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984B1 -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 Google Patents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984B1
KR100958984B1 KR1020090113794A KR20090113794A KR100958984B1 KR 100958984 B1 KR100958984 B1 KR 100958984B1 KR 1020090113794 A KR1020090113794 A KR 1020090113794A KR 20090113794 A KR20090113794 A KR 20090113794A KR 100958984 B1 KR100958984 B1 KR 100958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wire saw
concrete structure
dust collector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3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화
김효영
Original Assignee
인영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영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인영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9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9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DWORKING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 B28D7/00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 B28D7/02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machines or devices of the preceding groups for removing or laying dust, e.g. by spraying liquids; for cooling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tones Or Stones Resemblanc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 1 비드와 제 2 비드를 와이어에 반복적으로 복수 개가 삽입하되, 인접된 제 1 비드와 제 2 비드는 일정한 각도마다 외주연들이 상호 인접되거나 원접되는 특징으로 갖음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석재 또는 철재의 절단시 구조물의 모서리나 돌출된 부재 등도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 와이어

Description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 Concrete structures wrecker having 3D-shaped beads and a dust collector, and destructing method using it }
본 발명은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해체시장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지만 국내 해체기술과 공법은 일본, 독일 등 선진국의 해체공법을 그대로 수입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해체공사는 소음이나 진동, 비산먼지, 수질오염물질 등을 발생시켜 친환경적이지 못하다는 최대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에 대부분 사용되고 있는 기술은 습식 와이어 쏘 공법이다.
이러한 습식 와이어 쏘 공업은 시공성이 우수하지만 작업시 와이어의 열을 식히기 위해 냉각수를 와이어에 뿌리면서 사용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폐수와 비산먼지, 슬러지 등을 발생시킨다는 아주 큰 단점을 갖고 있어 수질보존지역이나 생태 보존지역, 비산먼지의 염려가 있는 병원, 정밀공장, 동절기 등에는 적용이 곤란한 단점이 있다.
위 습식 와이어 쏘 공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냉풍기나 냉매 등을 이용한 다양한 기술들을 개발했지만 이 기술들은 모두 냉각장치를 이용한 강제냉각방식으로 장비 운영이 용이하지 못하고 해체 비용이 과다하여 실제 해체 현장에 적용하기가 쉽지 않은 단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와이어 쏘의 절단작업은 석재나 콘크리트에 국한된 경우가 많았으나 산업이 발달로 다양한 소재의 절단이 요구되고 있다. 그 일례로는 폐유조선, 유전 시설물, 해저 구조물 그리고 원자력 발전시설물의 해체 등의 분야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장비 구성이 단순하여 운영 및 유지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작업단가가 저렴하고 해체 작업시 2차 오염이 발생되지 않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와이어 쏘 구동기와; 절단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된 공전 가이드 롤러 를 갖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와이어 쏘 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안내되어 설치된 와이어와, 만곡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에 삽입된 제 1 비드와, 상기 제 1 비드와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비드와 인접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삽입된 제 2 비드를 갖는 와이어 쏘와; 상기 와이어 쏘를 감싸면서 절단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부착되는 집진 커버부재와; 상기 집진 커버부재와 인접되게 설치된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과 연통되어 제공된 필터와, 상기 필터와 연통된 블로우와, 상기 블로우의 토출 단부에 제공된 HEPA 필터를 갖는 집진기와; 상기 와이어, 제 1 비드 및 제 2 비드를 수지봉지하되, 상기 비드들의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수지봉지하는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비드와 상기 제 2 비드가 한 쌍을 이루며 반복적으로 상기 와이어에 복수 개가 삽입되고, 인접된 상기 제 1 비드와 상기 제 2 비드는 일정한 각도마다 외주연들이 상호 인접되거나 원접되고, 상기 비드들의 원접된 부분의 수지 코팅층에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 장치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 부재의 브라켓트를 해체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취부하고 상기 와이어 쏘를 상기 와이어 구동기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설치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집진 커버부재를 상기 와이어 쏘와 절단될 콘크리트 구조물이 절단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 쏘 구동기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 쏘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하되 절단시 발생되는 분진은 집진기에 흡입 포집되는 단계와; 콘크리 트 구조물의 절단이 완료된 경우 상기 와이어 쏘 구동기와 상기 집진기를 정지시키고 상기 와이어 쏘를 제거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탈거한 후 상기 장치를 준비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공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구성이 간단하여 장비의 운용과 유지 보수가 용이하다.
