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397B1 -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397B1
KR100958397B1 KR1020090092512A KR20090092512A KR100958397B1 KR 100958397 B1 KR100958397 B1 KR 100958397B1 KR 1020090092512 A KR1020090092512 A KR 1020090092512A KR 20090092512 A KR20090092512 A KR 20090092512A KR 100958397 B1 KR100958397 B1 KR 100958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ction signal
jellyfish
object detection
breakwater
ima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원
Original Assignee
(주)한국해양과학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국해양과학기술 filed Critical (주)한국해양과학기술
Priority to KR102009009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3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24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electric shocks, magnetic fields or microwa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Bird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발생신호를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발전소 취수구가 설치된 해수영역을 둘러싼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해수에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전기발생장치를 포함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센서와 초음파 센서는 어느 정도 투명한 물체를 감지하면, 그것을 해파리로 인지하고, 제어부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켜 해파리에 전기충격을 가함으로써,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해파리, 퇴치, 전류, 전기충격, RGB, 초음파센서, 카메라, 영상센서, 전선

Description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Jellyfish elimination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센서와 초음파 센서는 어느 정도 투명한 물체를 감지하면, 그것을 해파리로 인지하고, 제어부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켜 해파리에 전기충격을 가함으로써,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들어서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온이 높은 하절기에 해파리가 연안해역에 대량으로 출현하여 물고기와 함께 혼획됨으로써 어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는 바, 해파리로 인한 어업 피해의 유형은 함정어구인 정치망 뿐만아니라 자루형 그물을 사용하는 트롤, 저인망, 안강망, 권현망, 낭장망, 주목망과 같은 조업방식 및 걸어구인 자망 등을 포함한 거의 모든 어업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함정어구인 정치망 등의 경우에는 선박을 이용하여 정치망어구를 수면으로 양망시키되, 정치망어구의 일부가 바닷속에 잠기게 하여 어획물이 밀집상태를 이루도록 한 다음 어구로부터 어획물을 선박의 갑판으로 퍼 올리는 작업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해파리의 촉수에 의한 어획물의 손상을 최소화시켜 어획물의 선도(鮮度)를 최대한으로 유지시키기 위해서는 어획물로부터 해파리를 신속하게 분리시켜 어구밖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정치망어구의 내부에서 어획물과 함께 밀집되는 해파리를 어획물과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까다롭게 될 뿐만 아니라, 해파리와 어획물의 분리를 거의 수작업에 의존하여야 함으로서, 어획물과 해파리의 분리작업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어업환경을 더욱 열악하게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해파리 분리작업의 지연에 따른 어획물의 선도저하 및 작업자의 피부가 해파리의 독에 노출됨에 따라 작업자의 인체에 손상을 입히는 것과 같은 부차적인 문제점을 야기시켰을 뿐만아니라, 이러한 각종 요인들로 인하여 출몰되는 해파리의 양이 너무 많을 경우에는 조업자체를 포기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2001년 8월10일 경북 울진의 원자력연구소가 보름달물해파리의 급습을 받았다. 이날 하루동안 10시간에 걸쳐 약 2,000t의 물해파리가 울진 원자로 1호기, 2호기의 취수구에 모여들어 원자력발전소에 비상이 걸렸다. 해파리떼가 취수구를 가로막아 몇차례 원자력 발전이 중단되었으며 피해액만도 수억원에 달했다.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자 한국해양연구원에 해파리 격퇴의 특명이 떨어졌다.
