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589B1 -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589B1
KR100958589B1 KR1020080064603A KR20080064603A KR100958589B1 KR 100958589 B1 KR100958589 B1 KR 100958589B1 KR 1020080064603 A KR1020080064603 A KR 1020080064603A KR 20080064603 A KR20080064603 A KR 20080064603A KR 100958589 B1 KR100958589 B1 KR 100958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node
type
handover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5464A (ko
Inventor
박수홍
김평수
김영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4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589B1/ko
Publication of KR20080075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5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6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control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types of networks in order to establish a new radio link in the target networ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양한 통신망들이 혼재된 환경에서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제 1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은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이동 노드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포함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노드가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예측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리 핸드오버를 준비하여 보다 고속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handover}
본 발명은 무선 통신 환경에서 핸드 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양한 통신망들이 혼재된 환경에서 고속으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3GPP(3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IEEE 802.11, 블루투스(Bluetooth)는 무선 통신에 관한 여러 가지 규격들이다.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양한 통신망들이 혼재된 환경에서 다양한 통신망들을 이용할 수 있는 이동 노드(Mobile Node, MN)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 노드는 다양한 통신망들을 지원하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하고 있다. 이동 노드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 노드가 위치한 통신망의 종류가 변경되면, 이동 노드가 현재 위치한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이동 노드가 어떤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다가 다른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터페이스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동 통신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들이 급격히 증가되고, 멀티미디어 통신을 지원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가 활성화되면서, 이동 중인 사용자에게 끊김 없는 통신(seamless communication)을 서비스하는 것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고속 핸드오버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이동 노드가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들을 모두 이네이블(enable)시킨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였기 때문에 핸드오버에 대비하여 모든 인터페이스들을 항상 이네이블시킨 상태에 두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동 노드가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예측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리 핸드오버를 준비하여 보다 고속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고, 상기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제 1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포함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제 1 핸드 오버 수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망 정보 확인부; 및 상기 망 정보 확인부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핸 드오버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제 2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제 2 핸드 오버 수행 장치는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망 신호 판별부; 및 상기 망 신호 판별부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제 1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된 제 2 핸드 오버 수행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노드가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예측하게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미리 핸드오버를 준비하여 보다 고속의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 노드가 현재 사용 중인 인터페이스만을 이네이블시킨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이동 노드의 전력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이동 노드는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 감소의 효용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제 1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제 1 통신 환경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양한 통신망들이 혼재된 환경으로써,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 내부에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 위치하고 있다. 본 통신 환경은 이해를 돕기 위해 아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 구현될 통신 환경은 도시된 노드들 이외에도 많은 다른 노드들이 추가될 수 있다.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은 이동 노드(1), 제 1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21), 제 2 액세스 포인트(22), 및 액세스 라우터(Access Router, AR)(3)로 구성된다.
이동 노드(1)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통신 단말이다. 본 실시예에서 이동 노 드(1)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한다.
제 1 액세스 포인트(21) 및 제 2 액세스 포인트(22)는 이동 노드(1)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노드이다. IEEE 802.11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송출되는 전파의 유효 거리, 즉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영역을 BSS(Basic Service Set)라고 한다. 도 1에서는 제 1 액세스 포인트(21)가 관리하는 영역을 제 1 BSS, 제 2 액세스 포인트(22)가 관리하는 영역을 제 2 BSS로 표기하였다.
액세스 라우터(3)는 이동 노드(1)로부터 제 1 액세스 포인트(21) 또는 제 2 액세스 포인트(22)를 경유하여 수신된 신호를 액세스 라우터(3)가 위치하고 있는 서브넷(subnet)으로 전송하는 라우터이다.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은 이동 노드(1), RBS(Radio Base Station)(4), 및 SGSN(Serving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5)로 구성된다.
RBS(Radio Base Station)(4)는 이동 노드(1)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노드이다. 도 1에서는 RBS(4)로부터 송출되는 전파의 유효 거리, 즉 RBS(4)가 관리하는 영역을 3GPP 도메인으로 표기하였다.
SGSN(5)은 RBS(4)와 GGSN(Gateway GPRS Support Node)(미도시)의 중간 지점에서 3GPP 백본(미도시)을 경유하여 RBS(2)와 GGSN(4)을 연결하는 노드이다.