둘째,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 절단시 습식 장비와는 달리 2차 오염이 발생되지 않고 특히 동절기에도 작업이 가능하다.
셋째, 냉각 장비가 불필요하여 작업 단가가 저렴하고, 장비 운용이 용이하다.
넷째, 와이어 쏘 제작이 용이하다.
다섯째, 동일한 형상으로 만곡된 다이아몬드 소결합금 비드들을 90°각도마다 각기 근접 또는 원접되도록 대향 설치함으로써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 석재 또는 철재의 절단시 구조물의 모서리나 돌출된 부재 등도 원활하게 절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 성도이다.
도 2는 도 1 집진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100)는 와이어 쏘 구동기(10), 가이드 부재(20), 와이어 쏘(30), 집진 커버부재(40) 및 집진기(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와이어 쏘 구동기(10)는 콘크리트 구조물(200)을 마찰에 의해 절단하는 와이어 쏘(30)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와이어 쏘 구동기(10)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습식 또는 공랭식 와이어 쏘 공법에 사용되는 장치와 구성에 있어서 유사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 쏘 구동기(10)는 일반 노지 작업시 임시 동력이나 기타 전원으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된다.
가이드 부재(20)는 콘크리트 구조물(200)을 절단하는 경우에 와이어 쏘 구동기(10)로부터 인출된 와이어 쏘(30)를 안내하기 위한 브라켓트(21)와 복수 개의 가이드 롤러(23)로 구성된다.
브라켓트(21)는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표면에 설치되어 가이드 롤러(23)의 취부 위치를 제공하며 금속 재질의 각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브라켓트(21)의 형상은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형상에 종속되는 것으로 도 1과 같이 각형 지주 타입의 콘크리트 구조물일 경우와는 달리 원주 타입이나 기타 형상일 경우에는 이에 상응하게 변형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 롤러(23)는 브라켓트(21)의 소정 위치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공되어 와이어 쏘(30)를 안내하도록 제공된 것이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23)는 모두 공전 롤러이다. 또한, 본 발명은 와이어 쏘(30)를 안내하는 것으로 가이드 롤러(23)를 채택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와이어 쏘(30) 안내시 마찰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다양한 부재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30)는 와이어 쏘 구동기(10)에 의해 구동되며 금속 재질의 와이어(31)와, 와이어(31)에 삽입 제공되며 복수 개의 만곡된 제 1 및 제 2 비드들(33)(34)이 각기 90°각도마다 인접 또는 원접되도록 대향 설치되어 있으며, 비드(33)(34)의 외주면을 제외하고는 내열성이 우수한 고무 또는 합성수지 계열의 수지 코팅층(35)으로 구성되고, 가이드 롤러(23)에 안내되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30)의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집진 커버부재(40)는 와이어 쏘(30)에 의한 절단 과정에서 발생되는 분진이 외부로 이탈, 부유되거나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와이어 쏘(30)와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절단면을 따라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집진 커버부재(40)는 경질 커버(41), 연질 커버(43) 및 접착층(45)으로 이루어지며, 경질 및 연질 커버(41)(43)는 합성 수지계열이 바람직하다. 또한, 신축성이 양호한 연질 커버(43)는 와이어 쏘(30)와 밀착되어 와이어 쏘(30)의 작동에 의하여 접촉되더라도 그 접촉된 일부분만이 마모된다. 그리고 연질 커 버(43)의 일측면에 제공된 접착층(45)은 탈, 부착이 수회 반복적으로 용이하며 일정의 두께를 갖고 완충성이 양호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진기(50)는 와이어 쏘(30)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절단시 와이어 쏘(30)가 집진 커버부재(40)를 통해 인출되는 위치로부터 토출되는 분진을 흡입하여 포집하도록 제공된 사이클론(51), 사이클론(51) 하부에 제공된 분진 포집통(53), 사이클론(51)과 연통되어 있으며 부유되는 미세 분진을 걸러낼 수 있도록 제공된 필터(55) 및 필터(55)의 후단부에 제공된 블로우(57)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집진기(50)는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미세 고형물이나 액체가 혼합된 미립자를 1차적으로 사이클론(51)의 원심력에 의해 침강시켜 분진 포집통(53)에 포집하고, 2차적으로 부유 상태의 마른 미세 분진은 필터(55)를 통해 포집한 후 블로우(57)를 통해 외기로 배기한다.
