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518B1 -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 Google Patents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518B1
KR100956518B1 KR1020070102569A KR20070102569A KR100956518B1 KR 100956518 B1 KR100956518 B1 KR 100956518B1 KR 1020070102569 A KR1020070102569 A KR 1020070102569A KR 20070102569 A KR20070102569 A KR 20070102569A KR 100956518 B1 KR100956518 B1 KR 100956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lumn
joint
load
pil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5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37113A (en
Inventor
윤영수
이주하
양준모
민경환
김성운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대우건설
코비코리아 주식회사
동남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대우건설, 코비코리아 주식회사, 동남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70102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518B1/en
Publication of KR2009003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7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51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3Floor structures of extraordinary design; Features relating to the elastic stability; Floor structures specially designed for resting on columns only, e.g. mushroom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8Dowels, i.e. members adapted to penetrate the surfaces of two parts and to take the shear stres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45Shear reinforcements, e.g. shearheads for floor sl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와 기둥의 접합부에 코어, 다우얼철근이 설치됨으로써 접합부 강도보강으로 인해 기둥과 슬래브의 콘크리트 강도비가 큰 경우에도 상부기둥으로부터 하부기둥으로의 하중전달 능력이 향상되며, 다우얼철근에 비틀림방지판이 부착되어 콘크리트와의 비틀림 방지 및 일체거동이 확보되는 접합부에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and the dowel reinforcement are installed at the joint of the slab and the column, so that the load transfer ability from the upper pillar to the lower pillar is improved even when the concrete strength ratio of the pillar and the slab is increased due to the strength of the joi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structure for transferring load to a joint where a torsion preventing plate is attached to prevent torsion with the concrete and to ensure integral behavior.

접합부, 코어, 다우얼철근, 고강도 콘크리트 Connection, Core, Dowel Rebar, High Strength Concrete

Description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도 1은 종래 접합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junction,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있어 각각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Figure 2a to 2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each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 예에서 접합부(J)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3A to 3D are plan views illustrating the junctions J in each of the embodiments shown in FIGS. 2A to 2D;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4A-4D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A-2D,

도 5는 비틀림방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rsion preventing plate,

도 6a는 실험 장치와 부재 치수를 나타내고, 도 6b와 도 6c는 기둥과 슬래브의 철근 배근 상세를 각각 나타내는 절개도이고,Fig. 6A shows the experimental apparatus and the member dimensions, and Figs. 6B and 6C are cutaway views showing the reinforcement details of the column and the slab, respectively.

도 7은 시험체 NS와 PS의 해석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한 그래프이고,7 is a graph comparing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est specimen NS and P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도 8a 내지 도 8d는 각각의 시험체에서 극한 하중 단계에서 철근의 항복 상황을 나타내는 측단면 해석도이고,8A to 8D are side cross-sectional analysis diagrams showing the yielding state of reinforcing bars in the ultimate load stage in each test body,

도 9는 슬래브-기둥 접합부 시험체의 축방향 하중과 변형률의 관계를 보여주 는 그래프.9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xial load and the strain of the slab-column joint specime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상부 기둥 20 : 슬래브10: upper pillar 20: slab

30 : 하부 기둥 40 : 종방향철근30: lower pillar 40: longitudinal rebar

50, 60 : 코아 70, 80 : 다우얼철근50, 60: core 70, 80: dowel rebar

본 발명은 슬래브와 기둥의 접합부에 코어, 다우얼철근이 설치됨으로써 접합부 강도보강으로 인해 기둥과 슬래브의 콘크리트 강도비가 큰 경우에도 상부기둥으로부터 하부기둥으로의 하중전달 능력이 향상되며, 다우얼철근에 비틀림방지판이 부착되어 콘크리트와의 비틀림 방지 및 일체거동이 확보되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에 관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and the dowel reinforcement are installed at the joint of the slab and the column, so that the load transfer ability from the upper pillar to the lower pillar is improved even when the concrete strength ratio of the pillar and the slab is increased due to the strength of the joi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ing structure for load transfer to a slab-column joint, in which a torsion preventing plate is attached to prevent torsion with concrete and integral behavior is secured.

일반적으로 기둥부재와 같이 축방향력을 받는 구조부재에는 충분한 압축강도가 필요한데 이러한 압축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그 단면이 너무 커지므로 형하 공간에 제약이 있고 시공 면에서도 불리한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기둥부재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충분한 압축강도를 보강하면서 그 기둥 단면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어 최근에는 대형, 고층 구조물의 경우 기둥부재로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In general, structural members subjected to axial force, such as pillar members, have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However, when ordinary concrete is used to reinforce such compressive strength, its cross section becomes too large, which limits the space of the geometry and has disadvantages in terms of construction. have. Therefore, the use of high-strength concrete for such a pillar member can increase the space utilization by reducing the cross section of the pillar while reinforcing sufficient compressive strength, and in recent years, the demand for the use of high-strength concrete as a pillar member for large and high-rise structures is increasing.

그런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이렇게 기둥부재를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에 기둥과 기둥 사이에 슬래브는 경제적인 면에서 일반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밖에 없는 바, 이러한 시공형태를 취하는 경우 슬래브 상부 기둥의 하중이 강도가 낮은 슬래브를 통하여 하부 기둥에 도달하게 되는데 슬래브와 기둥의 콘크리트 강도비가 큰 경우에 기둥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성을 보강한다고 하더라도 그 하부에 상대적으로 약한 강성의 슬래브가 하부 기둥으로 하중 전달을 원활하게 할 수 없어 기둥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는 장점이 충분히 발휘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1, when the pillar member is made of high-strength concrete, the slab between the pillar and the pillar is inevitably economically viable, and when such a construction form is taken, the load of the upper pillar of the slab is increased. The lower pillars reach the lower column. When the ratio of slab and pillar concrete is high, even if the column is reinforced with high-strength concrete, the relatively weak rigid slab underneath the load transfer to the lower colum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fully exhibited the advantage of using high-strength concrete in the column can not be fully exhibited.

