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7676B1 - 플러그 - Google Patents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7676B1
KR100957676B1 KR1020090115120A KR20090115120A KR100957676B1 KR 100957676 B1 KR100957676 B1 KR 100957676B1 KR 1020090115120 A KR1020090115120 A KR 1020090115120A KR 20090115120 A KR20090115120 A KR 20090115120A KR 100957676 B1 KR100957676 B1 KR 100957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outlet
plug
pai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현
Original Assignee
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현 filed Critical 정재현
Priority to KR102009011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76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콘센트의 전극판 수용부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에 있어서, 콘센트에 대향하는 면에 전극봉홀이 형성되는 플러그하우징, 상기 플러그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전극봉홀을 통해 상기 플러그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봉, 상기 한 쌍의 전극봉에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를 향해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바, 상기 콘센트와의 결합 및 분리시에 조작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바를 상기 콘센트를 향해 직선 이동시키는 한 쌍의 레버 및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직선 이동한 구동바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플러그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경우, 레버를 조작하여 전극봉에 결합된 구동바를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전극봉과 구동바의 폭을 작아지게 하여 콘센트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플러그, 콘센트, 전극봉, 구동바, 레버

Description

플러그{PLUG}
본 발명은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센트에 용이하게 결합되고 콘센트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기구는 전원플러그가 콘센트에 접속됨으로써 전기가 전기기구 내로 공급되어 전기기구가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전원플러그 및 콘센트는 전기의 상(phase) 및 전압에 따라 여러 가지 타입이 있는데, 2상 전원(2-phase electricity)의 경우 110V 용 및 220V 용이 있으며, 3상 전원용이 일반적인 타입이다.
예를 들어, 도 1a는 종래의 2상 220V 전원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3상 전원플러그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a의 전원플러그와 콘센트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전원플러그(1)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하우징(2)과 그 일부분이 플러그하우징(2)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플러그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되는 2개의 원통형 전극봉(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극봉(3)은 좌우방향으로 유격이 없도록 서로 평행하게 플러그하우징(2)에 완전히 밀착되어 고정된다.
종래의 3상 전원플러그(4)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하우징(5), 플러그하우징(5)의 외부로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플러그하우징(5)의 내부에 설치되는 2개의 원통형 전극봉(6) 및 1개의 판자형 전극판(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극봉(6) 및 전극판(7)은 2상 전원플러그(1)와 마찬가지로, 플러그하우징(5)에 밀착되게 고정되어 수평방향을 유지한다.
3상 전원플러그(4)의 고정방식은 2상 전원플러그(1)의 고정방식과 유사하므로 이하에는 설명의 편의상 2상 전원플러그(1)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전원플러그(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콘센트(10)에 삽입고정된다.
콘센트(10)는 전면커버(11), 전면커버(11)와 결합하는 후면커버(12) 및 콘센트(10) 내부에 고정되는 2개의 전극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면커버(11)는 전원플러그(1)의 전극봉(3)이 삽입되도록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구멍(11a)을 구비하고, 관통구멍(11a)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극판(13)이 고정된다.
전극판(13)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금속재질로 대략 타원전극봉(3)과 접촉하여 그 내부에 전극봉(3)을 수용하는 수용부(13a), 전극판(13)을 콘센트(10) 내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13b), 수용부(13a)와 고정부(13b)를 연결하는 연결부(13c)를 구비한다.
수용부(13a)의 폭은 전극봉(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전원플러그(1)를 콘센트(10)에 삽입하면, 수용부(13a)는 전극봉(3)의 직경만큼 벌어지게 되고, 전극봉(3)은 수용부(13a)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눌린 상태로 고정되어 콘센트(10)와 전원플러그(1)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전원플러그(1)는 쉽게 콘센트(10)로부터 이탈하지 않게 되어 콘센트(10)로부터 원활하게 전원을 공급받는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전원플러그(1)는 콘센트(10)에 결합하는 경우, 전극판(13), 특히 수용부(13a)를 벌리도록 힘을 가해야만 한다.
