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6374B1 - 무선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6374B1
KR100956374B1 KR1020070124920A KR20070124920A KR100956374B1 KR 100956374 B1 KR100956374 B1 KR 100956374B1 KR 1020070124920 A KR1020070124920 A KR 1020070124920A KR 20070124920 A KR20070124920 A KR 20070124920A KR 100956374 B1 KR100956374 B1 KR 1009563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remote host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transmission buf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4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8234A (ko
Inventor
신교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4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6374B1/ko
Publication of KR200900582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82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63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63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간의 연결 시도 및 종료시 시간을 줄이기 위한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a) 통신장치의 통신 소켓 모드를 대기 시간이 미리 설정 가능한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c)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되었을 경우 통신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고, 연결 성공을 통보하는 단계; d) 연결 종료시 원격호스트와 연결 종료를 시도하는 단계; 및 e)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지 않았을 경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연결 및 종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전송버퍼에서 발생되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선통신, 원격호스트, 소켓 모드, 블로킹 모드, 넌 블로킹 모드

Description

무선통신방법{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통신장치에서 통신 소켓 모드를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여 원격호스트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며, 무선상의 연결 및 종료 대기 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결 및 종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통신장치는 기존의 데이터 통신이 유선으로 된 일반 전화 교환망(PSTN: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공중 교환 데이터망(PSDN: Public Switched Data Network)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과는 달리, 휴대용 컴퓨터 또는 전용 단말기를 통해 무선으로 자료를 검색하거나 전송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무선통신장치는 무선 전화, 무선 호출, 항만 통신 또는 주파수 공용 통신 등 특정 통신 사업용 무선 설비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무선 설비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 또는 데이터의 단순 전송 기능을 사용한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통신장치를 이용한 무선통신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시도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종료 시도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무선통신방법은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와 연결을 시도한다(10). 이때, 상기 통신장치는 통신하고자 하는 소켓 모드(Socket Mode)를 블로킹 모드(Blocking Mode)로 하여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시도한다.
그런 다음,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될 경우, 연결 성공 통보를 받는다(S20). 이때, 상기 S20 단계에서 연결 성공 통보는, 연결을 시도한 통신장치에서 연결의 성공 여부를 묻는 명령 신호를 상기 원격호스트에게 전달하고, 상기 원격호스트에서 상기 명령 신호를 전달받고 이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상기 통신장치에 보내는데 이를 연결 성공 통보라 한다.
이때,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통신 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이 성공하게 될 경우, 소정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주고 받으면서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만약, 상기 S20 단계에서 상기 통신 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이 성공되 지 못할 경우, 상기 원격호스트에서는 상기 연결 시도를 위해 송신된 데이터를 2분간 대기시킨다.
그 다음, 상기 S40 단계에서 대기 시간인 2분 경과 후,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 실패 통보를 한다(S50). 이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 시도가 종료된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무선 통신 중 연결을 종료하기 위한 방법은, 이를 나타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로 연결 종료를 시도한다(S110).