또한, 이러한 기둥에서 슬래브로의 하중전달 능력을 보강하기 위해 슬래브와 기둥의 접합부(J)에 집중배근을 하는 경우에도 이질적인 재료의 접합으로 인해 비틀림이 발생하기 쉽고, 변형량 차이로 인한 구조물 결함 등의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intensive reinforcement at the joint (J) of the slab and the column to reinforce the load transfer ability from the column to the slab, it is easy to cause torsion due to the joining of dissimilar materials, structural defects due to the difference in deformation amount, etc. there is a problem.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래브와 기둥의 접합부에 강성을 보강하여 하중전달 능력을 강화하고, 이러한 보강에 의하더라도 비틀림이나 변형량의 차이를 방지할 수 있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slab and the joint to strengthen the load transfer capacity, even by this reinforcement slab-pillar can prevent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twist or deformation Provide reinforcing structures for load transfer at the joint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슬래브-기둥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는 상부 기둥, 슬래브, 및 하부기둥으로 구성되는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에 있어서, 고강도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상부기둥 및 하부기둥과; 상기 상부기둥, 슬래브, 및 하부기둥을 관통하는 복수의 종방향 철근과; 상기 슬래브에서 상기 종방향 철근에 의해 둘러 쌓인 내부로 고강도 콘크리트로 형성되는 코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slab-column junction load transf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upper column, the slab, and the lower column is composed of the upper column and the lower column and the column junction, the high column and the lower column ;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penetrating the upper pillar, the slab, and the lower pillar; The slab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ore formed of high-strength concrete in the interior surrounded by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상기 코어는 상기 상부기둥과 접하는 부분에서 슬래브 높이의 중심에만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cor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high-strength concrete only in the center of the slab height in contact with the upper column.

한편, 본 발명의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는 상부 기둥, 슬래브, 및 하부기둥으로 구성되는 슬래브와 기둥 접합부에 있어서, 고강도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상부기둥 및 하부기둥과; 상기 상부기둥, 슬래브, 및 하부기둥을 관통하는 복수의 종방향 철근과; 상기 접합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다우얼 철근과; 상기 다우얼 철근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비틀림방지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connection load transf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lab and the column joint consisting of the upper column, the slab, and the lower column, the upper column and the lower column made of high-strength concrete;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penetrating the upper pillar, the slab, and the lower pillar; A plurality of dowel bars formed on the join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late-shaped torsion preventing plate attached to the dowel rebar.

또한, 상기 비틀림방지판은 다우얼 철근에 삽입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된 몸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rsion preventing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ring inserted into the dowel rebar and the body portion attached to the right angle to the ring.

또한, 상기 몸체부에는 직각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전단봉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or more shear rods are attached in a perpendicular direction.

또한, 상기 다우얼 철근은 상기 접합부에 구성하되, 상부기둥에서부터 슬래브 높이의 중심까지 형성되는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에서 일체형으로 원심방향으로 절곡된 펀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dowel reinforcing bar is configured to the junction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transmission portion formed from the upper column to the center of the slab height and a punching portion bent in a centrifugal direction integrally from the transmission por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a 내지 도 2d는 본 발명에 있어 각각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각각의 실시 예에서 접합부(J) 부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4a 내지 도 4d는 도 2a 내지 도 2d에 도시된 본 발명의 각각의 실시 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비틀림방지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는 실험 장치와 부재 치수를 나타내고, 도 6b와 도 6c는 기둥과 슬래브의 철근 배근 상세를 각각 나타내는 절개도이고,Figures 2a to 2d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each embodiment in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 to 3d is a plan view showing a portion of the junction (J) in each embodiment shown in Figures 2a to 2d, 4A to 4D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respec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2A to 2D,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orsion preventing plate, Fig. 6A shows an experimental apparatus and member dimensions, Figs. 6B and Fig. 6c is a cutaway view showing the details of the reinforcement of the columns and slabs, respectively.

본 발명의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는 통상의 슬래브-기둥 구조물에서 상부 기둥(10), 슬래브(20), 하부기둥(30)과 이들을 관통하는 복수의 종방향 철근(40) 및 접합부(J)의 보강구조서 코어(50), 세미 코어(60), 다우얼철근(70) 및 절곡형의 다우얼철근(80)을 제시한다.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ad transfer of th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ventional slab-column structure in the upper column 10, the slab 20, the lower column 30 and 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40 and the junction (J) through them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core 50, the semi-core 60, the dowel reinforcement 70 and the bent type dowel reinforcement 80 is presented.

상기 종방향 철근(40)은 설계하중 등을 고려하여 그 수를 선택할 수 있는데, 도 2a 등에서는 일 예로서 4개로 구성하고 있다. The number of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40 can b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e design load and the like, but in FIG.

상기 상부 기둥(10) 및 하부 기둥(30)은 기둥 단면감소 및 압축강성의 강화를 위해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upper pillar 10 and the lower pillar 30 is preferably composed of high-strength concrete for reducing the column cross-section and reinforce the compressive rigidity.

