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537B1 - 소형 수동식 펌프 - Google Patents

소형 수동식 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537B1
KR100958537B1 KR1020070064819A KR20070064819A KR100958537B1 KR 100958537 B1 KR100958537 B1 KR 100958537B1 KR 1020070064819 A KR1020070064819 A KR 1020070064819A KR 20070064819 A KR20070064819 A KR 20070064819A KR 100958537 B1 KR100958537 B1 KR 100958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haft
opening
stem
clo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0906A (ko
Inventor
이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우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우실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우실업
Priority to KR1020070064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537B1/ko
Publication of KR200900009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09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Sealing arrangements around pump actuating 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73Springs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샤워용품 또는 화장품 용기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소형 수동식 펌프로서, 토출구가 형성된 버튼,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중공 구조의 하우징, 하우징을 용기에 장착하는 클로우져, 샤프트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하우징 캡, 하우징 캡의 내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며 버튼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 샤프트의 하부 내측면과 결합되어 있고, 샤프트와의 접촉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직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하기 압축 스프링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만입홈이 형성된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스템,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며 스템의 수직 유로를 개폐하는 피스톤, 펌프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 및 펌핑시 하우징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구조의 수동식 펌프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동식 펌프는 조립과정이 간편할 뿐 만 아니라, 특정한 형상의 개폐부재에 의해 하우징 하단의 유입구가 개폐되므로 펌핑시 높은 밀봉력과 펌핑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형 수동식 펌프 {Small Hand-operated Pump}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수동식 펌프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펌프의 가압 모드 하에서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펌프를 구성하는 개폐부재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펌프를 구성하는 스템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펌프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의 평면도, 측면도들 및 저면도이다.
본 발명은 샤워 용품 또는 화장품 용기 등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소형 수동식 펌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토출구가 형성된 버튼,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하우징을 용기에 장착하는 클로우져, 하우징을 밀폐하는 하우징 캡, 하우징 캡의 내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샤프트, 샤프트와 연결되어 있 고 샤프트와의 접촉면 상에 수직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스템, 상하 운동을 하며 스템의 수직 유로를 개폐하는 피스톤, 펌프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 스프링 및 펌핑시 하우징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된 수동식 펌프에 관한 것이다.
소형 수동식 펌프는 그 편리성으로 인하여 액체 또는 에멀션 내용물을 일정량씩 토출하는 샤워용품 또는 화장품 용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수동식 펌프는 내용물을 용기에 보관하면서 일정량씩 손쉽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특징으로 인해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에 대한 관련 기술도 꾸준히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소형 수동식 펌프의 주요 구성을 보면,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 하우징을 용기에 장착하는데 사용되는 클로우져, 버튼의 토출구와 연통되어 있고 하우징를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스템, 상기 스템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며 스템을 버튼에 연결하는 샤프트, 상기 스템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는 피스톤, 하우징의 내면 하부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하우징 하단의 유입구를 개폐하는 볼 등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동식 펌프는 몇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상기 종래의 소형 수동식 펌프의 구조에서, 그것의 작동을 위해 복잡한 구조와 많은 부품이 사용되며,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곧 제조 공정이 복잡해짐과 동시에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을 가진다.
둘째, 하우징 내부로 외부로부터 물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유입된다. 이 러한 현상은 반복되는 펌핑으로 부품의 조립시 밀착되는 부위가 이격되면서 발생하며, 주로 하우징 캡과 샤프트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어 내용물과 혼합되고, 또한, 펌프의 작동부위로 유입된 이물질에 의해 정상적인 펌핑이 어렵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셋째, 하우징 하단 유입구의 개폐용 볼은 하우징 내부 공간의 압력 변화와 중력의 작용에 의해 유입구를 개폐하는 동작을 하므로, 펌핑 작업에 신속히 대응하지 못하고 높은 밀봉력도 제공하기 어렵다. 따라서, 펌핑 작업시 일부 내용물이 용기쪽으로 누출될 수 있고, 신속한 개폐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인해 펌핑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표출된다. 또한, 구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폐용 볼의 구조에 의해 하단 유입구와 개폐용 볼이 밀착되는 단면적이 좁아지게 되는 문제점도 표출된다.