그리고 종래의 전원플러그(1)는 콘센트(20)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도 수용부(13a)에 의해 눌려진 전극봉(3)을 빼내기 위해 힘이 소요된다.
특히, 수용부(13a)의 탄성력이 지나치게 큰 경우, 전원플러그(1)를 뽑을 때에 콘센트(10)가 파손되는 경우도 발생하였다.
따라서 콘센트(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원플러그(10)를 뽑을 때, 한손으로는 콘센트를 잡아 고정하고, 다른 한 손으로 플러그를 잡아 분리해야 함에 따라, 양손을 써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0088호(2005년05월14일자 공개, 이하 '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3a는 문헌 1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전원플러그의 측단면도이며, 도 3c는 전원플러그와 콘센트의 평단면도이고, 도 3d 및 도 3e는 전원 플러그와 콘센트를 겹합하는 동작상태도이다.
문헌 1에 따른 전원플러그(20)는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에 대항하는 면에 전극봉구멍(21a)이 형성된 플러그하우징(21), 플러그하우징(21) 내에 설치되어 그 일부가 전극봉구멍(21a)을 통해 플러그하우징(21)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봉(22) 및 한 쌍의 전극봉(22)을 회전운동시키는 가동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극봉구멍(21a)은 전극봉(22)의 회전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가로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전극봉(22)은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회전축(22a)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한다. 이러한 전극봉(22)의 직경은 전극판(13)의 수용부(31)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부(31)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한 쌍의 전극봉(22) 사이에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2b)가 설치된다. 탄성부재(22b)는 고유의 탄성력의 방향에 따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전극봉(22)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벌리는 탄성력을 가할 수도 있고, 한 쌍의 전극봉(22)을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할 수도 있다.
가동부(23)는 한 쌍의 전극봉(22) 사이에 삽입 및 이탈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전극봉(22)을 회전운동시키는 가동부재(24), 가동부재(24)를 왕복운동시키는 구동로드(25), 조작버튼(26) 및 구동로드(2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문헌 1에 따른 전원플러그(20)는 도 3c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조작버튼(26)이 해제되어 후퇴한 경우에 한 쌍의 전극봉(22)이 탄성부재(22b)에 의해 벌어진다. 이때, 한 쌍의 전극봉(22)은 플러그하우징(21)의 전면에 형성된 전극봉구멍(21a)의 측면부에 의해 지지될 때까지 벌어지게 된다.
이러한 전극플러그(20)의 조작버튼(26)에 손가락으로 외력을 가하여 전진시키면 가동부재(24)가 한 쌍의 전극봉(22) 사이로 삽입되어 한 쌍의 전극봉(22)이 평행한 상태로 된다. 이때, 한 쌍의 전극봉(22)은 전극봉구멍(21a)의 타 측면부에 의해 지지된다(도 3d 참조).
이와 같이 한 쌍의 전극봉(22)이 평행한 상태에서 전원플러그(20)의 전극봉(22)을 콘센트(10)의 전극판(13)의 수용부(31) 내부에 삽입한다. 이때, 수용부(31)는 내측전극판(32)과 외측전극판(33)으로 구성되며, 전극판(13)도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형성되므로, 내측전극판(32)와 외측전극판(33)도 탄성력을 갖게 된다.
전극봉(22) 사이의 간격은 조작버튼(26)의 조작에 의해 평행한 상태가 되므로, 내측전극판(32) 사이의 간격에 근접하게 형성됨으로써, 전극봉(22)은 삽입시에 외측전극판(33)과 접촉하지 않는다. 그 후, 삽입이 종료한 때에 조작버튼(26)을 해제하면, 한 쌍의 전극봉(22)은 탄성부재(22b)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져 전극봉(22)의 측면부가 외측전극판(33)에 접촉하게 된다(도 3e 참조).