그런 다음, 상기 통신장치에서 강제로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함으로써(S120),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모든 무선통신이 종료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통신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통신방법은,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 시도시 통신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로 진행하게 됨에 따라, 원할하지 않는 통신 환경 또는 비정상적인 원격호스트의 동작 등으로 인하여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될 경우 2분간의 대기시간을 갖게 된다. 이때, 상기 2분간의 대기 시간 동안은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는 시간으로 상기 대기 시간 동안 어떠한 정보도 송 수신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을 종료하고자 할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서 강제로 연결을 종료하게 된다. 만약, 송수신 신호의 세기가 약하여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상기 원격호스트가 비정상적으로 동작할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서 송신한 데이터를 상기 원격호스트에서 모두 정상적인 시간 내에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장치는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강제로 종료함으로써, 상기 통신장치에서는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모두 원격호스트에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에서는 송신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통신장치에 남아있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다른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시도하기 위하여 현재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강제로 종료하고자 할 경우, 상기 송신되지 않은 데이터가 전송버퍼에 그대로 잔류하게 됨으로써,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상기 원격호스트 이외의 다른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시 상기 잔류된 데이터에 의해 상기 전송버퍼에 오버 플로우(overflow)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통신장치에서 통신 소켓 모드를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여 원격호스트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며, 연결 및 종료 대기 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결 및 종료 시 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무선통신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a) 통신장치의 통신 소켓 모드를 대기 시간이 미리 설정 가능한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c)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되었을 경우 통신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고, 연결 성공을 통보하는 단계; d) 연결 종료시 원격호스트와 연결 종료를 시도하는 단계; 및 e)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지 않았을 경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연결 및 종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전송버퍼에서 발생되는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되지 못할 경우,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되지 못할 경우 통신장치에서 연결 실패 통보를 발생시켜 연결 시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d) 단계에서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을 경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도달 전에 상기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상기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을 경우, 전송버퍼의 데이터를 삭제 후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특히, 상기 통신장치는 임베디드 시스템 또는 모바일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통신장치에서 통신 소켓 모드를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여 원격호스트와의 통신 연결을 시도하며, 연결 및 종료 대기 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연결 및 종료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 종료시 전송버퍼에 잔류된 데이터를 모두 삭제함으로써 상기 전송버퍼의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 및 그 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관련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시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 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종료 시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와의 무선통신을 위한 통신 소켓의 모드를 변경한다(S210). 상기 통신장치는 무선으로 통신이 가능한 임베디드 시스템(Embedded System) 또는 모바일 시스템(Mobile Syste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원격호스트는 서버(Sever)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통신장치의 초기 통신 소켓의 모드는 블로킹 모드(Blocking Mode)로써, 상기 블로킹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임의로 대기 시간을 설정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상기 통신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에서 넌 블로킹 모드(Non-Blocking Mode)로 변경한다.
이렇게 상기 통신 소켓 모드를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게 되어 대기 시간을 사전에 설정 가능하게 됨으로써, 종래와 같이 블로킹 모드시 특정 대기 시간 동안 연결의 성공 여부를 알 수 없게 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 시도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 다음, 상기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로 연결을 시도한다(S220).
상기 S220 단계에서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이 성공될 경우, 상기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된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로 재 변경한다(S240).
특히, 상기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로 재 변경하는 이유는, 상기 넌 블로킹 모드시에는 데이터를 원격호스트로 전송하기 위해서 일정 함수를 사용하게 되고, 데이터 전송환경이 아무리 원활하다 하더라도 데이터의 전송 처리율의 제한 또는 각종 인터넷 환경 등에 의한 간섭으로 인하여 데이터가 지연 전송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지연 전송이 발생하게 되면 보내고자 하는 데이터가 전송되었다는 것을 확인하기 전까지는 이후 동작을 하지 말아야 하지만, 소켓 모드가 넌 블로킹 모드일 경우에는 전송 확인을 하기 전에 일정 함수 이후의 동작을 하게 됨으로써 데이터가 원격호스트로 전송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될 경우 소켓 모드를 넌 블로킹 모드에서 블로킹 모드로 재 변경시킨다.
상기 소켓 모드를 변경한 후, 상기 원격호스트에서는 상기 통신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연결 성공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명령 신호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장치로 연결 성공 통보를 한다(S250).
이에 따라,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완료되고, 소정의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를 서로 주고받으면서 통신이 수행된다.
만약, 상기 S230 단계에서 상기 원격호스트 연결이 성공되지 못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 성공 여부를 지속적으로 확인한다(S260).
이때, 상기 기 설정되는 대기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한 시간으로 초(Second) 단위까지 설정가능하다. 만약, 상기 통신장치의 사용자가 상기 대기 시간을 0초로 설정할 경우에는 상기 S230 단계에서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하지 못할 경우 바로 연결을 종료하게 되며, 60초로 설정할 경우 상기 S230 단계에서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하지 못하게 되면 설정된 60초 동안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확인한다.