넷째, 개폐용 볼은 하우징 하단 유입구에 대한 개폐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금속볼이 사용된다. 그러나 금속볼은 소재가 금속이므로 플라스틱 소재에 비해 가격이 비싸고, 또한 내용물과 화학반응을 일으키므로 내용물을 오염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들이 개발되었으나, 아직 만족할 만한 효과를 제공하는 수동식 펌프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과 과거로부터 요청되어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부품을 적게 사용하고 제조하기 용이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펌프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켜 제조 원가를 줄이고, 사용 중에도 고장의 위험성이 적은 수동식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유입되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도록 개선된 구조의 수동식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종래의 개폐용 볼 대신에 특정한 구조의 개폐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밀봉력과 펌핑력을 발휘할 수 있는 수동식 펌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동식 펌프는,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기 샤프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버튼(button);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중공 구조의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 외면에 체결되고 하우징을 용기에 장착하는 클로우져;
하우징의 상단 개구에 장착되고, 하기 샤프트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하우징 캡;
하기 스템의 외면에 체결된 상태로 하기 하우징 캡의 내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며 버튼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
샤프트의 하부 내측면과 결합되어 있고, 샤프트와의 접촉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직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하기 압축 스프링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만입홈이 형성된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스템;
샤프트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며 스템의 수직 유로를 개폐하는 피스톤;
펌핑시 스템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스템의 하단 연장부의 만입홈과 하우징 하단 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 스프링; 및
하우징 내부공간의 하단에 위치하며, 펌핑시 하우징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수동식 펌프는, 내용물의 펌핑을 위해 버튼을 누르면 하우징 캡과 버튼 사이에 위치한 압축 스프링이 압축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하우징 내부공간의 내용물은 스템의 수직 통로를 통해 버튼의 토출구로 배출되며, 반대로 버튼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의 복원력이 샤프트에 전달되어 용기내의 내용물이 하우징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게 된다.
하나의 바람직한 예에서, 상기 수직 유로는 스템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요철 돌기와 샤프트 내면 사이에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템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다수의 요철 돌기들이 샤프트의 내면과 밀착되면서 스템의 본체와 샤프트 내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시키며, 상기 요철 돌기들 사이의 빈 공간을 따라 펌프의 내용물이 유동할 수 있는 수직유로가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템의 외주면 상에 요철 돌기들을 형성하는 구조('리브 구조')는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 가공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조되므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부품 수를 줄일 수 있으며 조립성도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템의 하단에는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다단식 형상의 중공형 연장부가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하단에는 상기 중공형 연장부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다단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펌핑을 위한 스템의 하강은 상기 연장부가 하우징 하단의 다단식 내면 구조에 맞물리면서 종료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펌프의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샤프트 및 샤프트와 연결된 스템이 하강하게 되며, 다단식 내면 구조와 스템의 하부 구조가 서로 맞물리면서 하강이 종료되므로, 무리한 가압에 의해 펌프 내부를 구성하는 다양한 부재들이 파손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하우징의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는 상기 개폐부재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형 부재로서 측면에 방사형 돌기들이 바깥으로 향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펌프를 눌렀을 때 하우징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개폐부재를 압박하게 되며, 따라서 개폐부재가 하단 유입구를 밀봉시키는 밀봉력이 상승된다. 