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749B1 - 열풍기 - Google Patents

열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749B1
KR100958749B1 KR1020090023498A KR20090023498A KR100958749B1 KR 100958749 B1 KR100958749 B1 KR 100958749B1 KR 1020090023498 A KR1020090023498 A KR 1020090023498A KR 20090023498 A KR20090023498 A KR 20090023498A KR 100958749 B1 KR100958749 B1 KR 10095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ustion
hot air
passage
saturated steam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산업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2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using flu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57Guiding means
    • F24H9/0063Guiding means in ai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52Details for air heaters
    • F24H9/0073Arrangement or mounting of means for forcing the circulation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7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8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fluid fu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도(濕度) 유지가 가능한 열풍을 발생 및 공급할 수 있는 열풍기를 개시한다.
그러한 열풍기는, 연소실을 구비한 연소부와, 상기 연소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된 열기를 유도하는 통로를 갖는 관체와, 상기 관체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통로 내부로 흐르는 열기에 의해 포화증기가 되도록 하는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와, 포화증기를 포함하는 열기를 상기 관체 밖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관체의 통로를 따라 유체의 와류 발생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상기 통로 상에서 슬러지 형태로 분리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 그리고, 상기 관체의 측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90023498
열풍, 포화증기, 실내 습도(濕度) 유지, 이물질 제거, 유지보수성 향상

Description

열풍기{heat blower}
본 발명은 특히 실내의 습도(濕度)가 가능한 열풍을 발생 및 공급할 수 있는 열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풍기는 난방장치 중에 하나로서, 주로 비닐하우스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예: 관체)을 양생(숙성)하는 양생실(숙성실) 등의 실내 온도 유지를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상기한 열풍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연소 열기를 발생하는 연소부와, 이 연소부와 연결되어 열기를 외부로 불어내는 배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연소부는 기름이나 가스를 원료로 사용하는 버너로 구성되며, 상기 배출부는 송풍팬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연소부에서 발생한 연소 열기를 상기 배출부에 의해 밖으로 강제 배출하면서 공급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열풍기에서 발생된 열기로 비닐하우스나 콘크리트 양생실(숙성실) 등의 실내 온도를 요구되는 온도 범위 내로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한 열풍기 구조에 의하면, 실내에 연소 열기를 공급하여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지만, 열기 공급에 의해 실내 습도(濕度)가 현저하게 낮아져서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풍기를 원예용 비닐하우스에 사용하면, 열기에 의해 실내가 과다하게 건조해져서 꽃이나 나무가 제대로 생장하지 못하고 시들거나 말라죽은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외에도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실(숙성실)에 열기를 공급하면, 실내가 건조해져서 양생(또는 숙성)을 위한 콘크리트 구조물(예: 관체)의 표면에 균열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은 상기 종래의 열풍기에서 만들어지는 열기(열풍)가 습기를 함유하지 않은 상태로 실내에 공급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실내의 습도(濕度) 유지가 가능한 열기를 발생 및 공급할 수 있는 열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연소실을 구비한 연소부;
상기 연소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된 열기를 유도하는 통로를 갖는 관체;
상기 관체 내부로 물을 공급하여 상기 통로 내부로 흐르는 열기에 의해 포화증기가 되도록 하는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
포화증기를 포함하는 열기를 상기 관체 밖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관체의 통로를 따라 유체의 와류 발생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상기 통로 상에서 슬러지 형태로 분리 제거하는 이물질제거수단;
상기 관체의 측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수단;
을 포함하는 열풍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연소부에서 발생한 연소 열기를 배출부에 의해 밖으로 강제 배출하는 방식으로 열풍을 간편하게 발생 및 공급할 수 있다.
특히, 연소부의 연소 열기가 흐르는 통로 상에 물을 공급하여 물이 열기에 의해 포화증기로 변환된 상태로 함께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포화증기를 포함한 상태로 열기(열풍)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실(숙성실) 내부가 과다하게 건조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연소 열기가 흐르는 통로 상에 유체의 와류가 발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예를 들어, 연소 열기에 의해 가열되는 물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예: 석회 성분)들이 통로 내부면에 슬러지 형태로 달라붙어서 이물질들이 제거된 상태로 포화증기를 공급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관체를 지칭한다.