원자력발전소의 취수구란 발전기를 돌리는 과정에서 생긴 열과 증기를 식히기 위해 바닷물을 끌어들이는 곳이다. 취수구 주위는 파도를 막기 위해 방파제로 둘러싸여 있으며 취수구 바로 앞은 랙과 철망(스크린)으로 가려져 있다. 이들 철망 은 3~4㎜의 구멍으로 촘촘하게 막혀 있어 이물질이 들어오지 못하고 물만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해파리떼가 극성을 부릴 경우 취수구가 막히는 사건이 종종 발생한다. 크기 15㎝의 해파리는 점액질이 많아 그물망에 달라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물이 취수구로 들어가지 못하게 방해한다. 물이 들어오지 않으면 원자로가 과열돼 원자력발전이 자동 중단된다. 이러한 현상은 해파리떼가 극성을 부리는 여름에 가장 심각하다. 또 봄과 가을에는 멸치, 새우떼가 취수구를 막아 원자력발전에 피해를 준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센서와 초음파 센서는 어느 정도 투명한 물체를 감지하면, 그것을 해파리로 인지하고, 제어부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켜 해파리에 전기충격을 가함으로써,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파리가 아닌 움직이는 다른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해파리가 아닌 다른 물체가 전기충격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발생장치간의 간격만큼 감쇄된 전류가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도록 전류를 발생시켜, 최소한의 전류를 이용하여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발생신호를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 및 발전소 취수구가 설치된 해수영역을 둘러싼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해수에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전기발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는, 상기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어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의 불투명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센서; 및 상기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센서와 동일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2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해저 동일지점에서의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는, 상기 방파제의 내부 일측단과 타측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기발생장치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바다의 깊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고, 제어부가 해저 동일지점에서의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각각의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전기발생장치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발생장치간의 간격만큼 감쇄된 전류가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도록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센서로부터 해저 특정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저 타 지점에서의 제1 물체감지신호 및 제2 물체감지신호에는 관계없이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센서는,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석부는 현재의 해저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과 직전에 상기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 픽셀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영상센서는, 영상분석시 상기 두 촬영영상의 RGB값 분포를 비교할 때,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임계값으로서 민감도를 설정하는 민감도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석부는 상기 두 촬영영상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의 차이가 상기 민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민감도 이상인 경우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는, 상기 각 카메라의 렌즈는 관측각도가 180°이상인 어안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방법은, (a)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된 영상센서가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센서가, 현재의 해저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과 직전에 상기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 픽셀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분포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민감도 이상이면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 (c)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된 초음파센서가 상기 영상센서와 동일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감지하여 물체가 감지된 경우 제2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 (d) 제어부가 해저 동일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방파제의 입구 양 끝단에 설치된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상기 방파제의 내부 일측단과 타측단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바다의 깊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각 와이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는, 제어부가 상기 영상센서로부터 해저 특정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저 타 지점에서의 제1 물체감지신호 및 제2 물체감지 신호에는 관계없이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 방법은, 상기 영상센서는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각 카메라 렌즈는 관측각도가 180°이상인 어안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영상센서와 초음파 센서는 어느 정도 투명한 물체를 감지하면, 그것을 해파리로 인지하고, 제어부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켜 해파리에 전기충격을 가함으로써,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해파리가 아닌 움직이는 다른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해파리가 아닌 다른 물체가 전기충격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발생장치간의 간격만큼 감쇄된 전류가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도록 전류를 발생시켜, 최소한의 전류를 이용하여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에 있어서, 방파제에 전기발생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해파리 퇴치 장치는 제어부(110), 전기발생장치(120), 영상센서(130), 초음파센서(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와 전기발생장치(120), 영상센서(130) 및 초음파센서(14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할 수 있으나, 무선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10)는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발생신호를 전기발생장치(120)에 전송한다.
전기발생장치(120)는 발전소(10) 취수구가 설치된 해수영역을 둘러싼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전기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해수에 전기충격을 발생한다.
영상센서(130)는 두 개의 카메라(131), 영상 분석부(132), 민감도 설정부(133)를 포함한다.
영상센서(130)는 상기 방파제(10)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어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의 불투명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두 개의 카메라(131)는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을 촬영한다. 상기 각 카메 라(131)의 렌즈는 관측각도가 180°이상인 어안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분석부(132)는 상기 카메라(131)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한다.
상기 영상분석부(132)는 현재의 해저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과 직전에 상기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 픽셀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상기 영상센서(130)는, 영상분석시 상기 두 촬영영상의 RGB값 분포를 비교할 때,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임계값으로서 민감도를 설정하는 민감도설정부(133)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영상분석부(132)는 상기 두 촬영영상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의 차이가 상기 민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민감도 이상인 경우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카메라(131)가 해파리를 촬영할 경우, 해파리는 거의 투명하기 때문에 현재의 해저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에 있는 해파리와 직전에 상기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에 있는 해파리의 RGB값의 변화가 거의 없다.