이와 같이 전원플러그(20)가 콘센트(10)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전극봉(22)이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형성된 외측전극판(33)에 눌려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전원플러그(20)는 계속 콘센트(1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져도 쉽게 콘센트(10)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반면, 삽입된 전원플러그(20)를 콘센트(10)로부터 빼는 경우에는,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버튼(26)을 손가락으로 눌러 구동로드(25) 및 가동부재(24)를 전진시켜 한 쌍의 전극봉(22)을 수평상태로 오므리면, 한 쌍의 전극봉(22)은 외측전극판(33)과 떨어지게 되어 쉽게 콘센트(10)로부터 뺄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문헌 1에 따른 전원플러그(20)는 콘센트(10) 결합시, 전극봉(22)의 측면부 일부가 외측전극판(33) 또는 내측전극판(22)과 접촉됨에 따라, 콘센트(10)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불안정하여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헌 1에 따른 전원플러그(20)는 전극봉(22)의 직경을 콘센트(10)의 수용부(31) 간격보다 작게 형성하거나, 콘센트(10)의 수용부(31) 간격을 기준 규격보다 크게 형성해야만 한다.
특히, 문헌 1에 따른 전원플러그(2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콘센트(10)와의 전기적 연결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콘센트(10)의 내측전극판(32) 또는 외측전극판(33)을 탄성부재(22b)에 의해 오므려지거나 벌어진 전극봉(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비스듬하게 형성하는 경우, 기준 규격에 따라 제작된 전원플러그의 전극봉과 전기적인 연결이 더욱 불안정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문헌 1에 따른 전원플러그(20) 및 콘센트(10)는 기준 규격의 전원플러그 및 콘센트에 호환하여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기 문헌 2에 개시된 기술은 플러그의 두 개의 전원단자를 반경이 서로 다른 원의 형태로 구성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삽입시에 콘센트의 삽입단자홈을 찾을 필요가 없이 어느 방향에서도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기준 규격에 따라 형성된 콘센트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는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보 제10-2005-0034228호(2005년04월14일자 공개)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10-0609659호(2006년07월31일자 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센트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준 규격의 콘센트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센트의 전극판 수용부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에 있어서, 콘센트에 대향하는 면에 전극봉홀이 형성되는 플러그하우징, 상기 플러그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그 일부가 전극봉홀을 통해 상기 플러그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봉, 상기 한 쌍의 전극봉에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를 향해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바, 상기 콘센트와의 결합 및 분리시에 조작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바를 상기 콘센트를 향해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시키도록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레버 및 상기 레버 조작에 의해 직선 이동한 구동바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봉과 구동바는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봉과 구동바가 결합된 단면의 폭은 상기 한 쌍의 레버 미조식시 기준 규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레버 조작시 상기 한 쌍의 레버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의해 상기 구동바가 상기 제 1테이퍼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하여 상기 기준 규격보다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및 제 2테이퍼부는 서로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리브와 결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바는 전기적인 합선이나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절연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극봉 및 구동바는 미리 설정된 기준 규격보다 높이가 작고, 상기 전극봉과 구동바의 결합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플러그를 콘센트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경우, 레버를 조작하여 전극봉에 결합된 구동바를 직선 이동시킴으로써, 전극봉과 구동바의 폭을 작아지게 하여 콘센트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플러그와 콘센트가 완전하게 결합되어 레버 조작을 해제하면,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바가 본래 위치로 복귀하여 콘센트의 수용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에 따라 플러그에 연결된 전기기구에 전원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준 규격에 따라 제작된 콘센트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므로, 기준 규격에 따른 콘센트를 플러그에 대응되는 특정 형상의 콘센트로 교체할 필요가 없어 전원공급시설의 설치비용 및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콘센트의 구성은 종래기술의 도 2에 도시된 콘센트의 구성을 원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50)는 콘센트(10)에 대향하는 면에 전극봉홀(511)이 형성되는 플러그하우징(51), 상기 플러그하우징(51) 내에 설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전극봉홀(511)을 통해 상기 플러그하우징(51)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봉(52), 상기 한 쌍의 전극봉(52)에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10)를 향해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바(53), 상기 콘센트(10)와의 결합 및 분리시에 조작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바(53)를 이동시키도록 회전운동하는 한 쌍의 레버(54) 및 상기 한 쌍의 구동바(5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러그하우징(51)은 도 4에서 보았을 때, 콘센트(10)에 대향하는 전면에 전극봉(52) 및 구동바(53)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전극봉홀(511)과 그 반대 후면에 레버(54)의 일부가 돌출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레버홀(512)을 구비한다.