상기 관체(2)는, 좌/우로 연장 형성된 통로(S1)을 구비하고, 바닥면에 설치 된 지지대(U) 위에서 상기 통로(S1)가 대략 수평한 상태가 되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관체(2)는 예를 들어, 원통(또는 다각통) 타입의 금속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통로(S1)는 후술하는 연소부(10)에서 연소불꽃(F)에 의해 발생한 연소 열기(A)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관체(2) 상에는 개폐수단(4)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수단(4)은 상기 관체(2)의 통로(S1)를 외부에서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상기 개폐수단(4)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관체(2) 측면부에는 개구부(Q)가 형성되고, 이 개구부(Q)와 대응하도록 상기 개폐수단(4)이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4)은 상기 개구부(Q) 전체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도어(D)로 구성되며,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D1)에 의해 상기 관체(2)의 외부면과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면서 상기 개구부(Q)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폐수단(4)은, 상기 도어(D)로 상기 개구부(Q)를 차단한 상태에서 시일(seal)이 유지되도록 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와 같이 접촉면 틈새 사이에 통상의 시일부재(D2, 예: 고무링이나 가스켓)를 설치하면 접촉 틈새로 유체가 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개폐수단(4)을 구비하면, 상기 관체(2)의 통로(S1)를 외부에서 간편하게 개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상기 통로(S1) 내부를 청소(슬러지 제거)할 때 한층 향상된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D)는 상기한 개폐 구조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예를 들어, 통상의 여닫이(회전 동작) 도어 방식 또는 미닫이(슬라이드 동작) 도어 방식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셋팅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개폐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는,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6)를 포함한다.
상기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6)는, 상기 관체(2) 내부로 물(W)을 공급하여 연소 열기(A)에 의해 물(W)이 가열되면서 포화증기(W1)가 발생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6)는 도 1에서와 같이 물탱크(T1)와, 펌프(T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탱크(T1)는 일정량의 물(W)을 저장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관체(2) 일측과 공급관(L1)으로 연결된다.(도 1참조)
그리고, 상기 펌프(T2)는 통상의 유체 펌프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물탱크(T1)에 담겨진 물을 상기 관체(2) 쪽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관(L1) 상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펌프(T2)의 흡입포트는 상기 물탱크(T1) 측과 연결되고, 배출 포트는 상기 관체(2) 측과 연결된 상태로 상기 공급관(L1) 상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펌프(T2)의 펌핑 압력에 의해 상기 물탱크(T1)의 물(W)을 상기 공급관(L1)을 통해 상기 관체(2) 쪽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6)는 물(W)을 예열(豫熱)한 상태로 공급할 수 있도록 셋팅하면 좋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후술하는 연소부(10)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예열실(H1)을 구비한 예열부(H)를 마련하고, 이 예열부(H)의 예열실(H1) 내부로 물(W)이 통과하면서 상기 관체(2) 쪽으로 공급되도록 상기 공급관(L1)을 연결(배관)하면 된다.
그러면, 상기 물탱크(T1)의 물(W)이 상기 관체(2) 쪽으로 공급될 때 상기 연소부(10)의 외부면과 열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예열실(H1)에서 일정 온도로 예열된 상태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열 구조에 의하면, 상기 관체(2) 내부에서 예열된 상태의 물(W)을 가열할 수 있으므로 포화증기(W1)를 더욱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예열 방식은 상기 연소부(10)에서 발생하는 연소 열기(A)를 이용하여 예열하는 것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예열 시간과 에너지 등을 절감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한편, 편,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는, 이물질제거수단(8)을 포함한다.