따라서, 해파리의 경우, 상기 영상분석부(132)는 상기 두 촬영영상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의 차이가 상기 민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민감도 이하이기 때문에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초음파센서(140)는, 상기 방파제(10)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며, 초음파를 만들어 송출하고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차를 계산하거나, 송출한 초음파가 수신될 때 상기 초음파의 수신량의 변화나 세기를 비교하여 물체의 유무를 감지한다.
초음파센서(140)는, 상기 영상센서(130)와 동일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2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부(110)가 해저 동일지점에서의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즉 어느 정도 투명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발생장치(120)에 전송하면, 상기 전기발생장치(120)는 전기충격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영상센서(130)와 초음파센서(140)가 각각 피사체의 3차원 위치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하는데, 영상센서(130)는 카메라가 2개이고, 각 카메라는 피사체의 촬영 각도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2개의 촬영각도선상의 교차점이 피사체의 3차원 위치가 되므로, 피사체의 3차원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센서(140)는 송출하는 초음파의 각도를 알 수 있고, 대상 물체와의 거리 역시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3차원 위치를 알 수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영상센서(130)로부터 해저 특정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저 타 지점에서의 제1 물체감지신호 및 제2 물체감지신호에는 관계없이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그 이유는, 해파리 외에 해파리가 아닌 다른 물체가 있을 경우에 상기 해파리가 아닌 다른 물체가 전기충격으로 인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전기발생장치(120)는 해파리만이 출현하였을 때에만, 제어부(110)로부터 상기 전기발생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해파리에게만 전기충격을 주게됨으로써, 안전하게 해파리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에 있어서, 방파제에 전기발생장치가 다수 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부(110)와 전기발생장치(120), 영상센서(130) 및 초음파센서(140)는 유선 또는 무선통신할 수 있으나, 무선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센서(130) 및 초음파센서(140)는 방파제 양측에 각각 1개씩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발생장치들(120)은 와이어(150)에 고정되는데, 이 와이어(150)는 제어부(110)와 전기발생장치(120), 영상센서(130) 및 초음파센서(140)가 유선 통신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신호들을 송수신할 수 있는 전선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 경우의 전선은 피복이 있어야 한다.
와이어(150)는 방파제(10)의 내부 일측단과 타측단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와이어(150)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전기발생장치(120)들이 장착된다.
이때, 와이어(150)는 바다의 깊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된다.
제어부(110)가 해저 동일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제2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전기발생장치(120)에 전송하면, 상기 각각의 전기발생장치(120)는 전기충격을 발생시킨다.
제어부(110)가 해저 동일영역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지 못하고, 제2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는 투명한 물체를 감지한 것을 의미한다.
영상센서(130)와 초음파센서(140)의 조합으로 상기 동일지점에서 제1물체감 지신호와 제2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영상센서(130)와 초음파센서(140)는 물체의 위치를 판단하여 제어부(110)에 물체의 위치와 제1물체감지신호와 제2물체감지신호 및 물체의 위치를 전송한다.
이때, 물체의 위치는 영상센서(130)의 카메라(131) 각도와 초음파센서(140)에서 측정되는 거리를 통하여 생성된다.
상기 각각의 전기발생장치(12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발생장치(120)간의 간격만큼 감쇄된 전류가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도록 전류를 발생시킨다.
이 때 수직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발생장치(120)간의 간격, 즉 바로 위에 있는 전기발생장치(120)와의 간격과,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발생장치(120)간의 간격, 즉 바로 옆에 있는 전기발생장치(120)간의 간격은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어느 하나의 전기발생장치를 기준으로 수직방향 간격만큼 감쇄된 전류량 및 수평방향 간격만큼 감쇄된 전류량이 모두 일정하게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도 1의 경우,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전기발생장치(120)가 방파제 입구 양 끝단에 1개씩만 있는 경우에는, 방파제 입구 양 끝단의 거리만큼 감쇄된 전류가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기발생장치(120)에서 강한 전류를 흘려야 하나, 도 3의 경우,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와이어로 전기발생장치(120)들을 여러 개 설치한 경우에는, 전기발생장치(120)와 전기발생장치(120)간의 간격 만큼만 감쇄된 전류가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면 되기 때문에, 각각의 전기발생장치(120)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발생장치보다 약한 전류를 흘려도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경우보다 전류 방출에 따른 위험반경이 줄어들게 되므로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방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방파제(10)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된 영상센서(130)가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촬영한다(S100).