전극봉홀(511)은 전극봉(52) 및 구동바(53)의 폭에 대응되거나 약간 크게 형성되고, 레버홀(512)은 레버(54)의 회전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장공으로 형성된다.
전극봉(52)은 전선과 연결되어 콘센트(10)의 전극판(13)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전선을 통해 전기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전극봉(52)은 구동바(53)와 결합되는 결합면에 도 4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선단으로 갈수록 좁아져서 대략 역직각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테이퍼부(521)를 구비한다.
상기 제 1테이퍼부(521)는 도 5에서 보았을 때, 구동바(53)의 직선 왕복운동시 구동바(53)와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단면이 결합면보다 외측면이 더 넓은 역사다리꼴 형상으로 길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결합리브(522)를 구비한다.
반면, 구동바(53)는 전극봉(52)에 결합되어 플러그(50)와 콘센트(10)의 결합 및 분리시 전극판(13)의 수용부(13a)와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전극봉(52)의 제 1테이버부(521)를 따라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구동바(53)는 전극봉(52)과 결합되는 결합면에 도 4에서 보았을 때, 단면이 선단으로 갈수록 넓어져서 대략 직각삼각형 형상이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2테이퍼부(531)를 구비한다.
상기 제 2테이퍼부(531)는 도 5에서 보았을 때, 구동바(53)의 직선 왕복운동시 전극봉(52)과의 결합이 해제되지 않도록 단면이 대략 결합면보다 외측면이 더 좁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길게 요입되어 형성되는 결합홈(532)을 구비한다.
이와 같은 구동바(53)는 전기적인 합선이나 스파크(spark)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절연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서로 결합된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폭(D)은 도 5에서 보았을 때, 기준 규격의 전극봉 직경, 예컨대 3.4mm로 형성되고, 콘센트(10)와 플러그(50)의 결합 및 분리시 레버(54) 조작에 의해 구동바(53)가 전극봉(52)의 제 1테이퍼부(521)를 따라 콘센트(10)를 향해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된다. 이때,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폭(d)은 기준 규격의 전극봉 직경보다 작은 값, 예컨대 3.0 내지 3.2mm를 가지게 된다.
이와 함께,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높이(H)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센트(10)의 전극판(13) 수용부(13a)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기준 규격보다 작은 값, 예컨대 2.8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전극봉(52)과 구동바(5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단면의 폭(D)이 높이(H)보다 길게 형성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레버(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축(54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일부가 플러그하우징(51)의 후면에 형성된 레버홀(512)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고, 다른 일부가 구동바(53)의 후단에 접하도록 구비된다.
레버(54)의 형상 및 회전방향은 도 4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동바(53)를 직선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버(54)와 구동바(53)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탄성부재(55)는 일측이 전극봉(52)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타측은 구동바(53)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동바(53)에 연결되어 구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를 미조작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폭은 기준 규격에 따른 폭인 3.4mm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50)가 결합되는 콘센트(10)는 기준 규격에 따라 제작된 일반적인 콘센트로서, 전극판(13)의 수용부(13a) 폭은 기준 규격의 전극봉 직경(D), 예컨대 약 3.4mm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이때, 전극판(13)은 탄성력이 있는 부재로 형성됨에 따라, 수용부(13a)도 탄성력을 가지게 되어 전극봉(52) 및 구동바(53)가 결합되면 탄성력을 이용해 전극봉(52)과 구동바(53)를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상기 탄성부재(55)는 코일스프링이나 판스프링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다음,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상태도이다.
먼저,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설명한다.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한 쌍의 레버(54)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모이도록 조작한다.
그러면, 레버(54)가 회전축(54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되고, 레버(54)의 선단에 연결된 구동바(53)는 콘센트(10)를 향해 전극봉(52)의 제 1테이퍼부(521)를 따라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된다.