이렇게 기능적으로 상부 기둥(10) 및 하부 기둥(30)을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함에 의해 상기 슬래브(20)를 일반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경우에 슬래브-기둥 접합부(J)의 강성 약화로 상부 기둥(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하부 기둥(30)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슬래브-기둥 접합부(J)의 슬래브(20) 부분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강구조로서 코어(50), 세미 코어(60), 다우얼철근(70) 및 절곡형의 다우얼철근(80)을 제시한다.Thus, when the upper column 10 and the lower column 30 is composed of high-strength concrete, when the slab 20 is composed of general concrete, the upper column 10 is formed by weakening the rigidity of the slab-column joint J. In order to prevent the load from being transmitted to the lower column 30 and the brittle fracture occurs in the slab 20 portion of the slab-column joint J, the core 50, semi- A core 60, a dowel rebar 70 and a bent dowel rebar 80 are presented.

우선 코어(50)는 도 2a, 3a 및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래브(20)에서 상기 종방향 철근(40)에 의해 둘러 쌓인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고강도콘크리트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코어(50) 즉 종방향 철근(40)에 의해 횡방향으로 구속된 고강도콘크리트에 의해 접합부(J)에서의 하중전달을 보강함으로써 접합부(J)의 슬래브 부분에서 취성파괴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First, as shown in FIGS. 2A, 3A, and 4A, the core 50 is formed of high strength concrete in a configuration formed inside the slab 20 surrounded by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40. Thus, bridging fracture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t the slab portion of the junction J by reinforcing the load transfer at the junction J by the high-strength concrete constrained laterally by the core 50, that is, the longitudinal rebar 40. It will be possible.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2b, 3b, 및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세미 코어(60)를 제시하는데 세미 코어(60)는 상기 상부기둥(10)과 접하는 부분에서 슬래브(20) 높이의 중심까지만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코어(60)(세미 코어)의 높이를 상기 상부기둥(10)과 접하는 슬래브(20)에서 슬래브(20) 중심까지만 이를 타설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하중재하시 기둥과 슬래브의 거동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기둥 하중 하에서 접합부 콘크리트는 기둥 콘크리트보다 더 큰 변형이 발생하지만 접합부의 측면 팽창은 둘레 슬래브에 의해서 구속된다. 슬래브에 하중이 가해지면 접합부의 윗부분은 인장력을 받고, 아래부분은 압축력을 받는다. 휨에 의해 중립축 아래 부분에서는 슬래브의 압축 블록이 접합부를 구속하지만, 중립축 윗 부분에서는 둘레 슬래브가 접합부를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코어(60)를 슬래브 중심에서 윗 부분에만 구성함으로써 접합부(J)에서의 하중전달을 보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2b, 3b, and 4b to present a semi-core 60, the semi-core 60 is a high-strength concrete only up to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slab 20 in contact with the upper column 10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In other words, the height of the core 60 (semi-core) is to be poured only from the slab 20 in contact with the upper column 10 to the center of the slab 20. This configuration is due to the behavior of the column and slab under load. In other words, under the column load, the joint concrete undergoes greater deformation than the column concrete, but the lateral expansion of the joint is constrained by the perimeter slab.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lab, the upper part of the joint receives tension and the lower part receives compression. The bending block of the slab constrains the joint at the lower part of the neutral shaft due to bending, but the peripheral slab does not constrain the joint at the upper part of the neutral shaft. Therefore, by configuring the core 60 only in the upper portion from the center of the slab it is possible to reinforce the load transfer in the joint (J).

이와 같이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한 코어(50, 60)를 구성함에 의해 접합 부(J)의 강도가 보강되는 것은 이하의 실험 예 1에서 이를 증명한다.As such, the strength of the joints J is reinforced by constructing the cores 50 and 60 using the high-strength concrete.