상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구조는 하우징 내부의 압력을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하단 유입구에 밀착되므로 밀봉력이 크게 상승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펌프의 하우징 하단 유입구에 개폐부재의 이탈을 막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방사형 돌기들이 걸림턱에 의해 상하 운동의 범위가 한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부재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금속볼이 아닌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하우징 내부의 내용물과 화학반응이 발생하지 않고 금속볼보다 가격이 저렴하므로 안전성 측면과 경제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하단 유입구의 내면에는 걸림턱과 함께, 개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환상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 돌기의 내측 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개폐부재는 하단 유입구의 걸림턱과 환상 돌기 사이에서 상하 운동을 하는 구조로써 하단 유입구가 개폐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예를 들어, 상기 개폐부재는 환상 돌기와 밀착되는 면이 U 자 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환상 돌기의 내측 단부도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서 개폐부재와 밀착되는 면은 유연한 곡면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개폐부재와 환상돌기의 각각의 절곡된 외측 면이 서로 분리되거나 밀착되면서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밀착되는 부위는 개폐부재와 환상돌기의 절곡된 면을 밀착시킴으로써, 밀착되는 부위의 단면적이 증가되고, 따라서 개폐부재와 환상돌기의 밀봉력을 향상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샤프트의 내면에 접하는 하우징 캡의 내측 실린더 부위는, 하우징 내부 공간의 밀폐력을 높여 외부로부터 물과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측 실린더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상향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물질은 샤프트의 외주면과 하우징 케이스의 내면이 접촉하는 계면을 통해 하우징 내로 흡입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하우징 캡의 내측 실린더 부위를 외측 실린더 부위보다 높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상호간의 밀폐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소재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성형의 용이성 및 가격 등을 고려하여, 폴리프로필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등의 폴리에틸렌, 폴리옥시메틸렌(POM) 등과 같은 합성수지들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스테인리스 금속 소재로 만들어지며,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지만, 이는 본 발명의 더욱 용이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수동식 펌프의 수직단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소형 수동식 펌프(100)는 그것의 최상부에 버튼(200)을 포함하고 있다. 버튼(200)은 그것의 측면을 향하는 토출구(210)를 포함하고 있고, 샤프트(700)에 결합되는 체결부(220)가 버튼의 중앙 안쪽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 다. 펌프(100)의 주요 외관은 다단식의 직경을 가진 대략 원통형의 하우징(300)과 펌프(100)를 용기(도시하지 않음)에 장착하는 역할을 하는 클로우져(400)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300)과 클로우져(400)는 굴곡진 형상의 하우징 캡(500)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다. 하우징 캡(500)은 하우징 내부공간("S")을 외부로부터 밀봉함과 동시에 샤프트(70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한다. 압축 스프링(600)은 스템(800)의 하단 연장부에 형성되어 있는 만입홈(830)과, 다단식 직경을 가지는 하우징(300)에서 직경이 변화하면서 형성되는 턱(320) 사이에 장착된다.
샤프트(700) 내의 수직 통로(710)와 하우징(300)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S)은 샤프트(700)의 외면과 하우징(300) 내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는 피스톤(900)에 의해 개폐된다. 하우징 내부공간(S)은 유입구(310) 바로 위쪽에 위치한 개폐부재(1000)의 작동에 의해 개폐된다.
도 1은 버튼(200)에 아무런 힘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하, "휴식 모드"로 칭함)의 펌프(100)를 나타내고 있는 바, 압축 스프링(600)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700)의 수직 통로(710)와 하우징(300) 사이에 형성된 내부공간(S)은 피스톤(900)에 의해 밀폐되어 있다.
버튼(200)에 하강 압력이 가해진 상태(이하, "가압 모드"로 칭함)의 펌프가 도 2에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가압 모드에서 샤프트(700)의 하강에 의해 스템(800)도 동시에 하강하게 되고, 스템(800)의 만입홈(830)과 하우징(300)의 턱(320) 사이에 위치한 압축 스프링(600)은 압축된다.
펌프(200)를 누름과 동시에 샤프트(700)와 샤프트(700)의 내면에 장착되어 있는 스템(800)이 하강하면서 하우징(300) 내부의 내용물은 압력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압력에 따라 내용물은 스템(800)을 통과하여 샤프트(700)의 수직 통로(710)로 유입되고, 개폐부재(1000)를 하부 방향으로 밀어내어 하우징(300)의 하단부에 위치한 유입구(310)를 폐쇄시킨다.
한편, 피스톤(900)의 외연부(910)가 하우징(300)의 내면에 대해 갖는 마찰력이 내연부(920)가 스템(800)의 외면에 대해 갖는 마찰력 보다 크므로, 샤프트(700)에 형성된 측면 돌출부(720)의 하단이 피스톤(900) 내연부(920)의 상단에 도달할 때까지 피스톤(900)은 움직이지 않는다. 따라서, 샤프트(700)의 수직 통로(710)와 하우징(300) 사이의 내부공간(S)은 상호 개방되고, 하우징 내부공간(S)에서 가압된 내용물이 화살표 표시와 같이 스템(800)의 수직유로(850)를 통해 샤프트(700)의 수직 통로(710)로 유입되어 상승하게 된다.
