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8018B1 -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8018B1
KR100958018B1 KR1020070109340A KR20070109340A KR100958018B1 KR 100958018 B1 KR100958018 B1 KR 100958018B1 KR 1020070109340 A KR1020070109340 A KR 1020070109340A KR 20070109340 A KR20070109340 A KR 20070109340A KR 100958018 B1 KR100958018 B1 KR 100958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ound
store
product
providing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9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3666A (ko
Inventor
허재형
황병석
천희진
김지혁
이준우
지홍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93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8018B1/ko
Publication of KR20090043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3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8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8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 소비자에게 보다 현장감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품을 판매하거나 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매장을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가 온라인 매장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경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현장 사운드를 출력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사운드 정보를 매장/상품별로 구분하여 취합한 후,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하면, 해당 온라인 매장에 매칭되는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를 포함하여,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 오프라인 상거래에서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종래에 비해 보다 흥미를 갖고 쇼핑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mmerce Crowd Sound}
본 발명은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 소비자가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할 경우,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타 소비자들의 연령, 지역, 매장/상품에 대한 반응, 혼잡도 등과 같이 오프라인에서 경험할 수 있었던 현장감을 오프라인에서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현장 사운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프라인 상거래는 소비자가 상점에 직접 찾아가서 상품을 구매하는 방식으로 시간적, 지역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통신망을 기반으로 온라인 상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전자상거래 서비스가 소비자에게 제공되게 되었고, 이를 통해 소비자는 원거리에서 판매하는 상품도 구입할 수 있게 되었다.
상술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전자상거래는 방대한 정보, 각종서비스 및 콘텐츠 등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지만, 소비자에게 단순히 필요한 상품구매 서비스 또는 정보만을 제공할 뿐, 오프라인 상에서 여러 사람들과 어울려 상품을 구매할 때의 즐거움은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전자상거래는 고객이 다양한 상품에 접근하였을 경우, 현재 다른 고객들이 어떠한 상품에 관심을 갖고 있으며, 또는 어떤 지역, 어떤 연령의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가 등 오프라인 시장에서 느낄 수 있는 실시간 현황(예를 들어, 매장/상품별 혼잡도, 사람들의 반응 등)을 알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이버 공간에서 물품을 판매하는 운영자의 입장에서는 소비자들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품 구매 의사를 가진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도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 오프라인 상거래에서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판매하는 운용자가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품을 판매하거나 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매장을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매장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경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현장 사운드를 출력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사운드 정보를 매장/상품별로 구분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하면, 해당 온라인 매장에 매칭되는 현장 사운드를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를 포함한다.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유무선 단말기 및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운용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하는 공개 정보 설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현장 사운드로 적용될 음성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저작된 음성을 현장 사운드의 음성으로 설정하는 음성 저작 및 설정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매장/상품을 파악하는 사용자 위치 파악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한 사운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각각 매장/상품별로 분류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 및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한 경우, 상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해당 매장/상품에 대한 현장 사운드를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는,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매장/상품별 상품평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부를 통해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품평 정보가 음성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는 상품평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유무선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운용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를 설정하는 공개 정보 설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제작된 음성을 현장 사운 드의 음성으로 설정하는 음성 저작 및 설정부;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인식하는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발생하는 접근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사용자 위치 파악부; 상기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한 사운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각각 매장/상품별로 분류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 및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한 경우, 상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매장/상품에 대한 현장 사운드를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부;를 포함한다.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매장/상품별 상품평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부를 통해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품평 정보가 음성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는 상품평 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본 발명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에서 상품 및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현장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 사운드 서비스 관련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b)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매장/상품과 매칭된 현장 사운드를 추출하여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현장 사운드를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에서 상품 및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현장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 사운드 서비스 관련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하면,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접근한 매장/상품과 매칭된 현장 사운드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상품에 접근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발생 하는 사용자 사운드를 취합 및 가공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 오프라인 상거래에서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을 소비자에게 제공하기 때문에, 소비자가 종래에 비해 보다 흥미를 갖고 쇼핑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라인 상에서 물품을 판매하는 운용자가 보다 용이한 방법으로 소비자의 성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과 통신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은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포털 서비스를 이용할 때 자신을 비롯한 타 사용자들로부터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운드를 제공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상품을 판매하거나 또 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매장을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가 온라인 매장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경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달된 현장 사운드를 출력한다. 상기 사용자 사운드 정보는 사용자의 유무선 단말기(10, 30)로 온라인 매장을 오프라인 매장이라고 가정할 경우, 사용자의 행동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사운드와 쇼핑을 보다 실감나게 하기 위해 운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사운드를 포함하는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기 위해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 수집되는 정보를 의미한다.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사운드 정보를 매장/상품별로 구분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고,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함에 따라, 해당 온라인 매장에 매칭되는 현장 사운드를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제공한다.