{실험 예 1}{Experimental Example 1}

본 실험에서는 파괴하중 시 슬래브-기둥 접합부 거동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4개의 슬래브-기둥 시험체를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시험체 NS는 도 1에서 제시된 구조로써 150 mm 두께를 가진 45 MPa 일반강도 콘크리트 슬래브의 위, 아래로 90 MPa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으로 제작되었고, 또 다른 시험체 PS는 기둥 인접 구역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확대 타설하여 제작되었다. 즉 PS는 기둥의 슬래브와 접하는 면적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슬래브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한 시험체이다. 두 시험체는 모두 두께 150 mm의 1350 mm 정방형 슬래브와 그 슬래브의 위, 아래로 높이 675 mm의 250 mm 정방형 기둥으로 제작되었다. 각 시험체는 실제 시공 순서를 고려하여 최초 하부 기둥 타설, 이틀 뒤에 슬래브 타설, 슬래브 타설 당일 상부 기둥 타설의 순으로 세 단계로 나누어 타설되었다. 시험체 PS의 내민부분(기둥의 슬래브와 접하는 면적보다 넓게 형성되는 슬래브에서 고강도 콘크리트 부분)의 경우, 슬래브를 타설하는 당일 먼저 고강도 콘크리트를 기둥 인접부에 타설하고, 그 다음 슬래브의 나머지 부분을 일반강도 콘크리트로 타설하였다. 그리고 나서 내민부분의 고강도 콘크리트는 일반강도 슬래브 콘크리트와 잘 합쳐졌다. 기둥 양 끝단에서의 하중 전단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재 클램프(steel clamp)를 이용하여 상·하부의 기둥 단부를 완전 구속하였다. 도 6a는 실험 장치와 부재 치수를 보여주고 있고, 도 6b와 도 6c는 기둥과 슬래브의 철근 배근 상세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슬래브의 피복두께를 20 mm로 두어 유효깊이(d)는 120 mm로 하였다. 기둥의 종방향 철근은 부재 전체 높이에 대하여 연속성을 갖도록 하였다. In this experiment, four slab-column specimens were fabricated to help understand the slab-column joint behavior under failure load. Specimen NS was constructed from 90 MPa high-strength concrete columns above and below 45 MPa general-strength concrete slabs with a thickness of 150 mm, with the structure shown in FIG. It became. In other words, PS is a test specimen in which high-strength concrete is poured on the slab so that it has a larger area than the contact with the slab of the column. Both specimens were fabricated from 150 mm thick 1350 mm square slabs and 250 mm square columns of 675 mm height above and below the slab. Each specimen was placed in three stages: the first lower column placing, the slab casting two days later, and the upper column placing on the day of slab placing, taking into account the actual construction order. In the case of the extruded part of the test body PS (high-strength concrete part in the slab formed wider than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slab of the column), on the day of placing the slab, high-strength concrete is first placed in the vicinity of the column, and then the rest of the slab is placed in general strength. It was poured into concrete. The high strength concrete in the extruded section then merged well with the general strength slab concrete. In order to improve the load shear force at both ends of the column, the upper and lower column ends were completely restrained by using a steel clamp. FIG. 6A shows the experimental apparatus and the member dimensions, and FIGS. 6B and 6C show the reinforcement details of the column and the slab, respectively. The coating thickness of the slab was 20 mm, and the effective depth d was 120 mm. The longitudinal reinforcement of the column was designed to have continuity for the entire height of the member.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실제 구속 상태를 고려하기 위해, 4개의 유압잭을 하나의 유압 펌프에 연결하고 슬래브의 네 모서리에 하중을 적용시켰다. 슬래브 하중은 수동으로 조작되며 각 유압잭에 설치된 로드셀을 통해 측정되었다. 기둥 하중은 11,000 kN 용량의 UTM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컴퓨터를 통해 변위 제어 (displacement control)되었으며, 단조 하중으로 적용되었다. 또한 하중과 변위가 UTM을 통해 자동 기록되었다. To account for the actual restraint of the slab-column joint, four hydraulic jacks were connected to one hydraulic pump and loads were appli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slab. The slab load was manually operated and measured by load cells installed in each hydraulic jack. Column loads were computerized displacement controlled using a 11,000 kN Universal Testing Machine (UTM) and applied as forged loads. Loads and displacements were also recorded automatically via UTM.

슬래브 두께 150 mm와 슬래브 면으로부터 상·하부 300 mm 떨어진 부분에 대한 평균 변형률 측정을 위해 마주보는 기둥의 두 면에 각각 3개씩의 LVDT가 설치되었다. 슬래브에 작은 구멍을 뚫어 가운데 LVDT가 슬래브의 평균 변형률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각 시험체의 슬래브, 기둥 철근에 스트레인 게이지를 설치하였는데, 4개는 기둥과 접하는 슬래브 상부철근에, 4개는 기둥 중심에 위치한 슬래브 상부철근에, 8개는 기둥의 종방향 철근에 부착하여 총 16개의 스트레인 게이지를 매설하였다. Three LVDTs were installed on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opposing columns to measure the average strain for the 150 mm slab thickness and 300 mm above and below the slab surface. Small holes were drilled in the slab, allowing the LVDT to measure the average strain of the slab. In addition, strain gauges were installed on the slab and column reinforcement of each specimen. Four were attached to the upper slab reinforcing bar in contact with the column, four were attached to the upper slab reinforcing bar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column, and eight were attached to the longitudinal bars of the column. Sixteen strain gauges were embedded.

각 시험체를 UTM에 고정시키기 위해 기둥 하중 400 kN을 가하였다. 그 후 슬래브 하중을 서서히 적용시켰고, 총 슬래브 하중까지 가한 후에는 그 슬래브 하중상태를 유지하면서, 기둥 하중을 서서히 증가시켰다. 시험체 NS의 총 슬래브 하중은 슬래브 철근에 부착되어 있는 스트레인 게이지 중 기둥면과 교차되는 위치에 있는 4개의 스트레인 게이지 평균값이 2,000 με가 될 때의 하중이다. 일반적인 슬 래브-기둥 구조물에서 기둥 주변의 변형률 2,000 με은 총 사용하중(full service load)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시험체 NS에 가해진 총 슬래브 하중은 132 KN이었고, 고강도 콘크리트의 확대 타설에 대한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시험체 PS는 슬래브 철근의 변형률과 상관없이 시험체 NS에 적용된 총 슬래브 하중과 동일한 크기의 하중이 적용되었다.A column load of 400 kN was applied to fix each test specimen to the UTM. The slab load was then slowly applied, and after applying up to the total slab load, the column load was gradually increased while maintaining the slab load. The total slab load of the specimen NS is the load when the average of the four strain gages at the position intersecting the column face among the strain gages attached to the slab rebar is 2,000 με. In a typical slab-column structure, the strain of 2,000 με around the column corresponds to the full service load. The total slab load applied to the specimen NS was 132 KN, and to observe the effect of the expansion of high-strength concrete, the specimen PS was applied with the same size of the total slab load applied to the specimen NS regardless of the strain of the slab reinforcement. .

본 실험에서는 슬래브-기둥 시험체에 대한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3차원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은 구조물의 응력과 변형을 실험보다 더 완벽하게 평가하기 때문에 파괴 하중까지 구조물의 역학적 거동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experiment, three-dimensional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was performed on slab-column specimens. Since the three-dimensional nonlinear finite element analysis evaluates the stress and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more completely than the experiments, it can help to understand the mechanical behavior of the structure up to the breaking load.

해석 결과와 실험 결과를 비교하기 위해 해석에 사용된 시험체는 실험에 사용된 시험체와 동일 크기, 동일 배근 상세를 갖도록 하였다. 또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성능 향상을 위한 대체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실험에 사용된 시험체 외에 다른 시험체의 해석도 수행하였다. In order to compare the analysis results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test specimens used in the analysis were to have the same size and the same reinforcement details as the test specimens used in the experiment. In addition, in order to study alternative methods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slab-column joints, the analysis of other test specimens was performed.