다시, 휴식 모드 상태의 도 1을 참조하면, 압축 스프링(600)의 복원력에 의해 샤프트(700)와 스템(800)이 동시에 상승하게 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피스톤(900)의 외연부(910)와 내연부(920)의 이원화된 마찰력으로 인해, 내연부(920)가 스템(800)의 중공형 연장부(도 4: 820)에 접촉하게 될 때까지 피스톤(900)은 움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700)의 수직 통로(710)와 하우징(300) 사이의 내부공간(S)은 상호 밀폐된 상태로 스템(800)은 상승하게 되고, 하우징 내부공간(S)의 압력 저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 저하는 개폐부재(1000)가 개방되면서 하우징(300)의 내부공간(S)으로 내용물이 유입되면서 해소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 1의 펌프(100)를 구성하고 있는 일부 요소들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에는 도 1의 펌프를 구성하는 개폐부재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가 함께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개폐부재(1000)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형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폐부재(1000)의 측면에는 방사형 돌기(1010)가 바깥을 향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방사형 돌기(1010)는 하우징(300)의 하단 유입구(도1: 310)에 형성된 걸림턱(도1: 330)에 의해 하우징(300)의 내부공간(도1: S)으로 개폐부재(1000)가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재(1000)는 수직 단면상 U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조립시 탄력적으로 가압되면서 걸림턱(도1: 330)과 환상 돌기(도1: 340) 사이의 부위로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개폐부재(1000)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형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하우징(도1: 300) 내부의 압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하단 유입구(도1: 310)에 밀착되고, 밀봉력을 더욱 상승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4에는 도 1의 펌프를 구성하는 스템의 평면도, 측면도 및 저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도 2와 함께 참조하면, 스템(800)은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형 본체(810)와, 중공형 본체(810)와 연결되면서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다단식 형상을 가진 연장부(820)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펌핑을 위한 스템(800)의 하강은 연장부(820)가 하우징 하단의 다단식 내면 구조에 맞물리면서 종료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연장부(820)의 하단에는 만입홈(830)이 형성되어 있어서 압축 스프링(600)의 상단이 만입홈(830)에 삽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스템(800)은 샤프트(700)의 하부 내측면과 결합되어 있고, 샤프트(700)와의 접촉면 상에 수직 유로들(8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의 가압모드에서 하우징(300)의 내부공간(S)에 있던 내용물은 스템(8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철 돌기(840)와 샤프트(700)의 내면 사이에 형성된 수직 유로(850)를 따라 상승한 후 버튼(200)에 형성된 토출구(210)를 경유하여 소량씩 펌프(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5에는 도 1의 펌프를 구성하는 하우징 캡의 평면도, 측면도들 및 저면도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도 1과 같이 참조하면, 하우징 캡(500)은 하우징(300)의 상단 개구에 장착되어 하우징(300)의 내부 공간(S)을 펌프(100)의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며, 샤프트(700)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기 위해 중공형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샤프트(700)의 외면에 접하는 하우징 캡(500)의 내측 실린더 부위(510)는, 샤프트(700)와 하우징 캡(500) 사이의 밀폐력을 높여 외부로부터 물과 같은 이물질이 하우징(300)의 내부 공간(S)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외측 실린더 부위(520)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H)로 상향 연장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형 수동식 펌프는 부품을 적 게 사용하고 제조하기 용이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펌프의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제조 원가를 줄이며, 사용 중에도 고장의 위험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개폐용 볼 대신에 특정한 구조의 개폐부재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밀봉력과 펌핑력을 발휘할 수 있고, 하우징 캡의 내측 실린더 부위를 외측 실린더 부위보다 높은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외부로부터 하우징 내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토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기 샤프트의 상단에 장착되는 버튼(button);
    펌프의 외관을 구성하는 중공 구조의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 외면에 체결되고 하우징을 용기에 장착하는 클로우져;
    하우징의 상단 개구에 장착되고, 하기 샤프트의 상하 운동을 안내하며, 하우징의 내부공간을 외부로부터 밀봉시키는 하우징 캡;
    하기 스템의 외면에 체결된 상태로 하기 하우징 캡의 내면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며 버튼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