특히, 상기 대기 시간 내에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된다면, 상기 S240 단계를 진행한다.
만약, 상기 S260 단계에서 기 설정된 대기 시간까지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연결 실패에 대해 통보한다(S270).
상기와 같이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와 연결 시도시 통신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에서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함에 따라 연결 시도 시간을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 만큼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는 블로킹 모드로 연결을 시도한 종래 통신방법과 넌 블로킹 모드로 연결을 시도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방법을 비교한 하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7087249966-pat00001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연결 실패시 소요되는 시간은 종래의 블로킹 모드 방식이 120초이고, 넌 블로킹 모드 방식의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소요되므로 최소 0초에서 최대 120초까지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 성공시 종래 블로킹 모드 방식은 10초가 소요되고, 본 발명의 넌 블로킹 모드 방식은 5초가 소요되어 50% 개선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넌 블로킹 모드 방식이 종래 블로킹 모드 방식보다 연결 성공여부를 빨리 확인할 수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종래의 블로킹 모드 방식은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로 전송되고 원격호스트와의 연결 성공여부를 확인 한 후 리턴되어 다음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넌 블로킹 모드 방식은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로 전송된 후 바로 리턴되어 다음 동작을 준비하며, 상기 연결 성공 통보가 전송되면 바로 다음 동작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표 1]과 같이 종래에 비해 5초 빨리 상기 원격호스트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와의 연결 종료 과정을 나타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와의 데이터 송수신 중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고자 할 경우, 상기 통신장치에서 원격호스트와의 종료를 시도한다(S310).
그런 다음, 상기 통신장치 내에 구비되는 전송버퍼에 잔류된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한다(S320).
이때, 상기 S320 단계에서 상기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즉 전송버퍼가 비어 있을 경우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한다(S330).
만약, 상기 S320 단계에서 상기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는지 지속적으로 확인한다(S340).
상기 S340 단계에서 상기 전송버퍼 내에 잔류된 데이터가 없을 경우, 상기 S330 단계를 진행함으로써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을 종료한다. 이때, 상기 전송버퍼 내에 잔류된 데이터가 없다는 것은 전송 중이던 데이터가 모두 전송되었다는 의미로, 종래와 같이 전송 중에 강제로 종료시킴으로써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만약, 상기 S340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기 설정된 대기 시간까지도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전송버퍼에 잔류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한다(S350).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상기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 간의 연결 종료시 전송버퍼에 데이터 잔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전송 중이던 데이터를 모두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버퍼의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 종료시 통신장치의 전송버퍼 내에 데이터 잔류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이점은 하기 [표 2] 및 [표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07087249966-pat00002
Figure 112007087249966-pat00003
이때, 상기 [표 2]는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할 경우 전송을 완료할 수 있도록 대기 시간을 충분히 길게 설정한 경우이며, 상기 [표 3]은 강제 삭제했을 경우에 대한 데이터이다.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남아 있을 경우 바로 종료하지 않고 기 설정된 시간까지 대기하는 단계를 추가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강제로 종료하여 전송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은 기 설정된 대기 시간 이후에도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할 경우 이를 삭제하고 연결을 종료시킴으로써 오버 플로우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시도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종료 시도를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시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방법 중 연결 종료 시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순서도.

Claims (7)

  1. 통신장치와 원격호스트와의 무선통신방법에 있어서,
    a) 통신장치의 통신 소켓 모드를 대기 시간이 미리 설정 가능한 넌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는 단계;
    b)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
    c)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되었을 경우 통신 소켓 모드를 블로킹 모드로 변경하고, 연결 성공을 통보하는 단계;
    d) 연결 종료시 원격호스트와 연결 종료를 시도하는 단계; 및
    e)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지 않았을 경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되지 못할 경우, 기 설정된 대기 시간 동안 연결을 시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이 성공되지 못할 경우 통신 장치에서 연결 실패 통보를 발생시켜 연결 시도를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을 경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도달 전에 상기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지 않을 경우,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대기시간 동안 상기 전송버퍼에 데이터가 잔류되어 있을 경우, 전송버퍼의 데이터를 삭제 후 원격호스트와의 연결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장치는 임베디드 시스템 또는 모바일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방법.