도 1에 도시된 제 1 통신 환경에서 이동 노드(1)는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 및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BBS 1 및 BBS 2를 통과하여 3GPP 도메인으로 이동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제 2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제 2 통신 환경은 서로 다른 통신 규격들을 따르는 다양한 통신망들이 혼재된 환경으로써,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Wireless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내부에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 위치하고 있다. 본 통신 환경은 이해를 돕기 위해 아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며, 실제로 구현될 통신 환경은 도시된 노드들 이외에도 많은 다른 노드들이 추가될 수 있다.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은 상기된 바와 동일하며, 생략하기로 한다.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은 이동 노드(1), BS(Base Station)(6), 및 액세스 라우터(7)로 구성된다.
BS(6)는 이동 노드(1)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노드이다. 도 2에서는 BS(6)로부터 송출되는 전파의 유효 거리, 즉 BS(6)가 관리하는 영역을 IEEE 802.16 도메인으로 표기하였다.
액세스 라우터(7)는 이동 노드(1)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액세스 라우터(3)가 위치하고 있는 광역망으로 전송하는 라우터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2 통신 환경에서 이동 노드(1)는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 및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복수 개의 인터페이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BBS 1 및 BBS 2를 통과하여 IEEE 802.16 도메인으로 이 동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 2 AP(22)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스캔 신호 생성부(221), 망 정보 삽입부(222), 및 신호 송신부(223)로 구성된다. 제 2 AP(22)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스캔 신호에 이동 노드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삽입함으로써 이동 노드(1)가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예측하게 할 수 있다.
스캔 신호 생성부(221)는 이동 노드(1)가 제 2 AP(22)를 스캔하기 위하여 필요한 신호, 즉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를 생성한다. IEEE 802.11 규격에 따르면, 이러한 스캔 신호에는 비컨 프레임(beacon frame)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이 있다. 비컨 프레임은 제 2 AP(22)가 주기적으로 송신하는 신호이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이동 노드(1)로부터 수신한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에 대한 응답 신호이다. 전자를 수동적 스캐닝(passive scanning)이라 하고, 후자를 능동적 스캐닝(active scanning)이라고 한다.
망 정보 삽입부(222)는 스캔 신호 생성부(221)에서 생성된 스캔 신호에 이동 노드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삽입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통신 환경 상에서는 제 1 종 망이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 되고, 제 2 종 망은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이 된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제 2 통신 환경 상에서는 제 1 종 망이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 되고, 제 2 종 망은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이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IEEE 802.11 규격 상의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은 프레임 제어 필드(frame control field)(401), 기간 필드(duration field)(402), 목적지 주소 필드(destination address field)(403), 발신지 주소 필드(source address field)(404), BSS 아이디 필드(Basic Service Set ID field)(405), 순서 제어 필드(sequence control field)(406), 프레임 바디 필드(frame body field)(407), 및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frame check sequence)(40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프레임 제어 필드(frame control field)(401)는 프로토콜 버전 필드(protocol version field)(4011), 타입 필드(type field)(4012), 서브타입 필드(subtype field)(4013), 및 기타 필드들로 구성된다.
IEEE 802.11 규격에 따르면, 관리 프레임의 타입 필드의 값은 0이다. 따라서, 관리 프레임에 속하는 비컨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타입 필드의 값도 0이다. 다만, 비컨 프레임의 서브타입 필드의 값은 1000이고,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서브타입 필드의 값은 0101이다.
비컨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는 타임 스탬프 필드(time stamp field)(4071), 비컨 간격 필드(beacon interval field)(4072), 성능 정보 필드(capability information field)(4073), TIM 필드(Traffic Indication Map)(4074), 및 기타 필드들로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는 타임 스탬프 필드(4075), 비컨 간격 필드(4076), 성능 정보 필드(4077), TIM 필드(4078), 및 기타 필드들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성능 정보 필드(4073, 4077)는 ESS 필드(Extended Service Set field)(40731), IBSS 필드(Independent BSS field)(40732), CF 폴 가능 필드(Contention Free pollable)(40733), CF 폴 요청 필드(Contention Free poll request)(40734), 프라이버시 필드(privacy field)(40735), 및 DID 필드(Domain Identifier field)(40736)로 구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에 망 정보를 삽입하기 위하여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 4077)의 보류 필드(reserved field)의 일 부분을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는 이 부분을 DID(Domain Identifier)로 표시하였다. 예를 들어, DID 필드에는 IEEE 802.11을 나타내는 00, 3GPP를 나타내는 01, IEEE 802.16을 나타내는 10 등이 기록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신호 송신부(223)는 망 정보 삽입부(222)에 의해 망 정보가 삽입된 스캔 신호를 이동 노드(1)로 송신한다. 즉, 신호 송신부(223)는 망 정보가 삽입된 비컨 프레임을 주기적으로 송신하거나,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써 망 정보가 삽입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동 노드(1)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신호 수신부(11), 신호 판별부(12), 셀 정보 확인부(13), 셀 변경 결정부(14), 망 정보 확인부(15), 인터페이 스 이네이블부(16), 망 변경 결정부(17),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18), 및 핸드오버 수행부(19)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핸드오버 수행부(19)는 셀간 핸드오버 수행부(191) 및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192)로 구성된다.