상기 이물질제거수단(8)은, 상기 관체(2) 내부에서 유체의 와류(渦流)를 발생시키면서 물(W)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예: 석회 성분)들을 상기 통로(S1) 상 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상기 이물질제거수단(8)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즉, 상기 이물질제거수단(8)은, 도 3에서와 같은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로 구성되며, 상기 관체(2)의 통로(S1)를 따라 와류구간(Y)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B1)가 상기 관체(2)의 통로(S1)를 따라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와류(渦流)를 원활하게 발생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예를 들어, 상기 블레이드(B)들은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관체(2)의 통로(S1) 일측 및 타측과 대응하는 테두리변 사이가 나선(螺線) 모양으로 비틀어진 상태로 각각 형성되고, 각 연결 지점에서 인접한 두 개의 테두리변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어긋난 상태로 연결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각 블레이드(B)들은 마주하는 테두리변 사이의 양쪽 외부면이 도 4에서와 같이 나선 모양으로 휘어진 상태의 가이드면(V)을 갖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B1)들을 연결하면,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의 전체 길이 내에서 적어도 한 군데 이상의 지점(블레이드들의 연결 지점)에서 유체의 와류 발생을 유도할 수 있는 와류구간(Y)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종(異種)의 유체(연소 열기와 물)가 통로(S1)를 따라 흐를 때 더욱 원활하게 섞이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블레이드(B1)들의 가이드면(V) 측에 골고루 부딪히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한 와류구간(Y)은 상기 연소부(10)에서 발생한 연소 열기(A)가 상기 통로(S1)를 따라 흐를 때 도 3에서와 같은 방향으로 와류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통로(S1)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흐르는 연소 열기(A)는 상기 블레이드(B)들의 가이드면(V)을 따라서 와류를 일으키는 상태로 흐를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통로(S1) 내부에서 연소 열기(A)가 와류를 일으키는 상태로 일측에서 타측으로 흐르면 상기 연소 열기(A)로 물(W)을 골고루 가열할 수 있으므로 포화증기(W1)를 더욱 원활하게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는, 상기 관체(2)의 통로(S1) 내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분리 가능한 구조(탈/부착 구조)이면 좋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통로(S1)의 내부면과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의 외부면에 서로 대응하는 끼움용 돌기(G1)와 홈(G1)을 형성하면, 이 끼움용 돌기(G1)와 홈(G2)들을 끼움 결합하면서 상기 통로(S1) 측에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를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관체(2)의 개구부(Q)를 통해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를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일체형의 구조와 비교할 때 한층 향상된 유지보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이물질제거수단(8)은, 상기 관체(2)의 통로(S1) 내부에서 유체의 와류를 일으키면서 물(W)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용이하게 걸러낼 수 있다.
즉, 상기 연소 열기(A)와 물(W)이 도 3에서와 같이 와류를 일으키면서 상기 통로(S1)를 따라 흐르게 되므로 상기 와류구간(Y) 내에서 블레이드(B1)들의 가이드면(V) 측에 물(W)이 지속적으로 직접 부딪혀서 물(W) 중에 함유된 이물질들이 상기 블레이드(B1)들의 가이드면(V) 표면에 슬러지 형태로 쉽게 달라붙을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관체(2) 측에 석회 성분이 포함된 물(W, 예: 석회수)을 공급하면 상기 블레이드(B1)들의 가이드면(V) 표면에 석회 성분이 슬러지 형태로 달라붙으면서 걸러질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걸리진 석회 슬러지들은 상기 관체(2)의 개구부(Q)를 통해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B) 표면을 주기적으로 세척(청소)하는 방식으로 제거하면 된다.
그러므로, 상기한 본 발명은 상기 관체(2) 측에 공급되는 물(W)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들을 상기와 같이 와류구간(Y) 내에서 슬러지 형태로 간편하게 걸러내면서 제거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는, 연소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연소부(10)는, 연소 불꽃(F)을 발생하는 버너(F1, burner)와, 연소실(F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버너(F1)는 가스를 연소 원료로 사용하는 가스 버너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소실(F2) 내부를 향하여 연소 불꽃(F)을 발생할 수 있도록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F1)는, 가스 중에서 LPG(Liquefied Petroleum Gas)를 연소 원료로 사용하면 좋다.