여기서, 블로우(57)의 토출 단부에는 실내에서 작업하는 경우에도 미세 분진으로 인한 작업자의 진폐증 등과 같은 질환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HEPA(High Efficiency Particulate Arresting) 필터(59)가 추가로 제공되어 있다. 또한, 필터(55), 블로우(57) 및 HEPA 필터(59)는 사이클론(51)과 연통된 별도의 케이싱(52)에 제공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 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30)는 와이어(31)와, 와이어(31)에 삽입되며 복수 개의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 1 비드(33)와 제 2 비드(34)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와이어(31)는 길이 방향으로의 변형은 없으나 유연한 강재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30)는 다이아몬드를 포함하는 소결합금인 제 1 비드(33)와 제 2 비드(34)로 이루어진다.
제 1 비드(33)는 90°각도마다 만곡,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비드(33)의 상부 및 하부는 우측 방향을 만곡되어 있고, 좌측부 및 우측부는 좌측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그리고, 제 2 비드(34)는 제 1 비드(33)와 면대칭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비드(33)(34)가 한 쌍을 이루며 이와 같은 단위체가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비드(33)(34)는 각기 상하 부분은 인접(N)되고 측부부은 원접(W)되도록 설치됨으로써, 인접부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삭능이 크고 원접부는 절삭능이 작아 톱을 켜는 듯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더욱이, 와이어 쏘(30)는 실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시 일정한 속도로 회전되기 때문에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90°각도마다 비드들(33)(34)의 인접부 및 원접부에 교대로 접촉되어 톱을 켜는 듯한 효과를 창출하여 우수한 절삭능을 구현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의한 인접된 비드들(33)(34)은 90°각도 마다 교대로 근접 또는 원접되도록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45°, 60°등으로 변형실시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비드들(33)(34)은 소결 다이아몬드 합금이거나 다이아몬드 세그먼트가 전착된 금속 부재이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드(37)은 금속편(37a) (37b) 사이에 다이아몬드 또는 CBN 지립(37c)이 샌드위치된 구성을 갖을 수도 있다. 여기서, 금속편(37a)(37b) 및 지립(37c)의 두께는 사용 목적에 따라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본 실시예인 비드(37)는 제 1 및 제 2 비드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인 'CBN'은 Cubic Boron Nitride이다.
수지 코팅층(35)은 제 1 및 제 2 비드들(33)(34)의 각 사이에 충전되어 있어 각각의 비드들(33)(34)를 파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비드들(33)(34)의 외주면만이 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수지 코팅층(35)은 내열성과 내마모성이 양호한 고무 또는 합성 수지계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지 코팅층(35)은 비드들(33)(34)의 원접부에 요홈(35a)이 형성되어 있어 실제 콘트리트 구조물의 절단시 절단 파쇄물의 배출 통로로 이용되며, 요홈(35a)의 중심 위치에는 리브(3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각기 인접된 비드들(33)(34)을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의 부분 교체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30)의 최초 상태는 전술된 도 3을 참조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구성 설명 등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 사용 전 와이어 쏘(30)는 와이어(31) 및 비드들(33)(34)에 수지 코팅층(35)이 형성되어 있되, 인접된 제 1 비드(31)와 제 2 비드(33)의 원접부에 요홈(3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요홈(35a)의 중심 부분에는 전술된 바와 같이 리브(35b)가 형성되어 있다.