일반강도 콘크리트 슬래브를 사용한 시험체 NS는 다양한 방법으로 보강된 슬래브-기둥 시험체의 거동과 비교하기 위해 벤치마크 시험체로 사용되었다. 고강도 콘크리트 기둥으로부터의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슬래브의 접합부 부분과 기둥 둘레 부분에 고강도 콘크리트를 확대 타설하는 것이다("puddled" concrete). 본 실험에서 시험체 PS의 경우 실험 및 유한요소해석 시 전략적으로 기둥 표면으로부터 2d('d'는 슬래브의 유효깊이) 만큼 떨어진 슬래브까지 고강도 콘크리트를 확대 타설하였다.Test specimen NS using a plain-strength concrete slab was used as a benchmark specimen to compare the behavior of slab-column specimens reinforced with various methods. One way to transfer axial loads from high strength concrete columns is to "puddled" concrete with high strength concrete at the joints of the slab and around the column. In this experiment, in the case of test specimen PS, high-strength concrete was cast to the slab 2d ('d' is the effective depth of slab) from the column surface during the experimen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시험체 NS-HC와 NS-FC는 종방향철근으로 구속되어 지는 고강도 콘크리트 코어를 넣어 해석되었다. 기둥 하중 하에서 접합부 콘크리트는 기둥 콘크리트 보다 더 큰 변형이 발생하지만 접합부의 측면 팽창은 둘레 슬래브에 의해서 구속된다. 슬래브에 하중이 가해지면 접합부의 윗 부분은 인장력을 받고, 아래 부분은 압축력을 받는다. 휨에 의해 중립축 아래 부분에서는 슬래브의 압축 블록이 접합부를 구속하지만, 중립축 윗 부분에서는 둘레 슬래브가 접합부를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시험체 NS-FC는 접합부 전체에 고강도 콘크리트 코어를 두고 해석한 반면 시험체 NS-HC는 접합부 윗 부분에만 고강도 콘크리트 코어를 두었다. Test specimens NS-HC and NS-FC were analyzed with high-strength concrete cores constrained by longitudinal bars. Under column loads, the joint concrete undergoes greater deformation than the column concrete, but the lateral expansion of the joint is constrained by the perimeter slab.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lab, the upper part of the joint receives tension and the lower part receives compression. The bending block of the slab constrains the joint at the lower part of the neutral shaft due to bending, but the peripheral slab does not constrain the joint at the upper part of the neutral shaft. Therefore, the specimen NS-FC was analyzed with the high strength concrete core throughout the joint, whereas the specimen NS-HC had the high strength concrete core only at the upper part of the joint.

시험체에 대한 해석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험체 NS와 PS의 해석결과를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유한요소해석의 결과는 최대 내하력, 기둥의 극한평균변형률, 강성에서 유사한 거동을 보이면서 실험결과와 매우 일치하였다. 또한 해석 시 나타난 파괴 유형은 실험에서 관찰된 것과 매우 일치하였다. In order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analysis model to the test body, as shown in FIG. 7, the analysis results of the test body NS and the PS were compared with the test results. The results of the finite element analysis wer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ing similar behavior in maximum load capacity, ultimate mean strain of the column, and stiffness. In addition, the types of failures presented in the analysis were very consistent with those observed in the experiments.

도 8a 내지 8d는 모든 시험체의 극한 하중 단계에서 철근의 항복 상황을 보여주고 있다. 굵은 선이 철근의 항복을 나타낸다. 시험체 NS 기둥의 종방향 철근은 상부 기둥, 하부 기둥, 접합부의 순으로 항복하였고, 다른 모든 시험체도 시험체 NS의 항복 순서와 같은 순서 항복하였다. 그러나 고강도 콘크리트를 확대 타설한 시험체 PS와 고강도 콘크리트로 코어를 형성한 NS-HC와 NS-FC는 모두 동일하게 접합부에서 종방향 철근의 항복이 발생하지 않았다. 이는 고강도 콘크리트의 확대 타설 및 코어 형성에 의해 접합부가 극한하중까지 기둥 하중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8a to 8d show the yielding of reinforcing bars in the ultimate loading stage of all test specimens. The thick line indicates the yield of the rebar.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of the specimen NS column yielded in the order of the upper column, the lower column, and the joints, and all other specimens were yielded in the same order as that of the specimen NS. However, the specimen PS expanded from high-strength concrete and NS-HC and NS-FC cored from high-strength concrete did not yield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at the joint. This means that the joint can effectively transfer the column load up to the ultimate load by the expansion of the high-strength concrete and the core formation.