신호 수신부(11)는 이동 노드(1)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제 2 AP(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다만, 이동 노드(1)는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스캔 신호 판별부(12)는 신호 수신부(11)에 수신된 신호가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즉, 스캔 신호 판별부(12)는 제 2 AP(22)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 2 BSS를 표시하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인 지를 판별한다. 신호 수신부(11)에 수신된 신호의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000이면, 신호 수신부(11)에 수신된 신호는 비컨 프레임이고,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0101이면, 신호 수신부(11)에 수신된 신호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이다.
셀 정보 확인부(13)는 스캔 신호 판별부(12)에서 스캔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이 신호에 포함된 셀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프레임의 일종인 비컨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BSS 아이디 필드(405)를 포함한다. 이 BSS 아이디 필드(405)에는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BSS의 아이디가 기록되어 있다. 셀 정보 확인부(13)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BSS 아이디 필드(405)를 참조하여 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셀 변경 결정부(14)는 셀 정보 확인부(13)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 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셀 변경 결정부(14)는 셀 정보 확인부(13)에서 확인된 BSS의 아이디가 이전에 확인된 BSS의 아이디와 동일하지 않으면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셀간 핸드오버 수행부(191)는 스캔 신호 판별부(12)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셀간 핸드오버 수행부(191)는 셀 변경 결정부(14)에서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셀 변경이 단순한 BSS의 변경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만을 수행하고, 셀 변경이 서브넷의 변경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링크 계층 및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망 정보 확인부(15)는 신호 수신부(11)에 수신된 신호가 이동 노드(1)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 즉, 망 정보 확인부(15)는 도 4에 도시된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 4077)의 보류 필드 중 DID 필드(40736)를 참조하여 확인한다. 왜냐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망 정보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 4077)의 보류 필드 중 DID 필드(40736)에 기록되기 때문이다.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16)는 망 정보 확인부(15)에서 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킨다. 즉,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16)는 망 정보 확인부(15)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 DID 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고, 망 정보 확인부(15)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 DID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킨다.
망 변경 결정부(17)는 이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망 변경 결정부(17)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16)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망 변경 결정부(17)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미약한 경우에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고 결정하고,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18)는 망 변경 결정부(17)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disable)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노드(1)가 현재 사용 중인 인터페이스만을 이네이블시킨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모든 인터페이스들을 이네이블시킨 상태로 두어야 한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이동 노드의 전력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동 노드는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 감소의 효용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192)는 망 정보 확인부(15)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 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192)는 망 변경 결정부(17)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18)에서 디스에이블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중지하고,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16)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시작한다. 이때,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192)는 망 변경 결정부(17)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망 변경 결정부(17)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AP(22)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제 2 AP(22)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된 제 2 AP(22)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제 2 AP(22)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제 2 AP(22)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도 적용된다.
51 단계에서 제 2 AP(22)는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 호를 생성한다.
52 단계에서 제 2 AP(22)는 51 단계에서 생성된 스캔 신호에 이동 노드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삽입한다.
53 단계에서 제 2 AP(22)는 52 단계에 의해 망 정보가 삽입된 스캔 신호를 이동 노드(1)로 송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이동 노드(1)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된 이동 노드(1)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동 노드(1)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이동 노드(1)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도 적용된다.
61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이동 노드(1)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제 2 AP(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62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1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즉, 62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제 2 AP(22)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 2 BSS를 표시하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인 지를 판별한다.
63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2 단계에서 스캔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이 신호에 포함된 셀 정보를 확인한다.
64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3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65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4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65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4 단계에서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66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1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이동 노드(1)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확인한다. 즉, 66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도 4에 도시된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 4077)의 보류 필드 중 DID 필드(40736)를 참조하여 확인한다. 왜냐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망 정보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407)의 성능 정보 필드(4073, 4077)의 보류 필드 중 DID 필드(40736)에 기록되기 때문이다.