이때,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폭(d)은 수용부(13a)의 폭보다 작아지게 되므로, 전극봉(52)과 구동바(53)는 힘을 가할 필요없이 콘센트(10)의 전극판(13) 수용부(13a)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높이(H)는 약 2.8mm로 형성됨에 따라 수용부(13a)의 높이에 제한되지 않기 때문에, 전극봉(52)과 구동바(53)는 수용부(13a)에 더욱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어서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 완전하게 결합되면, 레버(54)의 조작을 해제한다. 이때, 구동바(53)는 탄성부재(55)의 탄성력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따라,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폭(D)은 기준 규격의 폭으로 복귀된다.
이로 인해, 전극판(13)의 수용부(13a)는 탄성력을 이용해서 전극봉(52)과 구동바(53)를 고정하고, 전극봉(52)과 전극판(13)은 서로 전기적으로 안정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전극봉(52)은 전극판(13)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공급된 전을 전선을 통해 전기기구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다음, 플러그(50)를 콘세트(10)에서 분리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서 분리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50)를 콘센트(10)에 결합하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레버(54)를 서로 모이도록 조작한다.
그러면, 레버(54)가 회전축(54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게 되고, 레버(54)의 선단에 연결된 구동바(53)는 콘센트(10)를 향해 전극봉(52)의 제 1테이퍼부(521)를 따라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된다.
이때,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폭(d)은 기준 규격보다 작은 값을 가지게 되므로, 전극봉(52)과 구동바(53)는 힘을 가할 필요없이 콘센트(10)의 전극판(13) 수용부(13a)에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어서, 플러그(50)가 콘센트(10)에서 완전하게 분리되면 레버(54)의 조작을 해제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레버 조작에 의해 구동바를 전극봉의 제 1테이퍼부를 따라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시켜 서로 결합된 전극봉과 구동바의 폭을 콘센트의 전극판 수용부의 폭보다 작게 하여 플러그와 콘센트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상기의 실시 예에서는 전극봉(52)은 결합리브(522)를 구비하고, 구동바(53)는 결합홈(532)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전극봉(52)은 결합홈(532)을 구비하고, 구동바(53)는 결합리브(522)를 구비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예에서 결합리브(522)와 결합홈(532)은 역사다리꼴 형상 및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합리브(522)는 'ㄱ'자 형상이나 'ㅗ'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결합홈(532)은 그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즉, 결합리브(522)와 결합홈(533)은 서로 결합이 해제되지 않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2상 및 3상 전원플러그의 사시도.
도 2는 도 1a에 도시된 2상 전원플러그 및 콘센트의 분해사시도.
도 3a, 도 3b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플러그의 사시도 및 측단면도.
도 3c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플러그와 콘센트의 평단면도.
도 3d 및 도 3e는 종래기술에 따른 전원플러그와 콘센트를 겹합하는 동작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플러그의 동작을 설명하는 동작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콘센트 13: 전극판
13a: 수용부 50: 플러그
51: 플러그하우징 511: 전극봉홀
512: 레버홀 52: 전극봉
521: 제 1테이퍼부 522: 결합리브
53: 구동바 531: 제 2테이퍼부
532: 결합홈 54: 레버
541: 회전축 55: 탄성부재

Claims (5)

  1. 콘센트(10)의 전극판(13) 수용부(13a)에 결합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플러그(50)에 있어서,
    콘센트(10)에 대향하는 면에 전극봉홀(511)이 형성되는 플러그하우징(51),
    상기 플러그하우징(51) 내에 설치되어 그 일부가 상기 전극봉홀(511)을 통해 상기 플러그하우징(51) 외부로 돌출되는 한 쌍의 전극봉(52),
    상기 한 쌍의 전극봉(52)에 결합되어 상기 콘센트(10)를 향해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구동바(53),
    상기 콘센트(10)와의 결합 및 분리시에 조작되어 상기 한 쌍의 구동바(53)를 상기 콘센트(10)를 향해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시키는 한 쌍의 레버(54) 및
    상기 레버(54) 조작에 의해 직선 이동한 구동바(53)를 본래 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52)과 구동바(53)는
    서로 결합되는 결합면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 1 및 제 2테이퍼부(521,531)를 구비하고,