도 9는 몇 가지 변수의 영향에 따른 슬래브-기둥 접합부 시험체의 축방향 하중과 변형률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슬래브-기둥 접합부 시험체에서 고강도 콘크리트 확대 타설이 접합부의 축방향 하중과 평균 변형률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고 있고, 고강도 콘크리트 확대 타설이 강도 및 강성을 증가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기서 주목할 만한 점은 기둥 콘크리트 확대 타설 시 기둥 표면으로부터 최소 600 mm (CSA Standard에서는 500 mm) 만큼 떨어진 슬래브까지 기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한다고 ACI Code에서 규정하고 있지만, 시험체 PS는 전략적으로 2d (240 mm) 만큼만 확대 타설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래브 두께 전체에 대하여 고강도 콘크리트 코어를 둔 시험체 NS-FC의 경우는 코어의 단면적이 기둥 단면적의 16%에 해당함에도 불구하고 시험체 PS와 유사한 극한 하중을 나타내었다. 또한, 고강도 콘크리트 코어를 접합부의 윗부분에만 타설한 시험체 NS-HC의 경우도 고강도 콘크리트 코어를 둔 시험체 NS-FC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S와 유사한 극한 하중을 나타내었다. Figure 9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xial load and the strain of the slab-column joint specimen under the influence of several variables. In the slab-column joint test specimen, the high-strength concrete expansion pour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xial load and the average strain of the joint, and the high-strength concrete expansion pour increases the strength and stiffness. Also noteworthy here is that the ACI Code requires that the concrete be cast to a slab at least 600 mm (500 mm in the CSA Standard) from the column surface when the column concrete is to be expanded. )) In particular, the specimen NS-FC having a high-strength concrete core over the entire slab thickness showed an extreme load similar to that of the specimen PS, althoug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re corresponds to 16% of the column cross-sectional area. In addition, the test specimen NS-HC in which the high-strength concrete core was placed only at the upper portion of the joint was similar to the PS, as in the case of the test specimen NS-FC having the high-strength concrete core.

따라서,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기둥 하중 전달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고강도 콘크리트의 확대 타설, 고강도 콘크리트 코어의 전체 타설 및 절반 타설의 새로운 설계가 제안되었고, 이에 대하여 실물 크기 실험 및 비선형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유한요소해석 결과는 실험 결과와 일치하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슬래브-기둥 접합부 거동에 대한 비선형 3차원 유한요소해석 방법은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refore, a new design of expanded casting of high strength concrete, full placing of high strength concrete core and half casting was proposed as a method for improving the column load transfer performance of slab-column joint. An analysis was performed. The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and the nonlinear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method for the slab-column joint behavior proposed in this study is found to be reliable.

실험 및 해석 결과, 기둥 주변 슬래브에 대한 고강도 콘크리트의 확대 타설 방법(PS)은 축방향 압축강도의 증가, 강성의 증가,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철근 항복방지 등의 뛰어난 성능 향상을 보여주었으나, 코어를 형성하는 방법(NS-FC)의 경우에도 고강도 콘크리트를 확대 타설하는 것 못지 않게 강성의 증가 및 접합부 철근 항복방지에 우수한 성능을 보여 주었으며 특히 코어를 슬래브의 윗부분에만 구성하는 방법(NS-HC)의 경우에는 코어를 형성하는 방법(NS-FC)과 유사한 극한하중, 항복방지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Experimental and analytical results show that the expanded casting method of high-strength concrete (PS) for slabs around columns shows excellent performance improvements such as increased axial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stiffness, and prevention of reinforcing bars of slab-column joints. In the case of the NS-FC method, the stiffness and the joint reinforcement prevention performance were as good as the high-strength concrete expansion. Especially, the core is formed only on the upper part of the slab (NS-HC). In the case of, it shows the ultimate load and yield resistance similar to the core forming method (NS-FC).

결국 접합부 강도 보강을 위해 코어를 구성함에 의해서도 보다 넓게 고강도 콘크리트로 슬래브를 보강하는 것과 거의 동일한 결과를 발생케 함으로써 접합부 강도 보강을 위해서 경제적으로 접합부 부분에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된 코어를 구성하고 특히 코어를 슬래브 중심 윗부분에만 구성하여도 무방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As a result, by constructing the core for joint strength reinforcement, the result is almost the same as that of reinforcing the slab with high strength concrete. It can be concluded that it can be configured only in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한편, 본 발명의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는 다른 실시 예로써 상부 기둥(10) 및 하부 기둥(30)을 고강도 콘크리트로 구성함에 의해 상기 슬래브(20)를 일반 콘크리트로 구성하는 경우에 접합부(J)의 강성 약화로 상부 기둥(1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이 하부 기둥(30)으로 충분히 전달되지 못하고 접합부(J)의 슬래브(20) 부분에서 취성파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보강구조로서 다우얼철근(70) 및 절곡형의 다우얼철근(80)을 제시한다.On the other hand, 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ad transmission of the j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upper pillar 10 and the lower pillar 30 in another embodiment by constructing a high-strength concrete, when the slab 20 is composed of ordinary concrete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upper pillar 10 due to the weakening of J) is not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lower pillar 30 and brittle fracture is prevented from occurring at the slab 20 portion of the joint J. As a structure, the dowel reinforcing bar 70 and the bent dowel bar 80 are presented.

우선 다우얼철근(70)은 접합부(J)에서 슬래브(20)를 관통하여 상부 기둥(10) 및 하부 기둥(30)의 일정부분까지 연장되는 보강철근으로써 도 2c, 3c, 4c에서 보 는 바와 같이 종방향철근(40)의 사이 사이에 배근하는 것으로 종방향철근(40)과 함께 띠철근(41)에 용접되어 접합부(J)의 연성능력 및 강도를 보강해주는 것이다. 상기 다우얼철근(70)의 수는 기둥의 고강도 콘크리트와 슬래브의 일반 콘크리트의 강도비 등을 고려하여 그 수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도 3c, 4c에서는 일 예로 각각의 종방향철근(40) 사이에 2개씩 총 8개를 구성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First, the dowel rebar 70 is a reinforcing bar extending through the slab 20 at the joint portion J and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upper column 10 and the lower column 30, as shown in FIGS. 2C, 3C, and 4C. As shown in the reinforcement between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 40 as described above is to be welded to the band reinforcing bar 41 together with the longitudinal reinforcing bar 40 to reinforce the ductility and strength of the joint (J). The number of the dowels 70 may be selectively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the strength ratio of the high strength concrete of the column and the general concrete of the slab, etc. In FIG. 3C and 4C, for example, each longitudinal rebar 40 is used. 8 shows a case in which a total of eight are configured between two.