(나) 와이어 쏘(30)는 사용과 동시에 비드들(33)(34)와 함께 수지 코팅층(35)이 벗겨진다.
(다) 사용에 따라, 와이어 쏘(30)의 일부 비드들(33)(34)이 마모된다.
(라) 위 (다)와 같이, 이렇게 마모된 비드들(33)(34)이 존재하는 부분을 절단하고, 신품 와이어 쏘(30')를 커넥터(70)를 이용하여 와이어(31)에 연결한다.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3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일부의 비드들이 다른 비드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많이 마모된 경우에 해당 부분을 제거한 후 신품 와이어 쏘(30')와 연결하여 사용하더라도 사용 중인 부분과 새로 교체된 부분이 아무런 문제없이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의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30)는 절단 작업 도중에도 문제가 발생된 부분만을 제거하고 신품 와이어 쏘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이 우수하고, 자원의 재활용으로 가격 경쟁력이 양호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와이어 쏘는 콘크리트 구조물, 석재 또는 철재의 절단시 비드의 외경 부분의 거리가 근접과 원접의 반복을 이루되 그 평균거리가 짧아 구조물의 모서리나 돌출된 부재 등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철근이 많은 부재 또는 강재의 절단시 비들가 밀리는 현상이 없어 안정적인 절단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와이어 쏘는 비드의 조립 구조상으로 근접된 부분의 경우는 비드와 비드의 사이에 필요량의 완충 소재만 존재하므로 비드의 길이 방향의 절단 하중을 비드가 개별적으로 받지 않고 인접하는 비드와 분산되어 받으므로 절단시 발생하는 길이 방향의 하중에 강한 저항력을 갖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종래의 와이어 쏘는 그 구조가 모두 각각의 독립된 비드가 있고 (피치: 대략 25 내지 33mm) 그 독립된 비드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서 비드 내부에 스틸 슬리브를 설치하고 그 슬리브위에 다이아몬드 비드를 위치하며 그 슬리브와 와이어를 수지 또는 고무로 충전하여 고정하는 방식을 갖는다. 이때, 비드가 길이 방향으로 하중을 많이 받는 작업의 경우에는 (고배근 부재 또는 철재 절단 등) 비드와 비드 사이에 스프링을 개재시켜 보강하는 구성을 갖는다.
더욱이, 종래의 와이어 쏘는 통상 11mm 내외의 외경을 갖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사용 과정에서 그 외경이 마모되며 일반적으로 초기 마모량에 비해 직경의 감소 비율이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며 급속하게 진전된다(원의 단면적 = 원주율 X 반지름의 제곱). 그러나 와이어 쏘의 작업 특성상 한 번 절단을 시작한 부재는 절단 도중에 새로운 와이어 쏘로 교체가 불가능하며, 또한 이는 피절단 구조물의 절단된 홈의 폭이 줄어든다는 의미로서 새로운 와이어 쏘가 그 홈에 들어가지 않아서 새 와이어로 작업을 계속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외경부분의 두께에 비해서 내경쪽으로 갈수록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와이어 쏘의 사용시 비드의 마모가 점점 빨라져서 부재의 절단을 완성할 수 없어 비드가 어느 정도 남아 있어 사용 가능한 와이어 쏘를 폐기하여야 하는 자원 낭비를 원천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도면에는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음).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는 비드 각각의 길이가 짧아서(통상 6.5mm, 본 발명의 경우 1.5 내지 2.5mm) 탁월한 절삭 성능을 낼 수 있으며, 이는 작업시 발열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신속하게 냉각되는 중요한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는 친환경 정책 또는 습식 해체가 불가능한 구조물의 해체에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와이어 쏘는 비드의 길이가 짧아 유연성이 우수하여 작업시 작업자의 피로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작업시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100)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된 가이드 부재(20)의 브라켓트(21)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을 따라 설치되고 와이어 쏘(30)는 와이어 쏘 구동기(10)와 가이드 부재(20)의 가이드 롤러(23)를 따라 연결하여 준비한다.