67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6 단계에서 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킨다. 즉, 67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6 단계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고, 66 단계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 네이블시킨다.
68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이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68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16)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68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미약한 경우에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고 결정하고,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69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8 단계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시킨다.
610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6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610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8 단계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69 단계에서 디스에이블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중지하고, 67 단계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시작한다. 이때, 610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68 단계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68 단계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AP(22)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스캔 신호 생성부(224), 망 신호 생성부(225), 및 신호 송신부(226)로 구성된다. 제 2 AP(22)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액세스 포인트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새로운 신호, 즉 망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이동 노드(1)가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예측하게 할 수 있다.
스캔 신호 생성부(224)는 이동 노드(1)가 제 2 AP(22)를 스캔하기 위하여 필요한 신호, 즉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를 생성한다. IEEE 802.11 규격에 따르면, 이러한 스캔 신호에는 비컨 프레임과 프로브 응답 프레임이 있다.
망 신호 생성부(225)는 이동 노드(1)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를 생성한다. 도 1에 도시된 제 1 통신 환경 상에서는 제 1 종 망이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 되고, 제 2 종 망은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이 된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제 2 통신 환경 상에서는 제 1 종 망이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 되고, 제 2 종 망은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이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ID(Domain Identifier)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IEEE 802.11 규격 상의 관리 프레임(management frame)은 프레임 제어 필드(801), 기간 필드(802), 목적지 주소 필드(803), 발신지 주소 필드(804), BSS 아이디 필드(805), 순서 제어 필드(806), 프레임 바디 필드(807), 및 프레임 검사 순서 필드(808)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프레임 제어 필드(801)는 프로토콜 버전 필드(8011), 타입 필드(8012), 서브타입 필드(8013), 및 기타 필드들로 구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가 서브넷의 경계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새로운 신호, 즉 새로운 프레임을 정의하기 위하여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서브타입 필드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망 신호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서브타입 필드의 값을 0110-0111 중 어느 하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값은 아직 IEEE 802.11 규격에서 지정되지 않은 값들이다. 타입 필드의 값 0은 관리 프레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망 신호임을 나타내기 위하여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0110-0111 중 어느 하나로 설정된 관리 프레임을 DID 프레임으로 명명하기로 한다.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신호 송신부(226)는 스캔 신호 생성부(224)에서 생성된 스캔 신호 또는 망 신호 생성부(225)에서 생성된 망 신호를 이동 노드(1)로 송신한다. 즉, 신호 송신부(226)는 이동 중인 이동 단말에게 자신이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스캔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 노드가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리기 위하여 망 신호를 송신한다.
이동 노드(1)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는 신호 수신부(71), 신호 판별부(72), 셀 정보 확인부(73), 셀 변경 결정부(74), 망 신호 판별부(75), 인터페이 스 이네이블부(76), 망 변경 결정부(77),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78), 및 핸드오버 수행부(79)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핸드오버 수행부(79)는 셀간 핸드오버 수행부(791) 및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792)로 구성된다.
신호 수신부(71)는 이동 노드(1)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제 2 AP(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다만, 이동 노드(1)는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 내에 위치하고 있어야 한다.
스캔 신호 판별부(72)는 신호 수신부(71)에 수신된 신호가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즉, 스캔 신호 판별부(72)는 제 2 AP(22)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 2 BSS를 표시하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인 지를 판별한다. 신호 수신부(71)에 수신된 신호의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1000이면, 신호 수신부(71)에 수신된 신호는 비컨 프레임이고, 타입 필드의 값이 0이고, 서브타입 필드의 값이 0101이면, 신호 수신부(71)에 수신된 신호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이다.
셀 정보 확인부(73)는 스캔 신호 판별부(72)에서 스캔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이 신호에 포함된 셀 정보를 확인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 프레임의 일종인 비컨 프레임, 프로브 응답 프레임은 BSS 아이디 필드(405)를 포함한다. 이 BSS 아이디 필드(405)에는 액세스 포인트가 관리하는 BSS의 아이디가 기록되어 있다. 셀 정보 확인부(73)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BSS 아이디 필드(405)를 참조하여 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셀 변경 결정부(74)는 셀 정보 확인부(73)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 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셀 변경 결정부(74)는 셀 정보 확인부(73)에서 확인된 BSS의 아이디가 이전에 확인된 BSS의 아이디와 동일하지 않으면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한다.