또한, 상기 다우얼철근(70)에는 비틀림방지판(71)이 구성되어 슬래브(20)와 각각의 기둥(10, 30)의 접합부에 설치됨으로써 이질적인 재료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orsion bar 70 is provided with a torsion preventing plate 71 is installed in the junction of the slab 20 and each of the pillars (10, 30) to prevent the torsion that may be caused by heterogeneous materials Preferably configured.

즉 상기 비틀림방지판(71)은 상기 다우얼철근(70)에 부착하되 상부 기둥(10) 및 하부 기둥(30)과 슬래브(20)가 접하는 각각의 위치에 부착하는 것으로 이 경우에 상기 비틀림 방지판(71)은 상기 다우얼철근(70)에 용접에 의해 부착함이 타당한데, 부착부분의 강도가 상기 다우얼철근(70) 및 비틀림 방지판(71)의 강도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 부착부분의 취성파괴를 방지함이 타당하다.That is, the torsion preventing plate 71 is attached to the dowel rebar 70, but attached to each position where the upper pillar 10 and the lower pillar 30 and the slab 20 in contact with the torsion in this case It is reasonable that the plate 71 is attached to the dowel rebar 70 by welding, so that the strength of the attachment portion is maintained at or above the strength of the dowel reinforcing bar 70 and the torsion preventing plate 71. It is advisable to prevent brittle fractures.

또한, 상기 비틀림방지판(71)을 상기 다우얼철근(70)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비틀림방지판(71)은 다우얼 철근에 삽입되는 고리(71a)와 상기 고리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된 몸체부(71b)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다우얼철근(70)에 고리(71a)를 삽입하여 용접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고리(71a)의 수는 성형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rsion plate 71 as shown in Figure 5 to easily attach the torsion prevention plate 71 to the dowel rebar 70 and the ring 71a is inserted into the dowel rebar and the It may be composed of a body portion 71b attached to the ring at a right angle. By this configuration, the ring 71a may be inserted into the dowel rebar 70 to facilitate welding, and the number of the rings 71a may be selectively configured in consideration of formability.

또한, 상기 비틀림방지판(71)에는 상기 다우얼철근(70)과 그 외주연에 접하는 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가 그 재질이 다름으로 인해 하중 등에 의한 변형 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러한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서 상기 몸체부(71b)에 직각방향으로 봉 형상의 다수의 전단봉(71c)을 구성할 수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단봉(71c)은 상기 몸체부(71b)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되어 상기 다우얼철근(70)과 그 외주연에 접하는 콘크리트 및 고강도 콘크리트와 일체거동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orsion preventing plate 71 may have a difference in deformation amount due to load due to different materials of concrete and high-strength concrete in contact with the dowel reinforcement 70 and its outer circumference. In order to correct, a plurality of rod-like shear bars 71c may be configur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ody portion 71b.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he shear rod 71c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body portion 71b and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dowel reinforcing steel 7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thereof. It is to be able to secur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로 도 2d, 3d, 및 4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절곡형의 다우얼철근(80)을 제시한다. 상기 다우얼 철근(80)은 상기 접합부(J)에 구성하되, 상부기둥(10)에서부터 슬래브(20) 높이의 중심까지 형성되는 전달부(81)와 상기 전달부(81)에서 일체형으로 원심방향으로 절곡된 펀칭부(82)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절곡형의 다우얼 철근(80)은 "ㄴ"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상부기둥(10)에서부터 슬래브(20) 높의의 중심까지 형성되는 전달부(81)에 의해 접합부의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이 되는 것이며, 상기 절곡된 펀칭부(82)에 의해 슬래브 기둥의 접합부(J)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펀칭전단에 의한 파괴에 있어 그 보강이 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ad transmission of the joint as shown in Figure 2d, 3d, and 4d dowel rebar 80 is presented. The dowel reinforcement 80 is configured in the junction (J), the centrifugal direction integrally from the transmission portion 81 and the transmission portion 81 formed from the upper column 10 to the center of the height of the slab 20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punching portion 82 bent to. In other words, the bent dowel reinforcement 80 is formed of a "b" shape for the transfer of load of the joint by the transfer portion 81 is formed from the upper column 10 to the center of the slab 20 height The reinforcement is to be reinforced, and the bent punching portion 82 is used to reinforce the fracture by the punching shear that may occur at the junction J of the slab column.