특히, LPG는 일반 보일러용(산업용) 연소 연료로 사용하는 벙커씨유와 비교할 때 발화점이 높아서 착화(着火)가 용이하고 연소 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연소시 인체에 유해한 배출 가스량이 매우 적으므로 환경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F2)은 내부에 연소공간(S2)을 구비한 원통(또는 다각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1에서와 같이 바닥면에 설치된 지지대(U) 위에 배치되어 상기 관체(2)의 통로(S1) 일단과 상기 연소 공간(S2)이 서로 연통되도록 통상의 방법(예: 볼팅, 용접)으로 연결 고정된다.
상기 버너(F1)는 상기 연소실(F2)의 연소공간(S2) 일측에 도 1에서와 같이 설치되어 연소 불꽃(F)에 의해 발생하는 연소 열기(A)가 상기 관체(2)의 통로(S1)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흐를 수있도록 셋팅된다.
상기 연소실(F2)은, 도 1에서와 같이 이중관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연소실(F2) 내부의 단열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연소실(F2)의 외부면이 과다하게 발열하여 각종 안전 사고(예: 화상)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연소부(10)는 연소불꽃(F)으로 연소 열기(A)를 발생하고, 연소 열기(A)로 물(W)을 가열하여 포화증기(W1)를 만들 수 있도록 작동된다. 이처럼 열기(A) 중에 포화증기(W1)가 포함되면 실내의 습도(濕度)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는, 배출부(12)를 포함한다.
상기 배출부(12)는, 포화증기(W1)를 포함하는 열기(A)를 상기 관체(2) 밖으로 배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배출부(12)는 송풍기(K)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체(2)의 단부(배출측)와 대응하도록 도 1에서와 같이 배치된다.
상기 송풍기(K)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전기를 공급받아서 작동하는 송풍용 팬(K1)을 구비한 통상의 전동 송풍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관체(2) 내부의 연소 열기(A)를 밖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셋팅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송풍기(K)의 흡입포트는 상기 관체(2)의 배출측 단부와 연결되고, 배출포트는 별도의 배출관(L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배출관(L2)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열풍기의 사용 용도에 따라 해당 공간(실내)으로 원활하게 배출 공급이 가능하도록 배관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6)와 연소부(10), 배출부(12)들은 예를 들어,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대(U) 일측에 설치된 통상의 콘트롤박스(C)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제어가 가능하도록 셋팅하면 좋다.
이처럼, 콘트롤 박스(C)를 이용한 제어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는, 포화증기(W1)를 포함하는 열기(A)를 간편하게 발생 및 공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어, 비닐하우스나 콘크리트 구조물의 양생실(숙성실)의 실내의 온도 유지를 위하여 사용할 때 실내가 과다하게 건조해지면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물(W) 중에 포함된 각종 이물질(예: 석회 성분)들이 걸러진 상태로 포화증기(W1)의 공급이 가능하므로 실내의 오염 방지는 물론이거니와, 쾌적한 습도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의 전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의 개폐수단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열풍기의 이물질제거수단의 세부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관체 4: 개폐수단 6: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
8: 이물질제거수단 10: 연소부 12: 배출부

Claims (9)

  1. 연소실을 구비한 연소부;
    상기 연소실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소부에서 연소된 열기를 유도하는 통로를 갖는 관체;
    상기 연소부의 연소된 열기로 가열되면서 포화증기가 되도록 상기 관체의 통로 내부로 물을 공급하는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
    포화증기를 포함하는 열기를 상기 관체 밖으로 강제 배출하는 배출부;
    상기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 후방에서 상기 관체의 통로를 따라 유체의 와류 발생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물 중에 포함된 이물질들을 상기 통로 상에서 슬러지 형태로 분리 제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와류발생용 블레이드로 구성되는 이물질제거수단;