도 1에서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 측에서 쇼핑몰 서비스와 같은 포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 측에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의 역할을 함께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 면이다.
도시하는 것과 같이,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10), 공개 정보 설정부(220), 음성 저작 및 설정부(230), 사용자 위치 파악부(240),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250), 현장 사운드 제공부(260), 상품평 제공부(270) 및 데이터베이스(28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210)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유무선 단말기(10, 30) 및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공개 정보 설정부(220)는 운용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유무선 단말기(10, 3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한다.
여기에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은 상품에 대한 구매 문의, 장바구니 담기, 구매, 반품, 상품평, 효과음(예를 들어, 매장 출입문 여닫는 소리 등) 등과 같이 현장 사운드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항목을 의미하는 것으로, 매장/상품 운용자는 상기 항목으로부터 일부(또는 전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항목으로 설정하고, 사용자는 매장/상품 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항목 중 일부(또는 전체)를 자신이 제공받을 항목으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와 매장/상품 운용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로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공개 정보 설정부(220)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운드 정보가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수준을 설정 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사운드 정보의 공유 수준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품, 장바구니 담기에 대한 항목은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지 않도록 제한 설정한 경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250)는 현장 사운드를 생성할 때, 상기 사용자의 제한 항목을 취합 대상에서 제외한다.
음성 저작 및 설정부(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현장 사운드로 적용될 음성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저작된 음성을 현장 사운드의 음성으로 설정한다.
사용자 위치 파악부(240)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매장/상품을 파악한다.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250)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들에 의해서 발생한 사운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각각 매장/상품별로 분류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280)에 저장한다.
현장 사운드 제공부(260)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한 경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250)에 의해서 생성된 해당 매장/상품에 대한 현장 사운드를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10, 30)로 전송하도록 한다.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현장 사운드는 도 3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이, 특정 매장이나 상품에 접근하였을 때, 사용자와 같은 시점에 접근한 타 사용자들의 효과음(매장 출입문 여닫는 소리,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는 소리), 상품에 대한 구매 문 의(가격이 타 사이트와 차이가 나는데요?), 장바구니 담기, 구매, 반품, 상품평(배송이 너무 느려요.) 등이 음성 형태로 출력되는 것이다.
만약, 특정 매장/상품에 동시에 접속한 사용자들이 많은 경우, 출력되는 현장 사운드도 그만큼 다양할 것이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오프라인 시장에서 느낄 수 있는 생동감, 혼잡도를 경험할 수 있게 된다.
상품평 제공부(270)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매장/상품별 상품평 정보를 수신하면, 현장 사운드 제공부(260)를 통해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품평 정보가 음성 형태로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상품평 정보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통해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 구매 및 사용 후 등록하는 정보로, 기존의 방식과 같이 문자 형태로 등록하거나, 또는 자신의 음성으로 직접 등록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때, 상품평이 문자 형태로 등록된 경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자 형태의 상품평을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며, 현장 사운드 제공부(260)에서 문자 형태의 상품평을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 형태로 변환한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으로 상품평을 등록한 경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음성 형태의 상품평을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280)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구성이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3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310), 공개 정보 설정부(320), 음성 저작 및 설정부(330),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340), 사용자 위치 파악부(350),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360), 현장 사운드 제공부(370), 상품평 제공부(380) 및 데이터베이스(39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유무선 단말기(10, 30)와 정보를 송수신한다.