그런 다음, 집진 커버부재(40)는 상기 와이어 쏘(30)와 절단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부착된다.
이후, 와이어 쏘 구동기(10)가 작동되고, 와이어 쏘(30)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200)의 절단면이 절단됨과 동시에 발생되는 분진은 집진 커버부재(40)에 모여지게 되며 집진기(50)의 사이클론(51)을 통해 포집되어 분진 포집통(53)에 충전되며, 부유되는 미세 분진은 1차적으로 필터(55)에 포집되고 블로우(37)에 의해 강제 송풍되어 HEPA 필터(39)에 포집된 후 외기로 배기된다.
이와 같이 와이어 쏘 구동기(10)의 구동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200)이 절단 완료되면 와이어 쏘 구동기(10)와 집진기(50)를 정지시키고 와이어 쏘(30)를 제거하고 가이드 부재(20)를 탈거한 후, 주변을 정리하고 장치를 준비해제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고안은 전술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어 설명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의 변형 실시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임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 집진 커버부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와이어 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쏘의 부분 교체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와이어 쏘 구동기
20 : 가이드 부재 21 : 브라켓트
23 : 가이드 롤러
30 : 와이어 쏘 31 : 와이어
33 : 제 1 비드 34 : 제 2 비드
35 : 수지 코팅층
40 : 집진 커버부재 41 : 경질 커버
43 : 연질 커버 45 : 접착층
50 : 집진기 51 : 사이클론
53 : 분진 포집통 55 : 필터
57 : 블로우 59 : HEPA 필터
70 : 커넥터
100 :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200 : 콘크리트 구조물

Claims (8)

  1. 와이어 쏘 구동기와;
    절단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설치되는 브라켓트와, 상기 브라켓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 제공된 공전 가이드 롤러를 갖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와이어 쏘 구동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안내되어 설치된 와이어와, 만곡 형성되어 상기 와이어에 삽입된 제 1 비드와, 상기 제 1 비드와 대칭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비드와 인접되도록 상기 와이어에 삽입된 제 2 비드를 갖는 와이어 쏘와;
    상기 와이어 쏘를 감싸면서 절단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부착되는 집진 커버부재와;
    상기 집진 커버부재와 인접되게 설치된 사이클론과, 상기 사이클론과 연통되어 제공된 필터와, 상기 필터와 연통된 블로우와, 상기 블로우의 토출 단부에 제공된 HEPA 필터를 갖는 집진기와;
    상기 와이어, 제 1 비드 및 제 2 비드를 수지봉지하되, 상기 비드들의 외주면이 노출되도록 수지봉지하는 수지 코팅층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비드와 상기 제 2 비드가 한 쌍을 이루며 반복적으로 상기 와이어에 복수 개가 삽입되고, 인접된 상기 제 1 비드와 상기 제 2 비드는 일정한 각도마다 외주연들이 상호 인접되거나 원접되고,
    상기 비드들의 원접된 부분의 수지 코팅층에 요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들은 다이아몬드 소결합금 또는 다이아몬드 세그먼트가 전착된 금속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드들은 금속편 사이에 다이아몬드 또는 CBN 지립이 샌드위치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인접되게 상기 와이어에 삽입된 상기 제 1 및 제 2 비드는 90°각도마다 인접되거나 원접되도록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코팅층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의 중심부분에는 리브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쏘는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는 장치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해체하되,
    상기 가이드 부재의 브라켓트를 해체될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면에 취부하고 상기 와이어 쏘를 상기 와이어 구동기와 상기 가이드 롤러를 따라 설치하여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집진 커버부재를 상기 와이어 쏘와 절단될 콘크리트 구조물이 절단면에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와이어 쏘 구동기를 작동시켜 상기 와이어 쏘에 의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을 절단하되 절단시 발생되는 분진은 집진기에 흡입 포집되는 단계와;
    콘크리트 구조물의 절단이 완료된 경우 상기 와이어 쏘 구동기와 상기 집진기를 정지시키고 상기 와이어 쏘를 제거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를 탈거한 후 상기 장치를 준비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해체공법.