    샤프트의 하부 내측면과 결합되어 있고, 샤프트와의 접촉면 상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직 유로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 하기 압축 스프링의 상단이 삽입될 수 있는 만입홈이 형성된 하단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는 스템;
    샤프트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로 하우징의 내벽을 따라 상하 운동을 하며 스템의 수직 유로를 개폐하는 피스톤;
    펌핑시 스템에 복원력을 제공하며, 스템의 하단 연장부의 만입홈과 하우징 하단 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 스프링; 및
    하우징 내부공간의 하단에 위치하며, 펌핑시 하우징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단이 개방된 중공형 부재로서 측면에 방사형 돌기들이 바깥으로 향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하단 유입구의 내면에는 개폐부재에 의해 밀폐되는 환상 돌기 및 개폐부재의 이탈을 막기 위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하우징 하단 유입구의 걸림턱과 환상 돌기 사이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구조로서 하우징 하단 유입구를 개폐하며, 상기 환상 돌기의 내측 단부는 하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수직 유로는 스템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요철 돌기와 샤프트 내면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템은 양측면이 개방된 중공형 본체와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증가하는 다단식 형상의 중공형 연장부로 구성되어 있고,
    샤프트의 외면에 접하는 상기 하우징 캡의 내측 실린더 부위는, 샤프트와 하우징 캡사이의 밀폐력을 높여 외부 환경에 대한 하우징 내부 공간의 밀폐력을 높일 수 있도록, 외측 실린더 부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로 상향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하단에는 상기 중공형 연장부에 대응하여 하부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다단식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펌핑을 위한 스템의 하강은 상기 연장부가 하우징 하단의 다단식 내면 구조에 맞물리면서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식 펌프.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70064819A 2007-06-29 2007-06-29 소형 수동식 펌프 KR100958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819A KR100958537B1 (ko) 2007-06-29 2007-06-29 소형 수동식 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819A KR100958537B1 (ko) 2007-06-29 2007-06-29 소형 수동식 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906A KR20090000906A (ko) 2009-01-08
KR100958537B1 true KR100958537B1 (ko) 2010-05-18

Family

ID=40484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819A KR100958537B1 (ko) 2007-06-29 2007-06-29 소형 수동식 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5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78Y1 (ko) * 2002-06-25 2002-10-04 (주)민진 디스펜서
KR200311101Y1 (ko) * 2002-12-21 2003-04-26 (주)민성산업 플러그식 판스프링을 이용한 용기의 토출구조
KR100468605B1 (ko) * 2004-06-16 2005-02-02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KR20050104754A (ko) * 2004-04-29 2005-11-03 주식회사 종우실업 개선된 소형 수동식 펌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778Y1 (ko) * 2002-06-25 2002-10-04 (주)민진 디스펜서
KR200311101Y1 (ko) * 2002-12-21 2003-04-26 (주)민성산업 플러그식 판스프링을 이용한 용기의 토출구조
KR20050104754A (ko) * 2004-04-29 2005-11-03 주식회사 종우실업 개선된 소형 수동식 펌프
KR100468605B1 (ko) * 2004-06-16 2005-02-02 주식회사 아폴로산업 액체 저장용기의 펌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0906A (ko) 200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9180B1 (ko) 소형 수동식 펌프
US8672191B2 (en) Manual spray pump
US7578417B2 (en) Airless type cosmetic container with quantified contents discharging, contents leakage preventing and contents deterioration preventing functions
JP7342156B2 (ja) 全プラスチック製乳液ポンプ
CN211077083U (zh) 喷雾泵
KR200416530Y1 (ko)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KR102123187B1 (ko) 펌프 용기
KR102120009B1 (ko) 펌프 용기
KR200421315Y1 (ko) 에어리스 배출펌프를 가진 화장품용기
KR20090000905A (ko) 소형 수동식 펌프
KR20090007715U (ko) 튜브 내장형 에어리스 화장품용기
KR100958537B1 (ko) 소형 수동식 펌프
JP3240348U (ja) エコポンプ方式の化粧品容器
KR200475969Y1 (ko) 벤딩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102177661B1 (ko)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제작 설비의 배관용 체크 밸브
KR101443837B1 (ko) 화장품 용기의 펌프
KR200281525Y1 (ko) 화장품용기의 펌핑장치
CN111655067B (zh) 流体容器
KR200261015Y1 (ko) 디스펜서
KR200295501Y1 (ko) 도립상태에서도 작동가능한 수동식 분사펌프
KR200358294Y1 (ko) 개선된 소형 수동식 펌프
KR102556042B1 (ko) 화장품용기
KR200468098Y1 (ko) 신규한 구조의 용기 캡
KR200475205Y1 (ko) 관절형 스템구조가 구비된 펌프
KR102145131B1 (ko) 펌프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