셀간 핸드오버 수행부(791)는 스캔 신호 판별부(72)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셀간 핸드오버 수행부(791)는 셀 변경 결정부(74)에서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때, 셀 변경이 단순한 BSS의 변경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링크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만을 수행하고, 셀 변경이 서브넷의 변경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링크 계층 및 IP(Internet Protocol) 계층에서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망 신호 판별부(75)는 신호 수신부(71)에 수신된 신호가 이동 노드(1)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즉, 망 신호 판별부(75)는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801)의 타입 필드(8012) 및 서브타입 필드(8013)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판별한다.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76)는 망 신호 판별부(75)에서 망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킨다. 즉,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76)는 망 신호 판별부(75)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나타내는 DID 프레임인 것으로 판별되면,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고, 망 신호 판별부(75)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나타내는 DID 프레임인 것으로 판별되면,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 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킨다.
망 변경 결정부(77)는 이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망 변경 결정부(77)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76)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망 변경 결정부(77)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미약한 경우에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고 결정하고,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78)는 망 변경 결정부(77)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노드(1)가 현재 사용 중인 인터페이스만을 이네이블시킨 상태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모든 인터페이스들을 이네이블시킨 상태로 두어야 한다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그 결과, 이동 노드의 전력 소모를 대폭 줄일 수 있게 되었다. 특히, 이동 노드는 휴대용 배터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력 소모 감소의 효용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792)는 망 신호 판별부(75)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792)는 망 변경 결정부(77)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78)에서 디스에이블 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중지하고,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76)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시작한다. 이때, 망간 핸드오버 수행부(792)는 망 변경 결정부(77)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망 변경 결정부(77)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AP(22)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제 2 AP(22)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된 제 2 AP(22)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제 2 AP(22)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제 2 AP(22)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도 적용된다.
91 단계에서 제 2 AP(22)는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를 생성한다.
92 단계에서 제 2 AP(22)는 91 단계에서 생성된 스캔 신호를 이동 노드(1)로 송신한다.
93 단계에서 제 2 AP(22)는 이동 노드(1)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를 생성한다.
94 단계에서 제 2 AP(22)는 93 단계에서 생성된 망 신호를 이동 노드(1)로 송신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1)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로 구성된다. 본 이동 노드(1)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은 상기된 이동 노드(1)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이동 노드(1)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본 이동 노드(1)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에도 적용된다.
101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이동 노드(1)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제 2 AP(22)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102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1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제 2 AP(22)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즉, 102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제 2 AP(22)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제 2 BSS를 표시하는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인 지를 판별한다.
103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2 단계에서 스캔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이 신호에 포함된 셀 정보를 확인한다.
104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3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105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4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105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4 단계에서 이동 노드(1)가 위치한 셀이 변경된 것으로 결정되면,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106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1 단계에서 수신된 신호가 이동 노드(1)가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인 지를 판별한다. 즉, 106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801)의 타입 필드(8012) 및 서브타입 필드(8013)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판별한다.
107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6 단계에서 망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킨다. 즉, 107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6 단계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나타내는 DID 프레임인 것으로 판별되면,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고, 106 단계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나타내는 DID 프레임인 것으로 판별되면,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킨다.
108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이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 여부를 결정한다. 즉, 108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107 단계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108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수신된 신호의 강도가 미약한 경우에는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계속적으로 사용하기가 불가능하다고 결정하고,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한다.
109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8 단계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시킨다.
1010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6 단계에서의 확인에 기초하여 이동 노드(1)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즉, 1010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8 단계에서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109 단계에서 디스에이블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중지하고, 107 단계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의 사용을 시작한다. 이때, 1010 단계에서 이동 노드(1)는 108 단계에서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108 단계에서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IEEE 802.11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으로 변경하는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이상에서는 이동 단말(1)이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으로부터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 또는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으로 이 동하는 경로를 고려한 실시예들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이동 노드가 상기된 경로와 다른 경로를 고려한 실시예들도 상기된 기술을 바탕으로 본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 또는 IEEE 802.16 규격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으로부터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으로 이동하는 경로를 고려한 실시예들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이때에는 3GPP 규격 또는 IEEE 802.16 규격에 맞는 프레임 포맷을 사용하여 이동 노드에게 새로운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려줄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 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제 1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제 2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컨 프레임 및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에서의 제 1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제 2 핸드오버 수행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DID(Domain Identifier) 프레임의 포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에서의 제 2 핸드오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노드에서의 제 2 핸드오 버 수행 방법의 흐름도이다.