KR1020090113794A 2009-11-24 2009-11-24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KR1009589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794A KR100958984B1 (ko) 2009-11-24 2009-11-24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3794A KR100958984B1 (ko) 2009-11-24 2009-11-24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984B1 true KR100958984B1 (ko) 2010-05-20

Family

ID=42281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3794A KR100958984B1 (ko) 2009-11-24 2009-11-24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9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654B1 (ko) * 2012-05-23 2012-12-18 인영건설 주식회사 건식절단용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친환경 건식 절단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117A (ja) * 1995-04-28 1997-07-15 Diamant Boart Sa ダイヤモンドケーブルソーの連結要素及びかかる連結要素を備えたダイヤモンドケーブルソー
JP2000158232A (ja) 1998-12-01 2000-06-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ワイヤーソー
KR100590833B1 (ko) 2004-09-08 2006-06-19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쏘우용 비드 및 와이어 쏘우
KR100922110B1 (ko) 2009-05-25 2009-10-16 인영건설 주식회사 후-박 절단부가 교대로 형성된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83117A (ja) * 1995-04-28 1997-07-15 Diamant Boart Sa ダイヤモンドケーブルソーの連結要素及びかかる連結要素を備えたダイヤモンドケーブルソー
JP2000158232A (ja) 1998-12-01 2000-06-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ワイヤーソー
KR100590833B1 (ko) 2004-09-08 2006-06-19 이화다이아몬드공업 주식회사 와이어 쏘우용 비드 및 와이어 쏘우
KR100922110B1 (ko) 2009-05-25 2009-10-16 인영건설 주식회사 후-박 절단부가 교대로 형성된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654B1 (ko) * 2012-05-23 2012-12-18 인영건설 주식회사 건식절단용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친환경 건식 절단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115B1 (ko)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이용한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CN102361734B (zh) 对于研磨工具的粉尘收集
KR100922110B1 (ko) 후-박 절단부가 교대로 형성된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KR100958984B1 (ko) 입체 형상의 비드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US20150020418A1 (en) Cutting blade apparatus and methods
CN201900562U (zh) 用于打磨机的集尘装置
CN206983013U (zh) 一种切割石材刀片
KR100922111B1 (ko) 후-박 절단부가 교대로 형성된 다이아몬드 와이어 쏘와 사이클론 집진기를 구비한 콘크리트 구조물 해체장치 및 그를 이용한 해체공법
US20050126357A1 (en) Cutting tool and method of use
KR100958968B1 (ko) 입체 형상의 비드를 구비한 와이어 쏘
KR101335735B1 (ko) 사이크론의 구조
KR20110133325A (ko) 코어 드릴 장치
KR100943418B1 (ko) 입체 형상의 비드를 구비한 와이어 쏘
CN203973321U (zh) 建筑平面打磨装置
KR100958992B1 (ko) 입체 형상의 비드를 구비한 와이어 쏘
CN102658055A (zh) 多棱柱搅拌棒
KR101821398B1 (ko) 연마 휠
CN204639955U (zh) 连接金属法兰的金刚石切磨片
US11338410B1 (en) Dust removal assembly for use with disc grinder
CN219788024U (zh) 一种t型磨轮金刚石锯片
CN2587621Y (zh) 间隙型金刚石切磨片
CN216731146U (zh) 一种防尘罩及其打磨工装系统
CN212193347U (zh) 一种smc玻璃钢带除尘功能专用切割刀具
CN215052511U (zh) 一种适用范围广的路面修复用废料清理装置
CN209937340U (zh) 一种有序排列金刚石锯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