Bango.Net Ltd. Adressieren von fernen datenobjekten über ein rechnernetzwerk
EP1285359B1 (en) 2000-05-22 2004-07-28 Bango.Net Limited Addressing remote data objects via a computer network
US6766947B2 (en) 2001-03-19 2004-07-27 Accenture Real world showroom
US20040203636A1 (en) * 2002-04-26 2004-10-14 Wesley Chan Service delivery terminal and method
US20040243519A1 (en) 2003-06-02 2004-12-02 Nokia Corporation Prompted electronic mobile-service information communications with validation
US7352999B2 (en) 2004-01-29 2008-04-01 Nokia Corporatio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ng with a service provider via a signaling tag
US20050193106A1 (en) * 2004-03-01 2005-09-01 University Of Florida Service discovery and delivery for ad-hoc network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02305A1 (en) * 2002-06-26 2004-01-01 Nokia Corporatio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effecting network connections via wireless device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20040203944A1 (en) * 2002-06-26 2004-10-14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hysical browsing on wireless device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S20040087273A1 (en) * 2002-10-31 2004-05-06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data items for service reques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12496A1 (en) 2005-11-24
EP1745663A1 (en) 2007-01-24
KR20090014208A (ko) 2009-02-06
US7493082B2 (en) 2009-02-17
EP1745663B1 (en) 2014-07-30
CN1973563B (zh) 2012-11-14
KR20070007389A (ko) 2007-01-15
US20050255839A1 (en) 2005-11-17
CN1973563A (zh) 200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292B1 (ko) 이동 단말기에서 서비스 디스커버리를 향상시키는 방법,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
USRE48868E1 (en) Terminal,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teracting with a signaling tag
US7126481B2 (en) Methods, systems, device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dynamic product information in short-range communication
CN100541512C (zh) 应用程序提供系统和方法、便携终端设备、服务器设备
KR102146031B1 (ko) 멀티 도메인 기반의 챗봇 시스템 및 챗봇 서비스 제공 방법
US76978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tactile confirmation of service bookmarks
KR100857825B1 (ko) 어플리케이션을 자동으로 구동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이를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US7463151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obile services using short-rang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KR100991602B1 (ko) Rfid 시스템과 rfid대행서버 및 rfid 시스템의제어방법
Park Cell phone-based mobile RFID: models, mechanisms and its security
KR20080052099A (ko) Rfid 기능을 이용하여 분실시 처리기능을 수행하는휴대용 단말기와 그 휴대용 단말기 분실시 처리 방법
CN116303254A (zh) 文件访问方法及相关装置
KR100809840B1 (ko) 단일 rfid 태그를 이용한 rfid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Park et al. The system framework and its application in a mobile rfid service network
Park et al. Security techniques based on EPC gen2 tag for secure mobile RFID network services
KR20060122429A (ko) 알에프아이디 정보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알에프아이디 정보 운용장치, 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