    상기 전극봉(52)과 구동바(53)가 결합된 단면의 폭은 상기 한 쌍의 레버(54) 미조작시 기준 규격(D)으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54) 조작시 상기 한 쌍의 레버(54)가 회전축(541)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함에 의해 상기 구동바(53)가 상기 제 1테이퍼부(521)를 따라 비스듬하게 직선 이동하여 상기 기준 규격(D)보다 점차 작아지는 것(d)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테이퍼부(521,531)는
    서로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결합리브(522)와 결합홈(53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53)는
    전기적인 합선이나 스파크 발생을 방지하는 절연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봉(52) 및 구동바(53)는 미리 설정된 기준 규격보다 높이가 작고, 상기 전극봉(52)과 구동바(53)의 결합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KR1020090115120A 2009-11-26 2009-11-26 플러그 KR100957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20A KR100957676B1 (ko) 2009-11-26 2009-11-26 플러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5120A KR100957676B1 (ko) 2009-11-26 2009-11-26 플러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7676B1 true KR100957676B1 (ko) 2010-05-13

Family

ID=42281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5120A KR100957676B1 (ko) 2009-11-26 2009-11-26 플러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76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003A1 (ko) * 2015-07-31 2017-02-09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KR101853344B1 (ko) 2016-12-13 2018-04-30 박성환 콘센트 및 플러그로 구성되는 전원 연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176A (ja) * 1992-07-15 1994-0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情報の蓄積読取り方法
JPH1131553A (ja) 1997-07-10 1999-02-02 Asahi Denki Kasei Kk プラグ
KR20060042540A (ko) * 2004-11-09 2006-05-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제품의 플러그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8176A (ja) * 1992-07-15 1994-02-1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画情報の蓄積読取り方法
JPH1131553A (ja) 1997-07-10 1999-02-02 Asahi Denki Kasei Kk プラグ
KR20060042540A (ko) * 2004-11-09 2006-05-1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제품의 플러그 구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23003A1 (ko) * 2015-07-31 2017-02-09 (주)동산전자 전기 플러그
CN107210568A (zh) * 2015-07-31 2017-09-26 株式会社东山电子 电源插头
US9887493B2 (en) 2015-07-31 2018-02-06 Dong San Electronics Co., Ltd. Electric plug
CN107210568B (zh) * 2015-07-31 2019-04-16 株式会社东山电子 电源插头
KR101853344B1 (ko) 2016-12-13 2018-04-30 박성환 콘센트 및 플러그로 구성되는 전원 연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9449B2 (en) Safety receptacle with jacketed internal switches
US20160006187A1 (en) Double contact point switch and a magnetic connector having the double contact point switch
WO2010057399A1 (zh) 一种插头插座适配器
JP2003031301A (ja) 電気コネクタ
KR101761762B1 (ko) 환형의 스프링 컨택을 포함하는 고전류 커넥터
CN203398334U (zh) 具有切换结构的线缆连接器
JP2016072219A (ja) 電源プラグ
KR100957676B1 (ko) 플러그
CN202183513U (zh) 机械辅助杆组件以及具有其的高压互锁电连接器
EP2899735B1 (en) Electromagnetic switching device
CN110649427B (zh) 电连接器
JP3067588B2 (ja) ブレーカスイッチ
WO2024067125A1 (zh) 改进型电连接器
KR102510834B1 (ko) 배선용 차단기의 단자 접속 기구
US7922543B1 (en) Audio jack connector
KR100986197B1 (ko) 탈거가 용이한 전원플러그
US7934961B2 (en) Low profile contact
KR102242060B1 (ko) 레버 타입의 커넥터
KR101417632B1 (ko) 소켓의 타원형 플러그장치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CN209823029U (zh) 一种改进型的连接器
CN210040649U (zh) 一种改进型的连接器
CN110931991A (zh) 分体式导电夹紧机构及具有该机构的接线端子
KR200417230Y1 (ko) 전원플러그
KR950004367B1 (ko) 전기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