KR1020070124920A 2007-12-04 2007-12-04 무선통신방법 KR1009563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920A KR100956374B1 (ko) 2007-12-04 2007-12-04 무선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4920A KR100956374B1 (ko) 2007-12-04 2007-12-04 무선통신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234A KR20090058234A (ko) 2009-06-09
KR100956374B1 true KR100956374B1 (ko) 2010-05-07

Family

ID=4098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4920A KR100956374B1 (ko) 2007-12-04 2007-12-04 무선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63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475B1 (ko) * 2018-07-26 2020-04-20 대전대학교 산학협력단 각변위 센서를 이용한 연동형 지반 및 구조물 침하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반 및 구조물 침하 측정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566A (ko) * 1994-12-29 1996-07-22 정장호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 중계기와 단말기간의 접속방법
KR20050108841A (ko) * 2004-05-13 2005-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데이터망에서 sip와 sdb를 이용한 ptt서비스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1396A (ko) * 2005-02-14 2006-08-21 (주)엑스톤 이동통신망에서 실시간 패킷호의 빠른 연결 설정 방법
KR20070029275A (ko) * 2004-07-29 2007-03-13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 상실된 접속들과 연관된 비용을 절감하는데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7566A (ko) * 1994-12-29 1996-07-22 정장호 주파수 공용 통신시스템 중계기와 단말기간의 접속방법
KR20050108841A (ko) * 2004-05-13 2005-11-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 통신 데이터망에서 sip와 sdb를 이용한 ptt서비스 구현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29275A (ko) * 2004-07-29 2007-03-13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통신에서 상실된 접속들과 연관된 비용을 절감하는데이용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060091396A (ko) * 2005-02-14 2006-08-21 (주)엑스톤 이동통신망에서 실시간 패킷호의 빠른 연결 설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8234A (ko) 2009-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0570B2 (en) Call termination method, application processor, and modem
US9049688B2 (en) Selective auto-accept of full duplex push to talk call
US20090005085A1 (en) Selective retry system for 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stack for call setup failures
CN102484886A (zh) 用于呼叫重建的无线链路超时过程
CN105165035A (zh) 兼具文本消息传输的多媒体消息传输
US6230020B1 (en) Method and devices for transmitting short messages
US8503333B2 (en) Reestablishment of an interface between nodes in a network using a backoff time
KR100956374B1 (ko) 무선통신방법
CN102487341A (zh) 会话检测方法、装置及会话初始协议服务器
EP2512065A1 (en) Method and device for network access
CN112073368A (zh) 一种网络交互方式切换的方法及其相关装置
CN106060959A (zh) 一种防止网络连接消息重发的方法、装置及android系统
CN110139228B (zh) 短信并行发送方法及装置
JP3730228B2 (ja) プロトコル変換装置およびプロトコル変換方法
JP4697594B2 (ja) Pdpコンテキスト制御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KR20140121599A (ko) 네트워크 관리 시스템, 게이트웨이 서버 및 그 통신 중계방법,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킵 얼라이브 수행방법
KR100671310B1 (ko)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업로딩/다운로딩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1909256B (zh) 用户信息的查询方法及多媒体消息中心
WO2021190576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ing pdn synchroniza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EP3633900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voice signaling
KR100774839B1 (ko) 네트워크 모델 적용 단말의 데이터 호 연결 방법
KR101672646B1 (ko) 호 종료 방지를 위한 음성 사서함 서버, 호 종료 방지 방법 및 어플리케이션
KR100790463B1 (ko)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
KR200430084Y1 (ko) 메시지 전송를 위한 휴대형 단말기
JP3978685B2 (ja) 着信制御サーバ、着信再送システム、及び、着信再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