영상센서(130)는 두 개의 카메라(131)를 포함하고, 각 카메라(131) 렌즈는 관측각도가 180°이상인 어안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 상기 영상센서(130)가, 현재의 해저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과 직전에 상기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 픽셀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분포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민감도 이상이면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송신한다(S110).
그 다음, 방파제(130)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된 초음파센서(140)가 상기 영상센서(130)와 동일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감지하여 물체가 감지된 경우 제2물체 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10)에 송신한다(S120).
그 다음, 제어부(110)가 해저 동일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방파제(10)의 입구 양 끝단에 설치된 전기발생장치(110)에 전송하면, 상기 전기발생장치(110)는 전기충격을 발생한다(S130).
전기발생장치(110)는, 상기 방파제(10)의 내부 일측단과 타측단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바다의 깊이방향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각 와이어(150)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130)에서 제어부(110)는 상기 영상센서(130)로부터 해저 특정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저 타 지점에서의 제1 물체감지신호 및 제2 물체감지신호에는 관계없이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유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용이하게 변형 실시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와 같은 변경은 청구항의 청구범위 기재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에 있어서, 방파제에 전기발생장치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일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에 있어서, 방파제에 전기발생장치가 다수 개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해파리 퇴치 장치를 이용한 해파리 퇴치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의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전기발생장치 120: 제어부
130: 영상센서 131: 카메라
132: 영상 분석부 133: 민감도 설정부
140: 초음파센서 150: 와이어

Claims (12)

  1. 삭제
  2.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전기발생신호를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는 제어부;
    발전소 취수구가 설치된 해수영역을 둘러싼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기발생신호를 수신하면 해수에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전기발생장치;
    상기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어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의 불투명한 물체의 이동을 감지하여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센서; 및
    상기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되어 상기 영상센서와 동일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감지하여 제2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초음파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해저 동일지점에서의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파제의 내부 일측단과 타측단에 연결되어 설치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에 일정간격을 두고 장착되는 전기발생장치들;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바다의 깊이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 설치되고,
    제어부가 해저 동일지점에서의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각각의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각각의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전기발생장치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이웃하는 전기발생장치간의 간격만큼 감쇄된 전류가 해파리 치사량 이상이 되도록 전류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센서로부터 해저 특정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저 타 지점에서의 제1 물체감지신호 및 제2 물체감지신호에는 관계없이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6.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는,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을 촬영하는 두 개의 카메라;
    두 개의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는 영상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석부는 현재의 해저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과 직전에 상기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 픽셀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에 변화가 있는 경우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는,
    영상분석시 상기 두 촬영영상의 RGB값 분포를 비교할 때,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임계값으로서 민감도를 설정하는 민감도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영상분석부는 상기 두 촬영영상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의 차이가 상기 민감도 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민감도 이상인 경우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의 렌즈는 관측각도가 180°이상인 어안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장치.
  9. (a)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된 영상센서가 방파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촬영하는 단계;
    (b) 상기 영상센서가, 현재의 해저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과 직전에 상기 특정지점을 촬영한 영상 픽셀의 RGB값 분포를 비교하여 상기 분포에 변화가 있는 경우, 상기 분포의 차이가 미리 설정된 민감도 이상이면 제1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
    (c) 방파제의 입구 양끝단에 설치된 초음파센서가 상기 영상센서와 동일한 해저 일정영역의 물체를 감지하여 물체가 감지된 경우 제2물체감지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단계;
    (d) 제어부가 해저 동일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는 수신하지 못하고 제2 물체감지신호만 수신한 경우,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여 방파제의 입구 양 끝단에 설치된 전기발생장치에 전송하면,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전기충격을 발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해파리 퇴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발생장치는,
    상기 방파제의 내부 일측단과 타측단에 연결되어 설치되고, 바다의 깊이방향 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되는 각 와이어에,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제어부가 상기 영상센서로부터 해저 특정지점에서 제1물체감지신호를 수신하면, 해저 타 지점에서의 제1 물체감지신호 및 제2 물체감지신호에는 관계없이 전기발생신호를 생성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는 두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각 카메라 렌즈는 관측각도가 180°이상인 어안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파리 퇴치 방법.