상기 전달부(81)를 상부기둥(10)에서부터 슬래브(20) 높의의 중심까지 형성하는 것도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접합부에서 하중 재하시 발생되는 거동에 기인하는 것이다. 즉 기둥 하중 하에서 접합부 콘크리트는 기둥 콘크리트보다 더 큰 변형이 발생하지만 접합부의 측면 팽창은 둘레 슬래브에 의해서 구속된다. 슬래브에 하중이 가해지면 접합부의 윗부분은 인장력을 받고, 아래부분은 압축력을 받는다. 휨에 의해 중립축 아래 부분에서는 슬래브의 압축 블록이 접합부를 구속하지 만, 중립축 윗 부분에서는 둘레 슬래브가 접합부를 구속하지 않는다. 따라서, 슬래브 중심에서 상부에만 전달부(81)를 구성하여도 접합부(J)에 있어 하중전달에 충분한 보강이 되는 것이다.The formation of the transfer part 81 from the upper pillar 10 to the center of the slab 20 height is also attributable to the behavior generated under load load at the joint as mentioned above. In other words, under the column load, the joint concrete undergoes greater deformation than the column concrete, but the lateral expansion of the joint is constrained by the perimeter slab. When a load is applied to the slab, the upper part of the joint receives tension and the lower part receives compression. Due to the deflection, the compression block of the slab restrains the joint at the lower part of the neutral shaft, but the peripheral slab does not restrain the joint at the upper part of the neutral shaft. Therefore, even if the transmission part 81 is comprised only in the upper part in the center of a slab, it will be sufficient reinforcement for load transmission in the junction part J. As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는 접합부에 코어, 다우얼철근을 설치함으로써 접합부 특히 일반 콘크리트로 타설된 슬래브 부분에서 강도가 보강되어 상부기둥으로부터의 하중전달에 충분한 강성이 접합부에 부여되는 장점이 있다.The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load transfer of the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ore and a dowel reinforcement at the joint, whereby the strength is reinforced at the joint, in particular, the slab portion cast in general concrete, thereby providing sufficient rigidity for the load transfer from the upper pillar.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접합부에 다우얼철근과 함께 비틀림방지판이 부착되어 이질적인 재료에 의한 비틀림이 방지되며, 콘크리트와의 일체거동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torsion prevention plate is attached to the joint with the dowel reinforcement to prevent torsion due to heterogeneous materials,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integral behavior with the concrete is secur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ordinary knowledg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부 기둥, 슬래브, 및 하부기둥으로 구성되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에 있어서,In the slab-column junction consisting of an upper column, a slab, and a lower column, 고강도콘크리트로 구성되는 상부기둥 및 하부기둥과;An upper pillar and a lower pillar composed of high-strength concrete; 상기 상부기둥, 슬래브, 및 하부기둥을 관통하는 복수의 종방향 철근과;A plurality of longitudinal reinforcing bars penetrating the upper pillar, the slab, and the lower pillar; 상기 접합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다우얼 철근과;A plurality of dowel bars formed on the joint portion; 상기 다우얼 철근에 부착되는 판형상의 비틀림방지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기둥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Reinforcing structure for slab-column joint loa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plate-shaped torsion preventing plate attached to the dowel rebar.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비틀림방지판은 다우얼 철근에 삽입되는 고리와 상기 고리에 직각방향으로 부착된 몸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기둥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The torsion preventing plate is a 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slab-column joint loa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ring inserted into the dowel rebar and a body portion attached to the ring at right angles.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몸체부에는 하나 이상의 전단봉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기둥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Reinforcing structure for the slab-column junction loa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the body portion is attached to one or more shear rods.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상기 다우얼 철근은 상기 접합부에 구성하되, 상부기둥에서부터 슬래브 높의의 중심까지 형성되는 전달부와 상기 전달부에서 일체형으로 원심방향으로 절곡된 펀칭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슬래브-기둥 접합부 하중전달을 위한 보강구조. The dowel reinforcement is configured to the junction portion, the slab-column junction load transfer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transmission portion formed from the upper pillar to the center of the slab height and a punching portion bent in a centrifugal direction integrally from the transmission portion Reinforcement structure.
KR1020070102569A 2007-10-11 2007-10-11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KR10095651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69A KR100956518B1 (en) 2007-10-11 2007-10-11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569A KR100956518B1 (en) 2007-10-11 2007-10-11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13A KR20090037113A (en) 2009-04-15
KR100956518B1 true KR100956518B1 (en) 2010-05-07

Family

ID=40761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569A KR100956518B1 (en) 2007-10-11 2007-10-11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51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53097A (en) * 2014-10-21 2015-03-25 安徽铁创新材料科技有限公司 Masonry lacing bar structur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37A (en) * 1994-07-18 1996-01-30 Ohbayashi Corp Flat slab-column joint part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2002047726A (en) 2000-08-02 2002-02-15 Shimizu Corp Building having composite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7937A (en) * 1994-07-18 1996-01-30 Ohbayashi Corp Flat slab-column joint part i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2002047726A (en) 2000-08-02 2002-02-15 Shimizu Corp Building having composit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7113A (en) 2009-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23653B2 (en) Column structure
JP6023476B2 (en) Rebar structure
KR101328045B1 (en) Reinforced concrete composite columns using precast 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ement
Chung et al. Shear strength of T-type Perfobond rib shear connectors
JP2008050788A (en) Seismic strengthening structure of existing building
KR102069419B1 (en) Composite pile internally reinforced by steel tube
KR100956518B1 (en)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Slab-Column Joint
KR101119050B1 (en) structure for filling-up a steel reinforced concrete on H shaped section steel in slab bridge
JP2003227236A (en) Permanent and emergent aseismatic reinforcement method for column with wall
KR20130090453A (en) Reinforcement member and girder using the same
KR20190080461A (en) Concrete slab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oncrete slab
KR20090058919A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Swaminathan et al. Experimental investigation on shear connectors in steel-concrete composite deck slabs
JP2014173223A (en) Reinforcement structure
JP3938718B2 (en) Reinforced concrete beam structure
JP6978901B2 (en) Joining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of precast concrete beam members
Choi et al. Experimental study of interior slab-column connections subjected to vertical shear and cyclic moment transfer
JP2000192455A (en) Cast-in-place reinforced concrete pile
JP6764645B2 (en) Joint structure of structural members
Suzuki et al. Structural performance of mixed member composed of steel reinforced concrete and reinforced concrete
JP7198692B2 (en) Reinforced concrete column beam structure
KR20090017083A (en) A reinforcing structure for improved transmission of joint and method for it
JP2004316367A (en) Shearing reinforcement method of reinforced concrete column
Budiwati et al. Flexural tests of masonry beam with and without reinforced bar
JP6324762B2 (en) Column connection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