공개 정보 설정부(320)는 운용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유무선 단말기(10, 30)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를 설정한다.
여기에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은 상품에 대한 구매 문의, 장바구니 담기, 구매, 반품, 상품평, 효과음(예를 들어, 매장 출입문 여닫는 소리 등) 등과 같이 현장 사운드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항목을 의미하는 것으로, 매장/상품 운용자는 상기 항목으로부터 일부(또는 전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항목으로 설정하고, 사용자는 매장/상품 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항목 중 일부(또는 전체)를 자신이 제공받을 항목으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와 매장/상품 운용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로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공개 정보 설정부(320)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운드 정보가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수준을 설정 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사운드 정보의 공유 수준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반품, 장바구니 담기에 대한 항목은 다른 사용자들에게 공개되지 않도록 제한 설정한 경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360)는 현장 사운드를 생성할 때, 상기 사용자의 제한 항목을 취합 대상에서 제외한다.
음성 저작 및 설정부(3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제작된 음성을 현장 사운드의 음성으로 설정한다.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340)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인식한다.
사용자 위치 파악부(350)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발생하는 접근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360)는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340)에 의해서 인식된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한 사운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각각 매장/상품별로 분류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90)에 저장한다.
이 때,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360)는 공개 정보 설정부(320)에 의해서 설정된 사용자 사운드 정보의 공유 수준을 반영하여, 일부 항목에 제한을 둔 사용자의 사운드 정보는 취합 대상에서 제외한다.
현장 사운드 제공부(370)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이용하여 특 정 매장/상품에 접근한 경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360)에 의해서 생성된 매장/상품에 대한 현장 사운드를 해당 유무선 단말기(10, 30)로 전송한다.
상품평 제공부(380)는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매장/상품별 상품평 정보를 수신하면, 현장 사운드 제공부(270)를 통해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품평 정보가 음성 형태로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상품평 정보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통해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에 접속하여 상품 구매 및 사용 후 등록하는 정보로, 기존의 방식과 같이 문자 형태로 등록하거나, 또는 자신의 음성으로 직접 등록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이때, 상품평이 문자 형태로 등록된 경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문자 형태의 상품평을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며, 현장 사운드 제공부(260)에서 문자 형태의 상품평을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음성 형태로 변환한다. 만약, 사용자가 자신의 음성으로 상품평을 등록한 경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음성 형태의 상품평을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 전송한다.
데이터베이스(390)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300)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를 포함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에서 현장 사운드를 제공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현장 사운드 서비스 관련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한다(S101).
여기에서, 현장 사운드 서비스 관련 정보 항목은 상품에 대한 구매 문의, 장바구니 담기, 구매, 반품, 상품평, 효과음(예를 들어, 매장 출입문 여닫는 소리 등) 등과 같이 현장 사운드로 제공하는 것이 가능한 항목을 의미하는 것으로, 매장/상품 운용자는 상기 항목으로부터 일부(또는 전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항목으로 설정하고, 사용자는 매장/상품 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항목 중 일부(또는 전체)를 자신이 제공받을 항목으로 설정한다. 상기 사용자와 매장/상품 운용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용자로 통칭하기로 한다.
또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가 자신의 사운드 정보가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수준을 설정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사운드 정보의 공유 수준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 정보로 설정한다(S103).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이를 인식하여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S105).
여기에서,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특정 매장/상품의 선택 정보를 수신하면, 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매장/상품과 매칭된 현장 사운드를 추출하여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로 전송한다(S107, S109).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현장 사운드를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유무선 단말기(10, 30)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300)에서 포털 서비스도 제공하는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300)의 공개 정보 설정부(32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현장 사운드 서비스 관련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한다(S201).