KR1020090092512A 2009-09-29 2009-09-29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KR10095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12A KR100958397B1 (ko) 2009-09-29 2009-09-29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512A KR100958397B1 (ko) 2009-09-29 2009-09-29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8397B1 true KR100958397B1 (ko) 2010-05-18

Family

ID=4228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512A KR100958397B1 (ko) 2009-09-29 2009-09-29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3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32B1 (ko) 2015-02-17 2016-07-22 이상술 보름달물해파리의 식품가공방법
CN108513970A (zh) * 2018-06-08 2018-09-11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超声波去除海水中水母的方法及其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48A (ko) * 1999-06-01 2001-01-05 이세엽 해양생물 퇴치 시스템
JP2003138539A (ja) 2001-10-31 2003-05-14 Toshiba Corp 海生物の付着防止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2005240464A (ja)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および防汚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048A (ko) * 1999-06-01 2001-01-05 이세엽 해양생물 퇴치 시스템
JP2003138539A (ja) 2001-10-31 2003-05-14 Toshiba Corp 海生物の付着防止装置およびその運用方法
JP2005240464A (ja) 2004-02-27 2005-09-08 Mitsubishi Heavy Ind Ltd 海水に接する構造物の防汚装置および防汚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32B1 (ko) 2015-02-17 2016-07-22 이상술 보름달물해파리의 식품가공방법
CN108513970A (zh) * 2018-06-08 2018-09-11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超声波去除海水中水母的方法及其装置
CN108513970B (zh) * 2018-06-08 2023-08-15 中国科学院海洋研究所 一种超声波去除海水中水母的方法及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oney et al. Acoustic impacts of offshore wind energy on fishery resources
Williamson et al. Multisensor acoustic tracking of fish and seabird behavior around tidal turbine structures in Scotland
US10121078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on of foreign objects in maritime environments
Williams et al. An underwater stereo-camera trap
EP3671565B1 (en) Fish counting device, fish counting system, and fish counting method
CN103364408A (zh) 一种采用水下机器人系统对水工混凝土结构水下表面裂缝检测的方法
EP3236293B1 (en)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 for coastline applications
CN116743970B (zh) 一种具有视频ai预警分析的智能管理平台
Vetter et al. Characterization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jumping behavior in response to motorized watercraft.
KR100958397B1 (ko) 해파리 퇴치 장치 및 그 방법
CN103529489B (zh) 水下目标监测系统
Mann et al. Active and passive acoustics to locate and study fish
WO2017010758A1 (ko) 해양 구조물의 선박 충돌 모니터링 시스템
KR101176901B1 (ko) 이안류 발생 예측, 경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안류 발생 억제 장치
CN208636426U (zh) 水下拦阻网系统
JP2017133901A (ja) 監視装置、および監視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WO2017131980A1 (en) Intrusion detection for submerged datacenters
KR102609249B1 (ko) Cctv를 이용한 수위 자동 산출방법
CN207543245U (zh) 一种甄别浮标破坏者与垂钓者的装置
KR102305704B1 (ko) 어류의 질병여부를 판단하고 포획할 수 있는 어류질병 감지장치
CN107820058A (zh) 一种甄别浮标破坏者与垂钓者的装置及方法
CN210691551U (zh) 渠道拦污预警装置
Lopez et al. Automated detection of marine animals using multispectral imaging
Williamson et al. Integrating a multibeam and a multifrequency echosounder on the FLOWBEC seabed platform to track fish and seabird behavior around tidal turbine structures
Teilmann et al. Effects on harbour porpoises from Rødsand 2 off-shore wind far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