Claims (16)

  1.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포함하는 지를 확인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는 단계;
    (c)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e) 상기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노드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망은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고, 상기 제 2 종 망은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 또는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IEEE 802.11 규격 상의 비컨 프레임 또는 프로브 응답 프레임의 프레임 바디 필드의 성능 정보 필드의 보류 필드에 기록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 오버 수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지를 확인하는 망 정보 확인부;
    상기 망 정보 확인부에서 상기 망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는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시키는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하는 망 변경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상기 망 변경 결정부에서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 오버 수행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망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는 단계;
    (c)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8 항에 있어서,
    (e) 상기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노드가 관리하는 셀을 표시하는 스캔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d) 단계는 상기 (e) 단계에서의 판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셀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망은 IEEE 802.11 규격 기반의 무선 랜이고, 상기 제 2 종 망은 3GPP 규격 기반의 셀룰러 망 또는 IEEE 802.16 기반의 무선 도시권 통신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망 신호 확인부는 IEEE 802.11 규격 상의 관리 프레임의 프레임 제어 필드의 서브타입 필드에 기록된 값을 참조하여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이종 망들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노드에서의 핸드 오버 수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노드를 제 1 종 망에 연결하는 노드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상기 이동 노드가 상기 제 1 종 망으로부터 제 2 종 망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망 신호인 지를 판별하는 망 신호 판별부;
    상기 망 신호 판별부에서 상기 망 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이네이블시키는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디스에이블시키는 인터페이스 디스에이블부; 및
    상기 인터페이스 이네이블부에서 이네이블된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이동 노드가 위치한 망의 종류의 변경에 따른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핸드오버 수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의 사용 환경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을 결정하는 망 변경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핸드오버 수행부는 상기 망 변경 결정부에서 상기 제 2 종 망을 지원하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기로 결정되면,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6.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에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80064603A 2008-07-03 2008-07-03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0958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603A KR100958589B1 (ko) 2008-07-03 2008-07-03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603A KR100958589B1 (ko) 2008-07-03 2008-07-03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8936A Division KR100891110B1 (ko) 2004-06-28 2004-06-28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64A KR20080075464A (ko) 2008-08-18
KR100958589B1 true KR100958589B1 (ko) 2010-05-18

Family

ID=39879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603A KR100958589B1 (ko) 2008-07-03 2008-07-03 핸드오버 수행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5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25A (ko) * 2002-12-05 200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9125A (ko) * 2002-12-05 2004-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로 다른 이동통신시스템들 사이의 핸드오버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5464A (ko) 2008-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9670B2 (en) Handover method and handover apparatus
KR102475657B1 (ko) 무선 통신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EP3354087B1 (en) Broadcast ranging messages for wlan rtt measurements
JP6878297B2 (ja) 近接サービスリレーの選択
US10517108B2 (en)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354829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チャンネルスキャン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4570655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macレイヤハンドオフレイテンシを低減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US8374152B2 (en) Cell selection system, cell sel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9749942B2 (en) Wi-Fi power saving based on coarse motion classification information
JP2017153149A (ja) フェムトアクセスポイントの検出のための帯域外スキャニング
EP2679066B1 (en) Providing small cell information to user equipments in a heterogeneous network environment
KR20150077438A (ko) 공존 무선 시스템들 사이의 시스템 간 호 스위칭
KR20110115164A (ko) 간섭 비콘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WO2013033574A2 (en) Femtocell timing synchronization using mobile device messaging
TWM343994U (en) Mobility procedures and differentiated charging in home node-Bs
CN104041119B (zh) 无线基站以及移动台
US20140057635A1 (en) Positioning-assisted cell selection and handover for lte
Tuysuz An energy-efficient QoS-based network selection scheme over heterogeneous WLAN–3G networks
EP3072354B1 (en) Relay capable wireless apparatuses
WO2015024228A1 (zh) 信号测量方法和装置
TW201503721A (zh) 具有非-保證位元率(non-gbr)通道載具的使用者設備之交遞技術
CN102917392A (zh) 小区测量和测量控制的方法及设备
CN104125623A (zh) 无线局域网发现方法、控制器、用户设备及网络接入设备
JP2016524836A (ja) ゲートウェイ発見レイヤ2移動性のための機構
US8363622B1 (en) Mobile-station-initiated removal of a high-congestion sector from the active s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