여기에서, 사용자는 유무선 단말기(10, 30)를 이용하여 매장/상품 운용자로부터 제공되는 항목 중 일부(또는 전체)를 자신이 제공받을 항목으로 설정하며, 이때, 자신의 사운드 정보가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는 데, 제한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공유 수준도 함께 설정한다.
음성 저작 및 설정부(33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10, 30)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 정보로 설정한 다(S203).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사용자 위치 파악부(350)는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를 파악한다(S205).
현장 사운드 제공부(370)는 단계 S205에서 접근한 매장/상품과 매칭된 현장 사운드를 데이터베이스(390)로부터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10,30)로 전송한다(S207, S209).
한편, 단계 S201 이전 또는 단계 S207 이전에,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340)는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10, 30)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360)는 매장/상품에 접근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사용자 사운드를 취합 및 가공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39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서 개시하는 포털 서비스는 쇼핑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운용자의 필요에 따라 홈페이지 서비스, 게임 서비스 등과 같이 복수의 사용자들이 서버에 동시에 접속하는 것이 가능한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는, 해당 서비스에 따라 현장 사운드로 제공되는 항목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 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온라인 전자상거래 시, 오프라인 상거래에서 느낄 수 있는 현장감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필요성이 높은 것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과 통신망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구성이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30 : 유선 단말기
100 :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 200 :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210, 310 : 통신인터페이스부 220, 320 : 공개 정보 설정부
230, 330 : 음성 저작 및 설정부 240, 350 : 사용자 위치 파악부
250, 360 :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
260, 370 : 현장 사운드 제공부 270, 380 : 상품평 제공부
280, 390 : 데이터베이스 340 :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

Claims (8)

  1. 상품을 판매하거나 또는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수의 온라인 매장을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고, 사용자가 상기 온라인 매장을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 제공하며,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하는 경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된 현장 사운드를 출력하는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사운드 정보를 매장/상품별로 구분하여 취합한 후, 사용자가 특정 온라인 매장에 접근하면, 해당 온라인 매장에 매칭되는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포함하는 현장 사운드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제공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는,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유무선 단말기 및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운용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 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하는 공개 정보 설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현장 사운드로 적용될 음성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저작된 음성을 현장 사운드의 음성으로 설정하는 음성 저작 및 설정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매장/상품을 파악하는 사용자 위치 파악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한 사운드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각각 매장/상품별로 분류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 및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한 경우, 상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해당 매장/상품에 대한 현장 사운드를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는,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매장/상품별 상품평 정보를 수 신하면,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부를 통해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품평 정보가 음성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는 상품평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4. 유무선 통신망과 연결되어 유무선 단말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운용자에 의해서 기 설정된 현장 사운드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항목을 유무선 단말기로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를 설정하는 공개 정보 설정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음성 리스트 중 어느 하나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으로 설정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서 직접 제작된 음성을 현장 사운드의 음성으로 설정하는 음성 저작 및 설정부;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발생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인식하는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발생하는 접근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사용자 위치 파악부;
    상기 매장/상품별 현황 인식부에 의해서 인식된 복수의 사용자 위치 및 사용자 사운드 정보를 기초로,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 의해서 발생한 사운드 정 보를 파악하고, 이를 각각 매장/상품별로 분류한 후, 취합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 및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한 경우, 상기 매장/상품별 현장 사운드 생성부에 의해서 생성된 매장/상품에 대한 현장 사운드를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는,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매장/상품별 상품평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부를 통해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사용자에게 상품평 정보가 음성 형태로 제공되도록 하는 상품평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
  6.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에서 상품 및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현장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 사운드 서비스 관련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b)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함에 따라,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가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 사용자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d)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전송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로, 해당 매장/상품과 매칭된 현장 사운드를 추출하여 상기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e)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로부터 전달받은 현장 사운드를 해당 매장/상품에 접근한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
  7.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에서 상품 및 서비스 이용 시 발생하는 현장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현장 사운드 제공 서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현장 사운드 서비스 관련 정보 항목을 해당 사용자의 공개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b)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유무선 단말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 정보를 현장 사운드 제공 시 적용될 음성 정보로 설정하는 단계;
    c)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매장/상품에 접근하면, 이를 인식하여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접근한 매장/상품과 매칭된 현장 사운드를 추출하여 해당 유무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 이전에,
    사용자가 유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매장/상품에 접근하는 것을 인식하는 단계; 및
    상기 매장/상품에 접근한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발생하는 사용자 사운드를 취합 및 가공하여 현장 사운드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장 사운드 제공 방법.