    상기 관체의 측면부를 개방 또는 차단할 수 있도록 형성된 개폐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와류발생용 블레이드는,
    상기 관체의 통로를 따라 연결 배치된 복수 개의 블레이드들로 이루어지고,
    상기 블레이드들은,
    상기 관체의 통로 일측 및 타측과 대응하는 테두리변 사이가 나선 모양으로 휘어진 상태의 가이드면을 구비하고, 상기 통로 내부의 각 연결 지점에서 인접한 테두리변들이 서로 평행하지 않게 어긋난 상태로 끼움용 돌기와 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 상기 통로 상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연소실의 외부면과 대응하는 예열실로 구성되어 상기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에서 상기 관체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예열실 내부에서 상기 연소실의 외부면과 열 교환이 이루어져 예열된 상태로 공급되도록 셋팅되는 예열부를 더 포함하는 열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원통 또는 다각형의 금속관을 사용하는 열풍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관체의 측면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개폐가 가능하게 형성된 도어로 구성되는 열풍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화증기 발생용 유체공급부는,
    물탱크와, 펌프로 구성되며,
    상기 물탱크에 담겨진 물이 상기 펌프의 펌핑에 의해 상기 관체의 통로 측으로 공급되도록 셋팅되는 열풍기.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는,
    LPG를 연소 원료로 사용하는 가스 버너를 포함하며,
    상기 가스 버너는,
    연소불꽃으로 상기 연소실 내부에 연소 열기를 발생하는 열풍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송풍용 팬을 구비한 송풍기로 구성되며,
    상기 관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연소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포화증기가 포함된 열기를 상기 송풍용 팬의 구동에 의해 상기 관체 밖으로 강제 배출할 수 있도록 셋팅되는 열풍기.
  9. 삭제
KR1020090023498A 2008-11-10 2009-03-19 열풍기 KR100958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11007 2008-11-10
KR1020080111007 2008-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749B1 true KR100958749B1 (ko) 2010-05-19

Family

ID=42281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3498A KR100958749B1 (ko) 2008-11-10 2009-03-19 열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7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43U (ko) * 1998-09-22 1998-12-05 김남환 간이스팀세차기
KR200188260Y1 (ko) * 2000-02-22 2000-07-15 이몽식 폐기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 장치
KR100496805B1 (ko) * 2002-11-25 2005-06-22 최진민 보일러용 배플 플레이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43U (ko) * 1998-09-22 1998-12-05 김남환 간이스팀세차기
KR200188260Y1 (ko) * 2000-02-22 2000-07-15 이몽식 폐기열을 이용한 온수 가열 장치
KR100496805B1 (ko) * 2002-11-25 2005-06-22 최진민 보일러용 배플 플레이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94390B (zh) 一种用于油烟机的自清理排风风机
CN103900111B (zh) 生物质燃料余热回收炉灶
CN106123009B (zh) 一种锅炉鼓风装置
KR100958749B1 (ko) 열풍기
CN203810456U (zh) 生物质多功能炉灶
CN101082424B (zh) 燃气灶具
CN204678413U (zh) 一种醇基液体燃料气化灶及其风式富氧助燃恒温装置
CN102718273B (zh) 一种含油废水蒸发浓缩设备及其浓缩方法
KR101210512B1 (ko) 연료절감형 축열식 연소장치
KR20060077810A (ko) 온수 보일러
CN202671243U (zh) 一种含油废水蒸发浓缩设备
KR100652889B1 (ko) 보일러용 버너
CN110274385A (zh) 模块化锅炉
KR200312509Y1 (ko) 스팀 기능을 갖는 온수 보일러
US1226868A (en) Heater.
CN212520769U (zh) 一种醇基燃料气流下降式烤烟房
CN203810460U (zh) 生物质燃料余热回收炉灶
CN209558671U (zh) 一种生物质暖风机
CN216346399U (zh) 新型引风结构的生物质采暖炉
CN212930027U (zh) 一种集装箱撬装式沼气火炬系统
CN209726767U (zh) 一种粮食烘干机的谷物观察装置
EP2499438A2 (en) Heat exchanger with improved exhaust gas discharge device
CN208751028U (zh) 一种用于处理妥尔油的导热油炉
KR100282670B1 (ko) 폐타이어 소각열을 이용한 보일러 장치
CN208536012U (zh) 一种不凝气体焚烧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