KR1020070109340A 2007-10-30 2007-10-30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958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40A KR100958018B1 (ko) 2007-10-30 2007-10-30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9340A KR100958018B1 (ko) 2007-10-30 2007-10-30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66A KR20090043666A (ko) 2009-05-07
KR100958018B1 true KR100958018B1 (ko) 2010-05-17

Family

ID=4085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9340A KR100958018B1 (ko) 2007-10-30 2007-10-30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801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99A (ko) * 2000-06-03 2000-09-05 김미숙 3 차원 입체형상의 현실공간을 도입한 전자상거래 검색 및광고방법
KR20070089461A (ko) * 2006-02-28 2007-08-31 박천만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4399A (ko) * 2000-06-03 2000-09-05 김미숙 3 차원 입체형상의 현실공간을 도입한 전자상거래 검색 및광고방법
KR20070089461A (ko) * 2006-02-28 2007-08-31 박천만 통신 네트워크를 이용한 실시간 동영상 서비스 시스템 및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3666A (ko) 200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15274A (zh) 经由插件市场增强虚拟助理和对话系统的功能性
CN108573293A (zh) 一种基于增强现实技术的无人超市购物协助方法及系统
CN106779940B (zh) 一种展示商品的确认方法及装置
US20080027808A1 (en) Method For Providing Shopping Advice
KR101814680B1 (ko) 온라인 쇼핑정보 제공 시스템, 온라인 쇼핑정보 제공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장치, 및 그 쇼핑정보 제공방법
KR20180098455A (ko) 챗봇 거래 방법 및 챗봇 거래 시스템
KR102631387B1 (ko) 상품 후기 기반의 상품 검색 방법
KR100896613B1 (ko) 쇼핑몰 사이트 운영 방법
KR102093553B1 (ko) 블록체인 기술과 빅데이터 분석 및 ai를 통한 지역 기반 모바일 물물교환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00257056A1 (en) Method and server for providing shopping service by using map information
KR102134103B1 (ko) 판매자 코드 링크 기반의 물품 판매 시스템 및 물품 판매 방법
WO2006075868A1 (en) System for providing advertisement and purchase service based in lbs and method thereof
KR20010087060A (ko) 3차원 영상 가상 쇼핑몰 시스템
JP2001222648A (ja) オンラインモールに掲げられた商品の購買条件分析装置及びその方法
KR20090047733A (ko) 지도 정보를 이용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서버
US20150156322A1 (en) System for providing contact number information having added search function, and method for same
CN110445821A (zh) 家用电器的信息推送方法、装置、系统及信息处理方法
KR100958018B1 (ko) 현장 사운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hen et al. Business-to-consumer mobile agent-based internet commerce system (MAGICS)
KR20040011825A (ko) 인터넷 망을 기반으로 한 가상백화점 관리 시스템 및 그관리 방법
US20230334537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evaluating product review
KR20160128974A (ko) 온라인 쇼핑정보 제공 시스템, 온라인 쇼핑정보 제공장치,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이용한 쇼핑정보 제공장치, 및 그 쇼핑정보 제공방법
Ahuja The Retail Revolution: Synergy of E-Tail and Brick-and-Mortar in a Post-Pandemic Era
KR20090044913A (ko)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이미지 인식기반의 양방향성 서비스또는 물품 거래를 위한 중개 시스템 및 방법
WO2002050741A1 (en) Method of transmitting message by means of identification codes printed on art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